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백서의 비장에서 화학적 교감신경절제가 뜸(구(灸))자극으로 유도된 면역변조에 미치는 영향

        한재복,오상덕,이기석,최기순,조영욱,안현종,배현수,민병일,Han, Jae-Bok,Oh, Sang-Duck,Lee, Ki-Seok,Choi, Ki-Soon,Cho, Young-Wuk,Ahn, Hyun-Jong,Bae, Hyun-Soo,Min, Byung-Il 대한면역학회 2002 Immune Network Vol.2 No.2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 in moxibustion-induced immunomodulation, the effects of chemical sympathectomy on moxibustion-induced changes in splenic NK cell cytotoxicity, T and B cell proliferation were studied in Sprague-Dawley male rats. Methods: Chemical sympathectomy was achieved with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6-hydroxydopamine 50 mg/kg/day for 3 successive days. Direct moxibustion (6-minute interval, 9 moxa ball, each of which weighing 0.007 g and burning for 40 seconds) was applied on unilateral anterior tibial muscle region where Zusanli (ST36) acupoint is located, once a day for 7 successive days. NK cell cytotoxicity was measured by $4hr-^{51}Cr$ release assay. Mitogen-induced lymphocyte proliferation was analyzed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Results: NK cell cytotoxicity was suppressed by moxibustion, more in sympathectomized rats than in vehicle-treated rats. T cell proliferation induced by concanavalin A was not affected by moxibustion. B cell proliferation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vehicle-treated rats, but an increase in sympathectomized rats by moxibustion. Sympathectomy alone induced augmentation of NK cell cytotoxicity and suppression of T cell prolifer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NS has no direct relation with moxibution-induced immunomodulation but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mechanism to keep the homeostasis of immune system by tonically inhibiting excessive changes of various immune components.

      • KCI등재
      • KCI등재
      • 나선형 CT 혈관촬영의 폐색전증 자동 검출

        한재복 ( Jae-bok Han ),홍성훈 ( Sung-hoon Hong ),김수형 ( Soo-hyung Kim ),이귀상 ( Guee-sa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1

        나선형 CT 혈관촬영에서 획득한 영상의 분석를 통해서 폐색전증이 의심되는 부위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법으로, 연구 대상은 20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CT 검사 후 방사선과 의사가 정상소견을 받은 환자 5 명과 폐색전증이 있는 판독소견을 가진 15 명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CT 검사하는 동안에 조영제를 투입하면, 폐색전증이 발생한 부위는 조영제 양과 분포가 불균등하여 명암값이 낮게 검출된다. 검출방법으로는 전처리 작업으로 폐영역만을 분할하고, 분할된 폐영역에서 혈관을 찾기 위해 모폴로지기법를 적용하여 세선화(thinning) 작업을 진행한다. 다음 공정으로는 경계선을 찾아 local watershed 를 적용하여 혈관을 검출하고, 검출된 혈관내에서 원형모델을 적용하여 모폴로지(morphology)을 통해 국소 부위의 미세한 농도변화를 인지하여 색전이 발생한 영역을 자동검출하였다. 본 논문의 자동검출시스템에서는 색전증이 있는 경우에 true positive 의 발생빈도는 case 당 4.5 개가 검출되었다. 정상인의 경우에도 혈류의 흐름, 혈류의 분기점, 노이즈로 인한 false positive 의 빈도는 case 당 2.6 개가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false positive 는 5.2 개가 검출되었다. 본 논문은 false positive 의 비율이 높게 검출되었지만 폐영역 CT 검사의 컴퓨터지원진단시스템(computer aided diagnosis)의 향후 연구과제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혈관 조영 검사 및 중재적 방사선 시술시 방사선량에 대한 참고 기준치

        한재복(Jae-Bok Ha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3

        혈관 조영 검사 및 중재적 방사선 시술을 통한 환자에게 주어지는 피폭선량에 대해 대뇌를 중심으로 환자 체형을 표준화하여 검사 및 시술 차이에 따른 투시시간, 면적 선량률(kerma area product rate)을 관측하고 참고 기준치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질병 분류에 따른 면적 선량률은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이 가장 높았고, 뇌동맥류가 가장 낮았다. 또한 검사 및 시술에 따른 면적 선량률은 양쪽 내경동맥, 양쪽 총경동맥 및 추골동맥으로 하는 방법이 가장 높았으며, guglielmi detachable coil(GDC)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혈관 조영 검사 및 중재적 방사선 시술시 환자 피폭 선량에 대한 참고 기준치로 이 용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환자 피폭 선량 교육과 관리에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reference levels for radiation dose in angiography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Proposed reference levels for various procedures and classification of diseases are provided by fluoroscopy time and kerma area product(KAP) rate normalizing the body habitus focusing the cerebrum. Subarachnoid hemorrhage(SAH) represents the highest KAP-rates and aneurysm represents the lowest KAP-rates. According to these types of procedures, internal carotid artery(ICA), common carotid artery(CCA), and vertebral artery(VA) show the highest KAP-rates and guglielmi detachable coil shows the lowest KAP-rat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can suggested reference levels for patient radiation dose and is expected to be further useful in the field of radiation dose education and management of angiography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 KCI등재

        FLASH를 이용한 3T 복부검사에 있어서 최적의 T1효과를 위한 적정 Flip Angle

        한재복(Jae-Bok Han) · 최남길(Nam-Gil Choi)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본 연구는 FLASH 펄스파형을 이용하여 숙임각(flip angle ; FA)변화에 따른 T1 조영상의 신호강도(signal intensity ; SI)와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 CNR)를 비교함으로써 복부검사에서의 최적의 T1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FA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9월부터 12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복부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남 : 12명, 여 : 8명, 연령 범위 : 28~63세, 평균 : 51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상 장비는 3Tesla MR scanner(Magnetom Tim Trio, SIEMENS, Germany)였으며, 8 channel body array coil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영상변수는 FLASH 펄스파형과 TR : 120 ms, TE : minimum, FOV : 360×300 mm, Matrix : 256×224, Slice : 6 mm, scan time : 15초로 Breath-hold 기법을 이용하였다. 복부 영상은 물 신호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 관심영역(FOV) 안에 물을 채운 50 ㎖ syringe를 놓고 10°부터 90°까지 10° 간격으로 FA에 변화를 주면서 얻었다. 획득한 영상은 간(liver), syringe내부의 물(water), 비장(spleen), background의 신호강도(SI)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신호강도는 관심영역을 설정한 다음 각 부위에서 3번씩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영상 전체의 평가에서는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적용하여 전체영상의 신호강도 균일도를 알아보았고 통계 분석은 SPSS for window version 17.0을 이용하였다. 간(liver)의 신호강도는 475.54±81.76으로 FA 4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yringe내부의 물의 신호는 475.97±68.98로 FA 20°에서 가장 높았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다른 조직의 신호보다 많은 감소를 보였다. 비장의 신호는 443.02±55.77로 FA 30°에서 가장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신호가 감소하였다. 조직의 신호강도에서 Liver vs Water와 Liver vs Spleen은 FA30°를 제외한 전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Water vs Spleen은 FA60°, FA70°, FA80°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전체영상의 신호강도는 175.42±57.93으로 FA 1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다가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FA 10°와 FA 20°에서 33.02와 31.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A 10°와 FA 20°는 전체영상의 신호강도 균일도가 다소 떨어지는 영상으로 왜곡이 심하게 나타났다. CNR은 liver-water에서 FA 30°에서 12.7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FA 10°에서 -46.97, FA 80°에서 29.3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ver-spleen의 CNR에서는 FA 10°에서 -3.18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A 80°에서 9.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FLASH 펄스 파형을 사용한 복부 영상에서 최적의 T1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FA 80°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ignal intensity (SI) and CNR with T1 weighted image using FLASH at 3T abdominal MRI by varying flip angle (FA). Totally 20 patients (male : 12, female : 8, Age : 28~63 years with mean : 51) were examined by 3Tesla MR scanner (Magnetom Tim Trio, SIEMENS, Germany) with 8 channel body array coil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08. Imaging parameters were as follows : FLASH sequence, TR : 120 ms, TE : minimum, FOV (field of view) : 360×300 mm, Matrix : 256×224, slice : 6 mm, scan time : 15 sec and Breath-hold technique. Abdominal image, with a 50 ㎖ syringe filled with water placed in the FOV measuring the water signal, were acquired with varying FA through 10° to 90° with 10° interval. SI's were measured three times at liver parenchyme, water, spleen and background and averaged. The CNR's were measured between the ROIs (region of interest). Statistic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NOVA test using SPSS software (version 17.0). Less than FA 30°, abdominal images were severely inhomogeneity. Especially, T1 effect of water signal was weak. As the flip angle increased, the signal intensity decreased at all the regions. Especially, flip angle of the highest signal intensity was observed with 40° at the liver parenchyme, 20° at water, 30° at the spleen, respectively. The CNR between liver and water was -60.92 at FA 10° and 15.16 at FA 80°. The CNR between liver and spleen was -3.18 at FA 10° and 9.65 at 80°. In conclusion, FA 80° is optimal for T1 weighted effect using FLASH pulse sequence at 3.0 Tabdominal MRI.

      • KCI등재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전자파흡수율 분석

        한재복(Jae-Bok Han),홍성훈(Seong-Hun Hong),최남길(Nam-Gil Choi),성호진(Ho-Jin S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장치의 특성변수인 숙임각(flip angle), 반복시간(repetition time, TR), 에코시간(echo time, TE)을 사용하여 전자파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체중 10 ㎏부터 90 ㎏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검사기법을 적용하였고, 매개변수의 변화에 따른 평균 SAR 및 peak SAR 값을 측정하였다. 체중에 따른 SAR는 TE에서 변화는 없지만 숙임각이 커지고 TR이 짧을수록 증가하였다. SAR 값은 두부 허용 기준치 범위에 포함이 되었고 분절별 체중에 따른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는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SNR은 증가하지는 않았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특성변수를 사용하여 다양한 대조도와 SNR을 얻어 진단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measured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using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as flip angle, repetition time (TR) and echo time (TE) at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subject was applied to same scan technique from body weight 10 kg to 90 kg, were measured for the average SAR and the peak SAR valu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arameter . SAR with different body weight levels was not seen a significant change at TE but it increased in the larger flip angle and the shorter TR. SAR value was within the limits of human head acceptable standard and SNR in segmental body weights was not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of body weight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diagnosis by using appropriate parameters which obtained the various contrast and SNR.

      • KCI등재

        입사 표면 선량 계산에 따른 진단용 X-선 촬영시 피폭선량 비교 연구

        한재복(Jae-Bok Han),최남길(Nam-Gil Choi),성호진(Ho-Jin Su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본 연구는 유리 선량계를 이용한 진단용 X선 장치 선량 및 선질의 입사표면선량 값과 선질 계수에 의한 계산 측정법을 바탕으로 비교 평가하여 의료 피폭 선량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제 측정에 의한 ESDs 값이 Mori에 의한 NDD-M 법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Edmonds에 의한 계산법이 가장 적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정류 방식에 따른 실 측정과 선량 계산법 차이는 삼상 정류 방식, 단상 정류 방식, 인버터 방식으로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진단용 X-선 촬영 장치의 사용에 있어 환자의 피폭 선량을 예측하고 검사 조건을 조절하여 의료 피폭 선량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radiation dose in diagnostic X-ray radiography and calculated by different mathematical equation. The result of ESDs direct measurement and that calculated by Mori NDD-M shows the bigges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equation by Edmonds shows the lowest difference of ESDs. Also, Rectification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direct dose measurement and calculation method commutated three-phase, single phase and inverter type, show less difference in the drive way.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expecting radiation dose-exposure and control exposure parameters for the diagnostic x-ray radiography.

      • KCI등재후보

        약물용출 스텐트를 이용한 관상동맥중재술 후 재협착의 독립적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김인수(In-Soo Kim)한재복(Jae-Bok Han),장성주(Seong-Joo Jang),장영일(Young-Ill J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0 방사선기술과학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약물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에 관한 독립적 인자를 확인하고 MDCT로 측정된 calcium score가 재협착 발생의 예측인자로써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6년 5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MDCT상 관상동맥 협착이 발견되어 약물 용출 스텐트를 삽입 받은 환자 1,131명 중 추적검사로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되었던 178명(남자 159명, 여자 19명, 평균 연령 61.7, 연령분포 51~71세), 190개소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재협착 여부에 따라 두 군(비협착군 133병변, 재협착군 57병변)으로 나누어 비교 ․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상진단명은 진구성 심근경색이 비협착군 3예(2.3%), 재협착군 5예(8.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0.040), 급성 심근경색증, 불안정 협심증, 안정 협심증의 유병률은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에서 병변 혈관의 위치는 재협착군에서 좌주간지 병변이 더 많았다(0.8% vs. 5.3%, p = 0.047). 스텐트 직경은 재협착군에서 유의하게 작았으며(3.3±0.4 mm vs. 3.1±0.3 mm, p = 0.004), 스텐트 길이는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상 혈관의 초기 협착 정도는 재협착군에서 더 심했으며(86.1±11.4% vs. 91.5±9.2%, p = 0.001), 복잡 병변(B2/C형)은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연령은 재협착군에서 더 높았고(60.2±9.9세 vs. 65.8±9.0세, p = 0.0001), 흡연력과 고지혈증은 비협착군에서(42.1% vs. 19.3%, p = 0.003, 23.3% vs. 8.8%, p = 0.019), 그리고 당뇨병은 재협착군에서 많았다(21.8% vs. 52.6%, p = 0.0001). 심초음파로 측정한 좌심실 구혈률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MDCT coronary artery calcium scoring는 비협착군 371.2±500.8, 재협착군 389.3±458.3로 차이가 없었고, 목표혈관과 좌주간지, 좌전하행지, 좌회선지 및 우관상동맥 각각의 calcium score 역시 양군 간 차이가 없었다. 다 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좌주간지병변(OR = 168.0, 95% CI = 7.83-3,604.3, p = 0.001), 남성(OR = 36.5, 95% CI = 5.89-2,226.9, p = 0.0001), 당뇨병의 존재(OR = 2.62, 95% CI = 1.071~6.450, p = 0.035)가 약물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이었다. 따라서 관상동맥 협착에 대해 약물용출 스텐트를 삽입 받은 환자에서 스텐트 내 재협착의 발생은 좌주간지병변, 남성, 당뇨병의 존재와 관련이 있었으나, MDCT로 측정된 calcium score는 재협착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로써 기능은 없었다. We sought to confirm an independent factor about in-stent restenosis (ISR)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drug-eluting stent (DES) and know a possibility as a predictor of measure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by MDCT. A total of 178 patients (159 men, 61.7±10.0 years of age) with 190 coronary artery lesio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ut of 1,131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with DES implantation for significant stenosis on MDCT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2006 and May 2009. All lesio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the presence of ISR : group I (re ISR, N = 57) and group II (no ISR, N = 133). Compared to group II, group I was more likely to be older (65.8±9.0 vs. 60.2±9.9 years, p = 0.0001), diabetic (21.8% vs. 52.6%, p = 0.0001), have old myocardial infarction (8.8% vs. 2.3%, p = 0.040), left main stem disease (5.3% vs. 0.8%, p = 0.047), and smaller stent size (3.1±0.3 mm vs. 3.3±0.4 mm, p = 0.004). Group II was more likely to be smokers (19.3% vs. 42.1%, p = 0.003), have dyslipidemia (8.8% vs. 23.3%, p = 0.019).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esion complexity, and stent length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otal CAC score was 389.3±458.3 in group I and 371.2±500.8 in group II (p = 0.185).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CAC score in the culprit vessel, left main stem,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eft circumflex artery, and right coronary artery.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left main stem disease (OR = 168.0, 95% CI = 7.83-3,604.3, p = 0.001), male sex (OR = 36.5, 95% CI = 5.89-2,226.9, p = 0.0001), and the presence of diabetes (OR = 2.62, 95% CI = 1.071-6.450, p = 0.035)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ISR after DES implant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DES implantation for significant coronary stenosis on MDCT, ISR was associated with left main stem disease, male sex, and the presence of diabetes. However, CAC score by MDCT was not a predictor of ISR in this study population.

      • KCI등재

        심장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관상동맥 죽상경화반의 분류

        최재성(Jae-Sung Choi),한재복(Jae-Bok Han),최남길(Nam-kil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0

        관상동맥 죽상경화반(atheromatous plaque)의 진단에 있어 혈관내초음파(Intravascular Ultrasound: IVUS)와 비교하여 심장전산화단층촬영(Cardiac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CCTA)의 진단 정확도를 알아보고, IVUS에서 발견된 죽상경화반의 성상을 CCTA에서 전산화단층촬영 수치(Hounsfield Unit: HU)로 구하고자 하였다. 2006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으로 확진 되었거나 CAD가 의심스러운 환자들 중 CCTA를 시행하여 죽상경화반을 발견하고 추후 IVUS를 시행한 2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CTA후 IVUS를 시행한 200명의 환자에서 476개의 죽상경화반이 발견되었으며, CCTA에서는 460개의 죽상경화반이 발견되었다. IVUS의 결과는 soft plaque(n; 84), fibrous plaque(n; 63), mixed plaque(n; 97), calcific plaque(n; 232)이었다. 이 결과에 따라 IVUS에서 분류된 죽상경화반의 HU는 soft plaque : 53.8±10.5, fibrous plaque : 108.1±20.0, mixed plaque : 371.2±113.1, 그리고 calcific plaque : 731.0±160.4 이었으며, CCTA에서 민감도와 신뢰구간은 97%, 95.0-98.3이었다. CCTA를 이용한 관상동맥 죽상경화반의 진단을 위한 이번 연구에서 IVUS와 비교하여 높은 민감도와 신뢰구간을 확인할 수 있었고, IVUS 결과를 기준으로 CCTA에서 분석한 HU를 통해 죽상경화반의 성상을 구분할 수 있어 CAD 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atheromatous plaque, Cardiac computed tomography (Cardiac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CCTA) compared with IVUS(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investigate the diagnostic accuracy, Interested in CCTA atheromatous plaque in computed tomography values (Hounsfield Unit: HU) try to find out. From April 2006 to August 2008 among coronary artery disease(Coronary Artery Disease: CAD) patients with confirmed or suspicious of CAD by CCTA performed atherosclerotic plaques and found 200 patients who underwent IVUS were enrolled. 200 patients who underwent CCTA and IVUS results from the 476 plaque was found, IVUS results of the soft plaque(n; 84), fibrous plaque(n; 63), mixed plaque (n; 97), calcific plaque(n; 232). The resul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VUS plaque in HU in the soft plaque : 53.8 ± 10.5, fibrous plaque : 108.1 ± 20.0, mixed plaque : 371.2 ± 113.1, and calcific plaque : 731.0 ± 160.4. CCTA had sensitivity of 97% and confidence interval of 95.0-98.3. This study that is the diagnosis of coronary atheromatous plaque for using CCTA, we confirm the high sensitivity and the confidence interval Based on IVUS results CCTA atheromatous plaque with HU in the analysis could be classified to characteriz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D is expected to hel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