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우의 Transferrin 형 및 Slow - α2 Globulin 형에 관한 연구

        한상기 ( Sang Ki Han ) 한국축산학회 1982 한국축산학회지 Vol.24 No.6

        Transferrin types from 586 and Sα₂-globulin from 814 korean cattle were investigated by starch gel electrophoresis. 1) Transferrin types were as follows: 55 of T_f AA type, 42 of T_f D₁D₁ type, 53 of T_f D₂D₂ type, 14 of T_f EE type 90 of AD₁ type, 85 of T_f AA type, 65 of T_f AE type, 68 of T_f D₁D₂ type, 50 of T_f D₁E type, 64 of T_f D₂E type. The gene frequencies were T_f^A=0.293, T_f^(D1)=0.250, T_f^(D2)=0.268, T_f^E=0.189. 2) A Slow-α₂ globulin type in korean cattle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starch gel electrophoresis. A new variant of cattle slow-α₂ globulin, called Sα₂ B was recognized. Sα₂ βlocated ahead Sα₂ A was found in 1 out of 814 korean cattle.

      • KCI등재

        자연주의와 규범성 문제

        한상기 ( Sang Ki Han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7 No.-

        1969년 콰인(W. V. Quine)의 “자연화된 인식론”(Epistemology Naturalized)이 나온 이래 인식론에서 자연주의는 하나의 커다란 흐름을 형성해왔다. 그렇지만 자연주의는 많은 지지자나 동조자가 있는 반면에 비판자들 역시 만만치 않게 있다. 자연주의에 대해 제기되는 비판들 중에서도 가장 많이 거론되는 비판은 이른바 “규범성 반론” 이다. 누가 뭐라고 해도 인식론의 본질적 성격은 규범성을 갖는다는 것인데, 자연주의 자들이 천거하는 자연화된 인식론에서는 이 규범성이 제거되거나 변질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비판자들은 “자연화된 인식론”에서 인식론을 “심리학의 한 장”으로 만들고, 나아가 과학의 한 분과로 만들자고 주장한 콰인의 제안을 규범적 인식론을 버리자는 제안으로 간주하고, 콰인 식의 자연화된 인식론이 진정한 인식론이 아니라고 간주한다. 반면에 자연주의자들은 대체로 이러한 비판을 부정한다. 그들은 전통적 인식론을 버리고 자연화된 인식론을 추구해도 그 인식론이 본성상 매우 규범적일 수 있으며, 그래서 인식론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자연주의에 대한 이 규범성 반론과 관련하여 자연주의적 인식론에서 규범성이 어떻게 되는지를 살피려 한다. 그래서 필자는 먼저 자연주의가 여전히 규범적 기획으로 수행될 수 있는지, 아니면 전통적 인식론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단지 기술적 기획에 지나지 않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그런 다음 새로운 무대에서도 여전히 자연화된 인식론이 규범적일 수 있다는 콰인의 주장을 소개하고, 콰인의 의미에서의 규범성이 어떤 것인지 음미한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자연화된 인식론의 “규범성”이 전통적 인식론의 규범성과는 다른 의미의 도구적 규범성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필자는 자연화된 인식론이 설령 규범성을 갖는다 할지라도, 그 규범성은 제한된 의미를 갖거나, 위장된 경험적 진술의 성격을 띤다고 주장함으로써 비판할 것이다. Since W. V. Quine’s 1969 essay “Epistemology Naturalized”, naturalism has formed a big trend or wave in epistemology. However, there are critics as many as advocates of naturalistic approach to epistemology.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ons raised against naturalism is called “the normativity objection.” According to this objection, naturalized epistemology cannot account for essential character of epistemology. So, it is often accused of ruling out the normative element, so characteristic of epistemology. Critics maintain that naturalized epistemology is an impossible project since epistemology is a normative discipline, and a scientific discipline cannot be normative. They treat Quine’s proposal to make epistemology a “chapter of psychology” as a proposal for abandoning normative epistemology. Therefore, they conclude that naturalized epistemology is not genuine epistemology. On the contrary, naturalists deny that naturalized is not genuine epistemology. They maintain that naturalized epistemology can preserve the normative characteristic of epistemology, and so it does not abandon epistemology.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at becomes of normativity in naturalized epistemology. I investigate whether naturalism can be pursued as normative project, or it is a merely descriptive project. Then, I introduce Quine’s assertion that naturalized epistemology still can be normative in new settings, and examine what becomes this normativity in Quine’s sense. I maintain that “normativity” in naturalized epistemology is different from normativity in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point out that naturalized epistemology has a instrumental normativity. Finally, I conclude that even if naturalized epistemology has a kind of normativity, it has a limited sense, or a characteristic of disguised empirical statements.

      • KCI등재

        “두 번째 독단”과 콰인의 전체론적 검증주의

        한상기(Han, Sang-Ki)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콰인의 고전적 논문 “경험주의의 두 가지 독단”은 20세기 분석철학의 역사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고 가장 영향력 있는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콰인은 논리 실증주의의 주요 신조 두 가지, 즉 분석-종합 구별 및 환원주의를 “독단”으로 규정하고 공격함으로써 논리 실증주의를 결정적으로 논박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른바 두 가지 독단 중 사람들의 주의를 많이 끈 것은 분석-종합 구별, 즉 “첫 번째 독단”이었다. 이는 콰인이 그 논문의 대부분을 분석-종합 구별에 대한 공격에 할애했던 데다가 “두 번째 독단”, 즉 환원주의의 독단은 다소 대수롭지 않게 다룬 탓이 컸다. 그는 두 번째 독단에 비해 첫 번째 독단을 다루는 데 거의 세 배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그 뒤 일반적으로 이 문제를 다룬 이차 문헌들도 일차 문헌이 한 대로 따라 해왔던 것이다. 이 논문은 두 가지 독단 중 이른바 “두 번째 독단”에 대한 콰인의 논의와 그의 새로운 대안적 견해를 집중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그 동안 콰인의 “경험주의의 두 가지 독단”에 대한 논의가 주로 첫 번째 독단에 집중해왔던 상황에서 이 논문은 두 번째 독단 및 콰인의 새로운 철학적 시각이 더 중요하다고 간주하고, 이 부분과 관련된 콰인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 일을 위해서는 먼저 그의 논문의 전체적인 일반적 구조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런 다음 콰인이 비판하고자 했던 논리 실증주의자들의 견해, 특히 그 중에서도 카르납의 인식적 견해를 간단히 살펴본다. 그러고 나서 두 번째 독단에 대한 콰인의 논의와 전체론적 검증주의에 대한 그의 제안이 과연 카르납의 인식적 견해에 대한 진정한 공격이 되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W. V. O. Quine’s classical paper “Two Dogmas of Empiricism” is the most widely read, cited, reprinted article in the history of twentieth century analytic philosophy. In his paper Quine states and rejects two doctrines of logical positivists, viz., belief in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and reductionism as dogmas. As a result, Quine’s attack on two dogmas have had effects as both starting-point of the collapse of logical positivism and turning-point toward new outlook of philosophy. Among the so-called “two dogmas”, many philosophers have concentrated on the first dogma. Quine spoke of two dogmas, but the second gets rather short shrift. In fact Quine spends over three times as much space on the first dogma, viz., that there is an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as he does on the second dogma, viz., reductionism. Since then, the secondary literature generally has followed suit. However, I believe the second dogma is, if anything, the more important. So, I concentrate on the second dogma and his new philosophical outlook. In order to this, I need to summarize the general structure of his paper. Then, I examine logical positivist’s views, in particular Carnap’s views that Quine sought to criticize. I offer Quine’s discussions about the second dogma and his holistic verificationism, and examines possible interpretations about his conclusions. In any case, I argue that his arguments against the second dogma and for his new philosophical outlook was not justified by rational arguments and cogent argumentation.

      • KCI등재

        덕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한상기(Han, Sang-ki)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2 No.-

        현대 인식론에서는 최근 약 30여 년 전부터 덕 인식론에 대한 관심이 부쩍 일어났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소수 몇몇 연구자를 제외하면 “덕인식론”이라는 이름 자체가 생소한 경우가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일차적으로 덕 인식론이 태동한 지가 얼마 안 되었다는 것이 한 가지 이유일 것이다. 그래서 그 동안 우리 학계에는 덕 인식론이 본격적으로 소개될 기회가 별로 없었다. 게다가 “덕 인식론”이라는 이름 자체가 주는 생경함 또한 한몫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덕”이라는 개념은 주로 윤리나 도덕과 관련된 맥락에서 사용되는 개념이어서 많은 사람이 “덕 윤리학”은 들어보았을지 몰라도 “덕”과 “인식론”을 조합한 “덕 인식론”이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낯설고 생소하다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우리 사회에 덕 인식론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덕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덕 인식론은 전통적인 분석적 인식론과 어떻게 다른가? 덕 인식론에서 덕의 본성은 무엇인가? 덕 인식론의 이점은 무엇이고, 과제는 무엇이며, 전망은 어떠한가? 이런 물음들을 중심으로 필자는 덕 인식론의 등장 배경, 덕 인식론과 전통적 인식론의 차이 및 둘 사이의 관계, 덕의 본성, 현재 펼쳐지고 있는 덕 인식론의 주요 이론들을 간단히 개관함으로써 덕 인식론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In the 1980s, traditional analytic epistemology was abuzz with proposed solutions to the Gettier problem, responses to skepticism, newly minted objections to a variety of internalist and externalist theories of justification, and enthusiastic criticisms of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Debates over competing analyses of knowledge and justification raged. Since then, virtue epistemology has become a diverse and increasingly well-established field. I think that most researchers in Korea will feel the name “virtue epistemology” itself as strange or unfamiliar. It is primarily because virtue epistemology has a brief history. So, virtue epistemology did not present many opportunities for its introduction to Korean researchers. Another reason is that the name of“ virtue epistemology” itself has a strangeness or unfamiliarity. Since the concept of “virtue” has mainly been used in moral or ethical contexts, virtue ethics is very familiar to most people. In contrast, the name of “virtue epistemology”, combining “virtue” with “epistemology”, is strange to many people. This paper primarily aims to introduce virtue epistemology in our philosophical society. What is it? How is virtue epistemology different from traditional analytic epistemology? What is the nature of virtues in virtue epistemology? What are the advantages, urgent tasks, and prospects of virtue epistemology? Focusing on these questions, I seek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to the rise of virtue epistemology,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 between virtue epistemology and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the nature of virtue and the main theories in virtue epistemology.

      • KCI등재

        직관과 분석철학의 방법론

        한상기(Han, Sang-ki)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7 No.-

        그동안 분석철학을 어떤 단일 특징으로 규정하려는 시도들은 실패를 거듭해왔다. 모든 분석철학자만이 공유하는 실질적인 철학적 견해나 방법은 사실상 없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분석철학을 하나로 통합하는 단일 특징을 찾기란 매우 어려운 일인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1970년대 이후 “직관”을 분석철학의 방법으로 간주하는 분위기가 점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비록 분석철학에서 이의 없이 시인되는 분석철학만의 방법에 관해 언급하는 사람은 없어졌지만, 최근의 분석철학자들에게서는 철학이론을 전개할 때 직관에 대해 호소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졌다. 이들은 전통적인 개념적 분석, 반성적 평형, 사고실험 등을 통한 철학 활동에 “직관”이 바탕에 깔려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급기야 직관에 대한 호소는 전체적으로 오늘날 현대 분석철학의 특성을 이룬다고 할 정도로 상당히 공통적인 것 같은 인상을 준다. 그렇지만 직관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를 가진 철학자들도 있다. 그중에서도 카펠렌(H. Cappelen)은 직관에 대한 의존이 철학의 본질적 특성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대표적 철학자이다. 그는 철학자들이 그들의 논증에서 증거의 원천으로 직관에 의존하는 것처럼 보이는 광범한 사례들을 검토하고, 최초의 겉모습과 반대로 그들이 적절하게 ‘직관’이라고 불릴 수 있는것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그는 철학에서 직관은 실제로는 증거로서 사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이 논문은 직관에 대한 카펠렌의 회의적 주장을 논박하고, 철학적 방법의 부분으로서의 직관 개념을 검토해보고 옹호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카펠렌의 회의적 논증을 살피기 전에 먼저 많은 분석철학자가 직관 사용의 범형으로 간주하는 사례 중 하나(게티어 사례)를 통해 직관이 철학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그런 다음 카펠렌의 회의적 주장들과 그 근거들을 제시한 다음, 그 논증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직관에 대한 대안의 설명을 통해 철학자들이 실제로 증거로서 직관에 의존한다고 생각할 이유를 제시하면서 철학에서 직관이 하는 역할을 옹호한다. Until now, attempts to characterize analytic philosophy as a single feature have repeatedly failed. There seems to be virtually no philosophical views or methods shared by all analytic philosophers. Therefore, it seems very difficult, or even impossible, to find a single feature that unifies analytic philosophy. However, after the 1970s, the atmosphere that considers “intuition” as a method of analytic philosophy began to appear more and more prominently. Although no one mentioned the proper method of analytic philosophy, which is endorsed without objection in analytic philosophy, recent analytic philosophers have quite a lot of cases appealing to intuition when developing philosophical theory. They seem to think that philosophical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conceptual analysis, reflective equilibrium, and thought experiments are based on “intuition.” Eventually, the appeal to intuition yields the impression that it is quite common enough to say that it constitut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as a whole. However, some philosophers have expressed skeptical views of intuition. Among them, H.Cappelen is a leading philosopher who argues that dependence on intuition is not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philosophy. He examined a wide range of cases in which philosophers seemed to rely on intuition as a source of evidence in their arguments, and argued that contrary to the original appearance, they did not rely on what could adequately be called “intuition.” So he has argued that intuition in philosophy is not actually used as evidence. This paper attempts to refute Cappelen’s skepticism about intuition, examine and defend the concept of intuition as part of philosophical method. But before we look at Cappellen’s skeptical arguments, I will first explain how intuition is used in philosophy through one of the examples (the Gettier case) that many analytic philosophers regard as the paradigm case of the use of intuition and a breakthrough in analytic philosophy. It then presents Capellen’s skeptical arguments and their rationale, and then reviews the argument. Finally, through an alternative explanation to intuition, it advocates the role of intuition in philosophy by presenting reasons that philosophers think they actually depend on intuition as evidence.

      • KCI등재

        분석철학과 역사배격증

        한상기(Han, Sang-Ki)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5 No.3

        분석철학은 오랫동안 철학사와 불편한 관계를 형성해왔다. 분석철학자들은 종종 철학사를 경멸하거나 무시한다. 분석철학자들은 흔히 철학과 철학사를 구별하고, 진정한 철학을 하는 데에는 철학사가 필요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철학사가 관점에서 볼 때 분석철학은 철학사에 종속적인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분석철학은 그 자체가 역사적 전통인데, 이 전통은 그저 어쩌다 지금 지배적 전통이 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철학사가 관점에서 보면, 분석철학도 철학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 논문은 분석철학과 철학사의 이른바 이러한 긴장이 가짜임을 밝히고, 철학사가 분석철학을 하는 데 유용한 도구일 수 있으며, 분석철학도 철학사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 전에 역사배격증이라는 비난을 초래한 분석철학의 일반적 분위기를 살피고, 역사배격의 근거로 작용한 논증들을 살핀다. 그런 다음 철학과 철학사의 관계에 대한 역사주의자들의 견해를 소개하는데, 글로크(H.-J. Glock)에 따르면, 이 역사주의는 세 가지 유형, 즉 본래적 역사주의, 도구적 역사주의, 약한 역사주의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글로크는 본래적 역사주의와 도구적 역사주의를 거부하고, 약한 역사주의를 제시한다. 필자는 본래적 역사주의와 도구적 역사주의에 대한 글로크의 비판을 승인하지만, 그의 약한 역사주의 보다는 좀 더 강한 형태의 역사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실제적 차원에서 철학을 하는 데 철학사가 반드시 필요하며, 분석철학과 철학사의 관계도 대립이나 긴장이라기보다는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Analytic philosophy has had an uneasy relationship with history of philosophy throughout its life. Some analytic philosophers often either scorn or simply ignore history of philosophy. They often distinguish philosophy from history of philosophy, and then maintain that we can do substantial philosophy without studying history of philosoph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istorian of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analytic philosophy might be seen as subordinate to history of philosophy. Analytic philosophy is itself an historical tradition, which just happens to be dominant now. So according to him, analytic philosophy depends on history of philosophy. This paper uncovers that an alleged tension analytic between history of philosophy is spurious. I argue that history of philosophy can be an useful instrument for analytic philosophy, and analytic philosophy can contribute to history of philosophy. Before to do those things, however, I examine general tendencies of analytic philosophy which have brought the charge of historiophobia, and consider arguments for nonhistorical attitude of analytic philosophers respectively. I use the term ‘historicism’ for any position which promotes historical thinking in philosophy and warns against ignoring the past. According to H. Glock, historicism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viz., intrinsic, instrumental, or weak types. However, he says, both intrinsic and instrumental historicists are wrong, for intrinsic historicism is misguided, and the case for instrumental historicism remains unproven. So he proposes a weak historicism that a study of past is useful to philosophy, without being indispensable. While I am largely convinced by his criticism of the alternative positions he examines, I maintain that his weak historicism seems too weak. Finally, I argue that while it may be possible to pursue philosophy without detailed study of history of philosophy, it is impossible to do philosophy in fact engaging with that history.

      • KCI등재

        구획 문제는 죽었는가?

        한상기(Han, Sang-Ki)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79 No.1

        “구획 문제”는 과학과 사이비과학을 구별하는 일에 대해 칼 포퍼(K. Popper)가 붙인 호칭이다. 이 문제는 그 동안 과학철학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 중 하나로 간주되어왔다. 구획 문제에 대한 전통적 해결책들은 “과학이란 무엇인가?”,“과학에 관해 특별한 것은 무엇인 가?”, “경험적 지식이란 무엇인가?”, “도대체 과학은 왜 중요한가?” 같은 물음들에 답하려는 시도였다. 포퍼는 과학과 사이비과학을 구별하는 구획 기준으로 “반증가능성”을 제시하고, 이 기준을 통해 구획 문제를 해결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오늘날 과학철학에서 우리는 이 문제가 오래 전에 한물갔다는 것을 발견한다. 여러 과학과 과학철학들의 다양성을 감안하면, 적합한 구획 기준, 즉 어떤 것이 과학인지 아닌지, 그리고 과학이라면 그 기준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신빙성 있는 절차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누구도 일치된 의견이 없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1983년 래리 라우든은 구획 문제의 서거를 선언하기까지 했는데, 그 후 라우든의 견해는 과학철학계의 주류 의견으로 번창했던 것처럼 보인다. 급기야 오늘날 과학철학에서 우리는 구획 문제에 대한 논의를 찾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라우든(L. Loudan)에 따르면, 지금까지 제시된 모든 구획 기준은 너무 좁거나 너무 넓은 것으로 판명되어왔다. 따라서 그는 그저 개별적으로 필요조건, 합치면 충분조건이 되는 조건들 집합이 없다고 믿는다 그래서 구획 문제는 죽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구획 문제에 대한 라우든의 견해를 비판하고,그의 “구획 문제의 서거” 선언이 성급하다는 것을 지적하려 한다. 필자는 유해한 사이비문제라는 이유로 구획 문제를 기각시키고, “사이비과학” 같은 용어를 공허한 수사적 표현이라는 이유로 기각시킨 라우든의 결정이 시기상조이자 우리를 오도할 수 있는 조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필자는 설령 지금까지 제안된 구획 기준에 대한 라우든의 진단이 올바르다 할지라도, 우리는 여전히 과학과 사이비과학을 구획할 이유가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더 나아가 필자는 구획 문제에 대한 피글리우치(M. Pigliucci)의 견해를 소개함으로써 라우든의 진단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구획 방식이 가능하다고 지적할 것이다. “The problem of demarcation” is Karl Popper’s label for the task of distinguishing science from pseudo-science. Most philosophers of science has regarded this problem as the one of central problems in philosophy of science. Traditional solutions to the problem of demarcation have attempted to answer questions like “what is science?”, “what is special about science?”, “what is empirical knowledge?”, “why is scinece important?” etc. Popper thought he had solved the problem of demarcation by way of his criterion of falsifiability. However, we find that the problem of demarcation has long gone out of fashion in today philosophy of science. Given the diversity of the sciences and philosophies of science, it is not surprising that no one agrees on whether there exists an adequate criterion of demarcation, that is, a reliable decision procedure for deciding whether something is a science, and, if so, what that criterion is. In 1983 , Larry Loudan has even announced the demise of the demarcation problem. And this view seems to have made its way into the philosophical mainstream. As a result, it was very difficult to find talks of demarcation in today philosophy of science. According to Loudan, all demarcation criteria proposed by philosophers of science have turned out to be too narrow or too wide. Thus, he believes that there simply is no set of individually necessary and jointly sufficient demarcation criteria; and the problem of demarcation is dead. This paper examines Loudan’s view about the problem of demarcation critically, and I argue that his announcement “the demise of the demarcation problem” is much too premature. Consequently, I argue that, even if his observations about demarcation problem are correct, we have still reasons for distinguishing science from pseudoscience. Finally, I argue that new approaches as a alternative move to Loudan’s view is viable, presenting M Pigliucci’s view about the problem of demarcation.

      • KCI등재

        연군논문 : 토대론 대 정합론 논쟁과 직접적 정당화

        한상기 ( Sang Ki Han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1 No.-

        현대 인식론에서 중요한 논쟁 중 하나는 토대론 대 정합론 논쟁이다. 그렇다면 토대론과 정합론 사이의 핵심 쟁점은 무엇인가? 그것은 직접적이거나, 기초적이거나, 토대적인 종류의 믿음이 있는가 하는 것이다. 직접적 정당화가 있다고 주장하는 대표적 철학자로는 제임스 프라이어(J. Pryor)와 앨빈 골드맨(A. Goldman)을 들 수 있다. 그 중 프라이어는 최근에 기존의 논의를 뛰어넘어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하는 논증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는 보통 토대론을 옹호하는 논증으로 간주되어온 정당화 무한후퇴 논증(infinite regress argument)이 토대론을 옹호하는 최선의 논증이 될 수 없다고 보고,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하여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한다. 하나는 직접적 정당화의 사례를 예로 드는 긍정적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정합론을 옹호하는 주 논증(master argument for coherentism)을 반박하는 부정적 전략이다. 이러한 두 가지 전략을 통해 프라이어는 직접적 정당화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 논문은 우선 왜 무한후퇴 논증이 기존의 통념과 달리 토대론을 옹호하는 최선의 논증이 될 수 없는지 짚고 넘어가려 한다. 그런 다음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하는 프라이어의 긍정적 전략과 부정적 전략을 소개하고, 이 전략을 통한 프라이어의 구체적 논증과 주장을 살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의 견해가 함의하거나 언질을 주는 원리들을 검토함으로써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하는 그의 논증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debates in contemporary epistemology is the debate between foundationalism vs coherentism. What is, then, the central issue between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It is whether a species of justification that is immediate, basic, or foundational. J. Pryor and A. Goldman, and others hold that there is immediate justification. Among others, J. Pryor have developed impressive arguments that there is immediate justification in recent times. According to him, the best argument in its support is not the infinite regress argument, according to which unacceptable alternatives lend support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must be immediate justification. He uses two strategies to establish the conclusion that such justification exists. First, he argues that the best way to defend the existence of immediate justification is to cite examples of such beliefs, such as “I am tired” or “I have a headache.” Secondly, he provides support immediate justification by criticizing what he calls “Master Argument for Coherentism.” And he concludes that there is immediate justification. This paper first considers reasons why the infinite regress argument is not able to be best way to defend foundationalism. And then, I explain Pryor`s two strategies, positive and negative, to establish the view that there must be immediate justification. Finally, I examine principles to which a view like Pryor`s is committed. Each of these principles is, by itself, highly plausible, but they are inconsistent each oth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