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찰문제의 재구조화를 활용한 문제발견 검사로서의 K-RAT(Korean-Restructuring Test)개발 및 타당화

        한윤영(Yun Young Han),송인섭(In Sub S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4

        이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문제발견 측정방법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문제발견과 통찰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대안적인 문제발견 검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Wakefield(1989)의 문제발견이 통찰적 사고로 설명될 수 있다는 가설적 모형을 근거로, Gick과 Lockhart(1995)의 통찰문제 분류체계의 개념접근 문제로 대표되는 개념적 표상변환의 재구조화가 문제발견 측정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확인된 개념적 표상변환의 재구조화를 Mednick(1962)의 RAT 문항형식으로 구체화시켜 문제발견을 측정하는 48개 문항의 K-RAT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K-RAT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충남에 거주하는 대학생 512명, 219명을 대상으로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각각 검증하였다. 수렴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K-RAT와 Gick과 Lockhart(1995)의 개념접근 문체분류를 적용하여 이 연구에서 경험적으로 분류된 언어통찰문제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상관(r=451, p<.01)을 보여 K-RAT가 문제발견의 대안적 측정방법으로 제기된 개념적 표상변환의 재구조화를 타당하게 측정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K-RAT의 변별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통찰문제와는 분명히 구분되는 분석문제를 준거통제변인으로 설정하고, K-RAT와 분석문제의 공통변량인 수렴적 사고를 통제한 상태에서의 융통성, 결정지능, 유동지능에 대한 예측력을 확인해본 결과, 결정지능에 대해서는 K-RAT와 분석문제 각각이 β=.141(p<.05), β=.257(p<.01), 유동지능에 대해서는 K-RAT와 분석문제 각각이 β=.161(p<.05), β=.183(p<.01)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냈다. 융통성에 대해서는 K-RAT가 β=.407(p<.01)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분석문제는 β=.084(p=.209)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RAT가 분석문제해결과는 구별되는 확산적 사고인 융통성의 독특한 예측변인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문제와는 구분되는 통찰문제로서의 변별타당도를 확인해주는 결과였다. This study started with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roblem finding in creative problem solving, raised problem on limitation of problem finding measu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o validate an alternative problem finding test based on new translation about relation between a problem finding and insight. This study suggested that problem finding measurement can be substituted for insight problem`s restructuring, based on Wakefield(1989)`s assumptive model which insightful thinking calls for problem finding, Items type of alternative Korean-Restructuring Association Test(K-RAT) as problem finding test was patterned after items in the Remote Association Test(RAT) developed by Mednick(1962). For validity of K-RAT including 48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convergent validity.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r=.451) between RAR and verbal insight problem classified with conceptual access of presentation problem in this study. The result of concurrent validity test showed that K-RAT was a valid instrument to predict the insightful thinking to measure restructuring of conceptual representation change. To verify discriminant validity of K-RAT,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the hypothesis the divergent thinking would be uniquely associated with insight problem solving, K-RAT but not non-insight problem solving, analytic problem solving. K-RAT and analytic problem solving were used as a predictor, to control for their shared variable. Linear regression showed that K-RAT was a unique predictor of divergent thinking(β=.407), but analytic problem solving was not. In contrast, both analytic problem and K-RAT predicted fluid intelligence and verbal intelligence.

      • KCI등재

        차세대 영재기업인의 핵심역량과 창업의향, 기업가 정체성의 잠재성장 모형 분석차세대 영재기업인의 핵심역량과 창업의향, 기업가 정체성의 잠재성장 모형 분석

        한윤영(Yun-Young Han),성은현(Eun-Hyu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22 영재와 영재교육 Vol.21 No.2

        이 연구는 차세대영재기업인의 고유특성 및 특성간 변화양상을 설명할 수 있는 모형 검증을 통해 영재기업인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 영재기업인교육원과 K 영재기업인교육원의 582명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수집한 종단연구 세 시점의 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 1차는 교육원 입학한 직후, 2차는 2년 동안 수료한 시점, 3차는 교육원 수료 후 고교 졸업 직전의 자료를 사용하여 차세대영재기업인의 핵심역량과 창업의향, 기업가 정체성의 변화양상 및 변인 간의 관계를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차세대영재기업인의 핵심역량과 기업가 정체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창업의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세대영재기업인의 핵심역량의 변화가 증가할수록 창업의향과 기업가 정체성도 증가하여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차세대영재기업인 핵심역량 증가속도가 커질 때 창업의향의 하락속도를 늦추게 하는 결과로 차세대영재기업인의 핵심역량은 창업의향과 기업가 정체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영재기업인 교육의 중단기 효과성을 확인하고, 이후의 차세대영재기업인을 대상으로 한 역량중심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next-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through model verification that can expl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next-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and the rel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ree time points in the longitudinal study collected from 2015 to 2020 were used targeting 582 students of the P Gifted Entrepreneur Education Center and K Gifted Entrepreneur Education Center. The first one is right after entering the education center, the second is the time of completion of two years, and the third is the data right before high school graduation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 center to reveal changes in the next-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core competencie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ntrepreneurial ident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e looked at it through growth model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core competencies of gifted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ial identity were found to increase, but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were found to decrease from the 1st to the 3rd time. Second, as the changes i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gifted entrepreneurs increased, the changes i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dentity also increased, which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his is because when the growth rate of the core competency of gifted entrepreneur increases, the rate of decline in entrepreneurial intentions slows dow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competency of the gifted entrepreneur is a major variable that positively affects both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gifted entrepreneurs and suggest that they can be used as meaningful basic data to design education programs for gifted entrepreneurs.

      • KCI등재

        (비)전문가평정 발명 창의성 산출물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윤영(Yun-Young Ha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9 영재와 영재교육 Vol.18 No.1

        이 연구는 창의성의 영역특수적 입장에서 발명 창의성이 무엇이고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과학, 기술(공학) 분야에서 창의적 산출물로서의 발명 창의성의 개념을 규정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차원 및 항목이 무엇인지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근거로 발명 창의성의 4차원의 가설적 요인구조를 도출하고, 발명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차원별 평가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공학계열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창의적 산출물(쥐덫)에 대한 평정에 대해서 그 평정자간 신뢰도 및 가설적 요인구조를 충족시키는 (비)전문가평정 발명 창의성 척도를 경험적으로 타당화하였다. 2차에 걸친 내용타당도, 평정자간 신뢰도, 탐색 적, 확인적 요인분석에 걸친 타당도 분석을 통해 나타난 발명 창의성 산출물 평가항목은 4 차원(효과성, 정교성, 신기성, 혁신성)으로 도출되었으며, ‘효과성’ 차원에서는 유용성, 안전성, 작동성, 논리성, 적절성을 평가하는 5개 항목이, ‘정교성’ 차원에서는 우아함, 매력 도, 완성도, 종합성을 평가하는 4개 항목이, 신기성 차원에서는 진단, 처방, 예진, 확장, 재정의, 방향수정, 재창시, 변화가능성을 평가하는 8개 항목이, 혁신성 차원에서는 토대, 발전가능성, 비전을 평가하는 3개 항목으로 총 20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발명 창의성은 실제 관찰할 수 있는 산출물이 새로우면서도 기능적 유용성과 사회적 효과성을 가질 때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차별화된 특성을 포함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발명 창의성 개념화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발명 창의성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has begun on the question of what creativity is and how it can be assessed in the specific aspect of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ncept of inventive creativity as a creative product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engineering) and to derive dimensions and items to evaluate it. In this study, hypothesized factor structure of four dimensions of inventive creativity was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validity of content items was verified by experts in the field of invention. In addition,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response of the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as secured, and the non-expert rating inventiveness scale which satisfies the hypothetical factor structure was empirically validated. Four dimension(effectiveness, elaboration, novelty, innovation) derived from inventive creativity product evaluation items revealed through construct validity using two content validity, inter-rater reliabilit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pecifically, there are five items that evaluate usefulness, safety, operability, logical and appropriateness in the dimension of effectiveness, four items that evaluate glacefulness, elegance, completeness, and synthesis in the dimension of elaboration, In the Innovation dimension, there are 3 items that assess the foundation, developmental potential, and vision, and a total of 20 items are evaluated. An item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ventive creativity can identify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ppreciated when the product that is actually observed is new but has functional usefulness and social effective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 basis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inventive creativity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invention creativity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영재기업인의 성장발달 기록 및 관리를 위한 커리어포트폴리오의 구성요목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윤영(Han, Yun-Young),박승민(Park, Seung-Min),김인정(Kim, I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영재기업인들의 청소년기 때부터의 성장과 발달의 전반을 스스로 성찰, 인식, 기록, 관리하도록 돕기 위한 커리어포트폴리오의 구성요목을 탐색하고 시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질적 내용분석을 통한 커리어포트폴리오의 구성요목 항목 도출, 그리고 이 항목들에 대한 관련 전문가 평정의 두 파트로 진행되었다. 먼저, 카이스트와 포스텍에서 운영 중인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원을 청소년기에 수료하고 실제 창업활동 중인 20대 청년들을 대상으로 청소년기부터 현재까지 자신의 창업 및 기업 활동과 관련된 경험 및 성장발달에 중요한 요소에 대한 인터뷰를 수행하고,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구성요목과 관련된 항목들을 범주화 하였다. 그 다음으로, 유목화된 항목들을 영재기업인 교육원의 전문가, 진로교육 및 상담전문가, 관련 분야 교수, 대학 경력개발센터의 오랜 경력 교직원 등 평정 패널을 대상으로 앞서 도출된 항목들에 대한 평정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영재기업인 커리어포트폴리오의 최종 시안의 중요 요목은 18개 항목(학생 인적사항, 보호자 인적사항, 발명관련 수상 경력, 학습경험, 발명관련 특별활동상황, 발명관련 자격증 경력, 특허 경험, 기업 활동경험, 사업화 실적, 진로희망사항, 인생 가치관, 인생 목표, 목표 실행계획, 혁신 경험, 도전과 좌절 경험, 좌절 극복 경험, 중요한 만남, 멘토 및 교사의 영재성 관찰 및 종합 의견)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영재기업인 커리어포트폴리오 개발의 의의와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ain components of the career portfolio to help gifted entrepreneurs reflect, recognize, record, and manage their entire growth and development status on their ow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parts: the development of the categories for the career portfolio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nd the expert evaluation on these categories. First, the researchers interviewed graduates in twenties, who completed the next-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 training programs operated by KAIST and POSTECH. Based on the interview, 1st draft categories of the career portfolio were developed. Next, the researchers asked the panel (including faculty members of the institute and university,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experts, etc.) to evaluate these categories. Finally, the 18 main categories were confirmed as final components of gifted entrepreneur’s career portfolio; personal information of students and parents, awards winning career, learning experience, special activities related to invention, license/patent acquisition, entrepreneur experience, business working, career planning, values, life goals, goal achievement plan, innovation experience, challenge/frustration experience, important encounters, mentor/teachers general opin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developing the career portfolio for gifted entrepreneu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창의적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능력 탐색

        한윤영(Han Yu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문제발견에 기여하는 인지능력변인에서의 개인차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문제발견을 측정하는 재구조화를 포함한 통찰문제와 비통찰문제 수행을 변별할 수 있는 인지능력변인을 예측변인으로 회귀분석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수렴적 사고(유동지능, 결정지능), 확산적 사고(융통성) 변인들이 통찰문제를 독립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산적 사고(융통성) 변인이 통찰문제를 비통찰문제와 변별하는 인지능력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잘 정의되지 않은 통찰문제 분류 및 문제발견에 기여하는 개인차 인지능력 연구에 유용할 것이다. This study studied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ve ability variables that contributed to problem finding,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eative problem solving. To this end, this study verified the regression analysis of cognitive ability variables that can discriminate insight and non-insight problem solving, including restructuring to measure problem finding. As a result, convergent thinking(fluid intelligence, crystalized intelligence) and divergent thinking(flexibility) variables predicted the insight problem independently. Divergent thinking(flexibility) variables were found to be cognitive ability variables that discriminate insight and non-insight problems. These findings may be useful for the study of cognitive abilities that contribute to ill-defined insight problem classification and problem finding.

      • KCI등재

        차세대영재기업인의 창업동기, 기업가 핵심역량과 창업의지에 대한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권재기(Jae-Ki Kwon),한윤영(Yun-Young Han) 한국영재교육학회 2021 영재와 영재교육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IP 영재기업인교육원을 경험한 차세대영재기업인을 대상으로 창업동기, 기업인핵심역량과 창업의지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위해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실시한 차세대영재기업인 종단연구자료 중 1차년도(교육원입학직전), 2차년도(교육원 재학중), 3차년도(교육원 수료 후)까지의 종단 데이터를활용하여 자기회기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차세대영재기업인의 창업동기, 기업가 핵심역량, 창업의지는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변인 모두 자기회귀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영향력이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차지연 효과에서 이전 시점의 창업동기는 이후의기업가 핵심역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전 시점의 기업가 핵심역량은이후 시점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교차지연계수의크기를 비교했을 때, 기업가 핵심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이 창업동기가 기업가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업교육을 통한 증진된 기업가역량은 창업에 대한 동기를 가진 영재기업인들의 창업의지을 증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실질적인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게 하는 초기 창업동기의 매개에 창업교육을 통한 기업가역량 증진의 경험적 결과는 창업교육의 정책적 지원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motivation, core competency of entrepreneurs,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next-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who have experienced the IP Education Center for Gifted Entrepreneurs. For this purpose, longitudinal data from the 1st year (just before entering the education center), the 2nd year (while attending the education center), and the 3rd year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 center) were used among the data on the longitudinal study of the next 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conducted by the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 motivation, entrepreneurs core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next-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all reliably predict positive effects over time. All three variables showed a greater influence over time in autoregression. Second, in the cross-lagged effect, the entrepreneurial motivation at the previous tim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 s core competency thereafter, and the previous time s entrepreneurial core competency had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that affecte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will at the later time. When the magnitude of the cross-lagged coefficient was compa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core competen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greater tha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core competency on entrepreneurial core competency. These results show that entrepreneurship enhanced through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hances the entrepreneurial will of gifted entrepreneurs who have the motivation to start a business. This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competencies that entrepreneurs should have in the medium of initial start-up motivation that can lead to actual start-up.

      • KCI등재

        진로적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이병임(Byung Lim Lee),한윤영(Yun Young Han),하주현(Ju Hyun Hah)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고등학교와 대학교 학생들의 진로와 직업에 관련된 인지적 특성(기본 정신 능력)과 정의적 특성(활동, 능력, 성격, 가치, 직업선호도)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진로적성 검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예비검사의 경우 인지능력검사는 고등학생 224명, 대학생이 221명으로 총 445명, 선호도 검사는 고등학생 222명, 대학생 254명 총 476명 이였다. 본 검사의 경우, 인지능력 검사는 고등학생 333명, 대학생 169명, 선호도검사는 고등학생 527명, 대학생 561명이었다. 인지능력검사는 추리, 공간지각, 기억, 언어이해, 수리, 지각속도, 단어유창성 7가지의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문항을 개발하였고, 선호도 검사는 활동, 능력, 성격, 가치, 직업선호도 5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Holland의 RIASEC 유형으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는 인지능력검사150문항, 선호도검사 409개 문항으로 되어있으나, 검사 실시 후 정답률이 90%이상이거나 10%미만인 문항과 신뢰도 계수가 낮은 문항은 삭제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별된 본 검사문항은 인지능력 검사가 67문항, 선호도 검사가 180문항이었다. 인지능력 검사의 문항 내적 합치도는 7개 하위영역이 .463~.766범위로 나타났고, 반분신뢰도는 .443~.693 범위로 나타났다. 선호도 검사의 문항 내적 합치도는 .499~.823의 범위였고 반분신뢰도는 .481~.822 범위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다. 인지능력 검사와 선호도 검사의 요인분석 결과 거의 모든 문항이 원래의 문항에 부하되었으며, 상호상관결과 상관행렬 간에 유의하나 높지 않은 상관을 보여 하위요인 간에 상호중첩성이 크지 않게 나타났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two dimensional career aptitude scale: cognitive ability and attitude. As subjects of preliminary test, 445 students to measure the cognitive ability and 476 students to measure the attitude were tested. As the cognitive ability factors, reasoning, space perception, memory, verbal comprehension, numeric factor, perceptual speed, word fluency were obtained. As the attitude factors, RIASEC Reality, Investigation, artistic, socal, enterprise, conventional were obtained. The preliminary test for the cognitive ability of Career Aptitude Scale consists of 150 items. The test for cognitive ability of Career Aptitude Scale consists of 67 items. The preliminary test for the attitude of Career Aptitude Scale consists of 409 items. The test for the attitude of Career Aptitude Scale consists of 180 it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test for cognitive ability, cronbach α coefficients ranged from .463~ to .766. In the test for attitude cronbach α coefficients ranged from .499~to .823. Construct validity was supported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validation were supported form inter-correlation.

      • KCI등재

        청소년기 여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 내·외적 동기, 학업성적, 창의성의 관계

        성은현(Eun-Hyun Sung),한윤영(Yun-Young Han),이정규(Jeong-kyu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23 영재와 영재교육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여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가정환경과 내·외적 동기, 창의적 인성, 창의적 산출물, 학업성적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여학생 145명(평균 연령: 14.98세)을 대상으로 창의적 가정환경검사와 창의적 인성검사, 창의적 산출물 검사, 내·외적 동기검사를 실시하고, 학업성적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4.0 프로그램과 AMOS 26.0을 사용하여 적률상관분석과 경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가정환경은 내적동기,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적동기는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창의적 산출물은 성적,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학업성적은 창의적 가정환경, 내적동기, 외적동기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경로모형 분석결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내적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내적동기가 창의적 인성에 정적 영향을 주고 다시 창의적 인성이 창의적 산출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의적 가정환경이 내적동기와 창의적 인성의 이중매개를 거쳐 창의적 산출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즉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질문을 많이 하고, 책과 흥미로운 자극을 제공하는 창의적 가정환경이 자녀의 내적동기 유발과 창의적 인성 형성을 통해 창의적 산출물을 만든다고 할 수 있다. 그 외에 변인 간 상관 결과와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product, and academic performance targeting female adolescents. To this end,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test, creative personality test, creative product test, and internal/external motivation test were conducted on 145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academic grades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the SPSS 24.0 program and AMOS 26.0 were used to conduc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mode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creative home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Second, intrinsic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produc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creative personality. Third, Academic performan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reative home environ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Fourth, the creative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nal motivation, and the internal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personality, which in turn had an effect on creative product.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진로탐색 검사의 구조모형 타당화 연구

        송인섭(Song In sub),한윤영(Han Yun Yo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2

          본 연구는 중학생용 진로탐색 검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관련 문헌과 기존에 개발된 진로검사의 구성요인을 검토하여 자아개념, 진로성숙, 직업인성, 직업선호 4가지 구성요인을 진로탐색의 구성요인으로 가정하였다. 378개의 예비검사 문항을 161명의 중학생들에게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378문항을 246개로 축소하여 본검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검사에는 158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확인적 타당화 과정에 의해 3개 문항이 삭제되고 최종 243문항으로 이루어진 중학생용 진로탐색 검사가 개발되었다. 진로탐색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통해 진로탐색의 위계구조를 확인하였다. 경쟁모형들의 적합도 지수를 통해 진로탐색에 대한 최적모형을 평가해 본 결과, 상대적합도 지수인 NFI, TLI, CFI 가 .90이상으로 잘 부합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RMSEA를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2단계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경험적으로 증명되어 진로탐색 구인의 이론적 구조가 위계적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차타당화를 통해서 모형의 일반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ons to develop career exploration scale for Korea middle-school students and to 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As to research the constructed factors, which to develop career exploration scale we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inventories, then defined the concept of career exploration and the theological constructive factors. The were included in 4 components of self-concept, career maturity, vocational character, vocational preference for career exploration accordingly in 26 sub-components. 191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through 378 items at pilot test. Based on factor analysis, 378 items was reduced into 246 items which were selected to final test items. 1587 students were conducted final test.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3 item was deleted, finally the test of career exploration scale for Korean middle students, which on consisted 243 items, Through analyzing validations of career exploration structure model, we confirmed hypothetical structure of career exploration and branch structure of psychological career exploration.<BR>  As a result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AMOS), we confirmed 2nd order construct model of career exploration was the gest adequate through the indices of best fit(TLE, NFI, CFI>.90, RMSEA=.112). In addition, generalizability of this model was confirmed through cross-validation testing which showed that this model was fitted in a corss-validation samples.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창의성 발현 및 저해 요인에 관한 암묵적 생각

        성은현(Eun Hyun Sung),한윤영(Yun Young Ha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발휘 정도와 창의성 발현 및 저해 요인에 대한 생각을 비교하여 국가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1210명, 미국 대학생 514명, 총 1724명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은 미국 대학생들에 비해 스스로 창의성을 덜 발휘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 모두 창의성 발현 요인으로 성격 특성을, 저해 요인으로 주입식 위주의 정형화된 교육방식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이것이 두 국가에서 창의성 교육을 위해 초점을 두어야할 이슈임을 시사하였다. 셋째, 한국 대학생들은 대학 입시위주의 교육과 자신감 결여와 같은 자신의 문제, 개성이 인정되지 않는 사회분위기를 창의성 저해 요인으로 많이 응답하여 입시교육 대책마련, 자신감 향상을 위한 노력, 창의적 사회분위기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반면 미국 대학생들은 경제적인 문제를 창의성 저해 요인으로 많이 응답하여 국가 간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과 미국 학생들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각 국가에 맞는 대책을 준비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are the components promoting or hampering creativity developm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in Korea (1210) and the US (514).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college students think themselves less creative than the US students while the US students think themselves more creative than Korean students. Second, Both the Korean and the US students consider that personality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for promoting creativity development while cramming education is the worst component for it. From these results, it follows that creativity development education need to pay attention particularly to those two components in both countries. Third, the Korean students consider that educational system focusing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ome personal problems such as a lack of self-confidence, and the conventional society are the most hampering components for creativity development, while the US students consider financial difficulties as the most hampering 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reativity hampering components differ between countries and thus each country needs to introduce proper measures for creativity development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