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측 반월상 연골의 방사형 완전 파열 시 섬유성 응괴를 이용한 봉합술

        하정구(Jeong Ku Ha),김진구(Jin Goo Kim),라호종(Ho Jong Ra)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1

        흔하게 발생하는 슬관절 손상 중의 하나인 반월상 연골 파열은 기능적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점차 기능을 보존하는 방향으로 다양한 치료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방사형 완전 파열은 반월상 연골의 원주 테 장력을 소실시키기 때문에 봉합하여 기능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손상부위의 구조적 특성상 치유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외측 반월상 연골의 방사형 완전 파열 손상을 입은 5예의 환자에 대해 섬유성 응괴를 이용한 봉합술을 시행하여 전례에서 양호한 반월상 연골의 치유와 함께 좋은 임상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Meniscus tear is one of the most common knee injuries. The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meniscal function has led to a range of new treatments for meniscal tears. A complete radial tear disrupts the circumferential hoop tension of the meniscus. Therefore, restoring its natural architecture is of utmost importan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hieve meniscal healing of a complete radial tear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 report five cases of a complete radial tear of the lateral meniscus treated successfully using a fibrin clot that showed good meniscal healing and excellent clinical outcomes.

      • 태권도 선수에서 직접적 둔상으로 인해 발생한 장무지신전건의 폐쇄성 파열 - 증례 보고 -

        하정구,문정석,이우천,Ha, Jeong-Ku,Moon, Jeong-Seok,Lee, Woo-Chu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8 No.1

        장무지 신전건의 폐쇄성 파열은 흔하지 않으며 드물게 보고되는 손상이다. 저자들은 연습 중 다른 선수의 정강이에 부딪힌 후 발생한 장무지 신전건 폐쇄성 파열에 대해 보고하려 한다. 환자는 6년 넘게 하루에 6시간 이상씩 연습을 해온 태권도 선수로서 발등의 반복적인 타격으로 인해 장무지 신전건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났던 것으로 추정된다. 수술시에 손상된 건의 양끝은 끌어당겨 봉합할 수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잘려진 건의 원위부를 종축을 따라 반으로 나누어 절반은 파열부 사이의 반흔조직을 이용하여 근위부의 건과 연결하였으며, 나머지 절반은 건고정술(tenodesis)로 단무지 신전건에 부착시켰다. 환자는 수술 후 6 개월에 만족스러운 관절운동범위를 보였고, 수술 전 수준의 운동에 복귀할 수 있었다. Closed rupture of the extensor hallucis longus (EHL) tendon is uncommon and rarely reported. We present a Taekwondo player who had sustained a closed rupture of the EHL tendon after striking the other player's shin. He had practiced Taekwondo more than 6 hours a day for more than 6 years, including repetitive striking on the dorsum of the foot, which probably caused degeneration of the EHL tendon. The tendon ends could not be approximated directly, so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with bisecting the distal tendon and combining the repair of the one end with an intercalary scar tissue and the other with tenodesis to the extensor hallucis brevis. He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level of activity 6 months postoperatively with a satisfactory range of motion.

      • 슬개골 내측 추벽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 증례 보고 -

        이동원,하정구,김진구,Lee, Dhong Won,Ha, Jeong Ku,Kim, Jin G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슬관절의 추벽은 정상적인 구조물로 인식되고 있으나 외상, 반복적인 손상 등과 같은 유발 인자에 의해 비후되면서 탄력성을 소실하고 병적인 추벽으로 변하면서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슬개골 내측 추벽 증후군은 슬내장의 주요한 원인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여러 문헌에서 보고되어 왔으나 추벽의 양동이형 손잡이형 파열에 대한 보고는 극히 드물다. 저자들은 슬개골 내측 추벽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에서 관절경적으로 절제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The medial patellar plica may cause symptoms when it becomes thickened and fibrotic because of direct trauma or repetitive sporting activities. The medial plica syndrome has been noticed as one of major causes of internal derangement and well documented in the articles. A few cases of the bucket handle tear of the medial plica are described in liteartures. To our knowledge, however, there have never been reported about it in domestic literatures. We present a case of the bucket handle tear of the medial plica resected by arthroscopic surgery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articles.

      • 일단계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

        라호종,하정구,김상범,성정환,서정국,김진구,Ra, Ho-Jong,Ha, Jeong-Ku,Kim, Sang-Bum,Sung, Jung-Hwan,Seo, Jeong-Gook,Kim, Jin-Goo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2

        목적: 본 논문의 목적은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의 원인을 살펴보고, 일단계 재 재건술의 수술 술기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을 시행한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의 원인은 대퇴터널의 종적 배열이 22예, 후외방 불안정성의 간과가 7예, 재건술 후 심한 외상이 3예, 재건술 후 심부 감염이 1예였다. 재 재건술시 대퇴 터널의 위치는 10시 또는 2시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하고, 경골터널은 대부분 기존의 터널을 이용하였다. 이전 수술 때 만들어진 이상 위치의 대퇴 터널은 고정 나사못 등을 제거하고, 수술 시 동종골을 나사 형태로 만들어 골이식을 시행하였다. 결과: 추시 기간은 평균 22.2개월(12~52개월)이었으며, 추시 결과 Lysholm score, IKDC 점수는 각각 재 재건술 전 평균 $61.5{\pm}16.8$, $63.9{\pm}15.1$에서 재수술 후 $86.3{\pm}11.5$, $81.3{\pm}14.3$으로 향상되었으며, KT-2000 arthrometer는 평균 $6.0{\pm}2.2\;mm$에서 $1.6{\pm}1.4\;mm$로 줄어들었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일단계 재 재건술은 양호한 고정과 임상 결과로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failure on ACL reconstruction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ne stage revision ACL reconstruct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November 2004 to July 2008, thirty three patients who had got revision ACL recontstructions after reruptures of ACL were evaluated. The causes of failure of ACL reruptures were 22 vertical femoral tunnels, 7 neglected PLRI, 3 severe traumas and 1 deep infection after ACL reconstruction. The femoral tunnels were aimed at the 10 or 2 o'clock position and the tibial tunnels were used with previous tunnels. Previous femoral screws from the improper femoral tunnels were removed and filled with the new allograft bones. Results: The average periods of follow up were 22.2 months (12~52 months). There was improvement on an average Lysholm knee score from $61.5{\pm}16.8$ to $86.3{\pm}11.5$, IKDC score from $63.9{\pm}15.1$ to $81.3{\pm}14.3$. Mean side to side difference was decreased from $6.0{\pm}2.2\;mm$ to $1.6{\pm}1.4\;mm$ using KT-2000 arthrometer. Conclusion: One stage revision ACL reconstruction can be a useful method with good clinical results.

      • 운동선수에서 횡방향 나사 고정 후 발생한 슬개골의 골절 - 증례 보고 -

        라호종,김성태,하정구,김진구,Ra, Ho Jong,Kim, Sung Tae,Ha, Jeong Ku,Kim, Jin G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전위성 슬개골 골절에 있어서 해부학적 정복 및 견고한 고정은 슬관절 기능과 강도, 그리고 조기 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을 위해서 필요하다. 골절의 형태와 다양한 수술 기법에 따라서, 수술 후 많은 합병증들이 보고 되어져 왔다. 본 저자들은 운동 선수들에게서 발생한 종골절 1예와 이분성 슬개골의 골편 전위 골절 1예에서 유관 나사못 횡 고정술을 시행한 뒤 새로운 횡골절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Anatomical reduction and strong fixation in displaced patella fracture are needed for restoration of knee function and strength and early range of motion exercise. According to the type of fracture and various operational methods, their many complications have been reported. We report 2 cases of transverse patella fracture which were caused by transverse screw fixation in longitudinal patella fracture and fracture of bipartite patella in athletes.

      • KCI등재

        상심자추출복합물의 퇴행성관절염 개선 효능에 대한 동물실험 및 임상연구

        김진구 ( Jin Ku Kim ),하정구 ( Jeong Ku Ha ),이화 ( Hua Li ),정종문 ( Jong Moon Jeong ) 대한본초학회 2015 大韓本草學會誌 Vol.30 No.3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Mulberry Extract Complex in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clinical trial and animal study on degenerative arthritis. Methods : Animal study: Mulberry Extract Complex is composed of extracts of mulberry (Morus alba L.) fruit, mulberry leaves and black beans (Glycine max (L.) Merr.). To evaluate the serum level of interleukin-2, interferon-γ, and prostaglandin E2, an animal model of degenerative arthritis induced by monosodium iodoacetate was employed. Clinical study: The efficacy index (VAS, K-WOMAC) was compared among patients with symptoms of degenerative arthritis before and after Mulberry Extract Complex ingestion as well as the one in groups. Evaluations of the improvement by the subjects and by doctor assessment were also performed. Results : Animal study: Mulberry Extract Complex reduced the serum level of interferon-γ and prostaglandin E2 in an animal model with degenerative arthritis. Clinical study: The VAS chang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s after 4 weeks (PP set) and 8 weeks (ITT set) of ingestion. When the K-WOMAC was analyzed using a modified ITT set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fields of pain & symptom within the Mulberry Extract Complex group as well as between the Mulberry Extract Complex and placebo groups after 8 weeks of ingestion. Results from the improvement evaluation by subjects and the assessment of improvement by doctor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s (PP set) after 8 weeks. Conclusions : Mulberry Extract Complex c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various symptoms of degenerative arthritis based on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its reduction of VAS and K-WOMAC pain scores.

      • KCI등재

        슬관절 후외방 불안정성의 치료

        배우한 ( Woo Han Bae ),하정구 ( Jeong Ku Ha ),김진구 ( Jin Goo Kim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1

        슬관절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은 흔치 않으나 심한 불안정성과 관절 연골의 손상을 초래하여 심각한 장애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해부학적 구조 및 진단과 치료 방법이 확실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은 단독으로 일어나지 않고 후외방 불안정성을 치료하지 않고 그냥 두었을 경우에 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쳐 실패에 이르게 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의 진단은 신체 검진 및 방사선 소견 자기공명영상 및 관절경 소견을 종합하여 이루어 진다. 후외방부 구조 손상의 치료 방법은 손상 시기 및 손상 정도에 따라서 정해지게 된다. 이에 해부학적 재건술은 다양한 결과를 보이던 이전의 비해부학적인 재건술에 비하여 임상적인 측면에서 대부분에서 좋은 임상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이를 입증할 만한 장기 추시를 시행한 임상 연구들이 부족하다. 따라서 저자는 후외방부 구조와 관련되어 최근까지 발표된 많은 문헌을 정리하고 진단과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Injury of posterolateral corner is unusual, but it can cause disability due to severe instability and cartilage damage. However, the anatomical structures, diagnosis and treatment have not defined clearly yet. Posterolateral corner injury is regarded as the one of main factor to the results of failure in cruciate ligament reconstcution if it was undiagnosed and untreated. Diagnosis of postetolateral corner injury is consists of physical exam, radiographic finding,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The treatment method of of postetolateral corner injury depends on the time and severity of injury.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posterolateral corner shows the better clinical outcome than non anatomical reconstructions, but the clinical results of long term follow up is still needed. Therefor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cent literature and to organiz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sterolateral corner injury.

      • KCI등재
      •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의 효과

        양병세,이동원,남상욱,하정구,김진구,Yang, Byung Se,Lee, Dhong Won,Nam, Sang Wook,Ha, Jeong Ku,Kim, Jin Goo 대한관절경학회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2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시행하는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의 유용성 및 안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10년 9월까지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을 시행하지 않고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 20명(PM군)과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을 시행하고 봉합술을 시행한 시행한 환자 32명(RM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반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제외하였다. 안정성 검사로 술 후 3개월, 1년 추시 시 압통, 주관적 불안정성 및 외반 부하 검사를 시행하였고, 유용성 검사로 압박대 사용시간을 비교하였고, 임상 결과는 Lysholm 점수와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점수로 평가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과 관련하여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합병증은 없었다. 술 후 3개월 및 1년 추시 관찰 시 압통, 주관적 불안정성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5명의 환자에서 외반 부하 검사상 grade I의 불안정성을 보였다. 압박대 사용 시간은 PM군 $53.5{\pm}13.6$분, RM군 $41.3{\pm}12.7$분으로 두 군간 차이를 보였다(P<0.05). 술 후 임상결과는 PM군은 술 전 Lysholm 점수 $56.8{\pm}5.5$에서 술 후 $85.1{\pm}5.8$로(P<0.001), 술 전 IKDC 점수 $42.6{\pm}6.3$에서 술 후 $77.2{\pm}6.3$로(P<0.001), RM군은 술 전 Lysholm 점수 $56.2{\pm}5.4$에서 술 후 $87.4{\pm}3.9$로(P<0.001), 술 전 IKDC 점수 $42.7{\pm}5.7$에서 술 후 $89.6{\pm}2.9$로(P<0.001) 개선되었다. 두 군간 수술 전, 후의 Lysholm 점수, IKDC 점수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은 슬관절 내측 수술 시 시야 확보에 유리하며,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임상적 의미있는 잔존 불안정성을 남기지 않아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the stability of the superficial medial collateral ligament (MCL) release in posterior medial meniscus root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We compared 20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medial meniscus root repair with superficial MCL preserved (PM) and 32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medial meniscus root repair combined with superficial MCL release (RM) from April 2006 to September 2010. We excluded the patients combined with other surgery.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valgus instability in RM group, we examined direct tenderness on MCL insertion, the subjective feeling of instability and valgus stress test at 3 months and 1 year follow-up. We compared the tourniquet time between PM group and RM group, and the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by Lysholm score and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for the usefulness. Results: All patients had no clinically significant complication related to the superficial MCL release. Three months and 1 year follow-up, there were no positive tenderness test, no subjective symptoms and no significant increase of valgus instability although 5 patients examined grade I valgus instability. The mean tourniquet time was $41.3{\pm}12.7$ minutes in RM group and $53.5{\pm}13.6$ minutes in PM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urniquet tim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Average Lysholm score was $56.8{\pm}5.5$ (range, 44-70) preoperatively and $85.1{\pm}5.8$ (range, 77-94) postoperatively in PM group, and was $56.2{\pm}5.4$ (range, 45-67) preoperatively and $87.4{\pm}3.9$ (range, 82-95) postoperatively in RM group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Lysholm score was found in both groups (P<0.05). Average IKDC scores was $42.6{\pm}3.9$ (range, 30-53) preoperatively and $77.2{\pm}6.3$ (range, 68-92) postoperatively in PM group, and was $42.7{\pm}5.7$ (range, 30-53) preoperatively and $89.6{\pm}2.9$ (range, 84-95) postoperatively in RM group (P<0.05).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KDC score in both groups (P<0.05). Conclusion: The superficial MCL release in posterior medial meniscus root repair is useful to gain a wide surgical field and reduces the tourniquet time and does not lead to postoperative valgus instability. It can be considered clinically useful and safe procedure in medial meniscus posterior root repai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