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거정 한시의 <등황학루(登黃鶴樓)> 용사(用事)와 그 의미

        황명환 ( Hwang¸ Myeong-hwan ) 한국문학언어학회 2021 어문론총 Vol.90 No.-

        본고는 서거정의 한시에 나타난 <등황학루> 용사와 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최호의 <등황학루>는 고려 말엽부터 우리나라 문인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서거정 역시 <등황학루>에 관심을 가졌던 바, 그는 한시에 황학루 및 <등황학루>를 용사함으로써 자신의 시재를 드러내었다. 서거정이 <등황학루>를 용사하여 창작한 한시에는 자연 경관의 묘사, 회고의 정서 표출, 은거에 대한 지향 등이 나타난다. 이는 황학루가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배경으로 건립되었다는 점, <등황학루>에 황학 고사가 투영되었다는 점, <등황학루>에 등장하는 앵무주가 실의한 문인인 예형과 관련이 있다는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서거정은 <등황학루> 용사를 통해 동(東)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자부심은 우리나라의 자연 경관 및 인물이 중국에 못지않다는 인식으로 표출되었다. 또한 그는 명나라 사신들과 수많은 시문을 창수하였는데, 이 가운데 <등황학루>와 관련된 용사가 유독 자주 등장한다. 이는 명나라 사신들에게 익숙한 시문을 용사함으로써 교류를 원활히 하고자 함이었다. This paper examines Yongsa(用事) of “Deunghwanghakru(登黃鶴樓)” and its meaning in the Sino-Korean poetry of Seo Geo-jeong(徐居正). Choi Ho(崔顥)'s “Deunghwanghakru” has been widely known to Korean writers since the end of the Goryeo(高麗) dynasty. Moreover, Seo Geo-jeong was also interested in “Deunghwanghakru”, and he revealed his poetic genius by using Hwanghakru and the poem, “Deunghwanghakru”. In a Sino-Korean Poetry created by using “Deunghwanghakru”, Seo Geo-jeong describes the natural landscape, expression of emotions of retrospective, and orientation for seclusion. This is sai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fact that Hwanghakru was built against the backdrop of a beautiful natural scenery, that the ancient history of Hwanghak appeared in “Deunghwanghakru”, and that the Aengmuju(鸚鵡洲) mentioned in “Deunghwanghakru” was related to Ye Hyeong(禰衡). Furthermore, Seo Geo-jeong expressed pride in the east by using “Deunghwanghakru”, which was articulated through the recognition that the natural landscapes and figures of Chosŏn(朝鮮) are not inferior to those of China. Additionally, he wrote several poems with envoys from the Ming(明) Dynasty, which often portrayed ancient histories related to “Deunghwanghakru”. It can be argued that this was to facilitate exchange by using poems familiar to the envoys of the Ming(明) Dynasty.

      • KCI등재

        수파(守坡) 안효제(安孝濟)의 한시에 나타난 만주 공간 인식과 그 의미

        황명환 ( Hwang¸ Myeong-hwa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8

        본고는 守坡 安孝濟(1850~1916)가 만주에서 남긴 한시를 대상으로 그의 만주 공간 인식을 살펴보고, 그것이 지닌 의미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파는 한일병탄 당시, 단식으로 순국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고, 일제로부터 모진 고초를 겪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는 만주행을 결심하게 된다. 이때 만주라는 공간은 그에게 남다른 의미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수파집』에 실린 대다수의 한시들이 만주 망명 이후에 지어진 것이라는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수파의 한시에 나타난 만주 공간 인식은 크게 네 가지로 대별된다. 첫번째는 古土로서의 인식이다. 수파는 만주가 고조선의 옛 강토라는 점을 이야기하며, 만주에 대한 남다른 애착을 보였다. 두 번째는 可居地로서의 인식이다. 수파에게 있어 만주는 풍요로운 곡식이 있고, 一身의 자유를 안겨주는 곳으로 인식되었다. 세 번째는 受難處로서의 인식이다. 이러한 인식은, 수파의 만주행이 자의적으로 이루어진 것이긴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따른 것이기도 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네 번째는 守道處로서의 인식이다. 이는 수파가 만주에서 中夏의 문물전장을 보존하고자 한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수파의 만주 공간 인식은 민족의식의 계승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뿐만 아니라, 그가 만주에서 지은 한시들은 그의 유학정신을 강하게 보여 주기도 한다. 수파가 나라를 구할 인물의 도래를 기대하거나, 道의 중요성을 설파한 데에서 이러한 점들을 확인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Manchurian space and to understand its meaning in Chinese poetry by Supa Ahn Hyo-je. At the tim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He tried to die by fasting but failed to achieve his purpose, and suffered from the Japanese empire. In this situation, he decided to go to Manchuria. At this time, the Manchuria seems to have a special meaning to him.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the poems in the Supajip were created after the Manchurian exile. The perception of Manchuria in Supa's poetry can be rough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first is the perception of Korean old territory. Supa tells us that Manchu is the old territory of Gojoseon, and showed a lot of attachment to Manchuria. The second is perception as a place worth living. For him, Manchuria was perceived as a place to have abundant grain and freedom. The third is awareness as suffering space. This seems to have occurred because the Supa's Manchuria exile was due to the inevitable situation. The fourth is recognition as a space to keep the Tao. This can be confirmed in his attempt to preserve the Chinese cultural heritage in Manchuria. It is noteworthy that Supa's recognition of the Manchurian space shows the succession of ethnic consciousness. In addition, he showed a strong spirit of Confucianism through the Chinese poetry created in Manchuria. We can confirm these points when Supa anticipates the appearance of a person who will save the country or preaches the importance of the Tao.

      • KCI등재

        주행거리연장형 전기자동차를 위한 발전기 가동시점 알고리즘 개발

        황명환 ( Myeong-hwan Hwang ),이계성 ( Gye-seong Lee ),김동현 ( Dong-hyun Kim ),차현록 ( Hyun-rok Cha ) 조선대학교 공학기술연구원 2018 공학기술논문지 Vol.11 No.3

        This paper describes how to determine the optimal generator operating point for Re-EV(Range-extended Electric Vehicle). Re-EV is being developed as one of the solutions to the short driving range and charge problem of electric vehicles. It can solve the problem of battery full discharge with fuel remaining in existing algorithms. The proposed algorithm through actual driving tests can be used in nonlinear power consumption patterns. And it is applicable to other range-extended electric vehicles. Simulation and experiment result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 설화에 나타난 來庵鄭仁弘의 형상과 그 의미

        황명환 ( Hwang Myeong-hwan ) 남명학연구원 2019 南冥學硏究論叢 Vol.24 No.-

        본고는 설화에 나타난 내암의 형상과 그것이 지닌 의미에 대해 구명하였다. 내암은 어려서부터 뛰어난 자질을 드러냈으며, 이로 인해 남명의 수제자가 되었다. 그는 남명의 가르침을 받들어 평생 敬義로써 자신을 단속하였으나, 스승에 대한 존숭이 지나친 나머지 독선적인 노선을 견지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직된 사고로 인해 그는 인조반정 당시 반대파에 의해 누명을 쓰고 죽음을 맞이하고 만다. 내암 설화에는 이러한 내암의 모습이 잘 형상화 되어 있다. ‘중동’으로 나타난 그의 모습과 높은 벼슬아치에게도 굽히지 않는 그의 태도는, 바로 내암이 지니고 있었던 뛰어난 자질을 형상화 한 것이다. 그리고 내암 설화에서 내암은 스승인 남명을 보호하기 위해 중동을 이용하여 구렁이를 죽인다. 이를 통해 구렁이가 내암이 배척한 타학파임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내암 설화에서 내암은 장모 혹은 퇴계의 입을 통해 역적으로 죽을 것임이 예견된다. 그러나 내암 설화 내에서 내암은 폐모살제에 동의하지 않는 인물로 그려진다. 즉, 내암의 죽음에 억울한 측면이 있었다는 사실을 설화 전승자들은 이야기하고자 했던 것이다. 본고는 설화에 나타난 내암의 형상이 지닌 의미를 역사적 측면, 지역적 측면, 구비전승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역사적 측면에서는 내암 설화가 서인세력에 의해 왜곡된 사실을 바로잡으려 한다는 것을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지역적 측면에서는 내암 설화에 담긴 경상남도 지역의 자긍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같은 경상도 지역이라 할지라도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에서 내암에 대한 평가가 상반된다는 것을 통해 드러난다. 이러한 사실은 내암 설화가 지역에 따른 학파의 결집과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주기에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구비전승적 측면에서는 구비설화가 지닌 특성으로 인해 설화 전승자들이 보다 자유롭게 내암에 대한 평가를 내릴 수 있었다는 사실을 이야기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진척시키기 위해서는 내암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자료들을 함께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내암과 대척점에 서 있었던 여러 인물들에 대한 설화도 함께 확인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들이 온전히 검토되어야만, 내암 설화가 지닌 의미가 보다 폭넓고 정치하게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igure of Jeong In-hong in the folktale and the meaning of it. Jeong In-hong revealed his outstanding talents from his youth and became Nam Myoung's best pupil. He has been in control of himself for the rest of his life with the teachings of his master, but respect for his teacher went too far and he became a self-righteous person. And because of this rigid accident, he is framed and killed by opponents at the time of King Injo’s Restoration. In the folktale, Jeong In-hong's figure is well shaped. His appearance as 'compound eyes' and his attitude that does not bend to the high government official are shaped Jeong In-hong's outstanding qualities. And in the folktale, Jeong In-hong killed the serpent by using the compound eyes to protect his teacher. From this, we can guess that the serpent was a different school from Jeong In-hong. Meanwhile, in the tale, Jeong In-hong is expected to die as a rebel through the mouth of his mother-in-law or Toegye. In the folktale, however, Jeong In-hong is portrayed as a figure who disagrees with the confinement of Queen In-mok and the murder of the General Yeong-chang. In other words, the storytellers tried to tell that Jeong In-hong's death was injustice. This study looked at the meaning of Jeong In-hong's figure in the folktale in terms of historical, regional and oral literature aspects.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folktail of Jeong In-hong tried to correct the distorted facts by Seoin party. And from a regional perspective, we could confirm the pride of the Gyeongsangnam-do region, which was included in the folktail about Jeong In-hong. This is illustrated by the conflicting views of Jeong In-hong in betwee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his fact is significant as it shows that the folktail of Jeong In-hong is related to the solidarity of school districts by region. Finally, a oral literature point of view,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folktail, storytellers were able to freely evaluate Jeong In-hong. To compensate for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more diverse materials related to Jeong In-hong need to be reviewed together. It is also necessary to check the folktails about the various characters opposite to Jeong In-hong. If these points are thoroughly examined, it is likely that the meaning of Jung In-hong's folktails can be revealed more broadly and clearly.

      • KCI등재

        성호 이익의 『논어』 용사시(用事詩)에 나타난 출처의식(出處意識) 연구

        황명환 ( Hwang Myeong-hwan ) 온지학회 2024 溫知論叢 Vol.- No.78

        성호의 『논어』 용사시는 전체 성호 한시의 약 9%를 차지한다. 시작법(詩作法)의 측면에서 단일 텍스트를 용사한 시가 이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은, 그 자체로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특히 성호는 『논어질서』의 편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논어』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한편, 성호의 출처의식은 『논어』로부터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았음이 분명하다. 이는 공자가 강조한 학문이나 수양이 사회적인 영역으로까지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논어』에는 출처의 대원칙 몇 가지가 제시되어 있으며, 공자의 출사 의지와 더불어 퇴처의 중요성 역시 함께 언급되어 있다. 이에 영향을 받아, 성호는 그의 『논어』 용사시에서 출사의식과 퇴처 의식을 동시에 드러내었다. 그는 개인적·가정적인 문제로 인해 출사를 단념하게 되었지만, 출사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지는 않았다. 출사란 백성들의 삶을 편안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붕당 정치의 변질로 인해 성호는 퇴처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인지 그가 스스로의 뜻을 드러내거나 자신과 같이 퇴처의 삶을 택한 이들을 위해 쓴 시에서는, 퇴처의식이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성호의 『논어』 용사시에 나타난 출처의식은 성호가 퇴처한 상황에서도 어떠한 형태로든 현실 정치에의 참여를 희망하고 있었음을 반증한다. 실제로 그는 일상생활 속에서 마음을 갈고 닦는 것도 곧 정치 참여라 인식하였으며, 더 나아가 『논어』 용사시를 통해 중농학파로서의 인식을 확고히 드러내었다. 결국 성호의 『논어』 용사시는 성호가 자신이 처한 상황하에서 출사와 퇴처 양면을 모두 합당하게 하고자 하였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e Sino-Korean Poetry in which Seong-ho uses the Analects of Confucius account for about 9% of all Seong-ho's Sino-Korean Poetry. The fact that Sino-Korean Poetry using a single text occupies such a proportion can be said to have a special meaning in itself. Especially, Seong-ho had a special interest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can be seen through Noneo Jilseo(論語疾書). On the other hand, it is clear that Seong-ho's consciousness of taking up a public office and seclusion wa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the Analects of Confucius. This means that the studies and discipline emphasized by Confucius were extended to the social realm. In fact, the Analects of Confucius present several general principles regarding taking up a public office and seclusion, and the importance of seclusion along with Confucius's will to taking up a public office is also mentioned. Influenced by this, Seong-ho simultaneously revealed his consciousness of taking up a public office and his consciousness of seclusion in his Sino-Korean Poetry us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Although he gave up taking up a public office due to personal and family problems, he did not view the civil service itself negatively. This is because they thought of taking up a public office as a means to make the lives of the people comfortable. However, due to the deterioration of factional politics, Seong-ho had no choice but to choose the path of seclusion. Therefore, in the Sino-Korean Poetry he wrote for those who expressed his will or chose to live a life of seclusion like him, the sense of seclusion is remarkable. The awareness of taking up a public office and seclusion expressed in Sino-Korean Poetry us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proves that Seong-ho hoped to participate in real politics in some form even when he was in seclusion. In fact, he recognized that sharpening one's mind in daily life was also part of political participation. Furthermore,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n farming was clearly revealed through Sino-Korean Poetry us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Seong-ho's Sino-Korean Poetry us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at Seong-ho tried to make both aspects of public life and seclusion reasonable under the circumstances he was in.

      • KCI등재

        송신 빔형성기 기반의 위성 시스템 구조 성능평가

        문지윤(Ji-Youn Mun),황명환(Myeong-Hwan Hwang),황석승(Suk-Seung Hwa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4

        신호의 도래각(: Angle-of-Arrival, AOA) 추정기법, 간섭제거 기술, 및 송신 빔형성 기법 등을 기반으로하는 신호정보 수집(: Signal Intelligence, SIGINT) 시스템은 다양한 신호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래각 추정기, 적응 빔형성기, 신호처리 및 D/B 유닛, 송신 빔형성기로 구성된 신호정보 수집을 위한 위성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조를 소개한다. 제시된 구조는 다양한 신호의 정확한 도래각 추정을 위해 MUSIC(: 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불필요한 간섭 또는 재밍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MVDR(: Minimum Variance Distortionless Response) 기법을 사용하며, 수집된 정보 및 데이터의 효과적인 송신을 위해 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기반의 송신 빔형성 기법을 적용한다.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소개된 위성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 분석한다. The Signal Intelligence (SIGINT) system based on Angle-of-Arrival(AOA) estimation, interference suppression, and transmission beamforming techniques is a cutting edge technology for efficiently collecting various sign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efficient structure of a satellite system consisted of an AOA estimator, an adaptive beamformer, a signal processing and D/B unit, and a transmission beamformer, for collecting signal information. For accurately estimating AOAs of various signals, efficiently suppressing interference or jamming signals, and efficiently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or data, we employ 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MUSIC), Minimum Variance Distortionless Response (MVDR), and 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algorithms, respectively. Also, we evaluate and analysis the performance of the presented satellite system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 KCI등재

        종가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방법 연구

        백두현 ( Paek Doo-hyeon ),황명환 ( Hwang Myeong-hwa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30

        현재 전세계적으로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유산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민과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본고는 우리의 대표적 문화유산인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필요한 추진 방법을 연구하여 구체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먼저 우리는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한국의 종가문화’는 종가 공동체와 이에 관련된 사회집단이 그들의 관습을 통해 형성해 온 것이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국의 종가문화’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의 정의에 부합하고 있다. 또한 무형문화유산의 특성과 공능으로 제시된 세대 간의 지속적 전승, 관련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 문화적 다양성 존중, 공동체간 상호 존중심 고양 등은 오늘날 ‘한국의 종가문화’가 구현하고 있는 특성과도 명확히 일치한다. 한편 유네스코는 무형문화유산 목록을 ‘긴급보호가 필요한 무형문화유산목록’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나누어 등재하도록 규정해 놓았다. 이 중에서 ‘한국의 종가문화’는 주로 후자의 등재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이어서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있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과 ‘김치와 김장문화’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김치와 김장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 과정을 참고하였다. 아울러 ‘종가문화보존회’(가칭)를 중심으로 종손 및 문중, 각 지방자치단체, 대학 및 연구소 등 다양한 단체들이 역량을 모아야 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구체적실행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대체로 세 단계의 준비가 필요하다. 첫째, 종가문화를 중요무형문화재 혹은 지방무형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이다. 둘째, 종가문화를 문화재청 .무형문화유산 예비목록.에 등재하는 것이다. 셋째,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하는 단계이다. 특히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한국의 종가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관련법 제정, 문화재청 및 유네스코 관련자 초빙, 중앙 정부 및 관련 사회단체들과의 협력 관계 구축, 등재신청서 작성을 위한 실무진 구성 등이 요구된다. 끝으로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필요한다음 다섯 가지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종가 관련 단체 및 종가 공동체와의 협력 방안을 구축. 둘째, 종가 구성원 및 관련 단체에 대한 설문조사의 진행. 셋째, 종가문화 관련 홍보물 제작 및 관련 행사의 개최. 넷째, 종가문화와 관련된 학술 아카이브의 구축. 다섯째, 종가문화의 가치 발굴과 이론적 정립을 위한 국내외 학술대회의 개최. 이러한 방안들이 점진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 역시 높아질 것이다. Today,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re facing fierce competition to have elements of their cultural heritage inscrib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refore, we need to intensify efforts to map out a strategy to succeed in this endeavour. This paper thus presents a promotional strategy to inscribe the typical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Jongga) on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irst of all, this paper assesses whether the tradition of Jongga meets the criteria for being consid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has been kept alive thanks to a social stratum that has preserved the customs of the Jongga community. In that sense,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does fit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given by UNESCO. Moreover, the esse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consists in handing down custom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orging the identity of the particular community, appreciating cultural diversity, and raising a sense of respect between communities, also closely coincides with the very nature of the Jongga Tradition. As UNESCO provides two typ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s,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and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e need to establish which list the Jongga tradition is most suitable to be inscribed on. It appears that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fulfils the criteria of the latter list. Secondly, this paper verifies the probabilities for the inscription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r this purpose, we have examined the cases of the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its music’ and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found out the importance of the promotional stage to the inscription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especially in the latter case. If the same applies to our own case, it will entail gathering the competence of various groups to form a ‘Preservation Society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provisional name), from local governments, universities, research centres to the clans concerned and their eldest grandsons. In addition to this, we examine in details the procedure of inscription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procedure consists of three steps. First,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must be designated either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Korea or as a Loc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econd,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must be inscrib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liminary List manag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ird, a nomination file is submitted to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More specifically, this step entails, inter alia, enacting the related laws to preserve the Jongga tradition, inviting the related staff members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UNESCO, foster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related social groups, forming a team to draw up the nomination file. Finally, this paper presents practical strategies for a successful recognition of the Korean Jongga tradition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irst of all, a collaboration scheme with the Jongga community and the social group related to them must be designed. Second, a survey of the Jongga members and related parties Head Family must be conducted. Third, promotional materials concerning the Jongga tradition must be produced and related events must be held. Fourth, an academic archive of the Jongga tradition must be built up. Fif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must be held in order to publicize the value of the Korean Jongga tradition and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s for the study of the Jongga tradi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steady and systematic application of the aforementioned methods will greatly help in the successful inscription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