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M/EDX 분석법을 이용한 침착먼지에 대한 분석사례

        하은지,박정호,Ha, Eun-Ji,Park, Jeong-Ho 한국환경과학회 202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30 No.3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and morphology of deposited dust particles with size ranging from a few to tens ㎛ were investigated using SEM/EDX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Then deposited dust p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8 groups: quartz, aluminosilicates, ca-rich, Fe/Ti oxide, carbon-rich, industrial particle, Fe-rich, and biogenic particle. The sources of deposited dust were high in the order of aluminosilicates 41% > biogenic 18% > Fe-rich 11% > quartz and C-rich 8% > industrial 7% > Fe/Ti oxide 5% > Ca-rich 1%. In particular, the ratio of biogenic particles was relatively high due to influence of pollen. The ratio of carbon-rich was 11% at YM site, 10% at MD site, and 4% at MO site, and the site close to the large emission source was high.

      • 구배 기반 가중 접근성을 이용한 역세권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하은지,전철민,Ha, Eun Ji,Jun, Chul 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5

        최근보행은 교통의 가장 기본 이동수단으로 대중교통 중심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녹색교통 활성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의 부각으로 그 중요성과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보행 네트워크 분석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목적지까지 이동거리와 공간구문론의 통합도를 대표적인 접근성 요소로 사용하고 있지만 단순한 평면상의 네트워크 이동거리는 지형적인 특성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비슷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분석 지역들의 경우 비슷한 결과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분석 지역의 특성에 따라 보행자들의 이동규모와 이동거리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배를 고려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이동거리 분석을 통해 새로운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강남구에 위치한 논현역, 역삼역, 학동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미국 스포츠의학협회에서 제시하는 대사량 공식을 통해 구배 가중거리 공식을 유도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추정하기 위해 건물 면적 비율에 따라 역 이용객 수 데이터를 활용해 건물 이용자 수를 추정한 뒤 연구 지역의 1인당 평균 이동거리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역세권 200m와 500m에 위치한 건물에 대한 보행자의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에서 구배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 더 나아가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특성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앞으로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서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Walking is the most basic personal mobility and its importance and concern is ever increasing with the highlighting of a new paradigm, such as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green transport. The existing analytical research on pedestrian network is using a pedestrian's moving distance to a destination and integration in space syntax theory as its representative accessibility factors. However, the uniplanar network moving distance fails to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so the moving distance could show a similar result value in case of the regions for analysis that have a similar network structur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analytical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a pedestrian's size. this study, in its analysis of a uniplanar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analyzed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even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a pedestrian's size, and suggested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characteristics. It is hoped that the methodology us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nalysis which can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pedestrian network analysis, and take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movement into account.

      • 건축 감리의 건축사 징계 감소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하은지(Ha, Eun-Ji),동재욱(Dong, Jae-Uk)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0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disciplinary action by architects in Chungcheongnam-do by year, by type of building law violation, and the results of disciplinary action, and analyzed the details of construction supervision violations that caused the most disciplinary action by archit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curred by architects due to violations of construction supervision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and to reorganize the scope of work for reduction and to derive measure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 TOD 계획 요소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친보행 환경의 평가 방안

        주용진,하은지,전철민,Joo, Yong-Jin,Ha, Eun-Ji,Jun, Chul-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3

        최근 우리나라는 교통 혼잡, 대기오염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일으키는 자동차 중심의 교통 체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요를 증가시키는 대중교통중심 개발(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과 에너지 절약적인 도시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녹색 교통수단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보행 환경 및 시설에 관한 차별화된 평가 지표와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평가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TOD의 주요 계획요소(토지이용 밀도 및 다양성, 보행 친화적 도시설계, 대중교통시설 유형 및 공급수준 등)에 대한 효과 분석을 통해 다위계 보행 환경평가 지표 설계와 측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OD의 주요 계획요소를 GIS로 정량화 할 수 있는 지표를 반영하고 계층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종로3가역과 한강진역에 보행 환경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적인 TOD 계획 요소들의 보행 관련성을 종합하여 통행 패턴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연구에서 제시된 보행 환경 평가 지표는 실제 물리적인 보행공간을 기반으로 한 역세권 및 환승센터 등에 적용되어 보행 접근성과 대중교통 편의성 복합토지이용 패턴의 가시화에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resolve transportation system focused on vehicles which have led to all sorts of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air pollution and so on, Korea recently have tended to center aroun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TOD) which is capable of initiating public traffic demands. It is imperative to develop objective evaluation method which is able to measure pedestrian environment and amenity in order to facilitate green transi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evaluation indices and measurement framework of pedestrian environment by analyzing effect on TOD major planning factors such as diversity, density, design, and supply etc. For this, we applied evaluation index with regard to TOD planning factors, investigating connection to pedestrian and employe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so as to quantify the result of measurement in Jongro 3ga and Hangangjin station. As a result, we presented relationship between travel patterns of pedestrian and each TOD planning factor. More importantly, the proposed framework is expected to make the best of the visualization as well as evaluation method for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mixed land-use patterns in subway area and transit center.

      • ROS2 를 활용한 AI & ICT 기반 자율주행 공기청정기 연구

        오현준 ( Hyoun-jun Oh ),하은지 ( Eun-ji Ha ),김기흥 ( Gi-heung Kim ),이경용 ( Kyung-yo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공기질에 대한 인식이 제고됨에 따라 실내공기질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 고정형 공기청정기를 대체할 효율적인 기술로 자율주행 공기청정기를 연구하였다. 또한 자율주행 공기청정기에 AI 를 적용하여 오염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기존 자율주행 공기청정기와 차별성을 둔다.

      • KCI등재후보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육 효과 지속성 연구

        박순호(Park Soon Ho),이현진(Yi Hyun Jean),하은지(Ha Eun Ji)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3

        본 연구는 2019년에 개발·적용된 동화 중심의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하고 적절한 흡연위해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9년에 개발된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에 참여한 유아 만 4세 25명, 만 5세 59명 총 84명을 대상으로 하여 약 1년이 지난 2020년 11월에 유아 흡연위해예방능력에 대한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2019년 10~11월에 실시했던 프로그램 적용 사전·사후검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추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흡연위해예방 능력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육을 실행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유아 흡연위해예방능력’ 향상도 및 효과성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총점 및 지식, 기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태도 영역 역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에 비해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실험집단 유아의 흡연위해예방능력이 비교집단 유아에 비해 집단별, 시기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지속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서술형 문항에 대한 사후검사 및 추후검사 시 나타난 응답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육을 실시한 유아들은 흡연위해예방을 실천할 수 있는 지식, 기술과 관련된 대답을 구체적으로 답변하였으며, 이는 추후검사과정에서도 유사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육 프로그램이 단기적 효과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효과의 지속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된다는 연구 결과는 좀 더 장기적이고 효과적인 흡연위해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기 위해서 생애 발달 주기에 따라 이른 유아기부터 아동기, 청년기, 성인기까지 전 연령과 유기적이고 연계된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 효과에 대한 긍정적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persistence of the smoking hazard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tilizing storybooks, which had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kindergarten children in 2019.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earchers hope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as basic resources towards developing appropriate and applying effective smoking hazard preven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roces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The object for the study was 84 children(25 children of 4-year-old and 59 children of 5-year-old). The children already participated in the smoking hazard prevention program developed in 2019, and they had pre and post examinations for the effect of the program in October~November, 2019. The subsequent examination was conducted for the same children in November, 2020. Then, the result between 2019 and 2020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ffect of smoking hazard prevention program was persistingly maintained for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bout a year since the examination for the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 in 201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the children of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the improvement and effectiveness of smoking hazard prevention capacity.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in total score, knowledge category, and skill category than those of the children of comparative group. In attitude category,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continuously marked higher average score than the children of comparative group. Compared to the children of comparative group,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oking hazard prevention capacity both by group and by period. It suggests that the effect persistence of the smoking hazard prevention program was verified. The responses for the descriptive questions from both post and subsequent examination of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as analyzed in a qualitative way. It shows that in the post examination the children who had taken the smoking hazard prevention program gave concrete and specific responses in relation to knowledge category and skill category, which the children could practice properly for smoking hazard prevention with. The responses from subsequent examination were similar with those of post examination. Judging from these results, the effect persistence of the smoking hazard prevention program was proven. The effect persistence can suggests that smoking hazard prevention program should be started from early childhood. In addition, the effect persistence can provide positive perspectives and insights with developing smoking prevention program according to life development cycle from early childhood to adulth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