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 저항성 토마토 유전자원 탐색

        한정헌(Jung-Heon Han),최학순(Hak-Soon Choi),이준대(Jundae Lee),김재덕(Jae-Deok Kim),이원필(Won Phil Lee),최홍수(Hong-Soo Choi),김정수(Jung-Soo Kim),윤재복(Jae Bok Yoon)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2

        Sw5-2 SCAR 분자표지와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토마토유전자원 94종의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Sw5-2 SCAR 분자표지의 PCR 산물은 대략 574bp, 500bp, 462bp였는데, 크기가 가장 큰 PCR 산물이 Sw5-b 저항성 대립유전자와 연관되어 있었다. Sw5-b 저항성 대립유전자는 3개 수집종('Eureta', 10-318, 10-321)에서 관찰되었는데, 접종한 개체 가운데 이들 가운데 일부는 TSWV-pb1(토마토 분리주)에 일시적으로 감염되어 회복되거나 줄기에 괴사 병징을 보였다. ELISA 검사에서 음성으로 판명된 수집종 당 1개체씩 총 35개체를 선발하여 병징 발현 및 바이러스 감염 유무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접종 5개월 이후에 병징이 나타나지 않은 26개체를 대상으로 RT-PCR을 이용하여 TSWV 감염유무를 조사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 TSWV의 RT-PCR 산물이 약하게 증폭되었고, 이들 PCR 산물의 증폭수준은 'Eureta'와 비슷하였다. 선발된 유전자원의 저항성은 조직 내 TSWV의 농도를 낮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들은 Sw5를 포함한 여러 가지 유전자들에 의해 양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 total of 94 tomato accessions were evaluated for the resistance to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using a Sw5-2 SCAR marker and bioassay. PCR products of the marker were approximately 574 bp, 500 bp, and 462 bp, among which the longest was linked to TSWV resistance allele of Sw5-b. This allele was only found in three accessions (09-438, 10-318, and 10-321) in which some individuals showed apparent recovery or stem necrosis symptom to a tomato isolate of TSWV-pb1. Thirty-five individuals (one per each accession) which were non-infected by ELISA were selected for further observation. Among these, 26 individuals that did not show any symptom at 5 months after inoculation were confirmed for viral infection by RT-PCR. TSWV-specific PCR amplicon was weakly detected in all 26 individuals including 'Eureta', a commercial F1 possessing the resistance allele of Sw5-b. The resistant genes in the selected individuals may play an important role for reducing the viral concentration in tissues of inoculated tomato plants and seems to be quantitatively controll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Sw5-b gene.

      • KCI등재

        들뢰즈 사상에서 본 안병무의 소수자신학

        한정헌(Jung?Hun Han)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6 No.-

        이 논문은 안병무의 민중신학을 들뢰즈(와 가타리) 사상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나아가 양자를 ‘소수자신학’이라는 주제로 상호 연관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들뢰즈의 사상에 입각해 안병무의 오클로스론과 민중메시아론을 다시 읽음으로써 그의 신학을 ‘오늘의 민중신학’으로서의 ‘소수자신학’으로 재규정하고자 한다. 안병무의 신학과 들뢰즈의 사상은 여러 부분에서 강도 높은 교차로를 형성한다. 그중에서도 안병무의 오클로스론과 민중메시아론은 니체?베르그송의 생성존재론을 계승한 들뢰즈의 차이생성의 존재론의 구도에서 볼 때, 기존의 (동일성과 실체 중심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할 때 노정되는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또한 안병무의 민중메시아론에 함축된 민중의 자기초월, 자기해방, 자기구원 등의 개념들은 들뢰즈의 시간론과 연관될 때 ‘민중의 주체화’ 혹은 ‘소수자 주체화’의 문제로 변용 및 확장될 수 있다. 특별히 이 논문은 소수자 주체화의 문제에 천착한다. 다시 말해 ‘민중이란 누구인가?’ 혹은 ‘소수자란 누구인가?’라는 고정된 정체성에 대한 물음보다는 ‘소수자 주체성은 어떻게 (시간과 역사 속에서) 형성되는가?’라는 주체화의 물음에 관심을 둔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들뢰즈의 시간론인 ‘시간의 수동적 종합’을 통해 민중의 주체화 혹은 소수자 주체화의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들뢰즈에게 시간론은 곧 주체론(시간론=주체론)으로서, 이것은 시간 속에서 매듭지어지는 주체성의 형성을 뜻하기 때문이다. 이런 시간의 수동적 종합은 개인의 주체성 형성과 관련되지만, 이를 확장해 소위 역사의 종합과 (공통의 사건을 통한) 공통 주체성 혹은 집단 주체성의 형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안병무가 말하는 역사적 주체로서의 민중은 단지 초험적으로 주어지는 주체가 아니라 철저히 시간과 역사, (넓은 의미의) 경험 속에서 형성되는 주체성으로 이해된다. 그것은 민중의 고난이라는 시간적, 역사적 체험을 통한 민중의 자기초월, 자기해방, 민중의 역사적 주체 됨의 과정인 것이다. 이것은 또한 오늘날 다양하게 분기/발산하는(도래할 민중으로서의) 소수자 주체성 형성의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신학적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is an article that aims to reinterpret the Ahn Byung?mu’s minjung theology from a Deleuzian(and Deleuzo?Guattarian) point of view, and to link them under a theme, ‘minority theology.’ Rereading the ochlos theory and the minjung messiah theory by Ahn in the light of Deleuze’s thought, I have tried to redefine the theologist’s ‘minority theology’ as the ‘minjung theology of now.’ Ahn’s theology and Deleuzian thought intersect on several points intensively. Above all it could bring the idea of ochlos and of minjung messiah beyond certain limitations reached in the existing ontological perspective?founded upon the identity and the substance?to review them in the scheme of the plane of differentiation of Deleuze, who succeeded the Nietzschean?Bergsonian ontology of becoming. And such notions as the self?transcendence of minjung, self?liberation, self?salvation, ect. can, when linked to the time theory of Deleuze, be transformed and extended into the questions like ‘the subjectivation of minjung’ or ‘the subjectivation of the minority.’ This article pays attention particularly to an issue, the subjectivation of the minority. That is, it is concerned less with the questions on the fixed identity like ‘who is minjung’ or ‘who is the minority’ than with the one on the subjectivation like ‘how would the minority subjectivation be formed (in time and history)?’ The question of the subjectivation of minjung or of the minority can be approached to with the Deleuzian time theory, ‘the passive synthesis of time.’ For Deleuze, a theory of time is a theory of the subject as well, since the former means no other than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in time. Though the passive synthesis of time is about to the formation of individual subjectivity, it can be extended as well to the so?called synthesis of history, the formation of common subjectivity(with the common event), or collective subjectivity. In this sense, the minjung as a historical subject, asserted by Ahn, can be understood not simply as a subject transcendentally given, but as a subjectivity formed in time, history, and experience(in it’s broadest sense). It grows to be a process of the self?transcendence, self?liberation and becoming historical subject of minjung through the temporal and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suffering of minjung. This would also offer a theological standpoint with which we can approach to the question of formation of the minority subjectivity that variously diverges today.

      • KCI등재
      • 기민한 컴포넌트 개발 프로세스

        한정헌 ( Jeong-heon Han ),인호 ( Hoh-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1

        아직도 많은 프로젝트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요구사항과 불가능한 납기일정 그리고 품질을 무조건 만족해야 하는 상황에 많은 개발자들이 괴로워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프로젝트들이 그 개발의 방법으로 컴포넌트 기반 개발(CBD)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사용성을 강조하는 품질 좋은 컴포넌트를 식별하고, 개발하기란 매우 어렵다. 또한 기존의 CBD 개발 방법의 프로세스가 요구사항을 초기에 고정하고, 그 기반 위에 여러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납기기간이 짧거나, 요구사항이 고정되지 않았을 경우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요구사항이 불명확하고, 납기일정이 짧은 프로젝트에서 유용하도록, 작은 단위의 반복과 그 피드백을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 변경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고, 기존의 컴포넌트 개발 방법을 단순화한 기민한 컴포넌트 개발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이러한 제안된 기법의 실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식별 방법과의 비교, 평가를 제시한다.

      • KCI등재

        들뢰즈 사상의 민중신학적 이해

        한정헌(Jung?Hun Han)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0 No.-

        이 논문은 들뢰즈의 사후 20주년을 기념하여 민중신학적 관점에서 들뢰즈의 사상을 재조명하고, 들뢰즈 사상의 민중신학적 전유 가능성, 특별히 소수자신학으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민중신학은 1970년대 한국의 당대적 상황에서 생성된 ‘민중’을 증언하고자 ‘반신학’이라는 기획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반신학’이라는 문제제기는 탈서구적, 탈형이상학적, 탈근대적 신학으로의 지향점을 함축하는데, 이것은 최근 위기론이나 무용론 등에 직면한 민중신학이 보편적인 소수자 신학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관점이라 여겨진다. 반신학으로서의 민중신학은 전통 형이상학에 대립하는 생성존재론의 입장에 가까울 뿐 아니라 유물론적이고 외부적인 성격을 갖는다. 그런 점에서 들뢰즈의 사상은 민중신학과 많은 부분에서 강도 높은 교차점을 형성하고 있고, 민중신학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다고 여겨진다. 들뢰즈는 서구의 전통 형이상학과 근대성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을 바탕으로 대안적인 사유를 전개한 철학자라는 점에서 반신학적 기획에서 출발한 민중신학의 문제의식을 상당부분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니체–베르그손–화이트헤드–하이데거 등으로 이어지는 생성존재론을 계승하는 대표적인 탈구조주의 사상가로서 수많은 개념들을 창안하였다. 그중에서도 들뢰즈가 가타리와 함께 구성한 소수자론은 민중신학에 이미 내포되어 있는 소수자신학의 잠재성을 현실화시켜 줄 수 있는 중요한 통찰들을 제공해줄 것이다. This paper commemorating the 2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eleuze aims to examine the thought of Deleuze from a perspective of Minjung theology seeking for a possibility of minority theology. Minjung theology began as a project of counter–theology in order to testify to Minjung brought into the world in the 1970’s in Korea. The stance of counter–theology suggests its orientation toward a post–Western, post–metaphysical, and post–modern theology. This is an important aspect with which Minjung theology could position itself as a universal minority theology. Minjung theology as a counter–theology not only resembles the ontology of becoming opposed to the traditional metaphysics, but is materialistic and external. In this sense, Deleuze’s thought and Minjung theology intensively cross each other on certain junctures, which leads to extend the outer edges of the latter. As a philosopher who developed an alternative thought on the basis of a radical criticism against the Western traditional metaphysics and modernity, Deleuze shares a lot with Minjung theology began as a counter–theology. He is a prominent post–structuralist who inherited the ontology of becoming after Nietzsche–Bergçon–Whitehead–Heidegger, and has invented a lot of concepts. Among others, the theory of the minority (where Deleuze cooperated with Guattri) would give us an important insight that makes us realize the potential of minority theology already contained in Minjung th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