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거단지계획에 있어서 환경가이드라인의 수립방향에 관한 연구

        허효성(Huh, Hyo-Sung),이성창(Lee, Seong-Chang),김도년(Kim, Do-Ny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3

        세계 주요도시들은 온실가스감축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 친화적이며 지속가능한 도시, 첨단 정보도시로 미래 도시의 지향점을 설정하고 있다. 주거단지계획에서도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발전은 장소에 환경과 기술의 접목을 통한 에너지저소비 구조의 새로운 변화를 가능케 하였으며, 이러한 노력들이 새로운 도시주거의 모습을 선보이고 있다. 해외 선진도시는 이를 환경가이드라인을 통해 에너지저소비의 친환경 주거단지로 전략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우리나라도 저탄소 에너지절약형 주거단지로 변하고자 관련제도의 수립과 녹색 IT기술을 도시인프라에 접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가이드라인을 통해 전략적으로 계획된 해외 주요 사례인 미국 뉴욕의 배터리파크시티, 영국 런던의 밀레니엄빌리지, 스웨덴 말뫼의 Bo01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의 에너지절약형 주거단지를 계획함에 필요한 환경가이드라인의 수립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첫째, 환경가이드라인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구체적 기준제시와 정보시스템에 의한 커뮤니티구성과 교육을 통해 환경적 이슈의 공유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에너지를 비롯한 토지이용, 교통, 지역경제 등 종합적 관점에서 수립되어야 하며, 목표지향적 기준과 환경기술에 대한 비용이 고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일시적인 계획지침이 아닌 신기술의 등장과 커뮤니티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하며, 체크리스트와 책임기관의 명시를 통해 계획지침의 이행여부를 강화하여야 한다.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are heading to the directions of sustainable, environment-friendly, high-technology city, which would lessen greenhouse gases and respond to climate changes. It is possible to shift to the urban structures of low-energy consumption modes with a combination of combining new technologies and environment. This shift will provide a new dimension in urban housing. Through strategic uses of the environmental guidelines, cities are promoting the eco-friendly urban housing complexes. Currently, the country is grafting green technologies onto urban infrastructure and enacting legislation for low-carbon urban housing for energy saving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of environmental guidelines for energy-saving housing complexes. To do that, this study analyzes similar guidelines of the overseas’ models, which include Battery Park City in New York, Millennium Village in London, and Bo01 in Malmo, Sweden. To summarize, environmental guidelines should set up specific standards about renewable energy, and educate the community about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an information system. Secondly, these guidelines should be drawn up with a holistic view that recognizes land use, traffic planning, and the regional economy, while considering standards and cost implications related to eco-technology. Finally, these should not be temporary standards but the framework which can consistently be revised and accept new technologies and community opinions. To ensure the guidelines, a checklist and statement of responsibility are included in.

      • KCI등재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김도년(Kim, Do-Nyun),권원순(Kwon, Won-Soon),양성민(Yang, Sung-Min),허효성(Huh, Hyo-S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7 No.3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는 도시화는 인구의 집중화와 한정된 자원의 과도한 소비를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지속가능한 도시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추세이다. 스마트시티는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시설계 측면에서도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해 추진하고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실질적인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시티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만의 계획기법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기법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러시아 이르쿠츠크 주정부가 추진하는 바이칼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내용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수립 과정은 기존 마스터플랜의 수립과정보다 세분화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 시 각 계획 항목에 대해 유연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스마트시티 구현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기후, 인프라 및 공간계획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혹한기 기후대인 시베리아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바이칼스마트시티의 목표를 구현할 수 있는 특화된 마스터플랜 계획기법을 재정립하고 향후 진행되는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Globally accelerated urbanization has led to excessive consumption of limited resources and high population concentration.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ustainable urban system as a solution. Smart Cities, suggested as one of the promising solutions, has been under study in various fields. Moreover,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both studies and projects in the planning practice of urban design. While theoretical studies on Smart Cities have been actively investigated, however, research on planning methodology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ning methodology for Smart City Master Plan. The case study of the Baikal Smart City Master Plan for Irkutsk Oblast in Russia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to prepare the Smart City Master Plan should be subdivided. Second, a flexible approach to each planning item is required in the planning process. Third, holistic approaches to climate, infrastructure, and spatial plan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Smart Citie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redefining the master plan and planning methodology for “Baikal Smart City”,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Siberian climate, thereby contributing to future plans for Smart C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