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두 철분결합단백질 유전자 발현 형질전환 감자의 감자무름병 방어 증진효과

        배신철,여윤수,허성기,황덕주,변명옥,고승주,Bae, Shin-Chul,Yeo, Yun-Soo,Heu, Sung-Gi,Hwang, Duk-Ju,Byun, Myung-Ok,Go, Seung-Jo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9 No.4

        Ferritin is ubiquitous in bacteria, animals and plants. Ferritin is thought to play two main roles in living cells to provide iron for the synthesis of iron protein such as ferretoxin and cytochromes and to prevent damage from radicals produced by iron/dioxygen interaction. To enhance the resistance of potato to Erwinia carotovora, the soybean ferritin gene was introduced into the potato either under CaMV 35S or hsr203J promoter. Potato transgenic plants were screened by PCR analysis using specific primers to the ferritin gene. Expression of ferritin gene under CaMV 35S and hsr203J promoter in potato transgenic plants was confirmed by northern blot analysis. hsr203J promoter known to pathogen inducible in tobacco drives the induction upon Phytophthora infestan in potato and the transcript level of ferritin gene was extremely high after 24 hours post inoculation. One of transformants under CaMV 35S promoter was increased 2.5 fold than untransformant. Each one of transgenic potato containing gene promoter CaMV 35S and hsr203J-ferrtin fusion exhibited tolerance against potato soft rot. 식물의 항산화력을 증진하여 식물병원균 저항성 작물을 개발하고자, 철분 결합 단백질인 대두의 ferritin 유전자를 CaMV 35S와 hsr203J promoter에 연결하여 감자에 형질전환하였다. PCR및 Northern분석에 의한 형질전환 감자에 ferritin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과 이들 유전자 식물체내에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erritin 유전자를 담배 유래 병원균 특이 발현promoter인 hsr203J와 연결하여 획득된 형질전환 감자 식물체는 감자역병균 접종 후 24시간대에서 전사체 발현량이 가장 많았으며 그 후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전자 도입이 확인된 형질전환체 감자괴경의 철분 함량은 CaMV 35S와 ferritin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체가 2.5배, hsr203J promoter와 ferritin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체가 1.5배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이들 형질전환체는 감자 무름병균에 대한 저항성 증진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퇴비에서 온도조건에 따른 Salmonella enterica와 Staphylococcus aureus의 내열성 변화

        정규석(Kyu-Seok Jung),허성기(Sung-Gi Heu),노은정(Eun-Jung Roh),장미나(Mee-Na Jang),이동환(Dong-Hwan Lee),최재혁(Jae-Hyuk Choi),이선영(Sun-Young Lee),윤종철(Jong-Chul Yun),김계훈(Kye-Hoon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가축분 퇴비를 대상으로 온도에 따른 병원성 미생물 ( S. enterica, S. aureus)의 생존능 및 생존기간을 조사하고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한 가축분 퇴비의 생산과 이용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국내 유통되는 가축분 퇴비에 S. enterica를 접종하여 온도에 따른 생존 변화양상을 조사한 결과, 처리온도에 따라서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10℃에서 가장 오래 생존하였고, 55℃에서는 하루 만에 사멸하였다. 처리온도 10℃에서 초기농도 7.58 log CFU g?¹이었고 그 이후 점점 감소하기 시작하여 140일에는 4.90 log CFU g?¹였는데 감소폭이 낮았다. 처리온도 25℃에서 초기농도는 7.83 log CFU g?¹이었고 0~60일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로 거의 변화가 없었고 140일에는 모두 사멸하였다. 35℃에서는 0~20일까지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이후 60일 까지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70일에 전부 사멸하였다. 55℃에서는 접종 1일경과 후에 모두 사멸하였다. 생존기간은 처리온도 10, 25, 35, 55℃ 순이었는데 고온일수록 빨리 사멸하는 결과를 보였다. 가축분 퇴비 내 S. aureus의 생존변화를 실험한 결과, 처리온도 10℃에서 초기농도 7.87 log CFU g?¹이었고 그 이후 점점 감소하기 시작하여 90일에는 전부 사멸하였다. 처리온도 25℃에서 초기농도는 7.70 log CFU g?¹이었고 0~15일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70일에는 모두 사멸하였다. 35℃에서는 0~7일까지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이후 35일까지는 약간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0일 정도에 전부 사멸하였다. 55℃에서는 접종 1일 경과 후에 모두 사멸하였다. 생존기간은 처리온도 10, 25, 35, 55℃ 순이었는데 S. enterica와 비슷하게 온도가 높아질수록 사멸속도가 빨라지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오염퇴비를 통해서 신선상태의 채소류 등에 전이가 될 경우는 식중독 사고의 잠정적인 위험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므로 퇴비제조 시 병원성 미생물이 사멸할 수 있는 부숙과정을 거치거나 부숙 후 퇴비의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Manures contain a variety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that pose a risk to human or animal. On-farm contaminations through contaminated manure were considered likely sources of the pathogen for several outbreak. Pathogenic microorganisms may survive in low numbers during the composting process and subsequently regrow to high levels under favorable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temperature on survival of Salmonella enterica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livestock manure compost. Commercial livestock manure compost (manure 60%, sawdust 40%) was inoculated with S. enterica and S. aureus. Compost was incubated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10, 25, 35, and 55℃) for 20 weeks. Samples were taken every week during incubation depending on the given conditions. S. enterica persisted for up to 1 day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t 55℃, over 140 days at 10℃, 140 days at 25℃, and 70 days at 35℃, respectively. S. aureus persisted for up to 1 day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t 55℃ and 90 days at 10℃, 70 days at 25℃, and 40 days at 35℃,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S. enterica and S. aureus persisted longer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 S. enterica survived longer than S. aureus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10, 25, and 35℃).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and practical guidelines to applicators of soil in deciding appropriate handling and time frames for land application of livestock manure compos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Results from these studies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identifying manure handling practices to reduce the risk of S. enterica and S. aureus transmission to fresh produce.

      • KCI등재

        국내 유통중인 유기농 채소류의 미생물 분포도 분석

        정규석(Kyu-Seok Jung),노은정(Eun-Jung Roh),류경열(Kyung-Yeol Ryu),김원일(Won-Il Kim),박경훈(Kyeong-Hun Park),이동환(Dong-Hwan Lee),김계훈(Kye-Hoon Kim),윤종철(Jong-Chul Yun),허성기(Sung-Gi Heu)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4

        최근에 건강식품의 선호에 따라 신선 채소류 등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중인 유기농채소류를 구입하여 총균수,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Y. enterocolitica 등의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도를 분석하고 유기농산물의 식중독균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유기농 채소류 4종의 일반 세균수 수준을 비교한 결과 오이의 일반 세균수 수준이 가장 높았고, 토마토의 일반 세균수는 가장 낮았다. 유기농 채소 중 깻잎의 일반 세균수는 4.2~7.7 log CFU g?¹, 상추는 5.0~8.0 log CFU g?¹, 토마토는 4.0~7.5 log CFU g?¹, 오이는 6.6~8.6 log CFU g?¹ 범위였다. 유기농 채소에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Y. enterocolitica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일반 세균수는 관행 농산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병원성 미생물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식중독균 오염수준은 극히 낮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생산, 유통 단계에서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revalence of pathogens in organic vegetables produced in Korea. A total of 189 organically grown vegetable samples (perilla leaf 50, lettuce 50, tomato 39, cucumber 50)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aerobic plate coun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Yersinia enterocolitica. The total aerobic plate counts were in the range of 4.2 to 7.7 log CFU g?¹ for perilla leaf, 5.0 to 8.0 log CFU g?¹ for lettuce, 4.0 to 7.5 log CFU g?¹ for tomato, and 6.6 to 8.6 log CFU g?¹ for cucumber. The highest counts were found in cucumber.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 aureus, L. monocytogenes, and Y. enterocolitica were not detected from any organically grown vegetable sampl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ntinuous monitoring in organic vegetables is required to improve fresh produce 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