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교 숙제 관련변수의 영역성 분석

        박병기(Byung Gee Bak),황진숙(Jin Suk Hw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영어, 수학 두 과목에서 숙제 관련변수의 영역성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Trautwein의 숙제모형을 기초로 10개 이상의 숙제 관련변수를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248명(남 118, 여 130), 2학년 185명(남, 82, 여 103) 3학년 183명(남 98, 여 85),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192명(남 106, 여 86)으로 총 808명이었다. 측정도구는 기존 연구들의 문항을 참고하여 수정·개발하였다. 영역성 검토는 변수수준과 모형수준의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변수수준에서는 영어, 수학 두 과목 간 숙제 관련변수의 상관행렬과 평균치 차이를 비교하였다. 둘째, 모형수준에서는 연구모형에 대한 과목별 인과구조의 적합도를 비교·검토하였고, 유의한 경로만으로 구성된 수정모형에 대해 성별, 학년별, 성취수준별로 다집단분석을 수행하였다. 변수수준의 분석결과, 상관행렬 비교는 영역일반성이나 영역특수성 하나만을 지지하지 않았으며, 평균차이 비교도 이와 유사하게 영역성의 혼재 양상을 보여주었다. 모형수준의 분석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두 과목에서 모두 좋았지만, 수정모형의 경로는 상당히 상이하였다. 수정모형에서 성별, 성취수준별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학년별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숙제 관련변수의 영역성은 다소 영역일반적이거나 영역복합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숙제 관련변수에 대한 영역성 검토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omainality of homework related variables between two subjects of english and mathematics in the secondary school. Research model including more than 10 variables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rautwein`s homework model. The subjects covered 248(118 boys, 130 girls) first graders, 185(82 boys, 103 girls) second graders, 183(98 boys, 85 girls) third graders in middle-school, and 192(106 boys, 86 girls) first graders in general high-school. Scales were modified or developed referring to the items of the prior researches. Domainality was examined by the aspects of variable level and model level. In the variable level, correlations and means of homework related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english and mathematics. In the model level, the goodness of research model and its modified model were examined, whose moderation effects by gender, grade, and achievement level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arison between two subjects would not exclusively support domain-generality or domain-specificity. The results showed a kind of domain-complexities among homework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se findings, significanc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homework model were discussed.

      • KCI등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동기 비교

        송효완(Xiao Wan Song),이정화(Jeong Hwa Lee),황진숙(Jin Suk Hwang),박병기(Byung Gee Ba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동기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학업동기 차이는 주효과로서 평균효과크기, 그리고 상호작용효과로서 조절변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의 차이를 포함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1년부터 2015년까지의 학위논문 49편, 학술지 논문 31편, 총 80편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를 활용하였다. 총 80편의 논문으로부터 154개 표본수준 효과크기와 684개의 변수수준 효과크기가 추출되었다. 효과크기의 분석모형으로서 고정모형과 무선모형 중 본 연구에서는 무선모형을 선택하였다. 영재성의 영역이나 수준에서 매우 다양한 영재학생들을 동질적인 집단으로 판단하기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분석의 수준은 표본수준과 변수수준을 혼용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학업동기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705로서 중간크기를 나타냈다. 긍정적 학업동기의 하위요소인 내적동기는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과제가치는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출판년도는 조절효과가 있었으나, 논문종류, 지역, 학교급, 성별, 교육기관, 영재영역 등에서는 조절효과가 없었다. 목표지향성의 하위요소인 숙달접근은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숙달회피와 수행회피는 부적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자기결정성의 하위요소인 내적조절은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외적조절은 부적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귀인의 하위요소인 성공-능력은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실패-능력, 실패-운은 부적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연구결과의 함의를 논의한 후 영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on academic motivation using a meta-analysis.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terms of mean effect sizes and by moderators. This study searched researches from 2001 to 2015 including 31 journal articles and 49 theses, 80 researches in total.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 was used to analysis the included studies. Analysis was done by sample-based or variable-based. The number of variable-based was 684. Random effects model was chosen as analysis model on account of the heterogeneity of the diverse gifted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positive academic motivation was .705, above moderate effect. As the sub-factors of positive academ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showed large effect size, whereas self-efficacy, learning flow as well as task value showed moderate ones. Moderator effects of publication year was significant, whereas publication type, district, school level, gender, gifted educational institute, domain of giftedness were not. As the sub-factors of goal orientation, mastery approach showed moderate effect size whereas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showed negative effects. As the sub-factors of self-determination, intrinsic regulation showed larger effect size than identified and introjected regulation, external regulation showed negative effect. As the sub-factors of success attribution, ability attribution showed larger effect size than task difficulty, effort, and luck attribution. As the sub-factors of failure attribution, effect sizes were small in terms of other people and effort attribution, besides ability and luck attribution showed negative effec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gifted education after discussing research results in detail.

      • KCI등재

        만 3-5세 누리과정 지도서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분석

        이정화 ( Jeong Hwa Lee ),김모아 ( Mo A Kim ),황진숙 ( Jin Suk Hwang ),박병기 ( Byung Gee Ba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의 내용은 이야기나누기 활동 구성요소로서 활동목표, 활동자료, 발문의 연령별 차이 및 생활주제와 누리과정영역간의 연관관계 두 가지였다. 분석자료는 누리과정 지도서로 3세 10권, 4세 11권, 5세 11권, 총 32권이었다. 분석방법은 연령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활동 구성요소에 대한 내용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생활주제와 누리과정영역간의 연관관계는 내용 분석 및 대응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목표유형, 발문유형의 차이가 유의하였고, 생활주제와 누리과정영역 간의 관계도 유의했다. 통합적 유아교육 실현을 위한 다양한 수준의 발문 활동 및 주제 중심의 통합교육 활성화에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ontents of large group discussion activities displayed in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manual of 3-5 years of age. The purpose was differentiated into two kinds of research question. First, are there age differences in activity goals, activity materials, and question style in the large group discussion activities? Second, is ther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themes and the domains of Nuri curriculum? Materials used in our analysis were 32 books in total (10 books for 3 years old, 11 books for 4 years old, and 11 books for 5 years old). Content analysis methods was mainly utilized. The cross-tab analysis for the first question and the correspondence analysis for the second question were also utilize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tivity goals and question style by age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life themes and the domains of Nuri curriculum. Significanc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업무기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박병기 ( Byung Gee Bak ),노시언 ( Si Un Roh ),김진아 ( Jin A Kim ),황진숙 ( Jin Suk Hw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무기력 척도(AHS: academic helplessness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 척도가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학습된 무기력 척도가 영역 일반적인 관점에서 제작된 문항들로 구성된 데 반해, 학업상황에서 나타나는 학습된 무기력을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학습된 무기력이 인간 심리의 전체적 특성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신념, 동기, 정서, 행동 등 4가지 영역에 따른 4요인구조를 갖추도록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습된 무기력의 심리적 특성을 반영한 20개 문항의 예비척도를 개발한 후 문항선별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간명하고 신뢰로운 16문항의 학업무기력 척도를 완성하였다.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을 포함한 총 59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학업무기력 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로 인정할 수 있었다. 다중집단분석을 통한 교차타당화를 수행한 결과 탐색집단에서도 타당성을 인정받았다. 영역 특수적인 개념에서 시도된 학업무기력 척도개발의 의의와 추후 논의점 및 제한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cademic Helplessness Scale(AHS). The AHS construction was based on learned helplessness theory and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m, 20 items were developed.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178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duced into 16 items. Subjects were 593 students, which included 224 in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56 in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213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The AHS was validated through the evidence based on internal structure, the test-criterion relationship, and the cross-validation. The value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