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들의 직업 인식조사 및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

        홍준의(Hong Juneuy)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5 교육발전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how to change our society in the future, and to know what middle school students want to get a job, to development science program for free semester that will be implemented nationalwide in 2016. For this research 127 7~9 graders, 65 males and 62 females, were participated in. Results were as follow : 1. Many researcher said our future society will be knowledge-based society and highly developed scien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globalized society, old-aged society, environmental and resource problem, personalize society; 2. Middle school students want to get a job as this order, a elementary school teacher-doctor-middle school teacher-public officer-chef etc. ; 3. I developed science program for free semester such as science related job in the design and art, architecture.

      • KCI등재
      • KCI등재

        멘델 유전학의 변화 과정을 활용한 학습 모듈 개발 및 적용

        홍준의 ( Juneuy Hong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6 생물교육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Mendelian genetic concepts and to understand assessment strategies they used to build and revise their explanatory model during implementing the instructional modules according to creativity level. The history of theoretical changes in Mendelian genetics used in these modules were rearranged for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genetic concepts. In these modules, students had to build their own explanatory model and, then, revise their own model to accommodate anomalous genetic phenomena. The modules were conducted for 23 10th graders, in a science highschool. Six students selected from the group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fter all lessons had finish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High creative group had some relations in using the number of explanations about the components of genetic model they had generated. They used empirical and conceptual assessment strategies when they generated and revised their own model. And they adopted a forward-working approach to problem. Low creative group failed to have explanations in some components of genetic model. The number of strategies they used was less than high creative group. And they had empirical assessments when they generated and revised their own model. And they adopted a means-ends approach to problem. Finally, these instructional modules were effective for the conceptual change and able to make the conceptual relationships between meiosis and classical genetics for the students, especially in high creative group.

      • KCI등재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과학 지식 학습에 효과적인 피드백 유형 분석

        홍준의(Hong Juneuy)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7 교육발전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개념학습에서 가장 효과적인 feedback 유형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3학년 전체 63명, 2개 학급의 남학생이었다.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교사의 질문과 그에 따른 학생의 응답, 교사가 제시하는 feedback으로 나누었다. 교사의 질문 유형은 단순 질문, 기억 질문, 사고 질문으로 3가지 유형과 그에 따른 feedback 유형은 즉각적 feedback과 지연적 feedback 2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통제반의 학급에는 즉각적 feedback을 실험반의 학급에는 지연적 feedback을 적용하였다. 검사 도구는 성취도 검사를 활용하여 채점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단순 질문과 기억 질문, 사고 질문 모두에 대해서 지연적 feedback을 적용했을 때가 즉각적 feedback을 적용했을 때 보다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으며 전체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scientific knowledge for 9th graders according to teacher’s format of feedback in science classroom. Total 2 classes of 63 mal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and observed and interviewed. The formats of verbal interaction were divided three according to teacher’s question and students’ response, teacher’s feedback. The format of teacher’s question were divided into three(; confirmation question and menorization question, thought-provoking question) and the format of teacher’s feedback were divided into two(: immediate feedback, delayed feedback). In the classroom, one class(control) was implemented immediate feedback, but the other class(experimental) was implemented delayed feedback. In the resul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total achievement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The experimental class(the class which had adapted in delayed feedback) was higher than the control class(the class which had adapted in immediated feedback) in achievement. That mean delayed feedback was effective than immediate feedback in the simple question and thought-provoking question, the memorization question.

      • KCI등재후보

        미래의 과학교육 핵심 역량에 대한 인식 연구

        홍준의(Hong, Juneuy)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0 No.4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미래의 핵심 역량과 미래의 교육 공간,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는 중부권 대학교의 사범대학 예비 과학교사 45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내용은 미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미래 학교 공간에 대한 인식, 미래 과학교육 환경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1세기 기능(21st century skills)에서 제시하고 있는 미래핵심역량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동의하는 정도는 90%의 동의율로 전반적으로 높은 동의율을 나타내고 있다. 21세기 기능의 세부 영역에 대해서는 학습과 혁신 영역에서는 4.6점(92%), 정보와 미디어 및 기술 소양 기능은 4.6(92%), 생활과 직업 기능은 4.5(90%)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교 환경은 안전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하고 미래 교육 환경을 구축하고 쾌적한 교육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래 학교 교육 공간 구축을 할때 인성 교육의 공간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다음으로 창의성을 위한 공간과 인권교육 공간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타났다. 셋째, 미래의 과학교육은 융합교육이 증가할 것이다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94%의 동의율을 나타냈다. 미래에 교사의 역할은 55.6%의 예비교사가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에 비해 11명, 24.4%는 줄어들 것, 9명, 20%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가까운 미래에 학급당 학생 수는 15명 내외가 적절하고, 지식 전달보다는 탐구 활동이 우선시 되며 개별화 학습이 일반화될 것으로 보고있었다. 미래의 과학 융합교육에는 AI, AR, VR 등의 기기를 많이 사용하게 될 것이며, 스마트폰이나 패드, 노트북 컴퓨터 등을 활용한 수업이 많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기기의 효용성과 학습에 있어서의 수준별 개인별 수업 전략이 일상화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측면과 시공간을 초월하는 교육형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을 이루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21st century skills and future educational spac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this study, 45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from the colledge of education participat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consisted of 21st century skills, recognition of future school space, and recognition of future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to which pre-service teachers agree on 21st century skills presented, which is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is 90%, showing a high overall consent rate. For the detailed areas of 21st century skills, the learning and innovation area scored 4.6 points (92%), the information, media and technical literacy skills were 4.6 (92%), and the life and career skills were 4.5 (90%). Second, the school environment indicated that safety should be secured firs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and to have comfortable educational facilities. 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an educational space for future schools, a response was found that a space for character education is needed first, followed by a space for creativity and a space for human rights education. Third, for the question that future science education will increase convergence education, a 94% consent rate was shown. In the future, 55.6%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role of teachers will increase. In comparison, 11 respondents, 24.4% said they would decrease, and 9 respondents, 20% said it would remain the same. In the near futur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will be around 15, and inquiry activities will take precedence over knowledge transfer, and individualized learning will be generalized. In the future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many devices such as AI, AR, and VR will be used, and it is expected that many classes will take place using smartphones, pads, and laptop computers. Most of the opinions that the use of digital devices will increase because there may be aspects of the effectiveness of devices and the form of education that transcends space and time and the aspect that individual class strategies for each level in learning will become commonplace.

      • KCI등재

        학생중심의 학습 방법에 대한 예비 생물교사의 인식

        홍준의 ( Juneuy Hong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7 생물교육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ognition of preliminary biology teachers on student-centered classroom activity. 38 preliminary biology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7 weeks, they had participated 7 other activities on student-centered lear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ir evaluation in total average was 4.1, from 3.8 in `Draw imaginary animal` to 4.3 in `Make the rule of dice game`. They got high impression on approach and it gave them motivation and encouraged participate in classes. And it took students active in the lesson. They expected it would make high achievement in the cognitive domain. They also thought it would be useful in middle and highschool biology class.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the preliminary biology teachers. It is possible to analyze that preliminary teachers` thinking is already fixed. Or, it is because except the student-centered classes taught in this study, the most university education, such as major courses in biology education and other liberal arts courses, places a greater emphasis on the teaching of professional knowledge, i.e. cognitive approaches.

      • KCI등재

        기후변화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

        홍준의(Hong, Juneuy)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8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lass program of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ecosystem, to examine changes in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to understand how students expect the future global environment to change. For this study, 27 6th graders were participated in. And we developed and applied Climate Change Instruc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both environmental attitudes and environmental values (p>0.01)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a lesson program on climate change impacts on ecosystems. Second, the changes of the future environment suggested by students showed many of the global warming (40.8%) and the coming of the Ice Age (33.3%),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were used everyday life, internet addiction, fine dust (25.9%), Global warming could be classified as presenting desertifica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melting of polar glaciers and flooding of water. Other respondents also pointed to the surge in Internet use and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rd, the animals due to future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predicted animals will change according to Allen s Rule and Bergman s Rule. In addition, we have presented the birth of New mankind, the flying penguin, and polar bears floating in the water because of the increase in water due to global warming. It can be seen that the categories of students imagination do not represent a diverse spectrum. In addition, the animals presented as future animals are represented as mammals or birds, including humans.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on the planet, insects with populations, etc. have not been addressed, which is interpreted to be due to the lack of relevant biological knowledge.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학생들의 환경의식의 변화를 알아보고, 학생들이 미래 지구환경이 어떻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에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7명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에너지 기후변화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수업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환경에 대한 태도와 환경에 대한 가치판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p>0.01). 둘째, 학생들이 제시한 미래 환경의 변화는 지구온난화(40.8%)와 빙하기의 도래(33.3%)가 많이 제시되었으며(74.1%), 인공지능 로봇 상용화, 인터넷 중독, 미세먼지, 동물의 변화 등을 제시한 학생들(25.9%)이 있었다. 지구 온난화에 대해서는 지구환경의 사막화,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 물의 범람 등을 제시하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기타의 응답으로 인터넷 사용 급증, 인공지능 이용의 일상화 등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셋째, 미래 지구환경 변화로 인한 동물은 알렌의 법칙과 베르그만의 법칙에 따라 동물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즉, 지구 온난화로 인해서는 몸이 작아지고 말단이 커지고, 추워진 환경에서는 몸집이 커지고 말단이 작아지는 상황을 설명하였다. 또한, 지구 온난화로 인해 물이 많아져 물속에서 살 수 있는 인류의 탄생, 날아다니는 펭귄, 물에 떠다니는 북극곰 등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학생들의 상상력의 범주가 다양한 스펙트럼을 나타내지는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미래의 동물로 제시되는 동물군이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 혹은 조류로 표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구에서 가장 많은 종의 수, 개체수를 지니고 있는 곤충 등에 대해서는 제시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관련된 생물학적 지식이 많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후보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 연구

        홍준의 ( Jun Euy H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科學敎育硏究誌 Vol.3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동티모르에서의 과학교사 실험 연수에 대해 대한민국과 동티모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참여관찰과 설문 조사, 면담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 과학 교사들이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를 실시하는 이유는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의 자발적인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며, 과학교사로써 국제적인 재능 기부 형태의 봉사활동 수행하는데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은 연수를 진행하면서 언어 및 실험 재료 등의 현지화가 절실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실험연수가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동티모르의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육 현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 현지 과학교사들의 필요가 무엇인지 파악, 연수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연수에 참가한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은 10년 이내, 20-30대의 교사들이 많았고, 초등보다는 중등교사들의 참여가 많았다. 동티모르의 과학교사들이 연수를 통해 기대하는 것은 과학에 대한 전문성의 심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연수 참가시 어려운 점은 언어, 비용, 거리 등의 요인이었다.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동티모르 교사들의 평가는 모든 프로그램이 재미있고, 유용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강력히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의 최종 목표는 동티모르 교사들의 자생적인 연수 능력 획득에 있었는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실마리를 얻었다는 것이 중요한 의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cognitions of Korean science teachers and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about the teacher training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science teacher held by Korean science teachers. Most of the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at the teacher training mostly had their 10-year teaching career and were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purpose of the teacher training is to provide the science educational support for them and to encourage their own development; to effectively donate their skills and talents as a science teacher in their countr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ny Korean teachers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localize the experimental materials and utilize an appropriate language for the science education of Timor-Leste. Furthermore, until the stable science teacher training system of Timor-Leste is set up, it is necessary to be the precise understandings of the curriculum, the correct data regarding the state of education in Timor-Leste, and the knowledge need to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Meanwhile most of the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mostly had some difficulties in using language due to double translation, paying the participant fee, and travelling long distance from their country in participating the teacher training. What they expected at the teacher training wa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 ability as a science teacher, and to be able to manage the teacher training for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by their own selves.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생태계 복원 계획 세우기’ 활동에 나타난 생태계 훼손과 복원에 대한 인식

        홍준의 ( Juneuy H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 온난화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와 생태계 복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다. 수도권의 6학년 학생 31명이 연구에 참여했다. 학생들에게 생태계를 복원해야하는 이유를 조사하여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도록 했다. 이 수업은 직소(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하였고, 생태계 복원에 대한 대안을 정부, 환경 단체 및 지역 주민들의 입장에서 모색하도록 하였다. 환경 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은 기름 유출, 미세 먼지 및 황사, 폐기물 처리장, 살충제, 비료 및 매립 사업과 같은 5가지 항목으로 나누었다. 그런 다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조사하고 논의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생태계 파괴의 가장 빈번한 원인은 매립 프로젝트 20.6 %, 해양 생태계 파괴는 오일 유출로 인해 18.7 %, 폐기물 문제는 18.1 %, 살충제 및 비료 사용은 17.4 %, 양호 먼지와 황사는 14.8 %, 나머지는 10.3 %였다. 생태계 복원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정리하면 첫째, 지구 온난화 억제, 둘째, 생태계의 생명의 소중함의 이해, 셋째, 생태계가 파괴되면 회복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직소 수업모형의 전문가 그룹 활동을 통해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 관점에서 환경 및 생태계 관련 법 제정 및 위반 시 조항 강화, 환경 영향 평가 강화, 재해 편지 발송, 국립 공원 지정이었고, 둘째, 환경 단체 관점에서 캠페인 활성화 방향, 생태계 복원 방향, 정부 감시 강화, 생태계 파괴 상황 조사, 희생자 지원, 나무 심기 등이 제안되었다. 셋째, 지역 주민의 입장에서 폐기물을 재활용 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배출, 식목, 일회용품의 사용량 감소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ecosystem destruction and restoration caused by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irty one 6th-graders in a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presented their thoughts on why they should restore the ecosystem. The lessons consisted of exploring solutions to ecosystem restoration in terms of government, environmental groups and local residents applying the jigsaw model, a form of cooperative learning. The caus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were divided into five items such as oil spill, fine dust and yellow dust, waste disposal plant, pesticide, fertilizer and reclamation business. They then investigated and discussed ways to solve the probl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 cause of ecosystem destruction suggested by students was reclamation project as 20.6 %. In marine ecosystem destruction, oil spill was 18.7 %, waste problem was 18.1 %, pesticide and fertilizer use was 17.4 %, fine dust and yellow dust was 14.8 %, and others was 10.3 %. The students’ idea of restoring ecosystems was that the first thing to do is to curb global warming, second, the preciousness of life in the ecosystem, and third, it took a long time to recover if the ecosystem was destroyed; The following points were that students discussed through the expert group activity: First, from the viewpoint of the government, students suggested legislating the law relating to environment and ecosystem and strengthening of provisions in case of violation, strengthening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ending letter of disasters, designating national parks;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groups, they proposed the direction of campaign activation, ecosystem restoration direction, strengthening of government surveillance, investigation of ecosystem destruction situation, supporting for victims, planting trees; Third, in terms of local residents, they recommended means such as separate discharge, tree planting, and less use of disposable items so that the waste can be recyc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