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의 여성화’ 현상과 한국 내 결혼이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황정미(Hwang Jung-Mee) 한국여성연구소 2009 페미니즘 연구 Vol.9 No.2

        최근 국제결혼이 급증함에 따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정책연구 및 사례연구들 또한 양산되고 있는 반면, 이주의 여성화라는 큰 맥락 안에서 결혼이주 현상을 분석하는 이론적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위해 이 글에서는 이주의 여성화, 결혼이주와 노동이주의 관계 등 개념을 검토하고, 이주의 여성화를 추동하는 전지구적 맥락과 한국의 가족의 변화를 연계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이주의 여성화를 전지구적 맥락에서 설명하는 개념으로 글로벌 케어 체인(global care chain)과 생존의 여성화(feminization of survival)를 검토해 보면, 지구자본주의의 확산으로 제3세계 경제가 취약해지고 생존을 책임지게 된 여성들이 열악한 조건의 이주를 감수하게 된다고 설명하는 후자의 개념이 한국의 결혼이주 급증 현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 남성의 하향혼, 여성의 상향혼 선택이 교차하는 국제결혼 가정에서는 한편으로 가부장적 억압이 강화되는 현상이 나타나지만 반면 남성 가장의 생계부양 기능이 약화될 경우 실제로 가족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양면성이 나타난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많은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오직 사적 가족에만 소속되는 이주 경로의 취약성은 그대로 남아있다. 결혼이주와 노동이주를 ‘이주의 여성화’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보고, 여성 시민권의 공식적, 비공식적 차원을 함께 사유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Recently, case studies and policy reports on marriage migration in Korea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In regards of theoretical reflection of marriage migration and cross-border marriage, we need wider perspective which can connect global tendency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Korean experience of migration. In this article, I examine two concepts of ‘global care chain’ (Hochschild) and ‘feminization of survival’ (Sassen) to find out some theoretical points to link global context of women’s migration toward Korean case of rapid increase in marriage migrants. The tendency of ‘feminization of survival’ is very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sian women who enter into Korea as wives of Korean men in spite of language barrier, cultural difference, and even the possibility of unstable marriage life such as poverty, divorce and domestic violence.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change, increasing cross-border marriage meet current tendencies of diverse families in its form and scale since the economic crisis of last decade. Marriage migrant women are often described as the ‘victim’ of oppressive patriarchy, but I think they are located on the ‘contradictory’ position with the possibility of their resistance against family control. The project of patriarchal family which try to reinforce male hierarchy through downward marriage with women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can be seriously injured if male-breadwinning fails. I think current state of marriage migration in Korea is an example of very unstable, irregular form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In spite of diverse policy measures which provide language program for foreign wives, the mode of belonging for these women in host society before naturalization are still unstable, as only ‘private’ wives of Korean men in private family without any ‘public’ status.

      • KCI등재

        개발국가의 해외이주 정책과 젠더

        황정미(Hwang, Jung-Mee)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재외한인 정책의 현재적 특성이 개발국가의 역사적 경험에서 비롯된다는 점에 착안, 한국에서 해외이주가 확장된 시기(1962~1987년)의 출국자 통계 추이와 해외이주를 규정하는 프레임들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한다. 출국자 통계의 흐름을 보면 해외이주가 증가함과 동시에 여성은 이민 목적, 남성은 취업 목적으로 이주 경로가 분리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런데 이주 목적지별로 나누어 고찰해보면 또 다른 성별 차이가 발견된다. 1970년대 초반까지는 유럽 및 아시아로 해외취업한 여성들이 증가하였지만 이후 점차 감소하고, 대신 연고형 이민이 늘어났다. 개발 초기 여성의 해외취업을 ‘생존의 여성화’ 차원에서 재조명해볼 필요가 있음이 드러난다. 한편, 이 시기 해외이주를 인식하는 지배적 프레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신문기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담론분석을 통해 세 가지 프레임을 발견했는데, 해외이주를 경제개발을 위한 인력수출로 보는 시각, 국제결혼이나 이민의 부작용을 여성화하는 프레임, 그리고 이주자를 개척자와 도피자로 양분함으로써 ‘이주의 자격’을 국위선양 여부에 따라 구분하는 프레임이다. 한국 여성들의 다양한 이주 경험은 국위선양과 개척형 이주를 상상하는 개발국가의 남성중심적 프레임, 국가 민족주의의 틀 안에서 왜곡되거나 배제되어 왔으며, 특히 생존을 위한 여성의 다중적 역할이나 유급 및 무급 노동에 대한 기여는 비가시화된다. 단순한 순혈주의와는 다른, 개발시기의 국가 민족주의와 결합된 개발 프레임의 광범위한 영향력과 젠더 편향성을 보다 정교하게 비판하고 극복할 수 있는 여성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며, 그러한 기반 위에서 한국 여성들의 해외이주 경험을 새롭게 재조명하는 연구가 가능해질 것이다. The number of ethnic Koreans living overseas has exceeded 7 million people. They have emerged as a group of people who also needs policy attention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recent years,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 number of policies to build a homeland tie with them. However, the policies are partly, or predominantly gender biased and also looked as being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fered by so called ‘the developmental state’ of Korea from 1962 to 1987.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kept the strong view on Korean migrants as human capitals who could be utilized for the home country’s economic growth. This study argues that this perspective is still prevalent in both Korea’s emigration and overseas Korean policies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state’s policy discourse to trace a set of ideas, such as gender norms and nationalism, incorporated into both past and current policies.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emigration statistic under the developmental state’s policy regime and analyses gender implications from trends and patterns of emigration proces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conducts the discourse analysis on the collected news paper articles published from 1962 to 1987. This is to show the prevalent image of Korean emigrants which was mostly represented as a pioneer or an escapee under the nationalism interconnected with developmental ideas.

      • KCI등재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분석

        황정미(Hwang Jung-Mee)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0 亞細亞硏究 Vol.53 No.4

        This article is a statistical analysi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Korean people based on a nationwide survey data.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an be defined as a permissive attitude toward multi-ethnic society and increasing immigrants who have diverse cultural and ethnic background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ust be a very complicated concept which contains multiple dimension of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values. However, I’d like to emphasize that multicultral acceptability is highly interconnected with national identity and citizenship values in a globalizing world. National identity is a kind of imagined identity constructed and reinforced by cultural symbol and political institution of modern nation-state. In this analysi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s assumed as a two-layer concept. The first sub-factors is positive recognition of universal rights of immigrant people, and the second one is collective perception of threat due to increasing migr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pride of national homogeneity and positive attitude to the virtue of participatory citizenship are introduced in this analytic frame.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s negatively influenced by pride of national homogeneity. On the other hand, it is positively influenced by sympathy to active citizenship. Acceptance to multicultural values is concerned not only with generosity to immigrant but also with the new politics of membership which could bring in a new perspective on the boundary of political commun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emerging post-national citizenship.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에 피해에 대한 재고찰

        황정미(Hwang, Jung-Mee) 한국여성학회 2015 한국여성학 Vol.31 No.4

        결혼이주여성 폭력피해에 관한 기존 연구와 정책 담론에는 피해자를 무력한 보호 대상으로 보는 이른바 취약성 프레임이 내포되어 있다. 이 연구는 취약성 프레임과 차별화된 대안적 관점으로써 인간안보(human security) 개념을 검토하고 이에 기초하여 결혼이주여성 가정폭력 실태조사 및 상담기관 자료를 재해석 한다. 비교 분석 결과 이주여성들은 선주민 여성에 비해 정서적 폭력보다 경제적 폭력에 더 많이 노출되고 있다. 가정폭력은 단지 부부간 친밀성의 문제가 아니며, 경제적 불안전 및 빈곤위험이 이주여성 피해 경험의 핵심을 구성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또한 부부간 통제 행위에서는 이주여성이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방적으로 통제받기 보다는 자신도 남편을 통제하려는 행동은 이주여성 나름의 대응이자 행위성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피해자의 행위성은 억압적 환경에 있을수록 선택의 범위가 축소되며, 때로는 문제 해결보다는 불안전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양가적이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이들의 체류자격을 규율하는 `법치 국가`와 다문화가족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 국가`라는 두 가지 국가를 대면하고 있다. 정책의 확대하는 한편으로 이주여성이 `국민의 어머니`자격으로 삶을 영위할 공간을 열어주기도 하지만, 그러나 자녀 출산만으로 이주여성들이 어머니의 권리를 보장받는 것은 아니다. 이른바 위장 결혼, 도구적 모성을 걸러내기 위한 통제적 법제도는 역설적으로 결혼의 진정성과 모성의 자질을 분쟁과 갈등의 영역으로 만들며, 당사자들을 적대와 갈등이 악순환되는 딜레마적 상황으로 밀어 넣을 우려가 있다. 국경관리와 질서유지를 강조하는 국가안보의 일방적 관점을 강요하기 보다는, 이주여성의 행위성을 통해 자신과 가족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피스 메이커`가 될 수 있도록 제도적 문화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인간안보 개념은 취약성 프레임과 동전의 양면처럼 결합되어 있는 `인권` 개념에 대한 깊은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Domestic violence against migrant women in cross-border marriage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both academic and policy circles in Korea. Most of them at least implicitly resort to so-called `Vulnerability frame` which regard women victim`s powerlessness and subordination as something natural and indispensible. While the vulnerability frame highlights urgent protection and policy intervention for victims, it tends to ignore multi-layered structure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insecurities surrounding migrant women. This article suggests human security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 figure out interconnected structures of violence against women, especially with due emphasis on women`s agency and empowerment. Reconsidering national survey results on domestic violence and official data of counseling and hot-line service, migrant women not only suffer from physical and emotional assaults of their spouses. They are also grappled with a precarious livelihood, threats of poverty, insecure status of residence, lack of legal informations and access to resources for child rearing, etc. Due to recent policy revision, migrant women are now eligible for legal residence and even naturalization in case they are approved as unliable victims of violence or granted with child custody after divorce. Meanwhile, it also leaves room for aggravating family conflicts and legal controversies over authentic marriage and good motherhood, effectively restricting migrant women`s agency to cope with livelihood and child rearing after separation or divorce. Again, human security perspectiv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migrant women are not remained in helplessness but empowered as peacemakers.

      • 이민단계별 정착지원 및 사회통합 정책의 평가와 미래과제: 제3차 외국인정책기본계획을 중심으로

        황정미(Hwang, Jung-Mee) 한국이민학회 2021 한국이민학 =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Vol.8 No.2

        이 연구는 한국의 이민자 통합 정책의 현황과 전망에서 중요한 쟁점들을 고찰하고자 하며, 먼저‘동화주의 대 다문화주의’라는 기존의 분석틀과는 다른 관점, 즉 미래사회변동에 대한 적극적 대응의 차원에서 사회통합의 새로운 가치 및 방향을 모색하는 논의들을 살펴본다. 특히 주요 국제기구의 문헌에서 나타나는 이민자 통합의 전체적이고 포괄적인 접근, 그리고 지속가능성의 차원에서 이민자 통합을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한국의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제3차 외국인정책기본계획의 ‘이민단계별 정착 지원 및 사회통합 촉진’ 영역에 해당하는 세부 과제들의 구성과 추진 내용, 성과지표 등을 분석한다. 셋째, 이러한 고찰에 기반하여 기존 이민자 통합 정책의 특징과 한계를 진단하고, 향후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의 체계적 확장을 위한 정책방향 및 미래 과제들을 제언한다. This study examines recent discussions on the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in Korean context and highlights new values and directions for immigrant integration in terms of better response to future social changes. Distancing from a conventional dichotomy of assimilationism versus multiculturalism, this paper emphasizes a holistic approach toward immigrant integration, and the recognition of immigrants contribu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mmunity.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this study analyzed the Basic Plan for Foreigners" Policy focusing on public supports for the settlement of immigrants and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integration. Third,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has been diagnosed, and overall policy direction and future tasks of the immigrant social integration are suggested.

      • KCI등재

        초국적 이주와 여성의 시민권에 관한 새로운 쟁점들

        황정미(Hwang Jung-Mee) 한국여성학회 2011 한국여성학 Vol.27 No.4

        이 글은 전지구화와 초국적 이주의 증가, 그리고 여성 이주의 경험들이 기존의 여성시민권 개념에 어떤 새로운 쟁점들을 제기하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시민권 이론을 비판하면서 페미니스트들이 제기했던 두 가지 논점에 초점을 맞춘다. 첫째, 많은 연구들은 산업화와 민주화의 결과 여성들이 ‘형식적’인 시민권은 획득하였으나 ‘실질적’인 시민권에서는 여전히 차별이 있다고 비판하였다. 그런데 최근 이주여성들이 직면하고 있는 체류권의 불안정성, 국적이나 영주권 취득의 장벽, 송환의 위험 등은 전지구화 시대에‘형식적’시민권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페미니스트들은 시민권의 보편성과 포괄성 테제를 비판하고, 여성의 입장과 경험에서 본다면 시민권 형성과정은 오히려 선택성과 비대칭성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고 주장하였다. 시민권의 비대칭성과 파편화는 이주여성의 경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이다. 최근 이주동향을 보면 여전히 다수의 여성들은 가족 관련 지위를 통해, 즉 경제활동이나 정치적 망명 등 독자적인 권리의 주체로서가 아니라 다른 권리보유자와 연결된 ‘의존자’로서 이주하고 있다. 국제인권레짐에서 가족 재결합권이 확대되고 국적취득에서 성차별을 개선하는 변화들이 있었지만, 현실적으로 가족재결합권이 성별이나 인종, 가족규범에 대한 문화적 기준에 따라 일정하게 제약되는 사례들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도 여성의 노동이주는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다문화가족’ 중심의 정책 프레임은 이주여성의 의존성을 한층 더 강화하고 있다. 국제인권레짐의 영향으로 폭력 피해여성이나 자녀를 양육하는 이주여성에게 체류자격을 인정하는 등 일정한 법 개정이 진전되어 왔다. 그러나 결혼 이주여성의 체류권과 국적취득, 자녀에 대한 권리(양육권, 면접교섭권), 그리고 사회권 등 다양한 권리들 사이의 모순과 상충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초국적 시민권에 대한 논의는 국민국가를 전제로 하는 시민권 개념을 비판함과 동시에 시민권에 내포된 가족(전통적 가족)에 대한 전제들도 재검토해야 한다. Regarding globalization and increasing transnational migration, particularly feminization of migration, this article observes several new issues in feminist citizenship discussion. Firstly, there has been a suggestion that women are included into the legal boundary of ‘formal’ citizenship in 20th century, so it is ‘substantial’ dimension of women’ citizenship which is at stake now both in feminist theory and practice. However, lots of migrant women from developing countries are now facing legal barriers such as uncertainty of rights to stay in host countries, threats of unexpected deportation and difficulties to access to permanent residency or nationality. This article emphasizes the basic rights and ‘formal’ citizenship of migrant women, regarding that most of women are crossing the national border as ‘dependent" members of family. Secondly, feminist researchers repeatedly argue that it is not universal and inclusive aspect but unequal and elusive aspect of citizenship system that compose most of women’ experience as being citizens and members of political community.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fragmented citizenship, in other words, internal contradiction among the different right systems, for example, legal status as alien residents, child custody and mother’ right to meet and care for children, women’ equal rights, basic right to social benefit, and right to being safe from violence.

      • KCI등재

        다문화 사회와 '이주 어머니(migrant mother)'

        황정미(Hwang, Jung-m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아시아여성연구 Vol.51 No.2

        이 글에서는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에서 여성 이주민들이 어떤 위치에 놓이게 되는가를 "모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성 논의를 초국가적 이주, 다문화 사회라는 새로운 배경에서 이론적으로 재조명하고, 한국으로 이주해온 여성들의 다양한 모성 경험과 이주 어머니의 유동적 정체성을 여성학적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 어머니들의 경험은 이주노동자로 일하는 어머니와 국제결혼을 통해 어머니가 된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주 어머니의 대표적인 집단은 중국계 한국인(조선족) 기혼여성들이며 중국에 있는 가족과 자녀를 부양하는 초국적 모성의 사례들이 나타난다. 다른 아시아 출신 여성 이주노동자들도 기혼자 비율이 70%나 되며, 또한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이 가족단위로 살아가면서 한국에서 자녀를 양육하거나 출산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은 노동이주여성에 비해 정책 혜택을 받고 있지만, 자녀의 성공적인 교육과 계층 상승이동을 위한 어머니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한국사회의 모성 규범은 이주 어머니의 결핍을 더욱 크게 대비시킴으로써 이들을 의존적인 모성, "타자화된 모성"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의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이혼, 사별 상태에 있는 여성들도 증가할 것이고, 특히 국제결혼 부부간 연령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혼 · 사별 이후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이주여성 한부모 가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주여성은 한국 부계가족 안에만 배타적으로 소속된 여성이 아니라, 모국의 가족과 한국의 가족을 연결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주 어머니에 대한 국가 정책과 공적 담론이 단지 "한국 가족의 재생산"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모성의 다층적 의미 및 경험을 간과하는 편협한 접근이 될 것이다. 또한 아동의 양육을 직접적으로 맡고 있는 이주 어머니의 권리는 국적이나 체류자격과는 다른 차원에서 모성의 기본권이나 시민권으로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looks into the positionality of migrant women, particularly that of "migrant mothers", within the process of recent transition into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n context. According to recent researches, mothering of migrant women is very diverse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s of immigration and family background. In Korea, there are transnational mothers mostly from China, who earn and care for their family and children on a long-distance base. There are also undocumented women workers who rear children in the poor and unhealthy condition both in workplace and in their residence. Thirdly, marriage-migrant mothers are rearing mixed-blood children under the roof of Korean household. Recent policies supporting migrant women and children of migration background tend to focus on school activities and cultural adaptation into Korean society. However, mothering is less restricted in a traditional family relations exclusively settled down in a nation-state, but more extended to transnational and cross-bordering practices which link economic and cultural resources between origin and host societies. In this regard, it is needy to envisage a basic rights of migrant mothers to care for their children in the safe and stable condition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y or legal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