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선 In-band backhaul을 통한 이동성 지원 방안

        최홍철,구형일,김기훈,김재우,한철희,Choi, Hong-cheol,Koo, Hyung-Il,Kim, Ki-Hun,Kim, Jae-Woo,Han, Chul-H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12

        기존의 상용 LTE 통신망은 도시 단위 EPC(Evolved Packet Core)에 기지국(eNodeB)을 지역 단위로 고정 배치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개별 노드 단위의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고 이동을 전제로 하는 재난망, 군 전술망에는 적합하지 않는 구조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된 각 노드에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그리고 EPC를 하나의 장비로 통합한 LTE 시스템을 제안하고, 노드 간 통신을 위해 M2M(Machine to Machine) 타입의 사용자 단만을 노드 단위로 탑재하여 무선 In-band backhaul 링크를 구성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LTE의 모든 구성 항목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 일반 사용자 단말 접속 후 이동하여 접속된 노드가 바뀌면 IP 앵커가 되는 P-GW의 변경이 필요하다. 노드 간 이동성 지원을 위해 UPFE(User Packet Forwarding Extension)방식을 정의하고 P-GW가 변경되어도 이동성을 지원하는 EPC의 핸드오버 절차를 구현하였다. 또한, 통합 LTE 시스템에서 구현된 핸드오버 절차 대하여 통신 노드 추가에 따른 Cell Range를 분석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비교한다. The current LTE network system provides service by locally allocating eNodeB to the EPC(Evolved Packet Core). However, it is not suitable for inter-node communication based on the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grated system by configuring E-UTRAN and EPC as All-In-One type to enable service in each distributed node. M2M UE is mounted on a each node for wireless In-band backhaul link. The integrated node provides inter-node communication over the wireless in-band backhaul link. If a normal UE moves and an access node changes in the system all entities of LTE integrated into on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GW which is IP anchor. In order to support the inter-node mobility even if P-GW is changed, We defined UPFE(User Packet Forwarding Extension) scheme and implemented the handover procedure of EPC. Also, we analyze the cell range of the integrated LTE system with the addition of the node and compare the handover delay with the current system.

      • KCI등재

        한국 가계의 객관적·주관적계층 차이 결정요인 - 재무적 요인을 중심으로

        최홍철(Hongcheol Choi) 한국FP학회 2020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3 No.3

        본 연구는 한국 가계의 객관적 계층과 주관적 계층의 차이에 따라 집단을 3유형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유형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재무적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객관적계층과 주관적계층의 차이에 따라 객관적계층고집단, 계층일치집단, 주관적계층고집단의 세 유형으로 집단을 분류하였으며, 객관적계층과 주관적계층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 재무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재무적 요인은 다시 소득, 자산, 부채요인으로 나누고 각 요인을 구성하는 하위항목들을 영향변수로 사용함으로써 객관적계층과 주관적계층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재무적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노동패널 20차 자료를 사용하여, 총 6,819가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계층고집단은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았으며, 소득과 자동차보유비율이 가장 높았던 반면, 주관적계층고집단은 연령이 높고, 취업가구 비율이 낮으며, 자가 비율은 가장 높은 모습을 보였다. 둘째, 객관적계층고집단은 근로소득과 기타소득, 금융자산과 금융기관부채가 높았던 반면, 주관적계층고집단은 이전소득, 사회보험소득, 부동산보유비율이 세 유형 중 가장 높았다. 셋째, 근로소득, 부동산소득, 이전소득, 기타소득, 은행예적금, 금융기관부채가 많을수록, 주거외부동산을 보유하지 않을수록 객관적계층고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던 반면, 근로소득, 이전소득, 사회보험소득, 기타소득, 은행예적금, 저축성보험, 금융기관부채가 적을수록, 주거외부동산을 보유한 가구일수록 주관적계층고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객관적ㆍ주관적계층 차이로 인한 재무적 불균형완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객관적·주관적계층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재무적 요인을 밝힘으로써 재무설계나 정책수립에 있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계의 재무설계와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inancial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of Korean households by dividing the group into three types. To this end, Korean households were classified into an objective-higher group, a coincidence group, and a subjective-higher group,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Financial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were divided into sub-items of income, assets, and liabilities. Using 20th of the data from KLIPS, a total of 6,819 households were analyzed, and SPSS 24.0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nd apply a Chi-square test,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higher group had the lowest average ag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the highest ratio of income and car ownership, while the subjective-higher group had the highest average age, the lowest ratio of working households, and the highest rate of home ownership. Second, the objective-higher group had the highest earned income, income of others, financial assets, and financial institution liabilities, while the subjective-higher group had the highest ratio of transfer income, social insurance income, and real estate holdings among the three types. Third, households with higher incomes and no real estate holding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objective-higher group, while those with lower incomes and with real estate asse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subjective-higher group.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ducing financial imbalances due to differences i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It is meaningful that specific financial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have been identified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specific measures in financial planning or policymaking.

      • KCI등재

        20․30대 1인가구의 소비지출양식에 관한 연구

        최홍철(Choi, Hong Cheol),김소연(Kim, So Yun),나종연(Rha, Jong-Youn),최현자(Choe, Hyun Cha)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20․30대 1인가구의 소비지출양식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선호와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삶의 방식을 이해하는 동시에 지출비목간 분배의 적정성을 고찰함으로써 이들의 경제적 복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인가구가 각 소비지출비목에 대해 어떻게 주어진 자원을 배분하는지 살펴보고, 소비지출비중을 중심으로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 특성을 살펴본 후, 각 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특히 조사대상과 동일한 연령대의 다인가구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이들과 구별되는 1인가구만의 소비지출양식의 차이점을 더 명확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4년도 가계동향조사를 분석한 결과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의 1인가구와 다인가구는 비목별 소비지출비중에서는 교통, 통신, 기타상품및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9개 비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비목별 소비지출액에서는 식료품및비주류음료, 주류및담배, 주거및수도광열, 교육, 음식숙박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1인가구의 소비지출유형은 대외활동중심형, 교통비중심형, 주거비중심형, 의식주중심형, 자아추구중심형으로 유형화되어, 다인가구와는 교통비중심 형, 주거비중심형과 같은 유사한 소비지출유형이 도출된 동시에 대외활동중심형, 자아추구중심형이나 의식주중심형과 같이 다인가구와는 구별되는 1인가구만의 특성을 보여주는 유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소비지출유형 모두에서 교통비중심형, 주거비중심형이 공통으로 도출되었으나 1인가구와 다인가구 사이에 유사한 소비지출양식을 보이는 유형이라 할지라도 지출비중이나 유형을 구성하는 구성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넷째, 1인가구의 소비지출양식 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은 성별, 대졸학력여부, 종사상지위가 기타․무직인지 여부, 월세거주 여부, 기타형태 거주 여부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to shed light on their preferences and needs, to understand their ways of life, to consider the appropriateness of allocation across the expenditure items, and ultimately to suggest alternatives for enhancing their economic welfare. To those ends, this study examines how single-person households allocate their given resources to each consumption expenditure item, classifies the consumption expenditure items into different types based on their importance, characterizes each type, and delves into the determinants for each type. In particular, an age-matched control group of multi-person households is selected to clarify any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s and the single-person households in terms of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In summar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9 items excluding transport, communication and other items of the consumption expenditure between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Also, in view of the amount allocated to each consumption expenditure item,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groceries and non-alcoholic drinks, alcoholic drinks and cigarettes, housing and water/light/heat, education, and food and accommodation. Second, single-person households' consumption expenditure is classified into different types, i. e. external activities, transportation expenses, housing expenses, food/clothing/shelter and self-realization. Single-person households parallel multi-person households in terms of the types focused on external activities, transportation expenses and housing expenses. In contrast, the single-person households differ from the multi-person counterparts in that the types focused on self-realization and food/clothing/shelter are derived from the former. Third, although the types focused on external activities, transportation expenses and housing expenses are commonly derived from the consumption expenditure types of both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which indicates similar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constitute the importance or types of expenditure differ between the two. Fourth, the determinant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include gender, university education, employment status (unemployment or other), monthly housing rent, and other types of residence, whereas those for multi-person households are age, gender, income, education, employment status and residence types.

      • KCI등재

        한국가계의 소비시기 구분과 소비시기별 소비양식 연구: 1965년~2016년

        최홍철 ( Choi¸ Hongcheol ),최현자 ( Choe¸ Hyuncha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6

        본 연구는 지난 50년간 소비양식이 변화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각 시기간 소비양식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시대에 따라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소비양식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소비시기를 구분하기 위하여 변화점분석(Change Poi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변화점분석시, 총소비지출액과 비목별 소비지출비중의 평균과 분산에 차이가 생기는 지점을 변화점으로 탐색하였으며, 이후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변화점 개수를 조정하여 최종적으로 소비시기를 결정하였다. 이후 각 소비시기의 소비양식의 차이를 소비규모, 소비지출비중, 소득탄력성의 3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자료는 1965년부터 2016년까지의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연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가계의 소비시기는 총소비지출액을 기준으로 1965-1973년, 1974-1987년, 1988-2002년, 2003-2012년, 2013-2016년의 5시기로 구분되었으며 각 시기는 시기별 소비양식 특성을 고려하여 필요충족소비기, 서비스소비전환기, 문화향유소비기, 소비성숙기, 소비정체기로 명명하였다. 필요충족소비기에는 의식주 비중이70%를 넘어 소비의 대부분이 생계유지를 위해 지출되고 있었다. 서비스소비전환기에는 외식 등 서비스 소비지출비중이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외식비 등 서비스소비의 증가는 우리나라 가구구조변화, 과학기술의 발전,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에 기인한다. 문화향유소비기인 3시기에는 오락문화 소비가 증가하고, 자동차소비가 급증하면서 여가생활영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4시기는 소비성숙기로, 이 시기에는 가정내 식사 비중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의식주 이외의 비목에 대한 소비지출비중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전의 시기들에서와 같이 소비구조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지기보다는 완만하게 이루어졌다. 마지막 시기는 소비정체기로, 이전시기 대비 소비지출규모의 증가가 둔화되었고 평균소비성향은 2016년의 경우 71%대까지 낮아져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이시기는 비목간 비중의 변화가 큰 변화 없이 일정할 뿐만 아니라 소득탄력적인 비목의 수도 다른 시기에 비해 적게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최근의 코로나-19팬데믹으로 인한 경기침체와 맞물려 이러한 소비정체기가 어느 정도 지속될지 그리고 가계소비양식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Consumption is achieved by allocating household resources to various goods in order to achieve household goals, and the consumption pattern is the way in which the consumed items are intrinsically structu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households over the past 50 years. Especially, it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patterns of each period by comparing the consumption patterns of each period by dividing the periods based on the points where the consumption styles were changed. Change Point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consumption periods. The number of change points was adjusted to fit the study and finally the consumption period was determined. After that, the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between consumption periods in terms of consumption expenditures, consumption expenditure composition, and income elasticity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is that the consumption period of Korean households is divided into five periods of 1965-1973, 1974-1987, 1988-2002, 2003-2012, and 2013-2016 based on consumption patterns, and each period was named as ‘The Period of Consumption to meet needs’, ‘The Period of Transition to Service Consumption’, ‘The Period of Culture-Oriented Consumption’, ‘The Period of Consumption Maturity’, and ‘The Period of Underconsump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consumption style of each period. In ‘The Period of Consumption to meet needs’, more than 70% was spent on food and shelf items. This means that most of the consumption was spent for sustenance in this period. I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Service Consumption’,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of services such as FAFH began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Period of Culture-Oriented Consumption’, consumption on Leisure increased from the previous period, and also the purchase of cars increased, so that the leisure area expanded. During ‘The Period of Consumption Maturity’, the proportion of home meals decreased continuously, whereas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of non-food items increased. In ‘The Period of Underconsumption’, consumption expenditure slow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the average propensity to consume (APC) fell to 71%, the lowest level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 Self-Shadow를 이용한 푸른 사과 낙과 검출 시스템 개발

        최홍철(Hongchul Choi),한용구(Yonggu Han),김기범(Kibeom Kim),한동일(Dongil Han) 대한전자공학회 2016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6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for detecting apples to measure the number of apples on the ground through analyzing the apple of self-shadow. The proposed algorithm explores whether the apple candidate object has a round self-shadow. In order to educe colors appropriate for green apple areas, CIE L*a*b* color space was used to educe colors. In order to educe green apple characteristics strong against lighting change, modified census transform (MCT) was used. Then using AdaBoost Learning algorithm, characteristics data on green apples were learned and generated. And self-shadow is used as the weight to apply the light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ball-like shape. With generated data, detection of green apple areas was made. The proposed algorithm had a higher detection rate than existing image processing algorithms and minimized false detection.

      • KCI등재후보

        가구유형을 고려한 생애주기와 소비지출양식에 관한 연구

        최홍철(Hong Cheol Choi),최현자(Hyun Cha Choe) 한국FP학회 201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7 No.3

        소비지출양식은 가계나 개인이 어떠한 생애주기 단계에 있는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재무구조 역시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재무설계에서 생애주기를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전통적 생애주기는 전형적인 가구유형의 생애주기 단계에 따른 소비지출양식을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유용하지만, 일인가구나 무자녀가구, 한부모가구와 같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가구의 소비지출양식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구유형을 고려한 생애주기 단계를 분류하고 이렇게 분류된 생애주기 단계에 따라 가계특성과 소비지출양식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나라 가계의 생애주기를 가구유형과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16개의 생애주기 단계로 분류하였다. 가구유형은 결혼지위 및 자녀유무에 따라 일인가구, 무자녀부부가구, 유자녀부부가구, 유자녀한부모가구 등 4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생애주기는 가구주 연령을 기준으로 장년기, 중년기, 은퇴기로 나누었으며, 중년기와 은퇴기 유자녀가구의 경우 자녀의 취업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다시 자녀독립전 가구와 자녀독립 가구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생애주기 단계에 따른 소비지출양식을 살펴본 결과, 각각의 가구유형은 생애주기 단계에 따라 소비지출양식에 차이가 있었으며, 동일한 생애주기에 있는 가구라도 가구유형에 따라 소비지출양식에 차이를 보였다. 이는 동일한 생애주기 단계에 있는 가계라도 가구유형이 다를 경우 소득과 소비지출양식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생애주기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가계 특성과 소비지출양식을 파악하는데 있어 가구유형을 함께 고려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며 이를 통해 각 가계 특성에 적합하고 구체적인 재무목표 설정과 재무설계가 가능해 질 것이다. 또한 어느 유형의 가계가 어떠한 생애주기 단계에서 더 재무적으로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파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정책적, 교육적 대안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may vary with life-cycle stages of households or individuals, and corresponding financial structures may appear to vary with the stages. For this reason, life-cycle stages is very important in financial planning. Yet, most researche on life-cycle stages is based on traditional life-cycle stages. The traditional life-cycle stages provide useful standards to explain consumption patterns for typical households. However, as society changes, the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generate the various types of households even in the same life-cycle stages.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considering the various types of households in different life-cycle stages.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classifies a extended life-cycle stage considering the various types of households in modern society and examines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based on the new classified life-cycle stages. The major finding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ouseholds were classified into 16 life cycle stages considering the household typology and life cycle stages. Household typology was classified into 4 typ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and existence of children in the household, i.e., single household, childless-couple household, couples with children households, and single-parent households with children. The life cycle stages were divided into the stages of maturity, middle-age adulthood and retirement based on the age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In case of the middle-age adulthood stages and retirement stages with children were subdivided into households with dependent or independent children based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ir childre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each household type showed a different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 in each life-cycle stage. In addition, the households in the same life-cycle stages showed different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by theirtype of households. The result implied that incom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may affect the difference of the households in the same life-cycle stages. The result also implied that household typology should be considered in classifying life-cycle stages, which will be enable financial planners or households to set financial goals and planning customized to each household. Moreover, the life-cycle stages incorporating the household typology will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most financially vulnerable type of households and life-cycle stages. The result would be helpful in policy setting and educational programs.

      • 작품 전시를 위한 웹서비스 설계 및 구현

        정준수(Junsu Jeong),최홍철(Hongcheil Choi),김아름(Areum Kim),서효선(Hyosun Seo),이경미(Kyoungmil Lee),임양원(Yangwon Lim),임한규(Hankyu L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3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3 No.5

        대학에서는 졸업작품전시회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사정으로 인해 전시회를 방문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 본 논문에서는 졸업예정자들의 작품성과 학과 비전을 홍보할 수 있고, 예비 대학생들을 위해 대학 및 학과를 홍보할 수 있는 졸업 작품 전시 웹서비스를 구현하였다. In University, the graduation exhibition has been held every year. However, people do not attend the exhibition in the personal circumstances often. The web site for the exhibition work is implemented for promoting the department and university, and it is used for pre-college students.

      • HOG를 이용한 향상된 붉은 사과 검출 알고리즘 개발

        김동기(Donggi Kim),최홍철(Hongchul Choi),유성준(Seong Joon Yoo),한동일(Dongil Han) 대한전기학회 2015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15 No.4

        This study proposes an algorithm for recognizing apple trees in image and detecting apples to measure the number of apples on apple trees. The proposed algorithm explores whether there are apple trees based on the number of image block-unit edges and then detect apple areas. In order to extract colors appropriate for apple areas, CIE L*a*b* color space was used to extract colors. In order to extract a circle in the form of an apple,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HOG) was used. Then using AdaBoost Learning algorithm, characteristics data on apples were learned and generated. With generated data, detection of apple areas was made. Then we apply a weight to the apple area extracted by using the CIE L*a*b* to find more accurate apple area. The proposed algorithm had a higher detection rate than existing pixel-based image processing algorithms and minimized false detection.

      • GPU를 이용한 낙과 계수 시스템 성능 향상

        엄태산(Taesan Eom),최홍철(Hongchul Choi),한동일(Dongil Han) 대한전자공학회 2016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6

        This paper proposes parallel processing on fallen fruit count system, because object detection technique needs much computation. We use general-purpose computing on graphics processing units to speed improvement about object detection and counting of fallen fruit and show the result of exper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