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 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하상근 ( Sang Geun Ha ),김용욱 ( Yong Wook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1

        본 연구는 일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기준 및 특수학교 행정에서 요구하고 있는 직무내용을 분석하여 ‘특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 기준’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요 외국의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미국의 ‘학교 지도자 자격 협의회(ISLLC)``와 영국의 ‘교장의 국가 직무표준(NSH)``은 교장 직무표준을 학교비전(미래 창조), 학교문화와 수업프로그램(교수.학습 선도), 학교관리(학교관리), 학부모와 지역사회와의 협력(자기계발과 협력), 행정가 윤리(책무성), 광범한 상황적 맥락(협동을 통한 공동체 강화) 등 6개의 대영역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최소한의 교육의 질 보장을 강조하고 있었다. 일본은 관리직의 법령 근거에 의해서 교장 직무표준을 법령규정, 교육위원회 위임 사항, 기타 등 3개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구체적인 법령의 준수를 강조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요 외국의 사례에 근거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이 ‘일반학교장 직무수행 기준’을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학생 생활지도 및 지원, 교직원 관리 및 지원, 학교 경영 관리 편성.운영, 학부모.대외 협력 관계 지원, 전문성 신장 및 지원 등 6개의 대영역으로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미국특수아동협의회(CEC)에서는 특수교육의 기초, 학습자의 발달 및 특성, 개별학습의 차이, 수업계획, 평가, 협력, 전문적이고 윤리적인 실천 등 7개의 영역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우리나라 “특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 기준”을 개발하였는데 대영역 10개, 중영역 26개, 직무수행 능력목록 99개로 제시하였다. 이는 앞서 제시한 외국의 장점과 단점을 보완하고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에 부합하는 직무수행능력 기준을 개발하고자 일련의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특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 기준”은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학교장의 양성교육, 임용, 직무연수, 직무수행능력 평가 기준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develop standards for special school principal``s competency by analyzing standards for ordinary school principal``s competency and the contents of job required in the administration of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previous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Interstate School Leader Licensure Consortium(ISLLC) in the U.S, and National Standards for Headteachers (NSH) in the U.K. suggest six large areas - school vision(future creation), school culture and class programs (leading teaching and learning), school management, cooperation with parents and local community (self-development and cooperation), administrator ethics (accountability), and extensive situational context (strengthening the ties of community through cooperation) - in their standard job descriptions for principals and emphasize the guarantee of minimal quality of education. In Japan, standard job descriptions for principals are divided into three areas-laws and regulations, items entrusted to the Education Committee, and miscellaneous-based on law and regulations on management personnel, and emphasize the observance of specific rules. Based on major foreign case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ion has developed ``standards for ordinary school principal``s competency`` in six large areas-curriculum operation and assessment, guidance and support of students`` life, faculty management and support,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administration, support to cooperation with parents and community, and specialty enhancement and support. In addition, CEC suggests seven areas-the base of special education, learners``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difference in individual learning, class planning assessment, cooperation, and professional and ethical practice. Based on these researches, we developed "standards for Korean special school principals`` competency" suggesting 10 large areas, 26 sub-areas, and 99 competency items. These standards were developed through consultation with specialists in a way of employing the strong points and correcting the weak points of the foreign standards presented above, and meeting requirements in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of Korea. "The standards for Korean special school principals`` competency"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education, appointment, job training, and competency assessment of special school principals.

      • 식품 첨가제 미함유 그릴 돈육햄의 냉장저장 중 물리화학, 미생물학 및 관능적 품질 특성

        김일석,상근,박기훈,정기종,김동훈,양미라,경희,이무,Kim, Il-Seok,Jin, Sang-Geun,Park, Gi-Hun,Jeong, Gi-Jong,Kim, Dong-Hun,Yang, Mi-Ra,Ha, Gyeong-Hui,Lee, Mu-Ha 한국육가공협회 2007 肉加工 Vol.34 No.-

        본 연구는 3종의 식품 첨가제 미함유 그릴 돈육 햄 제품(T1; 등심, T2; 안심, T3; 뒷다리)에 대한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제품 제조 시 열처리는 그릴러에서 $60^\circC$ 30분간 저온가열, $150^\circC$ 50분간 고온가열 총 80분간 실시하였으며, 방냉 후 PA/PE 필름에 넣고 진공 포장하여 $4\pm$$1^\circC$에서 40일 저장하였다. pH 범위는 저장 초기 5.92(T1)~6.10(T3) 에서 저장 말기 6.28(T1)~6.60(T3)의 범위였다. 보수력은 T1은 85.99~93.24 %, T2 는 85.26~93.89%, T3는 89.11~94.67% 범위를 보였으며, T3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전단가는 T3 제품들이 전 저장기간 동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TBARS와 VBN은 T2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 0.05). 저장 40일까지 총 균수와 유산균수는 각각 1.93~3.48, 1.74~3.48 log10 CFU/g 수준으로 매우 양호한 편으로 $4\pm$$1^{\circ}C$에 보관 시 저장 40일까지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또한 저장 40일까지 전체적인 기호성이 5.0 이상을 유지하여 상품화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ood additive-free grilled pork products manufactured using loin (T1), tender loin (T2) and ham (T3). The samples were heated for 30 min at $60^\circC$, and then 50 min for $150^\circC$. After cooling, vacuum packaged grilled pork samples was stored at $4\pm$$1^\circC$ for 40 days. The pH values of grilled pork samples ranged from 5.92 (T1) to 6.10 (T3) at the initial storage time, and from 6.28 (T1) to 6.60 (T3) after 40 days. The water holding capacities (%) was 85.99~93.24% for T1, 85.26~93.89% for T2 and 89.11~94.67% for T3, all of which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pork products. The shear force values of T2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the other pork product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The TBARS and VBN values of T2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T1 and T3. With regard to microorganisms, all grilled pork samples was in good condition, showing 1.93~3.48 log10 CFU/g via total plate counts, and 1.74~3.48 log10 CFU/g for lactic acid bacteria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Regarding sensory evaluation, the scores of overall acceptability in all products were above 5.0 points through 40 days of storage.

      • SCOPUSKCI등재

        광범위 장절제술 후 발생한 Protein Energy Malnutrition

        박민아(Min Ah Park),하상근(Sang Geun Ha),원영호(Young Ho Won),전인기(Inn Ki Chun) 대한피부과학회 1994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2 No.1

        Protein energy malnutrition cocurs when inadequate protein and calories are ingested. PEM is not confined to children and is common in hospitalized patients. PEM is diegnosed by a weight loss and hypoalbuminemia. We report a case of PEM in a 27-year-old man after Whipples operation. He had brittle hair, loss on the scalp and brownish colored papules with desquamation on extrem ties. Also he had erosion and fissuring on the perioral area and beef tongue. Treatment with zinc sulfate, albumin and vitamin resulted in a good response. (Kor J Dermatol 1994; 32(1): 130-133)

      • KCI등재

        장애인 야학의 전개와 운영상의 쟁점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두 야학을 중심으로

        김용욱 ( Yong-wook Kim ),하상근 ( Sang-geun Ha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3

        본 연구는 장애인 야학의 전개와 운영상의 쟁점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것이 특수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야학은 민중교육을 담당하며 110년 이상 이 땅에 존재해 왔다. 노들장애인야학과 질라라 비장애인야학은 장애인 운동이 당사자주의로 전환하게 되던 시기에 장애인 운동 활동가들의 진보적인 운동의 축적과정에서 1993년과 2000년에 각각 설립되었다. 배움에 대한 끊임없는 열망으로 학업을 이어가던 중, 두 야학은 2001년 오이도역 사건을 계기로 장애인 이동권 운동을 전개하며 한국장애인 운동의 구심점으로 활동해 왔다. 이들은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실시된 문화체험을 통해 지역사회와 법제도의 변화 등을 이끌어내며 새로운 삶을 꿈꾸는 공동체로 거듭나고자 했다. 현재 전국적으로 30여 개의 장애인 야학이 운영되고 있는데, 이들은 장애인 야학의 운영난 문제 해결 및 활로를 모색하기 위하여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를 결성하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의거하여 평생교육 시설로의 도약을 시도하고 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그 명맥을 유지하면서 사회와 제도권 교육에 문제를 제기하고 대안을 모색해 온 장애인 야학은 특수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첫째, ‘존재’ 그자체만으로도 특수교육의 제도적인 취약함을 드러낸다. 둘째, 학령기를 지난 장애성인을 위한특수교육적인 노력이나 실천이 그동안 부족했다는 것을 반증한다. 셋째, 학생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관계를 맺고 교육이 가능하다는 희망과 함께 탈학교적인 상상력을 자극해준다. 오늘날 우리는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매우 부각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도권 교육에서 교육받을 기회를 갖지 못하고 성인으로 자란 장애인들이 가지는 배움과 삶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새로운 교육을 기획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이기도 하다. 장애인야학의 일련의 교육활동과 노력은 그동안 학령기 장애인을 주요 대상으로 학교교육을 실시해온 기존의 특수교육체제에 대해 그 외연과 전문성을 확장시킬 중요한 기회를 제공해 준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major issues related to operation of Yahak for the disabled and to suggest their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Yahak have provided education to the grass-roots over 11 decades in our country. In movements for the disabled, the slogan “Nothing about us without us” became prevailing, and Nodle Yahak and Jillalabi Yahak for the disabled were established respectively in 1993 and 2000 when activists conducted a series of progressive movements for the disabled. Disabled people were eager for learning, and the two Yahaks played a central role in Korean movements for the disabled by conducting a campaign for disabled people’s right to mobility when the Oeido station incident took place. The Yahaks offered hands-on culture programs as part of their extra curriculumto step up the change of the legal system and local community, and tried toserve as communities that could create a new life. Currently, there are about 30 Yahaks for the disabled in our country, which organized the National Association of Yahak for the Disabled to find a way out of their operating difficulties and attempt to turn in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under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Yahaks for the disabled have posed problems to our society and institutional education and sought after possible alternatives against all odds, and they have some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First, the existence of Yahaks is evidence of the institutional vulnerability of special education. Second, there haven’t been full-fledged efforts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to disabled adults who are past the legal school age. Third, they offer hope for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place and make it possible to go beyond the boundary of school. Today, we are living i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is highly emphasized. In the situation, it is an undeniable requirement to provide new programs and contents of education for meeting the desires to learn and lead a new life in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grown into adults with few opportunities even in public education. Yahak’s criticism of public education and their concept of alternative suggest challenging tasks to planning and practicing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which has educated school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until now, and provide important opportunities for expanding its denotation and expert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