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의 탐구 경향 분석 : 영역형 경쟁활동을 중심으로

        하혁(Ha 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의 영역형 경쟁활동 부분의 탐구경향성을 수치화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초등학교 3~4학년군 검정 교과서 총 8종의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탐구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Romey의 교재 분석법의 본문 평가 지수, 그림 및 도표 평가 지수, 절과 장의 끝부분에 있는 질문 평가 지수, 활동 지수를 활용하였다. 결과 평균 본문 평가 지수 값은 0.17이었으며, 0.074~0.43의 범위에 있었다. 본문 평가 지수 값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G교과서(0.43)로 나타났고, F교과서(0.074)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그림 및 도표 평가 지수 값은 1.01이었으며, 0.411~2.166의 범위로 모두 탐구적 성향의 교과서로 나타났다. 그림 및 도표 평가 지수 값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H교과서(2.166)로 나타났고, C교과서(0.411)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절과 장의 끝부분에 있는 질문 평가 지수 값은 3.24이었으며, 1.428~7의 범위에 있었다. 절과 장의 끝부분에 있는 질문 평가 지수 값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E교과서(7)로 나타났고, A교과서와 C교과서(1.428)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활동 지수 값은 0.93이었으며, 0.625~1.179의 범위로 모두 탐구적 성향의 교과서로 나타났다. 활동 지수 값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E교과서(1.179)로 나타났고, H교과서(0.625)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과서의 본문 내용이 운동 기능 습득을 위한 운동 기능의 전달에 다소 편향된 점은 문제점이라고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의 가장 큰 원인은 체육교육의 목적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신체활동 가치 중심’ 교육의 내용이 다소 명확하지 못하다는 점도 연구 결과의 원인으로 유추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gitize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inquiry tendency in the invasion competition activities part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To analyze the inquiry tendency, this study used the text evaluation index, picture/diagram evaluation index, question evaluation index in the end of section and chapter, and activity index of Romey’s textbook analysis method. Results The mean index value of text evaluation was 0.17 in the range of 0.074-0.43. The textbook with the highest index value of text evaluation was Textbook G(0.43) while Textbook F(0.074) was the lowest. The mean index value of picture/diagram evaluation was 1.01 in the range of 0.411~2.166, so they were all shown as the textbooks with inquiry tendency. The textbook with the highest index value of picture/diagram evaluation was Textbook H(2.166) while Textbook C(0.411) was the lowest. The mean index value of question evaluation in the end of section and chapter was 3.24 in the range of 1.428~7. The textbook with the highest index value of question evaluation in the end of section and chapter was Textbook E(7) while Textbook A and Textbook C(1.428) were the lowest. The mean index value of activity was 0.93 in the range of 0.625~1.179, so they were all shown as the textbooks with inquiry tendency. The textbook with the highest index value of activity was Textbook E(1.179) while Textbook H(0.625) was the lowest. Conclusions The text contents of textbooks are a little biased towards the delivery of motor skills for the acquisition of motor skills, which could be a problem. And the biggest cause for this result might be the wrong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physical education. Also, the contents of ‘physical activity value-based’ education presented in the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are not clear, which could be the cause for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중·고등학교 학생선수가 지각한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운동열정의 매개효과 검증

        하혁(Ha 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exercise 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s autonomy support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perceived by student athletes of secondary schools. For thi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95 student athletes of soccer clubs operated in secondary schools in capital area, Seoul and Gyeonggi-do. from June 10th, 2019 to August 15th, 2019. After excluding six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or missing responses from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otal 48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Using the SPSS 21 and AMOS 21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ach’s autonomy support and exercise passion perceived by student athlet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ssion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s autonomy support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perceived by student athlet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indirect effects of exercise passion as a mediated fact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aching the athletic club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sports coaching culture, and also to provide the useful basic data for coaching educational programs.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운동열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9년 6월 10일부터 8월 15일까지 수도권 소재의 중·고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축구부 학생선수 495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한 설문지 중 불성실하거나 결측이 있는 자료 6개를 제외하고, 총 48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했다. 분석을 위해 SPSS 21과 AMO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에서 운동열정으로의 인과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했다. 둘째, 운동열정에서 운동지속의도로의 인과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했다. 셋째, 학생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지의 관계에서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매개요인인 운동열정의 간접효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변화되고 있는 스포츠코칭 문화에 따른 운동부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코치 교육 프로그램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 교과서의 축구 활동 내용 분석

        하혁(Ha 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이 연구는 2015 체육과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초등학교, 중학교 체육 교과서의 영역형 경쟁활동 중 축구 종목 활동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이후 진행될 체육 교과서 집필에 의미있는 실질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체육과 초등학교 3-4학년군 검정 교과서 7종과 중학교 검정 교과서 7종 총 14종의 검정 교과서의 영역형 경쟁활동의 축구 종목 활동에 대한 학습 내용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분석 대상을 이순옥(2006)이 개발한 교과서 분석 방법을 기본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체제, 내용, 교수⋅학습 요소를 분석 준거로 설정하였다. 또한 교과서 내용 분석에 앞서 체육 교과 교수⋅학습 분야와 축구 종목 분야 두 측면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의 내용 구성 형식은 ‘영역형 경쟁 활동의 개괄’, ‘축구형 게임 기능’, ‘축구형 게임 전략’, ‘축구형 게임 수행’, ‘단원 마무리’로 구성되었다. 중학교 체육 교과서의 내용 구성 형식은 ‘영역형 경쟁 활동의 개괄’, ‘축구 종목 특성’, ‘축구 기능’, ‘축구 전략’, ‘축구 경기 수행’, ‘영역형 경쟁 단원 마무리’ 형식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축구 기본 규칙에 대한 설명 등 용어의 선택이나 설명에서 오류가 나타났으며, 특히 운동 기능의 기본자세에 대한 내용 설명 삽화에서 오류가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접체험활동이 제시되고 있었으나 주로 운동 기능 학습에 대한 내용을 제외한 학습 내용에 편중된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 교과서의 학습 내용이 내용의 범위 확장과 같은 계열성은 비교적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체육 교과서 집필의 근간이 되는 상위 문서인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에 그 원인이 있다고 본다. 또한 스포츠 종목의 운동 기능에 대한 내용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해당 스포츠 종목 전문가와의 협업 과정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체육 교과서는 교수⋅학습 활동의 다양성과 균형성이 요구되었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ractical data significant for writing the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soccer activity among the territorial competitive activities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llowing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As the subjects of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total 14 kinds of authorized textbooks including seven kinds of authorized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Grade 3-4 of elementary school and seven kinds of authorized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middle school. The selected subjects of analysis were modified/complemented suitable f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based on the textbook analysis method developed by Lee Sun-Ok(2006). After setting up the standard of analysis,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First, in the form of composition, the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were composed of ‘overview of territorial competitive activities’, ‘functions of soccer-type game’, ‘strategies of soccer-type game’, ‘performance of soccer-type game’, and ‘wrap-up of unit’. The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middle school were composed of ‘overview of territorial competitive activities’, ‘characteristics of soccer event’, ‘functions of soccer’, ‘strategies of soccer’, ‘performance of soccer game’, and ‘wrap-up of territorial competition unit’. Second, there were errors in the selection or explanation of terms like explanation of basic rules of soccer. Third, even though the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were presented, they were mostly biased in learning contents except for the learning contents of exercise function. Conclusions The learning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how the relatively insufficient sequence like the expansion of content scope. There should be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with experts in relevant sport events. Lastly, the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needed the diversity and balance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하혁(Ha Hyuk),박대원(Park Dae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이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을 이해하고, 이후 진행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금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물을 메타분석적인 접근(meta-analytic approach)을 통해 분석하였다. 2015년 9월 이후부터 2020년 6월 현재까지의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2015 체육과 교육과정 연구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3차의 배재과정을 통해 총 37편의 논문을 최종 연구물로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분석에 대한 연구는 총 14편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교육과정 이론 연구 6편(42.86%), 교육과정 영역별 내용분석 연구 7편(50%), 교육과정 개정 논리 및 방안 연구 1편(7.14%)이 확인되었다. 교육과정 실행 및 실태 연구는 총 17편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 운영 실태의 문제점 및 개선점 연구 4편(23.53%), 교육과정에 관한 (예비)교사 연구 7편(41.18%), 수업의 적용 및 재구성 연구 4편(23.53%), 내용의 적정화 연구 2편(11.76%)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는 총 6편으로 확인되었다.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물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체활동 가치, 교과 역량 관계 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이론의 이해를 위한 개념 정립을 요구하였다. 둘째,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을 위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실천적 수준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한 방안 마련을 촉구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trend of researches on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also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es. To achieve such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so far, through the meta-analytic approach. This study targeted the researches on the 2015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September 2015 to June 2020. By going through the 1st~3rd exclusion processes, total 37 theses were determined as the final research data.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total 14 researches on the curriculum analysis. In more detailed results, there were six researches(42.86%) on curriculum theories, seven researches(50%) on the contents analysis of curriculum in each domain, and one research(7.14%) on the logic and measures of curriculum revision. There were total 17 researches on the execution and reality of curriculum. In more detailed results, there were four researches(23.53%) on the problems with the status of management and improvements, seven researches(41.18%) on (pre-service) teachers in relation to the curriculum, four researches(23.53%) on the application and recomposition of classes, and two researches(11.76%) on the optim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Lastly, there were total six researches on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urriculum. In the results of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task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for understanding the theories composing the curriculum such as value of physical activ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 competencies. Second,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discussions for improving the document system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is study urged to establish the measures for safety education in the practical level.

      • KCI등재

        초등 교원양성기관에서 초임 시간강사의 교수 경험에 관한 셀프 연구

        하혁(Ha 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이 연구는 교육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초임 시간강사의 교수 경험이라는 실질적인 맥락 안에서 나타나는 자아의 변화와 성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셀프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자이자 연구 대상인 ‘나’의 교수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수 상황적 맥락에 대한 의미를 이야기로 전개해 나가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 수집은 반성적 일지, 개인적 기억 자료, 온라인 수업 녹화 영상, 강의 계획서, 학생의 강의 평가 등을 통해 질적 자료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 중 연구자의 반성적 일지를 토대로 주제 분석을 실시했다. 이후 개인적 기억 자료나 온라인 수업 녹화 영상 등 보조 자료를 추가하여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세 가지 핵심 범주와 여섯 가지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핵심 범주 ‘수업의 근간이 되는 것들’, ‘수업을 명시하다’, ‘교육전문가로 나아가기’와 이의 하위 범주 ‘경험과 편견’, ‘교육적 신념’, ‘문제상황에 직면’, ‘수업 해체하기’, ‘가르치고, 배우며, 연구하는 시간’, ‘좋은 수업’를 통해 시간강사로서 개인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전개하였다. 결론 ‘나’의 시간강사로서의 교수 경험은 ‘나’ 스스로에 대한 성찰과 ‘수업’에 대한 성찰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나’에 대한 성찰의 과정으로 ‘나’의 과거 경험과 현재의 인식이 수업 활동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수업’에 대한 끊임없는 반성과 실천 그리고 변화는 좋은 수업을 지향하는 교수자로서의 필수적 자질이었으며, 이러한 경험은 교육전문가로서 성장하는 데 밑바탕이 되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s and the growth of a newly appointed part-time instructor in teaching experiences in order to take steps towards education expert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teaching experiences of ‘myself’ as a researcher and research subject was analyzed by using a self-research methodology. To develop the meaning of this teaching context into a story, narrative exploration was performe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used qualitative data through reflective diaries, personal memory data, online class recording videos, syllabus, and student lecture evaluation. Among the collected data,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er s reflective journal. After that,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adding auxiliary data such as personal memory data and online class recording videos.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three core categories and six subcategories were derived. Results Narratives on the personal experiences as a part-time instructor were developed through the core categories of ‘Bases for lectures,’ ‘Specifying the aims of lectures,’ and ‘Taking a step towards education expert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ing experiences of ‘myself’ as a part-time instructor were divided into ‘myself’ reflection and ‘class’ reflection. And the experiences were the basis for growth as an education expert.

      • KCI등재
      • KCI등재

        경쟁활동 가치 중심 체육수업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과정 탐색

        하혁(Hyuk Ha)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2

        이 연구는 예비체육교사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경쟁활동의 가치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경쟁활동의 교육적 유용성을 내면화하는 학습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 체육교육과 ‘축구 실기 및 지도법’ 강좌에 참여한 예비체육교사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0년 9월 1일부터 12월 8일까지 15주 동안 에세이, 심층 면담, 토론 수업, 연구 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강좌를 통해 예비체육교사가 중·고등학교 시절의 경쟁활동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했는지 살펴보았다. 이후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경쟁영역의 의미를 분석하고, 경쟁활동의 교육적 유용성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중심으로 한 경쟁활동을 실천하면서 경쟁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토대로 ‘경쟁활동 경험’, ‘예비체육교사로서 경쟁활동 바라보기’, ‘예비체육교사로서 경쟁활동 가치의 실천’의 범주를 생성하여 분석 및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rning experiences that internalize the educational usefulness of competition activities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e value of competition activities presen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targeting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this, by selecting total thre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course called ‘Football Practical Techniques & Teaching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of K university as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essay, in-depth interview, discussion class, and research journal for 15 weeks from September 1st to December 8th 2020. Through this course, this study examined how thos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ve experienced competition activities in their middle and high schools and have perceived those activities. With the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s of competition domai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and also explored the educational usefulness of competition activities. Lastly, it ws possible to provide the learning experiences that could internalize the educational value of competition activities by practicing competition activities focusing on such educational meanings and value. I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and discussed ‘experiences in competition activities,’ ‘exploration of competition activities as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practice of values in competition activities as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교육적 측면에서 학생선수의 승부근성과 공감능력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하혁(Ha Hyuk),박대원(Park Dae Won),박종률(Park Jong Ry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이 연구는 학생선수가 운동선수로서 강조되는 승부근성 요소와 청소년기 대인관계 및 사회성 함양을 기르기 위해 필수적인 공감능력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를 교육적 측면에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서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수도권의 축구부와 태권도부 중학교 9곳, 고등학교 10곳의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편의표본방식을 통해 404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설문지는 탐색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타당도 검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생선수의 승부근성과 공감능력 및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에서는 성별, 학교급, 종목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선수의 승부근성은 공감능력과 학교생활 적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선수의 공감능력은 학교생활 적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ㆍ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성, 학교급, 종목은 승부근성 및 공감능력,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 부분적으로 관여하였다. 승부근성을 통해 공감능력과 학교생활 적응을 예측할 수 있으며, 공감능력도 학교생활 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생선수나 지도자에게 청소년 시기의 올바른 학교생활과 스포츠 활동에 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학생선수 제도 발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enacity, empathic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ion in educational aspects; tenacity that is an important element for student athletes, empathic ability that is needed to improve social relationship, and their school life adaption. For this study, 404 student athletes of soccer teams and taekwondo teams were randomly sampled from 9 middle schools and 10 high schools located in capital area from May to September in 2016. To ensure validity of the survey, test validity has been condu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carried out with collected questionnaires through SPSS 21 statistic progra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hen the differences in their tenacity, empathic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ion were verified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variables that varied depending on their gender, level of school, and a sport.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student athletes tenacity has partially influenced empathic ability and their school life adaption. Third, empathic ability of student athletes has partly affected school life adaption. In conclusion, gender, level of school, and a spor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have involved in the differences of tenacity, empathic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tudent athletes empathic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ion can be predicted by their tenacity. School life adaption can also be predicted by student athletes empathic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lead desirable directions of school life and sports activities to student athletes and their leaders. Furthermore, it can be useful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 athletes system.

      • KCI등재

        고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성찰일지 활용을 통한 체육전인교육의 함의

        하혁(Ha Hyuk),박대원(Park Dae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글쓰기 활동은 본인의 생각과 경험, 느낌 등을 언어로 표현하는 지적 활동으로 교육적 효과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글쓰기 활동이 체육 교과의 직접 체험 활동인 신체활동을 어떻게 내면화하고, 학습 활동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전인교육 측면에서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심동적 영역에 편중된 체육 수업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교수 활동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도 H시 소재의 C고등학교 1학년 8학급 총 246명 학생 중 2019학년도 2학기(2019년 8월~11월) 동안 체육 수업 경험을 사실적이며 성실하게 작성한 9명의 성찰일지 자료를 의도적 표본추출 하여 최종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다.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움직임 들여다보기’, ‘움직임 발견하기’, ‘감성 자극하기’의 경험이 도출되었고, 종합하여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움직임 들여다보기’ 경험은 본인 그리고 타인의 움직임을 되돌아보며 분석하는 과정이고, ‘움직임 발견하기’ 경험은 자신만의 신체활동 지식의 구성 및 창출의 과정으로 고차원의 인지 경험이며, ‘감성 자극하기’ 경험은 신체활동을 통한 인간적 품성, 태도, 사회성 함양 등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Writing is intellectual activities where one expresses one s thoughts, experiences, and feelings, and it is evaluated as having positive effects on education.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educational meanings of writing regarding how it internalizes physical activities, direct experience activities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 and how it helps learning activities in respect of whole person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lso aims to provide practical teaching activity experiences in order to prevent from psychomotor domain-focused physical education class teachings.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aims, this research used reflection journals written by 246 students in total of eight classes of the first grade students whom the researcher has taught in High School C located in city H, province K, for the second semester of school year 2019 (from August to November, 2019) as research sources. Among those journals, the 9 reflection journals were chosen which were written faithfully and realistically by 9 students as research sources. The analysis of research sources extracted the experiences of observing movement , discovering movement , and stimulating sensitivity , and explored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m. The experience of observing movement is the process in which one reflects one s own movement and others movements; the experience of discovering movement is high-dimensional cognitive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composing and creating one s unique physical activity knowledge based on individual reflection time; the experience of stimulating sensitivity is the process where one cultivates personal character, attitudes, and sociality through physica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