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he Combined Effect of Adriamycin and Irradiation on the Small Intestinal Villi of Mice

        홍성언,안치열,Hong, Seong-Eon,Ahn, Chi-Yul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1

        방사선 조사와 adriamycin 병용투여가 마우스 소장 소낭선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adriamycin의 방사선 증강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C_3H$계 마우스 120마리를 cobalt-60원 격치료기로 전복부에 조사하였다. 방사선 단독조사군은 1,000rad에서 1,600rad까지, adriamycin병용투여군은 900rad에서 1,400rad까지 각각 100rad씩 증강시켜 조사하였고 adriamycin 10mg/kg을 조사 2시간전과 4시간후에 각각 복강내에 주사하였다. 실험군은 84시간 후에 공장을 절제하고 소낭선 측정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곡선을 작성하므로써 adriamycin 병용투여시의 조사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소장융모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다. 1) 조사군의 환상면당 소낭선수는 평균 $130{\pm}16$개이었다. 2) 방사선 단독조사 군에서 소낭선세포의 평균 치사선량은 160rad이었으며, 방사선조사 2시간과 4시간후 adriamycin 병용투여군은 모두 170rad이었다. 3) 방사선조사 2시간전과 4시간 후에 adriamycin 투여군의 dose effect factor(DEF)는 1.19와 1.26이었다. 4) 주사전자현미경소견에서 조사선량 증가에 따라 소장융모의 손상이 각각 다른 형태로 뚜렷이 변하였으며, conical collapse형태로 면한 것은 단독조사군의 1,200rad와 adriamycin병용투여군의 1,000rad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마우스 소장에서 방사선과 adriamycin 병용투여시 $19{\sim}26%$의 유의한 조사효과 상승이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복부나 골반부에 방사선조사와 항암제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장기인 소장에 대한 손상을 고려하여 임상에서 암의 방사선치료에 깊은 배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radiation on the mouse jejunal crypt cells by combined administration of administration and radiation and also to evaluate the enhancing effect of adriamycin, the authors performed this study by delivering single irradiation of 1,000 to 1,600 rad to the whole abdomen of mice by cobalt-60 teletherapy unit. In combination with adriyamycin treatment groups, the drug was administered as single dose of 10 mg/kg either 2 hours before or 4 hours after graded single dose,900 to 1,400 rad, of irradiation. The authors studied the quantitative changes of intestinal crypt cells by microcolony survival assay technique an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small intestinal villi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mice following to combined therapy with adriamycin and irradiation, The average number of jejunal crypts per circumference was $130{\pm}16$ in control group. The mean lethal dose(Do) of each irradiation alone and combined therapy groups 2 hours before and 4 hours after irradiation, were 160, 170, and 170 rad in cell survival curves, respectively. The dose effect factor(DEF) of adriamycin in each groups of pre-irradiation and post-irradiation were 1.19 and 1.26, respectively. The conical shaped villi were noted on 1,200 rad in irradiation alone group and 1,000 rad in combined groups. For the proper clinical application we must be careful of the radiation injury to small bowel when the anticancer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to the abdomen and pelvic area are used as combined therapeutic modality.

      • SCOPUSKCI등재

        방사선치료 중 오심 및 구토에 대한 그라니세트론의 효과

        홍성언,강진오,Hong, Seong-Eon,Kang, Jin-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적: 방사선 치료시 유발되는 오심과 구토에 대하여 5-hydroxytriptamine 길항제인 그라니세트론을 투여하여 그 효과에 대한 임상적 효능과 방법, 사용기간, 부작용 등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병리학적으로 암으로 확진된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10명(직장암 4명, 자궁경부암 2명, 자궁내막암 1명, 정상피종 1명, 폐암 1명, 백혈병 1명)을 대상으로 그라니세트론 치료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라니세트론은 경구 투여로 2mg을 하루 1회 사용하였으며, 방사선치료 후 오심이나 구토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사용하여 2주간 계속적으로 투여하였다 환자의 오심의 정도, 구토 회수, 부작용 등의 증세는 방사선치료 시작일로부터 하루 한번씩 기록하여 24시간 후와 제7일 째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오심은 무증상, 경증, 증등도, 중증 등 4단계로 분류하였으며 무증상과 경증을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구토 억제에 대한 효과는 완전효과, 주효효과, 경미효과, 치료실패 등으로 구분하였고 완전효과와 주효효과를 구토가 조절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오심에 대한 효과는 그라니세트론 투여후 제7일에 전체 10명중 9명(90$\%$)에서 증삶이 호전되었다(무증상=6명, 경증=3명). 구토증세에 대한 조절효과는 제7일에 완전효과가 70$\%$ 주효효과가 30$\%$,로 전체적인 치료효과는 100$\%$에서 구토가 조절되었으며 경미효과나 치료실패로 판정된 환자는 없었다. 부작용으로는 경도의 두통을 호소한 환자가 1명 있었고 또 다른 1명에서 경도의 어지러움증을 호소하였으나 특별한 치료없이 곧 소실되었고, 변비나 추체외로 증상은 한 예도 없었다. 결론 : 대부분의 환자(100$\%$)에서 일주일간의 그라니세트론 투여로 오심(90$\%$) 및 구토(100$\%$)의 증상을 억제할 수 있었으나 항암제와 방사선요법을 병행하는 환자나 넓은 부위를 치료하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가 끝날 때까지 계속적으로 그라니세트론을 투여할 필요가 있었다. 항암제 투여시 동반되는 오심과 구토는 주요 관심의 대상으로 이에 대한 치료 방법과 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 방사선치료 시에 나타나는 이러한 증상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효율적인 방사선치료를 위해서는 앞으로 항구토제의 투여 방법 및 기간 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Purpose : Granisetron is a potent, the most selective 5-HT3 receptor antagonist and is reported to b effective in treatment of radiation-induced emesis. The antiemetic efficacy and safety of oral granisteron was evaluated in patients with receiving highly emetogenic treatment by conventional fractionated ir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ith various cancers who were being treated with irradiation were accrued into the present study. The intensity of nausea was evaluated on first 24 hours and on day-7 by patien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ference with normal daily life as followings; a) none; b) present but no interference with normal daily life (mild): c) interference with normal daily life (moderate): and d) bedridden because of nausea (severe). Non or mild state was considered to indicate successful treatment. The efficacy of antiemetic treatment was graded as follows; a) complete response; no vomiting, no worse than mild nausea and receive no rescue antiemetic therapy over the 24h period, b) major response; either one episode of vomiting or moderate/severe nausea or had received rescue medication over 24h period, or any combination of these, c) minor response; two to four episodes of vomiting over the 24h period, regardless of nausea and rescue medication, d) failure; more than four medication. The score of the most symptom was recorded and the total score over 24 hours was summarized. The complete or major response was considered to indicate successful treatment. Results : A total of 10 patients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and all were assessable for efficacy analysis. Total nausea control was achieved in 90$\%$ (9/10:none=60$\%$ plus mild=30$\%$) of total patients after 7 days. The control of vomiting by granisteron was noted in seven patients (70$\%$) of complete response and three (30$\%$) of major response with a hundred-percent successful treatment over 7 days. The minor response or treatment failure were not observed. No significant adverse events or toxicities from granisetron were recorded in patient receiving granisetron.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granisetron is a highly effective antiemetic agent in controlling radiotherapy-induced nausea or vomiting with a minimal toxicity profile.

      • SCOPUSKCI등재

        저분화 성상세포종-수술후 방사선치료가 필수적인가 ?

        홍성언,최두호,김태성,임언,Hong Seong Eon,Choi Doo Ho,Kim Tee Sung,Leem Wo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2

        저분화 성상세포종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역할이나 적정 방사선량, 치료시기등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후향적 분석결과로 얻은 정보는 방사선량이나 외과적 또는 방사선 치료에 의한 시술시기 등의 관점에서 전향적인 연구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된다. 저자들은 1979년부터 1989년까지 경희대학병원에서 수술로 확진된 저분화 성상세포종 환자중 천막하부를 제외한 총 56(남 : 여 =29:27)명에 대한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절제범위는 38명 ($68\%$)에서 근치수술하였고, 18예 ($32\%$)는 부분절제 또는 조직생검만 시행하였다. 총 56예중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36명 ($64\%$)이었고, 방사선량은 최저 5000 cGy를 국소조사하였다. 총 56예의 5년 및 10년 생존율은 각각 $44\%$와 $32\%$였으며, 중간 생존기간은 4.1년이었다. 조직소견에 따른 5년 및 10년 생존율은 grade I(23명)이 각각 $52\%$와 $35\%$이고, grade II(23명)는 $20\%$와 $10\%$였다. Oligodendroglioma 환자는 성상세포종보다 생존율이 높았으며(5년 생존율=$65\%$ vs $36\%$)장기간 생존율은 각각 $54\%$와 $23\%$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다량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54 Gy)환자는 소량의 방사선 (<54 Gy)이나 수술만 받은 환자보다 5-년 및 10-년 생존율이 높았다(P<0.05). 수술범위에 따른 5년 생존율은 $46\%$와 $41\%$로 비슷하였으나, 10년 생존율은 근치수술한 경우가 $41\%$, 부분절제 또는 조직생검한 경우는 $12\%$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0.01). 과거 여러 저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환자나이, 수술범위, 방사선치료유무, 악성도, 증상 발현기간, 수행능력 상태등이 성상세포종의 중요 예후인자라고보고하였으나, 본 저자들의 예에서는 grade I조직소견 (p<0.025)과 환자나이 (p<0.001)가 가장 중요한 예후일자였으며 향후 무작위화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cise role of radiotherapy for low grade gliomas including the optimal radiation dose and timing of treatment remains unclear. The information given by a retrosepctive analysis may be useful in the design of prospective randomized studies looking at radiation dose and time of surgical and radiotherapeutic treatment. The records of 56 patients (M:F = 29:27) with histologically verified cerebral low grade gliomas (47 cases of grade 1 or 2 astrocytomas and 9 oligodendrogliomas) diagnosed between 1979 and 198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extent of surgical tumor removal was gross total or radical subtotal in 38 patients ($68\%$) and partial or biopsy only in the remaining 18 patients ($32\%$). Postooperative radiation therapy was given to 36 patients ($64\%$) of the total 56 patients with minimum dose of 5000 cGy (range=1250 to 7220 cGy). The 5-and 10-year survival rates for the total 56 patients were $44\%$ and $32\%$ respectively with a median survival of 4.1 years. According to the histologic grade the 5- and 10-year survivals were $52\%$ and $35\%$ for the 24 patients respectively with grade I astrocytomas compared to $20\%$ and $10\%$ for the 23 patients with grade II astrocytomas. Survival of oligodendroglioma patients was greater than those with astrocytoma ($65\%$ vs $36\%$ at 5 years), and the difference was also remarkable in the long term period of follow up ($54\%$ vs $23\%$ at 10 years). Those who received high-dose radiation therapy ($\geq$5400 cGy) had significant better survival than those who received low-dose radiation (< 5400cGy) or surgery alone (p<0.05). The 5- and 10-year survival rates were, respectively $59\%$ and $46\%$ for the 23 patients receiving high-dose radiation, $36\%$ and $24\%$ for the 13 patients receiving low-dose radiation, and $35\%$ and $26\%$ for the 20 patients with surgery alone. Survival rates by the extent of surgical resection were similar at 5 years ($46\%$ vs $41\%$), but long term survival was quite different (p<0.01) between total/subtotal resection and partial resection/biopsy ($41\%$ and $12\%$, resepctively).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have identified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these tumor: age, extent of surgery, grade, performance status, and duration of symptoms. But in our cases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grade I histology (p<0.025) and young age (p<0.001) were the most significant good prognostic variables.

      • 진행된 성문상부암에서 PCR-SSCP에 의한 p53의 변이 양상과 임상적 의의

        홍성언(Seong Eon Hong),강진오(Jin Oh Kang),백형환(Hyung Hwan Baik),윤경식(Kyung Sik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진행된 성문 상부암 환자에서 p53 유전자 변이 양상을 파악하고 이의 임상적 예후 인자로서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희대학병원에서 병기 3 또는 4의 진행된 후두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목적의 전 또는 부분 후두절제술을 시행 받고 4600 cGy 이상의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60례 중 적절한 조직을 확보 할 수 있었던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 일부는 면역 염색을 시행하였고 일부는 p53 유전인자의 exon 5번 부터 8번까지 PCR-SSCP 시행후 PCR-SSCP 상 이상 소견이 있는 환자들의 DNA를 염기 서열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임상적 소견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PCR-SSCP 검사 결과 exon 5∼8번에서 전체 26례 중 8례(31%)에서 변이를 나타내었다. 8례 모두 점돌연변이었으며 transition이 전체 8례 중 6례이었다. Exon 5번의 변이가 3례, exon 6번의 변이가 4례, exon 7번의 변이가 1예이었다. 전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67.4개월 이었고 p53 변이가 없는 군이 70.2개월, p53 변이가 있는 군이 61.3개월로 p53 변이가 있는 군의 생존 기간이 감소되어 나타났으나 두 군간의 생존 기간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96). 환자를 병기 III과 IV로 나누어 SSCP상 변이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병기 III은 양성이 25%이었고 병기 IV는 36%로 나타나 병기 IV 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563). 임파절 음성인 환자 중 SSCP 양성은 25%이었고 임파절 양성인 환자 중 SSCP 양성은 42%이었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437). 결 론 : PCR-SSCP 를 이용한 p53 유전인자 변이의 검색은 생존 기간, 병기, 임파절 전이 등과 관련이 없으며 예후인자로서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Purpose : To determine the prognostic s ignificance of p53 mutations in advanced supraglottic cancer patients . Material and Methods : Twenty- s ix patients with pertinent tissue materials among 60 patients diagnosed as advanced supraglottic cancer in Kyung Hee univers ity hospita l a nd received total or partial laryngectom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were enroll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 ing DO7 monoclonal antibody was performed. Tumor specimens were analyzed for p53 mutations in exons 5 through 8 by us ing PCR- SSCP analys is followed by DNA sequencing of all variants . Results : p53 mutations were present in 8 cases among 26 patiets . Mutations within exon 5 were 3 cases , exon 6 were 4 cases , and exon 7 was 1 case. Mean survival time was 70.2 months in patients without mutations , 61.3 months with mutation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 ignificant differences (p=0.596). Mutations were 25% in stage III and 36% in stage IV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 ignificant differences (p=0.563). Mutations were 25% in lymph node negative group and 42% in lymph node pos itive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 ignificant differences (p=0.437). Conclusion : The presence of a p53 mutation detected by PCR- SSCP is not associated with survival, stage and lymph node status.

      • SCOPUSKCI등재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from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홍성언(Seong Eon H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비소세포성 폐암의 뇌전이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후 예후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희대학 부속병운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받은 53예의 방사선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전체 53예중 남자가 37명 여자가 16예이고, 연령분포는 39세부터 85세까지로 평균 59세 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선암이 27예(50.9%)로 가장 많았으며 편평세포암(21예), 대세포암(5예) 순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스테로이드투여와 함께 전뇌조사를 시행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간생존 기간은 5개월이었고, 나이, 성별, 조직형태, 초기 수행상태는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는 방사선치료후 반응여부와 뇌이외 부위의 다발성 전이 유무 였다. 따라서 뇌전이 단독소견을 가진 비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적정한 방사선 치료선량으로 적극적인 치료로써 생존기간을 연장시키고 quality of life를 향상시킬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retrospective study of 53 patients suffering from non-small cell carcinoma of lung with brain metastases is presented. They were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of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from 1983 to 1990. There were 37 male and 16 female patients. The age range was 39 to 85 years (median =59). The most common histologic cell type of tumor was adenocarcinoma (50.9%), followed by squamous cell carcinoma and large cell carcinoma.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whole-brain photon irradiation (WBI) using lateral opposing fields. The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was 5 months. Age, sex, histologic type, and initial performance status were not prognostically important.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were the response to radiotherapy and the presence of brain metastases alone. Increasing the dose os radiotherapy to the main bulk of tumor may improve the symptom-free survival or overall survival in patients who present with brain metastases as the sole site of extrathoracic disease.

      • SCOPUSKCI등재

        Lethal Effects of Radiation and Platinum Analogues on Multicellular Spheroids of HeLa Cells

        홍성언(Seong Eon H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7 No.2

        HeLa 세포의 Spheroid를 배양시켜 cis-platinum과 carboplatin으로 처리한 후 그 반응을 세포의 생존분획으로 분석하였다. 체외실험 model인 spheroid를 사용하여 platinum 유사체의 약효와 방사선 감수성을 평가하고 약제에 대한 단층 세포와 spheroid의 감수성 차이를 세포-생존곡선에서 규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Cis-platinum 농도-곡선에서 spheroid의 Cq=3.4μM이고 Co=1.2μM이었다. 이것은 단충세포에 비하여 Co는 큰 변화가 없으나 Cq가 증가되어 cis-platinum이 저산소층 세포보다 활동적으로 분화하는 표면세포에 주로 작용하였으며, 반대로 carboplatin의 효과는 spheroid에 대한 (Co=15.0μM) 감수성이 단층세포 (Co=32.5μM)에 비하여 크게 증가되어, spheroid의 심층세포에 주로 작용하였다. 방사선과 carboplation의 병용효과를 세표 생존분획이 0.01 수준에서 isobologram으로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으로 supra-additive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carboplatin은 cis-platinum에 비하여 신장과 위장에 대한 독성작용이 적고, 방사선과 병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종양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Multicellular tumor spheroids of HeLa cells have been grown in a stare culture system. Samples of spheroids were exposed for 2 h to graded concentration of cis-platinum and its analogue, carboplatin. and then response assayed by survival of clonogenic cells. The purpose of present experiment is to clar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platinum compounds and to evaluate intrinsic radiosensitivity of cells using spheroids of HeLa cells as an experimental in vitro model. Variations of the drug sensitivity of monolayers as well as spheroids were also evaluated in cell-survival curves. In cis-platinum concentration-survival curve, there was a large shoulder extending as far as Cq=3.4 μM, after which there was exponential decrease in survival curve having a Co Value of 1.2 μM in spheroids. While the Co for the spheroids was essentially no significant change, but Cq value was larger than that of monolayers. This suggest that the effect of cis-platinum is greater in the monolayer with actively proliferaing cells than hypoxic one. In the corboplatin concentration-survival curves, the Co value of spheroids was 15.0 μM and the ratio with the Co from monolayer cell (32.5 μM) was 0.46, thus indicating that the spheroids had a greater sensitivity to carboplatin than monolayers. Therefore, 'the effect of carboplatin is mainly on the deeper layers of spheroids acting as hypoxic cell sensitizer. The enhanced effect was obtained for monolayer cells using combined X-ray and carboplatin treatment 2 hours before irradiation. The result shown in isobologram analysis for the level of surviving fraction at 0.01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wo agents was truely supra-additive. From this experimental data, carboplatin has excited much recent interest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since it is almost without nephrotoxicity and causes less gastrointestinal toxicity than cis-platinurn. Interaction between carboplatin and radiation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for more effective local tumor control.

      • SCOPUSKCI등재

        The combined Effect of Adriamycin and Irradiation on the Small Intestinal Villi of Mice

        Seong Eon Hong(홍성언),Chi Yul Ahn(안치열)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1

        방사선 조사와 adriamycin 병용투여가 마우스 소장 소낭선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adriamycin의 방사선 증강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C3H계 마우스 120마리를 cobalt-60원 격치료기로 전복부에 조사하였다. 방사선 단독조사군은 1,000rad에서 1,600rad까지, adriamycin병용투여군은 900rad에서 1,400rad까지 각각 100rad씩 증강시켜 조사하였고 adriamycin 10mg/kg을 조사 2시간전과 4시간후에 각각 복강내에 주사하였다. 실험군은 84시간 후에 공장을 절제하고 소낭선 측정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곡선을 작성하므로써 adriamycin 병용투여시의 조사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소장융모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다. 1) 조사군의 환상면당 소낭선수는 평균 130+-16개이었다. 2) 방사선 단독조사 군에서 소낭선세포의 평균 치사선량은 160rad이었으며, 방사선조사 2시간과 4시간후 adriamycin 병용투여군은 모두 170rad이었다. 3) 방사선조사 2시간전과 4시간 후에 adriamycin 투여군의 dose effect factor(DEF)는 1.19와 1.26이었다. 4) 주사전자현미경소견에서 조사선량 증가에 따라 소장융모의 손상이 각각 다른 형태로 뚜렷이 변하였으며, conical collapse형태로 면한 것은 단독조사군의 1,200rad와 adriamycin병용투여군의 1,000rad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마우스 소장에서 방사선과 adriamycin 병용투여시 19~26%의 유의한 조사효과 상승이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복부나 골반부에 방사선조사와 항암제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장기인 소장에 대한 손상을 고려하여 임상에서 암의 방사선치료에 깊은 배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radiation on the mouse jejunal crypt cells by combined administration of administration and radiation and also to evaluate the enhancing effect of adriamycin, the authors performed this study by delivering single irradiation of 1,000 to 1,600 rad to the whole abdomen of mice by cobalt-60 teletherapy unit. In combination with adriyamycin treatment groups, the drug was administered as single dose of 10 mg/kg either 2 hours before or 4 hours after graded single dose,900 to 1,400 rad, of irradiation. The authors studied the quantitative changes of intestinal crypt cells by microcolony survival assay technique an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small intestinal villi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mice following to combined therapy with adriamycin and irradiation, The average number of jejunal crypts per circumference was 130pm16 in control group. The mean lethal dose(Do) of each irradiation alone and combined therapy groups 2 hours before and 4 hours after irradiation, were 160, 170, and 170 rad in cell survival curves, respectively. The dose effect factor(DEF) of adriamycin in each groups of pre-irradiation and post-irradiation were 1.19 and 1.26, respectively. The conical shaped villi were noted on 1,200 rad in irradiation alone group and 1,000 rad in combined groups. For the proper clinical application we must be careful of the radiation injury to small bowel when the anticancer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to the abdomen and pelvic area are used as combined therapeutic mod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