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홍지명 ( Hong Ji Mye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교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자질과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교육현장에서의 효율적 적응을 위해 필요한 요인인 자아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은 날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와 자아탄력성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지역의 유아교육기관 교사 280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의사소통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Pearson r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 중 낙관적 태도,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분노조절 순으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의사소통능력을 높일 수 있는 관련변인이 됨을 밝히면서 동시에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심리적 지원과 함께 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행정적 지원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subjects consisted of 280 teachers attending early childhood institution located in G city.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are reliable predictors of communication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encourager to improve their ego-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indicate that we need to actively develop programs to increase ego-resilience and communi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가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지명(Hong Ji Myeo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가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E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0명이다. 실험처치는 실험집단은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비교집단은 생태그림책을 읽고 이야기나누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는 유아의 생명존중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는 유아의 배려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배려행동을 기르기 위한 교육적 접근으로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생태그림책이 갖는 교육적인 가치와 더불어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극놀이 활동의 효율적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mpact of dramatic play activities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respect for life and caring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of age 5 from E kindergarten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dramatic play activities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showed has a positive effect on infants respect for life. Second, the dramatic play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are behavior of young children.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dramatic play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 as an educational approach to cultivating children s respectful life and caring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the educational value of ecological picture books and their usefulness of their application to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관계 연구

        홍지명 ( Ji Myeong H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M지역의 8개 유아교육기관 만 5세 유아 200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자아탄력성, 유아교육기관 적응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r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 및 하위영역인 주도성, 자아통제력, 애착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예측변인임이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유아교육기관의 적응력을 보다 높일 수있는 관련변인임을 밝힘과 동시에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유아교육기관의 적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제도적, 교육적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200 young children attending early childhood institution located in M city.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second,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are reliable predictors of school adapt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hat young children should be encourager to improve their ego-resilience and indicate that we need to actively develop programs to increase ego-resilience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지명 ( Hong Ji Myeong ),박예현 ( Park Ye Hy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과 다문화수용성 및 공감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인권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도와 G시에 위치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 재학생 153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 공감능력, 다문화수용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과 공감능력은 다문화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하여 인권의식, 공감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다문화수용성 및 인권의식 함양과 공감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과정 운영 등 다각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empathic abilit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3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J province and G cit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empathic abilit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and empathic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rd, empathic abi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awareness and empathic ability to promot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program development and curriculum management to promot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uman rights awareness, and empathic ability.

      • KCI등재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홍지명(Hong, Ji-Myeo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지역에 위치한 A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17명(실험집단), C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16명(비교집단)으로 총 33명이다. 연구도구는 정서지능 및 창의적 인성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아동미술」교과목 수업에서 9주차에 걸쳐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집단 간 점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증진 및 창의적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창의적 인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효율적인 교수법으로서 디자인씽킹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lass utilizing a design thinking method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personalities.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33 students, consisting of 17 sophomores at A University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sophomores at C University as the comparative group. Survey questionnaires on participa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used as research tools for this stud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class using design thinking was conducted over the course of 9 weeks in the ‘Children’s Art’ Course. For data analysi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liability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classes utilizing design thinking approach had a marked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well as cultivating their creative personalities.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 to college students for strengthening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personalities and the implication of the continued use of design thinking method as an efficient teaching approach for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후보

        영아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홍지명(Ji-Myeong Hong),김세루(Se-Ru Kim) K교육연구학회 2024 사회과학리뷰 Vol.9 No.1

        본 연구는 영아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현장은 G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국공립어린이집 2개소, 만 1-2세 영아반이다. 연구참여자는 G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3학년 10명이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예비유아교사들의 저널을 토대로 자료의 통합, 영역 분석, 자료 분류, 분류된 내용 해석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영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읽기 활동이 주는 경험의 의미는 ‘교사역할에 대한 새로움과 도전의 기쁨’, ‘선물과도 같은 영아와의 상호작용 시간’, ‘성장 및 발전의 발판’, ‘자기반성을 통한 배움의 실천 의지’로 범주화되어 나타났다. 이처럼 영아반 그림책읽기 활동과 같은 유아교육현장과 연계한 활동은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영아를 이해하고 그들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활동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 속에서 영아 발달과 활동과 관련된 발달 특성을 연결하고 활동 후 분석과 개선이 일어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교수 능력 향상을 지원하고 더 나은 교사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경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장연계 활동은 교사양성과정에 효과적이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고 실무역량을 갖춘 교사로 양성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meaning that the experience of reading picture books in the infant class gave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wo public daycare centers located in Nam-gu, G Metropolitan City, and classes for 1-2 year ol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 first to third grade stud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G Universit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data integration, domain analysis, data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classified content based on the collected journal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for infants was categorized into ‘the joy of novelty and challenge in the role of teacher’, ‘gift-like interaction time with infants’, ‘growth and development’, and ‘confidence through self-reflection’. In this way, activities link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provid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the ability to understand infants and recognize their value.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executing the activity, infant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activity are connected and analyzed after the activity. This can be an experience that supports the improvement of one's teaching abilities and allows one to develop into a better teacher. In this context, field-linked activities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means that can have an effective and positive impact on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and foster teachers with practical capabilities.

      • 만 5세 취학에 대한 유아교사, 초등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조사

        홍지명(Hong, Ji-Myeong),천혜경(Chun, Hye-Kyoung)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11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취학에 대한 학부모, 유아교사 및 초등교사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만 5세 유아의 취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시와 J도의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학부모의 응답 343부를 분석하였으며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학부모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 초등교사, 학부모 모두 만 5세 취학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만 5세 교육 담당자는 유아교사이며, 만 5세 교육의 적정기관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 취학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survey the recognitions of young children teac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of school entrance ag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8 young children teachers, 1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15 parents. For data analysis, SPSS program and χ<sup>2</sup>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ly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at 5-years old was the appropriate school entrance. Second, early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at the education of 5-years-old needed early education teachers. Third, early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at the education of 5-years-old needed kindergartens and care centers. Free education is needed for 5-years-old, to strength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o implement early education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배려능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홍지명 ( Hong Ji Mye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본 연구는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배려능력 및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M시에 위치한 J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40명이다. 연구도구는 한명숙(2013)의 `배려능력 검사`도구, 김도란·김정원(2008)의 `유아용 행복감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대·소집단 활동시간에 실험집단은 협동적 신체활동을, 비교집단은 개별적인 신체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협동적 신체활동은 유아의 배려능력을 유의하게 증진시켰다. 둘째, 협동적 신체활동은 유아의 행복감을 유의하게 증진시켰다. 이에 유아의 배려능력 및 행복감을 기르기 위한 활동으로 협동적 신체활동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나아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배려 능력 및 행복감 증진에 있어 협동적 신체활동의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논하였으며 협동적 신체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실천에 있어 이론적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y on young children`s caring ability and happiness. The subjects were 40 five-year-old young children in the J pre-school located in M city.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caring ability than control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happiness than control group. Consequently,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y promoted young children`s caring ability and happiness.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y is worth utilizing as a proper and meaningful method to improve young children`s caring ability and happiness.

      • KCI등재

        영아수학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홍지명 ( Ji Myeong Hong ),박유영 ( Yu Yeong Par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영아수학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과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현장에서 바람직한 영아수학교육을 실천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도출하고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영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보육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 130명이며,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와 표준보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라 영아수학 교육의 목적, 내용, 운영 및 계획, 영아수학교육에 대한 요구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라 영아수학교육의 목적, 내용, 운영 및 계획, 영아수학교육에 대한 요구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 care teacher`s recognition and demands towards mathematical education for infants & toddl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a total of 130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in G city.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by the researcher on the basis of established theories in early mathematics education & th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one-way ANOVA and χ2 using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bject, contents, operation, plans, and demands towards mathematical education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bject, contents, operation, plans, and demands towards mathematical education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career.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mposing and operat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for infants & toddl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