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경화사족의 학예(學藝) 취향과 만명사조(晩明思潮)

        한영규 ( Young Gyu Han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 Vol.0 No.48

        명나라 말기는 중국사상사와 문예사에서 매우 특기할 만한 시기이다. 현대 중국의 미학자 成復旺은 중국의 사상 조류를 유가·도가·불가·굴원으로 나누고 여기에 다시 晩明思潮를 포함시켜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張法은 굴원을 유가에 포함시키고 불교를 도가에 귀속시키면서, 중국의 사상을 유가·도가·만명사조의 세 줄기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만명사조에 대한 새로운 관심은 한국한문학 연구에서도 확인된다. 최근 조선후기 한문학과 명말 公安派와의 관계성에 주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관점을 보다 확장시켜, 만명사조가 19세기 조선의 학예에 어떻게 이해되고 수용되고 있었는지를 탐색하였다. 『세설신어』는 위진 시기에 출현했지만, 만명 문예가 특별히 부각시키고 재해석을 시도한 문헌으로서 만명사조의 先聲이라 할 만하다. 진계유는 이탁오·원굉도·탕현조·서위·풍몽룡 등과 함께 명말사조를 대표하는 문인이었다. 『세설신어』와 진계유의 저술이라는 두 지표어를 중심으로 탐색한 결과, 홍석주·홍길주·이유원·정원용 같은 19세기 경화사족과 장혼·조희룡·이규경 등 경화사족 문화권의 문인들이 만명사조를 매우 다양한 각도에서 소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명사조는 허균·신흠 이래, 18세기의 박지원·이옥 그리고 19세기의 홍길주·조희룡을 거쳐 20세기 초의 황현에 이르기까지 조선후기를 관통하며 학술·문예 방면에서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조선후기의 학예 지형도에서 만명사조는 청대 고증학이나 西學에 비견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였다. 소품문에 반대했던 정조의 사망, 그리고 서학을 금압한 세도정치기의 조건 속에서 19세기 경화사족은 진계유유형의 만명사조를 매우 심도 있게 수용하고, 향유하였다. The late Ming Dynasty is a very remarkable period in the history of Chinese thoughts and arts and sciences. Contemporary Chinese aesthetician Cheng Fu-wang divided the streams of Chinese thoughts into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and Qu Yuan, and added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as another stream, identifying five mainstreams. Including Qu Yuan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aoism, Chang Fa viewed Chinese thoughts as three lines, namely, Confucianism, Taoism and the thoughts in the late Ming Dynasty. New interests in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are found also in research on Chinese literature in Korea. Recent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actively on the relation between Chinese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Gongan School in the late Ming Dynasty. Expanding the viewpoint further,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houghts in the late Ming Dynasty were understood and received in Korean arts and sciences during the 19th century. Shishuoshinyu appeared in the period of Wei-Jin, but was spotlighted and reinterpreted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and is considered the prelude of thoughts in the late Ming Dynasty. Along with Lee Tak-oh, Won Goeing-do, Tang Hyeon-jo, Seo Wi, Pung Mong-ryong, etc., Jin Gye-yu is a literary man representing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From the results of search using two keywords ``Shishuoshinyu`` and ``Jin Gye-yu`s writings,`` we found that noble families in Seoul in the 19th century such as Hong Seok-ju, Hong Gil-ju, Lee Yu-won and Jeong Won-yong, and literati like Jang Hon, Jo Hee-ryong and Lee Gyu-gyeong who associated with such families digested the thoughtsof the late Ming Dynasty from a large variety of angles.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penetrated through the late Chosun Dynasty from Heo Gyun and Shin Heum to Park Ji-won and Lee Ok in the 18th century, Hong Gil-ju and Jo Hee-ryong in the 19th century, and Hwang Hy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influenced their arts and sciences. In the arts and sciences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were important elements comparable with evidential studies and Western learning in the Qing Dynasty. During the 19th century characterized by the death of King Jeongjo who opposed So-pum-mun(miscellaneous writings) and the suppression of Western learning under Sedo politics (politics dominated by a few influential clans), noble families in Seoul received and enjoyed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like Jin Gye-yu`s very deeply.

      • KCI등재

        19세기 여항 문단과 의관(醫官) 홍현보(洪顯普)

        한영규 ( Young Gyu Han ) 東方漢文學會 2009 東方漢文學 Vol.0 No.38

        이 글은 추사파 중인층 가운데 醫官 洪顯普(1815~1896 이후)를 특별히 주목하고, 새로 알려진 그의 『海初詩稿』와 『海初文稿』를 통해 19세기 여항 문단에서 그가 차지하는 위상을 탐색하였다. 홍현보는 의관이면서 동시에 19세기의 유력한 여항 문인으로 독특한 이력을 지닌 중인이었다. 그는 기술직 중인을 대대로 세습하던 가문의 후예로 젊은 시절 추사 문하에 입문하여, 추사와 기거를 같이 하며 주치의이자 記室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완당척독』을 읽고 쓴 글에서 그가 추사의 학예에 대해 정확한 식견을 표명할 수 있었던 것은 일상을 공유하며 추사의 훈도를 받은 결과였다. 홍현보는 추사에 이어 당대 천문·역산 분야의 석학 남병철 형제와 긴밀하게 교유하였다. 그는 문한에 대한 소양과 학식을 인정받아, 남병길 명의의 서문을 대신 짓기도 하였다. 홍현보는 여항 시집을 편집하는 등 여항의 문화의 현양에도 큰 기여하였다. 그가 관심을 기울인 부분은 출판과 정리를 통해 여항문화를 제도적으로 공인시키는 일이었다. 홍현보는 온건하고 균형있는 시각으로 이전의 여항 문화를 평가하였다. 이런 균형감은 의과로 발신한 이래 내의·어의를 거쳐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여 지위나 관품이 높았던 그의 현실적 처지의 투영이기도 하였다. 홍현보를 "추사 문하의 제일인"이라 칭한 김석준의 평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그럴만한 근거를 지녔다. 특히 홍현보가 추사와 추사의 제자이기도 한 남병철 형제를 왕래하며, 당대의 세 거장을 연이어 시종한 일은 이상적·조희룡 등에게 볼 수 없는 독특한 이력이었다. 홍현보는 19세기 중인층과 경화세족이 관계맺는 특별한 사례를 보여주었다. The middle class grew and their social and cultural status was enhanced in the 19th century and, as a result, a very clos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etween the middle class and the gentry class living in Seoul. Chusa Kim Jeong-hee w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maintained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iddle class. Paying attention to Medical Officer Hong Hyeon-bo (1815~1896) among middle class people in the Chusa School, this study analyzed Haechosigo and Haechomungo Hong Hyeon-bo`s garlands found recen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Hong Hyeon-bo`s garlands, he was Chusa`s student, attending physician and clerk who dwelled at Chusa`s house when he was young. Consequently, Hong Hyeon-bo had more accurate knowledge of Chusa`s character and academic tendency than anyone else. After his association with Kim Jeong-hee, Hong Hyeon-bo worked as the family clerk of the Nam family from Euiryeong, attending on Nam Byeong-cheol and writing on behalf of Nam Byeong-gil. Hong Hyeon-bo also played the role of a mediator between the gentry class living in Seoul and the middle class by making efforts to collect and publish middle class people`s literary achievements. For these reasons, Hong Hyeon-bo is considered "Number one among Chusa`s disciples."

      • KCI등재

        남병철(南秉哲) 회인시(懷人詩) 연구

        한영규 ( Young Gyu Ha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南秉哲(1817~1863)은 경화세족 출신의 고관이면서 동시에 정약용, 박규수, 최한기와 함께 19세기를 대표하는 실학자로 손꼽힌다. 그는 천문과 역산 분야에 독보적인 식견을 탁월한 과학 저술을 남겼고, 종래의 화이론적 세계관에 속박되지 않는 지평에서 서양과학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남병철은 문과에 급제한 이후 26세 때까지 외가의 별서 玉壺精舍에서 열린 白蓮社 모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열정적으로 시를 지었다. 이러한 시사 활동을 통해 그는 당색·계층·적서·장유의 경계에 구애되지 않고 당대의 명사들과 광범하게 교유할 수 있었다. 이는 그의 외조부 김조순 대부터 이어져 온 경화세족의 문화이기도 하였다. 이 시기 남병철은 "경세제민과 무관한 글은 지을 것이 못된다"라는 顧炎武의 견해에 공감하여, 시 창작을 폐하고 士로서의 사명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는데, 그 전환의 시점은 1842년 여름 무렵으로 추정된다. 남병철의 회인시는 이러한 전환이 일어나기 직전에 창작된 것으로 공경, 사대부로부터 서얼, 중인층 등 다양한 인물들이 망라되어 있어 시로 쓴 당대 명사의 인물지라는 성격을 지녔다. 특히 김정희파의 속하는 중인층과 정약용가의 인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특색이었다. 남병철은 회인시에서 대상 인물과 맺은 감회를 표현하는 데 목적을 두지 않고, 명사들의 빼어난 점을 품평하는 `論詩`의 방식을 취하였다. 남병철은 긍정적이며 여유로운 태도로 명사들의 인격미를 淡雅하게 그려냈는바, 그 결과 서얼층과 중인층의 경우 불우한 측면이 약화되고 명사로의 풍모가 주로 부각되었다. 남병철은 청조 학예에서 계발 받은 학식을 기반으로, 그 정곡에 해당하는 비유를 찾아내어 인물을 품평한 결과, 19세기 조선 명사의 인격미를 고양시키고 한층 넓은 지평에서 해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즉 학적 지식에 기반한 인물 품평이었다. 이 점 19세기의 다른 회인시에 견주어 남병철 시가 지닌 중요한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Nam Byeong-cheol was a high official from an influential family in Seoul, and is counted as a realist representing the 19th century together with Jeong Yak-yong, Park Gyu-su and Choi Han-gi. He had matchless knowledge of astronomy and almanac, and left scientific writings such as Chubosokhae, and recognized the West and Western science objectively from the horizon not bound to the traditional world view of the Sino-barbarian theory. The present study explored Nam Byeong-cheol as a poet,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he was absorbed in poets` club activities and poem writing during his 20s before he began his life as a realist and a scientist. Since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until 1842, Nam Byeong-cheol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Baekryeonsa meeting at Okhojeongsa, a villa of his mother`s family, and wrote poems enthusiastically. Through the poets` club activities, he associated with prominent figures in those days regardless of political party, class, legitimacy, and age. The 32 longing poems analyzed intensively in this paper were the products of these associations, and they are descriptions of prominent figures in those days written in poetic form. From the position of emphasizing the aesthetics of literature and arts, he captured human images of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official literati, poets, painters, doctors, astronomers, and annotators. Different from traditional longing poems expressing feelings between the poet and the subject of the poem, Nam Byeong-cheol`s poems have the characteristic of `discourse poem,` appreciating prominent figures` excellences. That is, they tried to comment individual figures` characteristics through suggestive expression. Nam Byeong-cheol described prominent figures plainly in a positive and serious attitude. As a result, the unfortunate aspect of concubines` children and middle-class people was weakened, and the features of prominent figures were spotlighted. Particularly based on his extensive knowledge, Nam Byeong-cheol compared the subject figures with famous people in China, and through this, he elevated the personal beauty of prominent figures in the Chosun Dynasty to the highest horizon. That is, based on new knowledge and sense that he acquired from the science and art of the Qing Dynasty, he appreciated the diverse personal beauties of prominent figure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김택영의 초기 기행시집 『호령건연록(湖嶺巾衍錄)』 연구

        한영규 ( Han Young-gyu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9

        이 글에서는 새로 알려진 김택영의 초기 기행시집 『湖嶺巾衍錄』(1878)을 상세히 소개하고, 이 시집에만 실려있는 창강의 새로운 시를 중심으로 그 시적 특성을 살폈다. 이 시집에는 총 77제 96수의 시가 실렸는데, 이 가운데 「邊山遇金岩」 등 27제 35수의시는 다른 곳에 수록되지 않았던 것으로,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시편들이다. 이 시집에 실린 시들은 크게 세 가지의 특성을 지녔다. 첫째, 창강은 삼남 지역의 이름난 역사 유적을 직접 찾아가 대면하고 그 정회를 시에 담았는데, 유적의 위용 앞에서 자신의 처지를 되돌아보며 스스로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표출했다. 이러한 감정은 그의 내면에 功業이나 명망을 얻고자 하는 강한 열망을 지니고 있다는 반증으로 해석된다. 둘째, 여행지의 고독감 속에서 그는 명망 있는 師友들을 떠올리거나 직접 방문하여 그리운 마음을 기탄없이 없이 표출했다. 자신의 스승 이응진ㆍ김윤식ㆍ서응순을 떠올렸고, 존경하는 선배 이중하ㆍ이상수를 직접 찾아가 자신의 속마음을 적극적으로 표출했다. 특히 유배 간 이건창을 그리워하는 시를 수차례 지으면서, 그와의 만남이 단절된 것을 가슴아파하였다. 즉 이 시기 창강은 이들 사우와의 인간적 관계에 절대적 의의를 부여하고, 사우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는 절박감을 강렬하게 표현하였다. 셋째, 삼남여정에서 견문한 바의 鄕風土俗과 민간의 언어를 적극 수용하여 참신한 시로 창작하였다. 그 결과, 삼남 지방의 풍속ㆍ전설ㆍ속담 등을 활용한 토속성 짙은 여러 시편이 산출되었다. 이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창강 시의 새로운 모습이다. This paper is a detailed analysis of Kim Taek-young's newly known collection of poems, Horyunggeonyeonrok(湖嶺巾衍錄, 1878). The collection contains 96 poems, 35 of which were not included elsewhere, and are newly known. In other words, poems, which account for one-third of the total number of poems, have been newly known to us. This collection of poems is valuable in that it shows the original manuscript of 29-year-old Kim Taek-young. This collection of poems is a collection of travel poems that express their feelings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or 60 days. Several poems, such as "Listen to the Goose(聞雁)", which are one of his representative works, were created intensively during this journey. Thus, 1878 was a time when passion for poetry and ability as a poet reached its peak. The poems in this collection have three main characteristics. First, he visited historic site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aptured their appreciation in the poem, in which he expressed his self-reflection by looking back on his situation. Second, he thought of a famous senior and friend in the solitude of a travel destination, or visited in person to express his longing without hesitation. Third, the local customs and civil language experienc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actively accepted and expressed in fresh language. These three points are a new aspect of his poem, which has not been known.

      • KCI등재

        식민지시기 한문문장가 계보의 일단

        한영규(Han, Young-gyu)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3 No.-

        식민지근대 문명이 내면화되면서 한학과 한문학은 타자화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에 창작된 한시, 한문문장은 여전히 문학사와 연구자의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식민지근대 내부에서 여전히 자기의 생존공간을 지닌 채 활발히 한문문장을 산출하는 문사가 존재했다. 이 논문은 1920년대 후반 무렵 편집된 『五家文抄』라는 선집을 발굴 소개하고 그 특징적 면모를 기술한 것이다. 이 선집의 가장 큰 특징은 편자 변영만의 문장 취향을 私的인 층위에서 계보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변영만의 스승 이남규의 節義的 성향의 산문이 다수 선발되고, 편자 자신의 문장과 후배 성순영의 글이 중심적으로 편제되었다. 金澤榮의 『麗韓九家文抄』가 고려.조선의 왕조 시대를 통관하는 一國的 층위의 체계적 문장 선집이라면, 『오가문초』는 근대적 규범이 내면화되는 시기에 출현한 개인 취향의 문장 선집이라는 성격을 지녔다. 『오가문초』에 실린 문장들은 모두 식민지근대 문명을 비판하거나 보이콧의 자세를 견지한 인물의 글이라는 점에서, 이 선집은 이 시기 한문문장가의 근대 대응의 면모를 보여준다. 특히 가장 많은 편수가 실린 변영만의 글은 한문문장가의 근대 대응 양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는 墨子를 새롭게 해석함으로서 儒家의 아비투스를 해체하려 하였고, <共産論>이라는 글을 통해 共生的 사회에 대한 성찰을 시도하였다. 또한 <勿協說> <書感示友>와 같은 문장으로 근대를 비판하고 새로운 문명 대안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요컨대 『오가문초』는 지조와 절의의 자세를 부각시키고 근대 문명을 비판적으로 성찰했다는 점에서 식민지 시기 한문문장 선집으로서의 뚜렷한 정체성과 의의를 지녔다. With the internalization of the colonial modern civilization, Chinese classics and Chinese literature were otherized. As a result, Chinese poems and texts created during that period still remain in the outside of literature history and researchers' interest. Even in the modern times under the colonial rule, however, there were writers who maintained their own space of survival and creating Chinese texts.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and introduce an anthology entitled Ogamuncho compiled around the late 1920s and to describe its characteristics. When and who compiled Ogamuncho are unknown, but it is believed to have been compiled by Byeon Yeong-man (1889∼1954) in the late 1920s. This collection includes 60 Chinese writings by Lee Nam-gyu (1855∼1907), Lee Yeon-gyu (1882∼1949), Byeon Yeong-man, Cho Geung-seop (1873∼1933), and Seong Soon-yeong (1896∼1970).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is anthology is the genealogy of compiler Byeon Yeong-man's writing style built based on his personal lineage. As a result, many of works in the collection are from Byeon Yeong-man's teacher Lee Namgyu, and a large portion are also the writings of his and his student Seong Soonyeong. If Kim Taek-yeong's Yeohangugamuncho is a systematic literary anthology of national lineage penetrating through the dynasties of Koryo and Chosun, Ogamuncho is a writing collection reflecting personal tastes that emerged during the period when modern norms were being internalized. All the writers included in Ogamuncho assumed the position of criticizing or boycotting the colonial modern civilization, and in this sense, the anthology shows an aspect of how Chinese writers in those days responded to modernism. In particular, Byeon Yeong-man's writings, which are largest in number, demonstrate clearly the pattern of Chinese writers' coping with modernism. He dismantled Confucian habitus by interpreting Micius in a new way, and attempted reflection on symbiotic society through a writing entitled Gongsanron. What is more, he criticized modernism and looked for new alternative civilization through articles such as Mulhyeopseol and Seogamsiu. In brief, Ogamuncho has a distinct identity and meaning as a Chinese writing anthology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that it emphasized the attitude of fidelity and constancy and reflected on modern civilization critically.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이후 인물지의 여성 기록 편성 방식 : 『震閥彙攷續編』을 중심으로

        한영규(Han, Young-gyu)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4 No.-

        이 글은 1854년 편찬된 『호산외기』부터 『이향견문록』 『진벌휘고속편』 『일사유사』를 거쳐 1918년의 『東廂記纂』까지를 대상으로 삼아, 여성 인물이 어떤 기준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편성되었는지를 탐색해 본 것이다. 즉 조선왕조의 해체와 근대전환의 시대를 맞이하여 어떠한 여성상이 인물지에 호명되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진휘속고』의 통합 재편성본으로 새로 알려진 『진벌휘고속편』의 여성 기록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논의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호산외기』 이래 시인・역관・화가를 핵심으로 한 중인층 인물에 대한 관심이 크게 부상하여 『일사유사』에 이르기까지 주요 흐름을 이루었으나, 『진벌휘고속편』은 중인층 기록을 수용하면서도 통사적 시야에서 상층・서얼・기층・하층민을 두루 포섭하여 계층통합적 시야에서 여성 인물 편성을 시도하였다. 둘째, 『이향견문록』 등 중인층 주도의 인물 집성은 유가 이념에 비교적 유연한 입장을 취했으나, 여성 인물의 경우 여전히 열녀 이외의 여성상을 구성하지 못한 채 『일사유사』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진벌휘고속편』은 효열절의 가치를 상대화시키고 다양한 성향의 여성을 신분・직임에 따라 편성하는 脫儒家的 경향성을 드러냈다. 특히 妖巫 등 부정적인 인물을 수용하여 여러 유형의 여성상을 구성한 것은 매우 새로운 시도였다. 셋째, 『이향견문록』은 야담 속의 非歷史的 여성 인물을 인용하여 그 善行의 교화성을 드러내려 한데 비하여, 『진벌휘고속편』은 야담 속 여성 이야기의 奇譚的 흥미성을 포용하는 편성 방식을 취했다. 이는 전통적 인물지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인물 구성 방식이었다. 『진벌휘고속편』의 편찬시기가 1870년대 이후 언제인지 확정할 수는 없지만, 『동상기찬』(1918)에서 『진벌휘고속편』에 실린 진취적 여성을 다수 호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벌휘고속편』의 편성 의도가 근대전환기의 백두용에게 일정 부분 승계 수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how female characters are edited and published by what standards, in the pages of figures compil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process, women s records of the newly known Jin Beol Hwi Go Sokpyeon(『震閥彙攷續編』) were analyzed in more detail.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main points. First, the existing magazine had expressed a great interest in the middle-class people. However, Jin Beol Hwi Go Sokpyeon included the upper class, commoner, and commoner in a hierarchical and integrated perspective. Second, the existing collection of figures did not go beyond the Confucian ideology. However, Jin Beol Hwi Go Sokpyeon was not bound by Confucian ideology. Rather, it contains a variety of women from a perspective that transcends Confucianism. Including various types of characters, especially negative female characters, was a very new attempt. Third, the previous collection of characters tried to give lessons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story of Yadam. Instead, Jin Beol Hwi Go Sokpyeon collected more interesting female stories than lessons. This was a new way of editing that was not seen in traditional character collections.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한문과(漢文科)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의 내용(內容) 분석(分析)과 적용(適用) 방안(方案) 모색(摸索) ; 기조(基調) 발표(發表) : 이학규의 「성시전도시(城市全圖詩)」창작 배경과 그 특성

        한영규 ( Young Gyu Han ),정은주 ( Eun Joo Ju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본고는 1810년 유배지에서 지은 李學逵의 「城市全圖詩」가 현전하는 다른 8종의 「성시전도시」와는 그 성격을 크게 달리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장편시의 창작 배경과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학규는 규장각에 출입하며 「성시전도」와 관련된 전고와 사실을 익히 알고 있었으며, 또한 화가 김홍도와 교유하고 명청의 화론서에 식견이 풍부하였으므로, 「성시전도시」창작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었다. 특히 평소 친분이 있었던 박제가의 「성시전도시」를 보게 된 것이 이 장편시창작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이학규의 「성시전도시」는 크게 보아 전반부의 서울 도성의 사실적 묘사와 후반부의 자기고백적 悲歌로 구분된다. 그는 이 시의 후반부에서 현실을 상상으로 이상화시켜 이해하거나 과거의 고향을 회상함으로써, 불우한 문인의 정신적 고뇌와 우수의 정감을 망상과 상상의 방식으로 해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학규는 관각문장의 성향이 굳어져 그 표현의 길이 극히 제한된 「성시전도시」양식을 차용하여, 거기에 자기고백적 서정성을 담아내는 새로운 성취를 이루었다. 이 점에서 이학규의 「성시전도시」는 박제가·신택권의 시와 동일한 층위에 놓일 수 없는 보다 고유한 영역을 확보했다고 평가된다. The poetry for Seongsijeondo was written by the civil ministers working at Gyujanggak in 1792, according to the command of King Jeongjo. At that time, Lee Hak-kyu was involved in the editing of the 『Gyujangjeonwun(奎章全韻)』 while access to the Gyujanggak. In addition to his sentence Jeongjo been recognized name in the world widely announced. Because of these facts, Lee Hak-kyu likely also saw the painting of Seongsijeondo. He was well versed on the picture. Actually he has commented on a picture of someone and read the books of painting related. Lee Hak-kyu`s poetry for Seongsijeondo was creative in exile. This is another creative writers of poetry are different from those made in Hanyang(Seoul). Drawn in the figure of the painting of Seongsijeondo, acted as a mediator reminds him home. He expressed the appearance and customs of Hanyang(Seoul)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nd his exile customers as screening was projected. Because the painting of Seongsijeondo was acting as a driver to look reminds him of his home and family lived in exile previous. As in the case of Lee Hak-kyu, the poetry for Seongsijeondo actively exposed his inner case is very rare. This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poetry for Seongsijeondo.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근대문학과 "번역/번안"의 문제 ; 20세기 전반기, 이언진 문학의 호명 양상

        한영규 ( Young Gyu Han ) 반교어문학회 2011 泮橋語文硏究 Vol.0 No.31

        이 논문은 근대전환기에 과거의 한문전통이 어떻게 평가되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우선 18세기 시인 이언진에 주목하였다. 이언진은 18세기 중인문학이 산출한 대표적 작가이고, 19세기에는 이상적·김석준 등의 역관이 그의 문학을 계승하고 재평가하려는 시도가 왕성하였다. 또한 최근 들어 이언진 시의 독창성이 현재적 시각에서 새롭게 해석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근대전환기에 이언진을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는 지금까지 공백으로 남아 있었다. 이언진의 작품은 20세기 전반기에 두 가지 층위에서 호명되었다. 우선, 근대 계몽기 신문·잡지에서 이언진의 시가 수차례 호명된 사례가 확인된다. 『황성신문』 『대한협회회보』 『서북학회월보』의 편집자는 이언진의 시를 소개하면서, 그가 통신사의 일원으로 일본에서 쓴 시를 선발하였다. 이언진이 18세기 일본에서 문명(文名)을 떨친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일본의 식민 지배를 목전에 둔 시점에서 근대계몽의 시선으로 그의 시를 호명한 것이다. 다음으로, 1910년대에 최남선에 의해 이언진의 작품이 주요 민족 고전의 하나로 호명되었다. 최남선은 이언진의 『송목관집』을 조선광문회를 통해 출판을 시도하였고, 또한 『청춘』에 이언진의 시를 게재하는 한편 『시문독본』에서 이언진의 척독을 특별히 부각시켰다. 그러나 최남선은 식민지라는 현실 조건으로 인해 이언진 호명에서 매우 현실적인 자세를 취하기도 하였다. 그는 『청춘』에 박지원의 「방격각 외전」을 모두 번역해 게재하면서도, 이언진의 전기인 「우상전」의 번역·게재는 끝내 실현시키지 못하였다. 그것은 박지원의 「우상전」에 이언진이 18세기 일본을 폄하하는 시가 여러 편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문전통의 근대적 호명 양상은 매우 다층적으로 면모를 보였으나, 거시적으로 보아 문예적 성향에서 차츰 학문적 성향을 중시하는 쪽으로 그 축이 이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근대계몽기에 다양하게 호명되던 한문전통은 1910년대 이후 전범성이 강화되는 경향을 띠었다. This study explored Lee Eon-jin, a poet in the 18th century,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past tradition of Chinese literature was evaluat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modern times. Lee Eon-jin is a representative writer of the middle-class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and there were many efforts to inherit and reevaluate his literature by interpreters such as Lee Sang-jeok and Kim Seok-joon in the 19th century. Recently, moreover, Park Hee-byeong reinterpreted the originality of Lee Eon-jin`s poetry from a contemporary viewpoint.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how Lee Eon-jin was understood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In the early 20th century, Lee Eon-jin`s works were citied largely in two groups. First, Lee Eon-jin`s poems were cited several tim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introducing Lee Eon-jin`s poetry, the editors of Hwangseong Sinmun,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sociation and The Monthly Bulletin of the Seobuk Academic Society selected poems that he wrote in Japan as a member of a delegation. They spotlighted Lee Eon-jin who won win literary fame in Japan in the 18th century, and cited his poems from the viewpoint of modern enlightenment at the time having Japanese colonial rule ahead. Next, Lee Eon-jin`s works were cited by Choi Nam-seon in the 1910s as a core of national classics. Choi Nam-seon attempted to publish Lee Eon-jin`s Songmokgwanjip through Chosun Gwangmunhoe. He inserted Lee Eon-jin`s poems in The Youth, and brought Lee Eon-jin`s epistolary literature into relief. In the colonized situation, however, Choi Nam-seon showed a limitation in citing Lee Eon-jin. He translated the whole of Park Ji-won`s Banggyeonggak Ojeon and published it in The Youth, but failed to translate and publish Lee Eon-jin`s biography Usangjeon. It is probably because Park Ji-won`s Usangjeon contained a number of Lee Eon-jin`s poems despising Japan in the 18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