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거주자의 생활문화로 본 경기 전통민가 연구 - 안성시 덕봉리 민가를 중심으로 -

        허은정(Hur Eun-Jung),이희봉(Lee Hee-Bong)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2

        This study aims at selecting the folk houses conserved at Deokbong-ri located in the city of Anseong, Gyeonggi-do, Korea, restoring as it is and leaving the traditional main life led continuously by those living in the village in the past, discover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shown commonly in the folk houses of the village, and clarifying the factors of forming them through the life cultures of the inhabitants. The method of research is to use mainly ethnographic interview rooted in cultural anthropology, to return to the past point of time when they led a traditional life, and to observe and interpret the resid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inhabitants.

      • KCI등재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요구하기, 자발적 발화 및 눈맞춤에 미치는 효과

        허은정 ( Eun Jung Hur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를 이용한 중재가 자폐아동의 요구하기, 자발적 발화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하나인 눈맞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자발적 발화가 없는 두 명의 유치원 남아를 대상으로 중다기초선 설계를 실시하였다. PECS의 여섯 단계 중 4단계까지 훈련하였고, 매 회기 PECS훈련이 끝나면 15분의 자유놀이를 통해 중재효과를 측정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사건기록법과 부분간격시간표집법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명의 아동 모두 요구하기 행동은 크게 증가하였고 자발적인 발화도 두 아동의 차이는 있었으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행동의 하나인 눈맞춤 또한 기초선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 프로그램은 자발적 발화가 없는 자폐아동에게 효과적인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PECS) on requesting skills of two preschoolers with autism.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CS training on the emergence of spontaneous speech in play settings. Ancillary measures of social-communicative behavior were recorded. The single-subject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used fo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aught Phases 1-4 of PECS (i.e., picture exchange, increased distance, picture discrimination, and sentence constru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two participants improved requesting skills through PECS training and generalized the skills across other people and items. Results also showed concomitant increases in verbal speech. Collateral gain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social-interactive behavio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empirical data on the effectiveness of PEC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 KCI등재

        교육학과 교육목표의 다양성에 따른 교육과정 특성 탐색

        허은정(Hur, E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이 연구는 교육학과의 예비교사 양성이라는 고유의 목적이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다양한 교육전문가 양성으로 확대되는 흐름 속에 있다는 문제의식 아래,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과정 운영 상 취하고 있는 실질적 노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전국 4년제 대학에 소속된 37개 교육학과의 양성 목표, 양성 목표에 따른 전공 교육과정, 양성 목표에 관련된 비교과 교육과정의 내용(구체적으로 대학별 교육학과 홈페이지에 제시된 학과 소개, 교육목표, 진출분야, 전공교육과정 소개 및 이수표, 비교과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소개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수립된 분과성, 계열성, 통합성의 3개 기준에 따라 이를 분석하고 목표에 따른 교육과정 유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37개 교육학과 중 36개 교육학과에서 양성 목표를 교원 뿐 아니라 교육행정공무원, 평생교육 전문가, 상담 전문가 등 다양한 교육 관련 직업에 종사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교육과정 운영에 반영한 비율은 약 32.4%(37개 학과 중 12개 학과)로 비교적 낮은 편이며, 단순히 진로 트랙을 구분하여 명시하는 것부터(진로구분형) 학년별, 단계별 과목 이수와 같은 체계도를 함께 제시(전공트랙형), 더 나아가 관련된 비교과 교육과정을 연계하는 경우까지(균형제시형) 다양한 유형이 확인되었다. 유형 분석을 통한 구체적인 특징을 살펴본 결과, ①총 7개 분야의 교육 관련 직업 기반 트랙 설정, ②전체 이수 로드맵 또는 트랙별 주요 교과목 부분 제시형, ③공통기초과목 제시 유무, ④ 동일 트랙 내 과목의 다양성, ⑤ 비교과 교육과정의 구체성 미약 등의 특징이 도출되었다. 결론 교육학과만의 브랜드화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 핵심교과와 대학의 자유성 이슈에 대한 고민, 다양한 교육 분야 전문가 양성을 위한 비교과 교육과정의 역할 심화 등이 필요하다. Objectives Under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he inherent purpose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o train pre-service teachers is expanding to nurture various education expert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efforts of Department of Education in operating the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the contents of the department introduction and purpose presented on the homepages of 37 educational departments belonging to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s well as the major and non-specialty curriculum related to the field of train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three criteria of division, sequence, and integr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36 education departments out of 37 education departments have expanded their training goals to nurture talents who are engaged in various education-related occupations, including not only teachers, but also education administrative officials, lifelong education experts, and counseling experts. However, the rate of reflecting thi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s about 32.4% (12 departments out of 37 departments), which is relatively low. There are a type that simply classifies the career track (career classification type), a type that presents a system chart such as each grade level and step-by-step course completion (major track type), and a type that connects related non-curricular courses (balanced presentation typ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through the type analysis, ① establishment of education-related job-based tracks in a total of 7 fields, ② the overall completion road map or the type of presentation of major courses for each track, ③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esentation of common basic courses, ④ diversity of subjects in the same track, ⑤ and the lack of specificity of the non-curricular curriculum were derive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curriculum through the branding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o think about the issues of core subjects, and to deepen the role of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to nurture experts in various fields of education.

      • KCI우수등재

        초·중·고등학생 진로개발역량의 영향요인 탐색을 위한 다층모형 분석

        허은정(Hur, Eun Jung),윤지영(Yoon, Jiyoung)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1

        이 연구는 초․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활동이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한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데이터」의 2019년도 자료를 대상으로 다층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은 희망직업이 있을수록, 진로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체험활동을 할수록(초등: 수업중 진로탐색, 진로심리검사, 창업체험, 중학교: 창업체험, 고등: 진로체험, 진로상담), 외부진로상담을 받을수록 진로개발역량이 높았다. 둘째, 학부모가 자녀가 경험한 학교의 진로교육활동(중학교: 진로상담, 고등학교: 진로심리검사)을 인지하고 있을수록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았고, 학부모가 경험한 학교 내 진로상담은 아무런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진로교육전담부서, 교과연계 진로교육실시 여부, 진로상담횟수, 진로체험처 활용 개수, 센터 활용 유무, 시범학교 유무는 모두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진로체험활동 관련하여 초등학교는 직업인 특강․멘토링, 중학교는 학과 체험, 고등학생은 현장 견학이 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한편 학부모 대상 연수, 진로교육협의회 운영은 학교급에 따라 일관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진로발달단계에 따라 체험 중심 진로교육을 확대하고, 둘째, 자녀 진로에 대한 학부모 상담 및 교육을 적절히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외부 기관의 진로교육활동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통해 학교 상황에 적합한 벤치마킹을 도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activiti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n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ore students have a desired job,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career activities, and the more they engage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outside career counseling, the higher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cond, the more parents are aware of the school s career education activities, the higher the student 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the parents experience of career counseling in school has no effect. Third, the department in charge of career education, whether or not to conduct career education related to the subject, the number of career counseling, the number of career experience centers, whether the center is used,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model school, all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students.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special lectures and mentoring for professions in elementary schools, department experience in middle school, and field trips for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static effect. Meanwhile, the training for parents and the operation of the career education council did not show a consistent tren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 KCI등재

        수업 설계 측면에서 본 교사론 과목의 특징 분석

        허은정(Eun Jung Hur)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1

        이 논문은 교육학 관련 학과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론 과목의 수업 설계상 특징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40개 교육학 관련 학과 중 11개 학과의 15개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였고, 과목명, 수업목표, 수업내용, 수업방법, 평가방법, 기타의 항목에 따라 강의계획서에 담긴 전체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업내용체계를 탐색하기 위해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주차별 수업 내용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공통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① 교직과 교사의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의·자신의 교사관 정립을 수업 목표로 설정하였고, ② 강의, 토론, 수업내용 발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연구물 및 영화제작과 같은 프로젝트 기반 수업 방법을 시도하는 사례도 소수이지만 발견되었다. ③ 평가유형(상대평가 또는 절대평가)은 강의계획서 상 일관되게 발견되지 않았고, 중간 및 기말고사, 과제 수행, 수업 참여 등을 주요 평가 요소로 다루고 있었다. ④ 수업내용체계 측면에서는 교직문화·역사, 교직관, 교직사회화, 인간관계, 교사의 감정, 양성과 임용, 교원인사 전반, 권리와 의무, 교원의 미래·방향성, 총 9개 주제를 절반 이상의 강의계획서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 교사론 과목의 에센스-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교직관 정립, 둘째, 예비교사로서의 종합적 성찰을 위한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 설계 제안, 셋째, 교수자의 평가 유형에 대한 자율적 선택 필요, 넷째, 교육부 문서 및 법령에 제시된 교사론 과목의 층위와 용어 정련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design of Teachers Theories subject in Pedagogics-related departments. To this end, 15 syllabus from 11 departments were collected, a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yllabu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urse name, objectives, contents, methodologies, evaluation, and other. In order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lass content, a common keyword was derived by inductively analyzing the class content for each week presented in the syllabu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er s life, the subject goal was to establish one s own view of teachers, 2) lectures, discussions, and presentation were mostly used, and there were small number of cases where project-based instructional methods such as film-making or research materials were attempted. 3) The type of evaluation was not consistently found in the syllabus, and midterm and final exams, task performance, and class participation were treated as major evaluation factors. 4) In terms of the teaching content system, it was commonly dealt with in the syllabus including culture and history of teaching, teaching view, socializ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human relations, teachers emotions, training and appointment, general personnel management, rights and duties, and future direction of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imply the following; first,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vision based on the essential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Teacher Theories; second, student-centered discussions for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eachers-to-be; third, instructors’ spontaneous selection of forms of evaluation; and fourth, refinement of terminology of Teacher Theories on the document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 KCI등재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 관계에서 교사의 혁신적 수업방법의 매개효과 검증: 학교 계열에 따른 다집단 분석

        허은정(Hur, Eun Jung),윤지영(Yoon, Ji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This research is aimed at grasp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lass improvement initiatives and innovative teaching methods that both general high and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have taken and the development of a student’s creativity. The research results have mad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Both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gained tangible fruits of improvement in their classes from the activities they’ve been voluntarily involved in. Second, if initiatives made by each school unit and the Education Office in pursuit of improving classes should make an actual change in a school teaching, both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m. Third, teachers need to purposefully review if their innovative teaching methods are focused on building creativity of students. To know if the actual teaching is made on the basis of a sound understanding about creativity, a further research should be made from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이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혁신적 수업 방법, 그리고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서울교육종단연구 7차년도(2016년 10월 ~ 12월) 학생 및 교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고와 특성화고 교사들은 모두 자신의 자율적 의지에 의해 실행 여부를 판단하고 참여한 활동으로부터 수업 개선의 실질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둘째, 단위학교 차원과 교육청 차원의 수업개선 활동이 실제 수업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소속 교사들의 차별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혁신적 수업 방식이 실제 학생의 창의성 함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 교사의 의식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수업현장이 창의성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해 구현되고 있는지 후속 연구를 통해 밝히고 조금 더 포괄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습유형별 참여 시간이 학업성취도 및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허은정(Eun Jung Hur),이재덕(Jae-Duck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습유형별 참여 시간, 즉 자기주도학습 시간, 수업집중 시간, 사교육 시간, EBS 수강 시간이 학업성취도와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 중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자기주도학습 시간과 수업 집중 시간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사교육 시간과 EBS 수강 시간은 학업성취도에 부적 영향 관계를 보였다. 한편 학업자아개념에는 학교수업 집중 시간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주도학습 시간은 수업집중 시간과 사교육 시간, 그리고 EBS 수강 시간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효과를 긍정적으로 매개하였다. 반면 학업자아개념에 대해서 자기주도학습 시간은 아무런 매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몇 가지 주요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자기 속도에 맞춘 학습에 시간을 할애하고 정규 수업에 집중하도록 장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수업 운영 및 학습을 장려하는 과정에서 학생이 본인의 학업 능력에 대한 정서적 자존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학교 안팎의 문화가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한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은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참여하는 다양한 학습에 전제되어야 할 기본적 능력이다. 따라서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이나 사교육 참여, 또는 EBS 수강 시 학생 스스로 학습을 설계하고 진행해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upo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Self-directed learning time, school class concentration time and  private lesson time, and EBS lecture time were set as major variables, and the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time was compared. As a result, self-directed learning time and school class concentration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private lesson time and EBS lecture time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self-directed learning time effectively mediated the effect of school class  concentration time, private lesson participation hour, and EBS lecture time on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self-directed learning did not have any mediated effect on academic self-concept. In order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time allocation  to regular school class and students’ self-speed learning rather than private lessons. Secondly, the school  culture must be fundamentally changed to increase emotional self-esteem of students on their own academic  ability in the process of class operation and encourag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Thirdly, self-directed  learning is a basic ability that is a prerequisite for various types of learning where students routinely participate.  Accordingly,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or private lessons must be carried out by the design and progress  of students themselves.

      • KCI등재

        학교장의 리더십 행동 양상과 변화지향적 학교 풍토 간 구조적 관계 분석: ‘수업 지원 노력’과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허은정(Hur, Eun Jung),윤지영(Yoon,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이 연구는 학교장의 구체적인 리더십 행동 양상이 학교의 변화지향적 풍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 협력과 비전 공유의 매개효과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 때 리더십 행동 양상은 ‘수업에 대한 지원 노력’과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정책연구소에서 2017년 7월에 실시한 서울교육종단연구 8차년도(고2대상) 자료 중 학교장 313명과 및 교사 3,805명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장의 수업 지원 노력은 교사들의 협력을 매개로 할 때 변화지향적 학교 풍토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장이 학교 혁신과 관련한 주요 정책의 필요성을 명확하게 인지할수록 변화지향적 학교풍토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교사들 간 비전 공유를 매개로 할 때 더욱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학습공동체 문화 조성, 학습 동아리 활동 장려 등 학교장의 지원 노력은 일방적 제공에 그치지 않고 교사의 협력으로 이어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학교장이 정책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비전을 수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관리자 모임, 연수 등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ction strategies of the school principals as supportive efforts for class and clear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policy , and to grasp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ole of the principals, teacher cooperation, vision sharing, and change-oriented school climat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rincipals efforts to support classroom affects change - oriented school climate formation through the cooperation of teachers. On the other hand, as the principal acknowledges the necessity of major policies related to school innovation, it affects the climate of change - oriented school, and it confirms that it becomes more influential when sharing the vision among teache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efforts of the school principals such as the creation of a learning community culture and the activities of learning clubs should be continued until the cooperation of the teachers is not limited to one-sided provision. In order for the principal to establish a clear vision and vision for the policy, various forms of managerial meetings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교원의 교육정책 참여 경험 탐색

        허은정(Eun Jung Hur),김수진(Sujin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 교원이 교육 주체로서 교육정책에 참여한 경험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정책사업 중 하나인 『인성교육진흥사업』의 기획과 집행 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원 3인을 대상으로 참여 계기, 참여 영역과 방법, 참여를 위한 조건에 대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원들의 교육정책 참여는 교육적 고민, 학교 현장과 괴리된 교육정책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순수한 자발성과 필요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교원들은 학교 안의 수업 개선과 학교 밖의 교육정책 기획, 운영 과정에 참여하고 있었다. 참여 방식은 주체와 영향력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1) 교육활동을 잘하기 위한 교원 개인의 간접적 참여, 2) 전문성을 발휘하는 교원 개인의 직접적 참여, 3) 다양한 채널과 모임 등을 통해 목소리를 내는 교원 연대의 간접적 참여, 4) 연대를 통해 교육정책 기획 및 집행 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교원 연대의 직접적 참여의 네 가지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참여를 위한 여유나 시간이 없다는 현실적인 한계를 토로하였으며, 교원들 간의 참여에 대한 온도차, 긍정적인 참여 경험을 지속, 발전시키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교육정책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 정부의 지원과 교원의 자발적 동기가 조화롭게 작용하는 것이 중요하게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원의 교육정책 참여를 “교원이 학생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주기 위해, 학교 내 교육활동 뿐 아니라 교육정책 전반에 대하여 교원 개인 또는 교원 간 공식적․비공식적 상호작용을 통해 전문적 영향력을 직․간접적으로 발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교원의 정책 참여를 위해 공유 및 연대를 통한 나비효과, 학교 안에서의 경험을 통한 시작, 정부의 지원과 교원의 적극성이 조화된 신뢰 기반의 절충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educational policy as educational subjects. To this end, in-depth discussion was conducted on the opportunities, participation areas, methods, and conditions for participation of three teachers, principal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Project, one of the educational policy projects. As a result, teachers participation was started by pure spontaneity, and necessity based on educational worries and problem consciousness of educational policy that is different from school field. As a result, teachers were involved in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 schools and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education policies outside the school. There were four ways of participation: 1) indirect involvement of individual teachers, 2) direct involvement of individual teachers, 3) indirect involvement of teacher communities, and 4) direct involvement of teacher communities. Teachers, however, were experiencing lack of time to participat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teachers, and difficulties in continuous development.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harmonize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voluntary motivation of teachers as a condition for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a solidarity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policy, a start with experiences in school, and a trust-based educational policy approach.

      • KCI등재

        인성교육 전문가 양성과정의 교육내용 주제와 구조 분석

        허은정(Hur Eun Jung),김수진(Kim Su jin),이지미(Lee Jee M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 전문가 양성과정의 교육내용 주제와 구조를 분석하여 향후 인성교육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주제 분석을 위한 3개 기준(‘인성교육의 이해’, ‘인성교육의 핵심역량 함양’, ‘인성교육 실천’)과 구조 분석을 위한 4개 기준(‘기초’, ‘적용’, ‘연계’, ‘혼합’)을 설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16년 시범운영된 다섯 개 기관의 양성과정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제 분석 결과, 인성교육 이해 의 편성 비율이 가장 낮았고 인성교육 핵심역량 함양 과 인성교육 실천 은 비슷하였다. 그 특징으로 인성교육의 이해 는 기초적 지식을 다루고 있으며, 인성교육 핵심역량 은 교사의 인성역량 함양과 인성교육 교수역량 함양을 위한 과목들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인성교육 실천 은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과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한 인성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내용 및 방법을 다루고 있었다. 또한 구조 분석 결과, 연계 의 편성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적용, 기초, 혼합 순으로 나타났다. 각 기준별 특징으로 ‘이해’는 기본 이해를 위한 성격을 지녔으며, ‘적용’은 실제 학교 현장에 활용해 볼 수 있도록 수업 활동과 수업 외적 활동에 관련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계’는 직접 연계와 간접 연계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인성교육과 관련 개념 또는 소양을 접목시켜 다루었고, 혼합에서는 적용과 연계가 혼합된 유형만 나타났다. 이에 따라 1) 균형적인 주제 구성, 향후 다양화 필요, 2) 인성교육 비전 공유로서의 긍정적 역할, 향후 현장성 유지 필요, 3) 구조의 계열성 확인 및 발전적 형태에 대한 시사, 4) 양성 목적에 따른 다양한 현장 경험 위주의 구성 미흡, 5) 양성기관의 독자성이 반영된 연계 강좌의 가능성 제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for teacher training as a character education professional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them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in character education. To this end, we established three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the topic( Understanding of Character Education , Cultivation of the Key Competences for Character Education , and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 and four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Basics , Applications , Connections , and Mixing ).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five pilot training institutions in 2016.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opic, the ratio of Understanding of Character Education was the lowest and the other two criteria were similar. It was found that Understanding of Character Education dealt with basic knowledge and that Cultivation of the Key Competences for Character Education consisted of courses for cultivating of teachers character competences and teaching competences for character education.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dealt with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and characte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homes and communities. Structur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Connection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pplications , Basics , and Mixing . Also, Understanding was primarily intended fo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s consisted of contents related to instruction and non-class activities for practical use on school. Connections dealt with in two ways, direct and indirect, connecting character education with related concepts or literacy and only a mix of Applications and Connections appeared in Mixing . Based on this, the following five suggestions were discussed: 1) Balanced organization in topic and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topic, 2) Positive roles for sharing the vis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need for maintaining the connection with the field, 3) Identification of sequence and the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al types in structure, 4) Insufficient organization of various field experiences for the purpose of training, 5) Suggestions on possibility of Connections courses that reflect the identity of the training i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