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성인의 배추김치 섭취 빈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및 다소비 식품 섭취에 관한 연구

        하애화(Ha, Ae-Wha),주세영(Ju, Se-Young)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2

        본 연구에서는 2012,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성인의 김치 소비 실태 조사를 섭취 빈도와 1회 섭취량을 이용하여 김치의 섭취 패턴, 영양소섭취량 및 다소비 식품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성인의 아침결식률은 25~27%로 점심이나 저녁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끼니는 하루 3끼니를 섭취하는 대상자가 높았고, 간식은 섭취한 경우가 92% 이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외식 횟수는 하루 1회 이상이 2012년에 27.6%, 2013년도에는 33%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주 5회 이상 외식을 하는 비율이 2012년에 45%였으며, 김치 섭취 빈도 중 배추김치는 하루 2회 섭취 횟수 대상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배추김치 섭취 빈도에 따른 다소비식품 상위 30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배추김치만이 상위권 안에 들었고, 다른 김치류는 30위 내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배추김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김치 섭취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utrient intake and frequently consumed foods according to the intake frequency of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by Korean adults. Methods: Data from analysis of 7,122 subjects aged 19~64 years from 2012, 2013 KNHANES were obtained from health behavior interviews and the 24-hour dietary recall method. Results: With the daily intake frequency of Baechu kimchi, subjects with two times a day were the highest proportion among total subjects. As Baechu kimchi intake frequency of breakfast, lunch, and dinner increased, the rate of skipping meals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5). In addition, all food intake and daily nutrient intak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frequency of daily Baechu kimchi intake (Crude p for trend < 0.05, Adjusted p for trend < 0.05). With the frequently consumed foods by daily Baechu kimchi intake frequency in 2012 and 2013, among 509 foods top ranked foods were white rice, Baechu kimchi, beer, distilled alcoholic drink, milk, and pork.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future to promote consumption of kimchi in the Korean population.

      • KCI등재

        비만에 따른 여대생의 체중 관련 식행동과 다이어트 식품 구매 형태

        하애화 ( Ae Wha Ha ),이승훈 ( Seung Hoon Yi ),강남이 ( Nam E Kang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2 No.4

        In this study, 230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were surveyed to evaluate their eating habits and behavior, physical activities, and patterns of purchasing diet/low-calorie food. Their body composition was also determined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Inbody 520).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BMI index with a mean BMI of 20.2±1.5(normal) weight and 25.0±1.7(obesity). Overall, 85.7%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 food they purchase depends more on their preferences than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food.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r experience of purchasing diet-foods. Indeed, 69.3% of all female college students had purchased diet foods, and most consumed these foods 2~3 times a week. Obese group preferred a savory taste, while normal group preferred a sweet taste. The majority of the subjects(80.8%) answered that they "read nutritional labels carefully upon purchasing diet food", and that they examined calories(61.8%) and total fat(48.5%) most carefully. Of the types of low-calorie/diet foods purchased, beverages were the most commonly obtained; followed by noodles, diet-bars, and snacks. The most commonly purchased low calorie snacks were "potato-type C(hot-flavor)" and "potato-type A(salty-flavor)", while the most commonly purchased diet-bars were "low calorie-type A"(55.3%) and "high protein-bar"(32.3%). The most commonly purchased noodles were "thick noodle type"(65.1%), while the most commonly purchased drinks were "cereal tea"(65.1%) and "mixed herb tea"(66.0%). Overall, factors such as self-esteem or the degree of body satisfaction, rather than obesity(BMI index) itself,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purchasing diet-foods.

      • KCI등재
      • KCI등재

        연령에 따른 경기 지역 종합검진 영양 상담자의 식습관과 식이 섭취 패턴 -2007 건강증진센터 자료 분석-

        하애화 ( Ae Wha Ha ),류혜숙 ( Hye Sook Ryu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 by age, based on the nutrition counseling data of medical health examination. The subjects were 5,511 adults(3,139 males and 2,372 females) who took comprehensive medical test in Gyeonggi area, and they were evaluated from January 1, 2007 to December 31, 2007. Survey samples were divided by age groups: 30>, 30~39, 40~49, 50~59, 60~69, 70≤ years.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57% male and 43% fem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etary habits of ≥50 group were relatively good. On the other hand, in 30> yrs group had more dietary habit problems, they had irregular meals and the ratio of skipping breakfast was high. And they frequently had meals out. regularity of meals, eating breakfast was higher in ≥70 yrs groups than in other groups(p<0.001). frequency of overeating was higher in 30>, 30~39≥yrs groups than in other groups(p<0.001) and speed of eating meal were fast in 50~59 yrs groups than in other groups(p<0.01). For foods with high cholesterol and fat, it was shown that the older the subject, the fewer the frequency of consumption(p<0.001). For kimchi and salty foods, food intake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ge(p<0.001), whereas for fresh vegetables and high-calcium fish, i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p<0.001). All in all, it was shown that as the people get older, their dietary habits tend to get more appropriate. In conclusion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their dietary habit by age should be taught, so that people have a healthy dietary habit and food intake for the rest of their life.

      • SCOPUSKCI등재

        우유 및 두유 섭취와 심혈관질환 위험도 연구 - 2012∼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

        하애화(Ae Wha Ha),김우경(Woo Kyoung Kim),김선효(Sun Hy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5

        본 연구는 2012~2016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40~64세 대상자의 식품섭취빈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유 또는 두유를 주 3회 섭취하는 자(n=4,412)를 대상자로 하였다. 이 중에서 우유와 두유를 모두 섭취하는 자(n=299)는 제외하였고, 우유 및 두유를 모두 섭취하지 않는 자(n=2,529), 우유만 주 3회 섭취하는 자(n=1,072), 두유만 주 3회 섭취하는자(n=512)로 세 구분하여 심혈관질환 위험 및 관련 인자들을 비교하였다. 총 연구 대상자 중에서 우유와 두유 비섭취자(비섭취자로 명명함) 비율이 61.5%로 가장 많았고, 주 3회 우유 섭취자(우유 섭취자) 26.0%, 주 3회 두유 섭취자(두유 섭취자) 12.5%로 나타났다. 세 그룹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변수인 성별, 나이, 학력, 소득, 지역을 보정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전체 대상자에서 10-year CVD risk는 우유 섭취자(5.9%)가 비섭취자(7.1%) 및 두유 섭취자(8.0%)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성별과 나이로 층화했을 때, 50~64세 여성에서만 우유 섭취자 6.2%, 두유 섭취자 6.5%, 비섭취자 6.8%로 우유 섭취자가 비섭취자 및 두유 섭취자보다 유의적으로 10-year CVD risk가 낮았고(P<0.05), 우유섭취자의 HDL-C(53.5 ㎎/dL) 농도가 비섭취자(51.7 ㎎/dL) 및 두유 섭취자(51.2 ㎎/dL)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전체 대상에서 우유를 주 3회 섭취한 집단은 우유 비섭취자보다 10-year CVD risk 오즈비가 변수 보정 전(model 1)이나 영향 변수들을 보정한 후(model 2)에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model 1: OR 0.671, 95% CI 0.567~0.793, model 2: OR 0.742, 95% CI 0.619~0.890). 반면 주 3회 두유 섭취자는 두유 비섭취자보다 변수 보정 전(model 1)이나 후(model 2)에도 10-year CVD risk 오즈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40세 이상 한국인의 1일 우유 섭취량은 한국영양학회의 성인에 대한 하루 1컵(200 mL) 권장량에 비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주 3회 우유 섭취자도 26.0%로 매우 낮았다. 특히 40세 이상 성인(특히 50~64세 여성)에서 주 3회 우유 섭취자의 혈중 HDL-콜레스테롤이 비섭취자 및 두유 섭취자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심혈관질환 위험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40대 이후 성인에서 두유를 섭취하더라도 우유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Soymilk is a healthy alternative to milk for those who prefer plant-based diet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ilk and soymilk inta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CVD) risk is still not fully understood. Subjects aged 40~64 years were selected from the 2012∼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s who did not drink both milk and soymilk at all (n=2,529); Milk intakers (n=1,072) or soymilk intakers (n=512), who drank only milk or soymilk thee times a week. The CVD risk wa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Framingham Risk Score. For all subjects, the 10-year CVD risk was significantly lower in milk intakers (5.9%) than in controls (7.1%) and soymilk intakers (8.0%). Statistics stratified by gender and age revealed that milk intakes, especially among women aged 50∼64, had significantly low CVD risk (P<0.05) and high HDL-cholesterol (P<0.05) than the other groups. Compared to non-milk intakers, the odds ratios of 10-year CVD risk in the group who consumed milk (3 times/week) was significantly reduced before (model 1) and after variable adjustment (model 2); model 1: OR 0.671, 95% CI (0.567, 0.793); model 2: OR 0.742, 95% CI (0.619, 0.890). Conversely, consumption of soy milk (3 times/week)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 odds ratio of 10-year CVD risk compared to non-soymilk intakers, but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for adults in their 40s and older who only consume soy milk, consuming milk along with soymilk will help cardiovascular health.

      • KCI등재
      • KCI등재

        2007~201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초등학생의 연도별 가당음료 섭취량 변화와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상태 평가

        하애화(Ae Wha Ha),이재현(Jae-Hyun Lee),김선효(Sun Hy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8

        본 연구는 2007~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생(만 6~11세) 5,123명을 대상으로 가당음료 섭취량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상태를 분석하였다. 가당음료는 첨가당 위주의 가공음료인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기타 탄산음료 포함), 스포츠음료, 카페인음료(커피, 에너지음료, 홍차, 코코아류)로 정하였다. 24시간 회상법으로 1일간 실시된 식이조사 자료로 구한 1일 가당음료 섭취량에 따라 대상자를 가당음료를 섭취하지 않은 가당음료 1군, 가당음료 섭취자 중 섭취량이 50 백분위수인 200 g/d 미만인 가당음료 2군, 섭취량이 50 백분위수인 200 g/d 이상인 가당음료 3군으로 나누었다. 이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 전체 음료에 대한 1일 섭취량은 2007년 50.3±6.6 g/d에서 2015년 111.7±12.8 g/d로 약 2.2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01). 종류별로는 과일/채소음료(P=0.0021), 탄산음료(P=0.0002), 카페인음료(P=0.0005), 전통음료(식혜, 수정과, 율무, 한방차 등)(P=0.0004) 섭취량이 연도별로 유의적으로 증가 추세였으며, 스포츠음료와 기타음료(홍삼음료 등) 섭취량은 연도별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전체 음료에 대한 1일 섭취량이 남자 79.4±3.7g/d, 여자 68.1±3.9 g/d로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다. 음료종류별 1일 섭취량은 남녀 모두 탄산음료> 과일/채소음료>기타음료> 스포츠음료> 카페인음료> 전통음료의 순으로 많았다. 연도에 따라 남녀 모두 가당음료 1군의 비율이 감소하고 가당음료 3군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였다(P<0.0001). 가당음료 3군의 비율은 남자에서 2007년 5.6%에서 2015년 15.3%로 약 2.7배 증가하였으며 여자에서 2007년 5.1%에서 2015년 11.9%로 약 2.3배 증가하여 남녀 모두 가당음료 3군의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였고 남자에서 더 두드러졌다(P<0.0001). 나이는 가당음료 3군이 가당음료 1군과 가당음료 2군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5),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의 차이가 없었다.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1일 영양소 섭취량은 남자에서 에너지 및 철 섭취량, 지질에 의한 에너지 섭취 비율이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높아졌으며(P<0.05),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 섭취량이 가당음료 3군에서 낮거나(P<0.05)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여자에서는 에너지, 지질 및 철섭취량, 지질에 의한 에너지 섭취 비율이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높거나(P<0.05)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 섭취량이 가당음료 3군에서 낮거나(P<0.05)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1일 영양소 섭취량의 영양소 섭취기준에 대한 비율은 남녀 모두 칼슘을 제외한 영양소를 섭취기준과 같거나 그 이상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칼슘 섭취량의 권장섭취량에 대한 비율은 가당음료 1군~가당음료 3군까지 남자 68.4±2.9~74.4±2.8%, 여자 54.8±2.6~64.5±2.6%로 나타나 매우 낮았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더 낮았다.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라 남자는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철이 높아졌으며(P<0.05), 칼슘, 비타민 A가 낮아졌다(P<0.05). 여자는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에너지, 철이 높아졌으며(P<0.05),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가 낮아졌다(P<0.05). 영양섭취 부족자 비율은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에너지/지방과잉 섭취자 비율은 남자(P=0.0031), 여자(P=0.0019)에서 각각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비율도 남자(P=0.0333)에서 가당음료 3군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여자에서도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같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가당음료 섭취량이 많으면 성장기의 영양상태가 불량해지므로 가당음료 섭취를 줄인다면 성장기의 바른 식습관 형성 및 영양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yearly trend of sugar-sweetened beverage (SSB) intake and compared nutritional status by SSB intake level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6∼11 years (n=5,123) using the 2007∼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SSB included in the study was carbonated drinks, sports drinks, and caffeinated drinks containing added sugar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SSB intake level obtained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SSB 1 (SSB intake 0 g/d), SSB 2 (0 g/d< SSB intake< 50th percentile) and SSB 3 (SSB intake≥ 50th percentile). The daily intake of total beverages in all subjects increased significantly, 2.2 times from 50.3±6.6 g/d in 2007 to 111.7±12.8 g/d in 2015 (P<0.0001). The daily intake of fruit/vegetable juices (P=0.0021), carbonated drinks (P=0.0002), caffeinated drinks (P=0.0005), and traditional drinks (P=0.0004) in all subjects significantly increased year on year. The daily intake of total beverages was higher in males at 79.4±3.7 g/d compared to 68.1±3.9 g/d for females. The daily intake of energy and iron and the ratio of energy from fat increased, but the daily intake of calcium, vitamin A, and vitamin C decreased toward the SSB 3 group (P<0.05). The ratio of excess intake of energy/fat increased significantly for males (P=0.0031) and females (P=0.0019) toward the SSB 3 group. The ratio of the excess intake of sodium increased toward the SSB 3 group for males (P=0.0333) and females.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SSB intake in order to prevent inappropriate nutritional statu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

        고메이신 함유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연구

        하애화(Ae Wha Ha),강현중(Hyeon Jung Kang),김선림(Sun Lim Kim),김명환(Myung Hwan Kim),김우경(Woo K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9

        본 연구에서는 고메이신 함유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유전독성에 대한 안전성을 규명하고자 세균에서의 복귀돌연변이 유발성, 염색체 이상, 마우스 골수세포에 있어서 소핵실험을 수행하였다. 세균에서의 복귀돌연변이 유발성 여부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인 TA100, TA1535, TA98 및 TA1537의 4개 균주와 대장균 Escherichia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인 WP2 uvrA를 이용하여 대사활성계 적용(+S9 Mix) 및 비적용(-S9 Mix)하에서 유전 손상을 측정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대사활성계 적용 및 비적용 시 옥수수수염 추출물(5,000, 1,666.67, 555.56, 185.19, 61.73 μg/plate)에서 복귀돌연변이 평균 집락수의 변화 및 농도 의존적인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염색체 이상 실험에서 대사활성계 적용 및 비적용 6시간 처리군(최고농도 1,250 μg/mL)과 대사활성계 비적용 24시간 처리군(최고농도 250 μg/mL)에서 이상 중기상 발현 빈도의 증가 및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마우스 골수세포에서의 소핵실험에서는 모든 투여용량의 옥수수수염 추출물(0, 500, 1,000, 2,000 mg/kg)에서 다염성 적혈구 중 소핵다염성 적혈구의 출현 빈도 및 총 적혈구에 대한 다염성 적혈구의 출현 빈도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2,000 mg/kg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섭취는 마우스 골수세포의 소핵 유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세균에서의 복귀돌연변이 실험, 염색체 이상 실험 및 생체 내에서의 마우스 골수세포에서의 소핵시험을 통하여 본 실험 조건에서 고메이신 함유 옥수수수염 추출물은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 battery of genetic-toxicity studies on corn silk extract with high maysin content were performed according to internationally accepted protocols. In a mutation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535, TA1537, TA98, and TA100, the number of mutant colonies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up to a maximum concentration of 5,000 μg/plat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n the chromosome aberration test using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s, negative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concentration up to 1,250 μg/mL of corn silk extract. In the micronucleus test using ICR mice, incidence of polymorphonuclear erythrocytes with a maximum concentration of 2,000 mg/kg corn silk extrac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test substance, con silk extract, did not influence genotoxic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