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환기 적용을 통한 신한옥 유형별 에너지 소비 및 쾌적성 향상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병연(Lee, Byungnyun),황진욱(Hwang, Jinwook),지석환(Ji, Seokhwan)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6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nergy saving and comfort enhancement potentials of a envelop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natural ventilation in Korean Traditional Houses. User’s preference to detached house increased recently and comfort and low-energy consumption are the core requirement, so the strategies for both environmental performance should be researched. At first, this paper simulate energy consumption in three envelope performance levels in a typical linear shape house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cooling energy demand is sharply increased in a well-insulated and air-tight envelope and the cooling energy demand could be reduced by natural ventilati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nergy balance in three types of Hanok shows that linear type recorded the lowest heating energy consumption thanks to the highest solar insolation and it resulted in the highest cooling energy consumption in spite of the largest natural ventilation potential. The enclosed type recorded the lowest natural ventilation potential and the slightly higher cooling energy consumption compared to the semi-enclosed type one. The air change rate in the living room was above 5 ACH and shows the cooling potential in linear and semi-enclosed type Hanok. PMV in all types of Hanok shows the improvement during cooling season. The whole integrated passive cooling strategies including natural ventilation should be researched in the future.

      • HSPF 모형을 이용한 대호저수지 유역의 장기유출량 산정

        한국헌 ( Kukheon Han ),조진훈 ( Jinhoon Jo ),박명수 ( Myeongsoo Park ),윤동균 ( Dongkoun Yun ),황진욱 ( Jinwook Hwang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대호지는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어 방조제 및 배수갑문 공사는 1981년에 착공하여 1985년 12월에 준공되었으며, 현재 31개년이 경과되어, 몽리면적의 내용별 증감, 용수의 다양화 및 추가수요 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당초계획때 보다 확률강우량이 증대되고 장기간에 대한 퇴적으로 인한 내용적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등 수문조건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호지 유역을 대상으로 수자원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최근 수문조건을 고려한 장기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장기 유출 모형은 유역의 예상 유입량과 소비수량 예측을 통해 농업용 댐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유역규모, 유역특성 등을 고려해 장기유출량 산정을 위해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선정하였다. HSPF를 이용하여 장기유출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지형관련 주제도를 BASINS에서 구축하고, 강우, 온도, 풍속 등의 기상자료를 WDMUtil을 이용해 구축하여 HSPF 호환모형인 WinHSPF 모형을 통해 유출량을 계산한다. 대상유역인 대호저수지 유역의 장기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GIS 자료를 이용한 HSPF 모형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는데, 대상 유역은 준산간지역과 논, 담수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역별 지형특성은 수치지도와 ArcGIS 9.0을 이용하여 경사방향도, 경사분포도, 음영기복도, 표고분포도, 토양도, 토지이용도 등을 구축하였으며, 대호저수지 유역의 장기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전체를 14개 소유역으로 분리하였다. HSPF 모형의 기상자료는 본 지구 내 주변에 위치하면서 비교적 장기간 관측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기상청 관할서산관측소의 강우,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풍속, 운량 등의 관측자료(1970-2010)를 WDMUtil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기본 GIS 자료를 BAINS 4.0을 이용하여 HSPF 모형의 지형자료를 구축하였으며, 구축한 과정은 GIS에서 구축한 대상지역의 DEM, 하천도, 유역도를 이용하여 BASINS 4.0에서 Subbasin Parameters, Stream Network을 결정하고 Watershed Delineation을 구축하였다. 생성된 Subbasins, Streams, Outlets을 기본자료로 GIS 자료인 소유역별 토지피복분류도와 기상자료인 WDMUtil 자료를 이용하여 HSPF 모델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소유역별 토지피복분류도는 시가화 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나지, 습지, 수역(Water)의 7개의 대분류로 나누었고 시가화 건조지역의 불투수성은 60%로 설정하였다. 모형의 분석 결과, 대호호유역의 연간 총 유출량은 평균 171.3백만m3이었으며 연강우량의 평균치는 1,292.5mm로 나타났으며, 2010년 강우량이 2,132.8mm로 최고치를 나타냈고 총 유출량도 약 429.4백만m<sup>3</sup>으로 최고치였으며 유출고는 1.42m이다. 연강우량의 최저치는 1988년이었으며, 총 유출량은 1975년 51.4백만m3이 최저치로 유출고가 0.17m로 기록되었다. 이와 같이 WinHSPF를 이용하여 40년간(1970-2010)의 평균치를 산정한 결과 대상기간 강우량은 1,292.5mm, 강우량에 대한 평균 유출고는 580.4mm로 유출률은 0.44이다.

      • KCI등재후보

        커뮤니티케어, 다가오는 초고령사회 부담에서 지역사회계속 거주에 이르는 지름길

        강희택(Hee-Taik Kang),손창우(Changwoo Shon),전성연(Sung-Youn Chun),한동헌(Dong-Hun Han),황진욱(Jinwook Hwang),이용제(Yong-Jae Lee),유지원(Ji Won Yo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9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20 No.1

        Successful or health aging may not be enough of explaining all perspectives of aging-related consequences in the upcoming super-aged society. Korea has experienced a rapid decline in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and a soar in nuclear families or solitude. Korea sustains paradoxically dissociated delivery of health care and welfare despite a decade of policy implementa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November 20th, 2018, to resolve these challenge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oclaimed a comprehensive blueprint, “community-based care program for the elderly”. “Community-based care program for the elderly” is considered as a shortcut to “Aging in Place”, later life residential sustainability in the same community and a proven better living outcome compared with institutionalization. As the frontline practitioners of caring older adults, this proclamation needs more practical details of integrating health care, physical dependence, monetary status, and eventually, placement. Despite differ-ent health care system structure and preferences of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current review aims at assisting Korean practitioners with understanding the all-relevant trajectories of an elderly lung-cancer surviving man in Ohio, where remains geographic mixture of rural and metropolitan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