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흉막폐모세포종의 압착도말 소견 - 1예 보고 -

        노미숙,서지영,허기영,최필조,홍숙희,정진숙,Roh, Mee-Sook,Seo, Ji-Young,Huh, Gi-Yeong,Choi, Pill-Jo,Hong, Sook-Hee,Jeong, Jin-Sook 대한세포병리학회 2001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2 No.1

        Pleuropulmonary blastoma (PPB) is an unusual intrathoracic blastoma presenting in childhood and charac-terized by a biphasic neoplastic population of undifferentiated, small round blastemal cells and larger spindle-shaped sarcomatous cells with entrapped benign epithelial-lined structures. We experienced the cytologic features of PPB in imprint smear from the pleural-based huge mass of the middle lobe of the right lung in a 4-year-old boy. The smears showed high cellularity composed of small ovoid blastemal elements and scattered spindle mesenchymal tumor cells. Lobectomy and pathologic investigation confirmed the diagnosis. PPB seems to be a tumor in which accurate diagnosis may be achieved by cytoiogy if appro-priate clinical information were given. Timely and accurate diagnosis of PPB by cytology paves the way for attempting preoperative treatment in future cases.

      • SCOPUSKCI등재

        초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늑막하 병변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예비 보고

        이호준,이형식,허원주,이기남,최필조,Lee, Ho-Jun,Lee, Hyung-Sik,Hur, Won-Joo,Lee, Ki-Nam,Choi, Pill-J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Purpose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impact of subpleural lesions of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on the patterns of failure to support selection of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Methods and Materials : The study included 91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from Dec 1990 to Sep 1996. Twenty five patients were excluded due to postoperative mortality (four patients, 4.4$\%$) and stage III (21 patients). Of 66 patients, 22 patients were subpleural lesions (15 patients in stage I, and seven patients in stage II).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was given to seven patients with T2Nl disease.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29.5 months (range; 8-84 months). Results :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69.5$\%$ at 3 years. For all patients who presented with (22 patients) and without (44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35.5$\%$ and 84.6$\%$, respectively (p=0.0017). For stage I patients who presented with (15 patients) and without (29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33.1$\%$ and 92.3$\%$, respectively (p=0.001). For stage II patients who presented with (7 patients) and without (15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53.3$\%$ and 45.7$\%$, respectively (p=0.911). For patients with T2N0 disease (34 patients) who presented with (11 patients) and without (23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27.3$\%$ and 90.3$\%$, respectively (p=0.009). Conclusion :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subpleural lesio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prognostic factor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Especially for T2N0 disease, patients with subpleural lesio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urvival rate than those without that. 목적 : 초기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치료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 치료후 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향후 치료방침의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2월부터 1996년 9월까지 동아대학병원에서 절제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받은 환자 91명중 제 I병기와 제 II병기환자 6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66명중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22명이었으며, 제 I병기(T1N0, T2N0)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15명/44명(34.1$\%$)이었으며, 제 II병기(T1N1, T2Nl, T3No)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7명/22명(31.8$\%$)이었다. 수술후 보조요법으로서 전신 항암요법은 시행되지 않았고, 방사선치료는 7명에서 시행되었다. 최소 추적관찰기간은 8개월이며 최대추적관찰기간은 84개월이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33.2개월(중앙값; 29.5개월)이었다. 생존율은 Kaplan-Meier법으로 분석하였고, 서로간의 성적비교는 log-l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전체환자의 3년 생존율은 69.5$\%$였다. 전체환자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5.5$\%$와 84.6$\%$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7). 제 I병기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3.1$\%$와 92.3$\%$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제 II병기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53.3$\%$와 45.7$\%$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p=0.911). 제 I병기환자 44명중 원발종양의 크기가 3cm이상인 경우(T2, 34명)는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27.3$\%$와 90.3$\%$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9). 국소재발은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2명/15명(13.3$\%$), 제 II병기에서 2명/7명(28.6$\%$)에서 재발하였고,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4명/29명(13.8$\%$), 제 II병기에서 2명/14명(14.3$\%$)에서 국소재발을 보였다. 원격전이는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5명/15명(33.3$\%$), 제 II병기에서 2명/7명(28.6$\%$)에서 원격전이를 보였고,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에는 제 1병기에서 2명/29명(6.9$\%$), 제 II병기에서 4명/14명(28.6$\%$)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결론 : 초기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예후에 있어서 늑막하병변의 유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임파선 전이가 없는 72병기의 경우 늑막하병변이 있으면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에 비해 생존율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 식도절제술 환자에서 식도내압 및 위배출시간에 대한 고찰

        지삼룡 ( Sam Ryong Jee ),최석렬 ( Seok Reyol Choi ),김광진 ( Kwang Jin Kim ),금동주 ( Dong Joo Keum ),홍기봉 ( Ki Bong Hong ),이종훈 ( Jong Hun Lee ),한상영 ( Sang Young Han ),최필조 ( Pill Jo Choi )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목적〉 식도절제술은 식도암에 있어서 장기생존 및 증상의 호전을 위하여 치료원칙이 되며, 증상의 호전을 위한 고식적 수술로도 시행된다. 또한, 식도의 양성 협착 질환이나 식도 천공의 치료법으로도 행해진다. 그러나, 식도절제술후의 식도 운동기능의 양상과 위배출능에 대한 국내문헌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식도절제술후 호소하는 증상과 식도내압 및 위배출시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4년 10월부터 1998년 11월 사이에

      • SCIESCOPUSKCI등재

        식도절제술 환자에서 식도내압 및 위배출시간에 대한 고찰

        이철종(Cheol Jong Lee),최석렬(Seok Reyol Choi),지삼룡(Sam Ryong Jee),김광진(Kwang Jin Kim),금동주(Dong Joo Keum),홍기봉(Ki Bong Hong),이종훈(Jong Hun Lee),한상영(Sang Young Han),최필조(Pill Jo Choi)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1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7 No.2

        N/A Backgroud/Aims: Resection of the esophagus for malignant disease or a benign stenosis, has a choice not only of palliative surgery, but also of replacement of the esophagus with a transposed stomach, jejunum, or colon. The first-line method is replacement with a tubulized stom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esophageal motor dysfunction and gastric emptying time with symptoms after esophagectomy. Methods: We performed the esophageal manometry and gastric emptying time after esophagectomy for esophageal cancer in 12 patients and for benign esophageal disease in 2 patients. Results: In manometric studies, a zone of high pressure in the esophago-gastric anastomosis distal to the upper esophageal sphincter was associated with symptoms after esophagectomy. The gastric emptying rate was slowed in 7 out of 14 patients, but not associated with symptoms after esophagectomy. Conclusions: Our data suggest that a high-pressure zone distal to the upper esophageal sphincter was associated with symptoms after esophagectomy in manometric study. The gastric emptying rate was not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symptoms.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2001;7:197-203)

      • SCOPUSKCI등재

        초기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늑막하병변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이호준(Ho Jun Lee),이형식(Hyung Sik Lee),허원주(Won Joo Hur),이기남(Ki Nam Lee),최필조(Pill Jo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목 적 ; 초기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치료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 치료후 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향후 치료방침의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본 연구를 하였다. 대 상 및 방 법 ; 1990년 12월부터 1996년 9월까지 본원에서 절제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받은 환자 91명중 제 I병기와 제 II병기환자 6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66명중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22명이었으며, 제 I병기(T1N0, T2N0)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15명/ 44명(34.1%)이었으며, 제 II병기(T1N1, T2N1, T3N0)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7명/ 22명( 31.8% )이었다. 수술후 보조요법으로서 전신 항암요법은 시행되지 않았고, 방사선치료는 7명에서 시행되었다. 최소 추적관찰기간은 8개월이며 최대추적관찰기간은 84개월이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33.2개월(중앙값; 29.5개월)이었다. 생존율은 Kaplan -Meier법으로 분석하였고,서로간의 성적비교는 log - l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 전체환자의 3년 생존율은 69.5%였다. 전체환자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5.5%와 84.6%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7). 제 I병기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3.1%와 92.3%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제 II병기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53.3%와 45.7%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p=0.911). 제 I병기환자 44명중 원발종양의 크기가 3cm이상인 경우(T2, 34명)는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27.3%와 90.3%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09). 국소재발은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2명/ 15명(13.3%), 제 II병기에서 2명/ 7명(28.6%)에서 재발하였고,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4명/ 29명(13.8%), 제 II병기에서 2명/ 14명(14.3%)에서 국소재발을 보였다. 원격전이는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5명/ 15명(33.3%), 제 II병기에서 2명/ 7명(28.6%)에서 원격전이를 보였고,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2명/ 29명(6.9%), 제 II병기에서 4명/ 14명(28.6%)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결 론 ; 초기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예후에 있어서 늑막하병변의 유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임파선 전이가 없는 T 2병기의 경우 늑막하병변이 있으면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 에 비해 생존율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Purpose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impact of subpleural lesions of early stage non-mall cell lung cancer on the patterns of failure to support selection of post operative adjuvant therapy . Methods and materials The study included 91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from Dec 1990 to Sep 1996. Twenty five patients were excluded due to post operative mortality (four patients, 4.4%) and stage III (21 patients). Of 66 patients , 22 patients were subpleural lesions (15 patients in stage I, and seven patients in stage II). Post 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was given to seven patients with T2N1 disease.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29.5 months(range; 8-84 months). Results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69.5% at 3 years. For all patient s who presented with (22 patients) and without (44 patients) subpleural lesions , 3- year over all survival rates were 35.5% and 84.6%, respectively (p=0.0017). For stage I patients who presented with (15 patients) and with out (29 patients) subpleural lesions ,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33.1% an d 92.3%, respectively (p=0.001). For stage II patients who presented with (7patients) and with out (15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53.3% and 45.7%, respectively (p=0.911). For patients with T2N0 disease (34 patients) who presented with (11 patients) and with out (23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27.3% and 90.3%, respectively (p =0.009).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subpleural lesio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prognostic fact or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Especially for T 2N0 disease, patients with subpleural lesio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urvival rate than those without that .

      • SCOPUSKCI등재

        국소적으로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 과분할 방사선 치료의 성적

        허원주(Won Joo Hur),이형식(Hyung Sik Lee),김정기(Jeong Ki Kim),최영민(Young Min Choi),이호준(Ho Jun Lee),윤선민(Seon Min Youn),김재석(Jae seok Kim),김효진(Hyo Jin Kim),우종수(Jong Soo Woo),최필조(Pill Jo Choi),이기남(Ki Nam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목 적 : 국소적으로 진행된 병기 IIIA, IIIB 비소세포 폐암에서 과분할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2년 10월부터 1995년 10월까지 병기결정과 병리조직 검사상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으로 확진된 환자 중 전신상태가 양호한 (ECOG score 2 이하) 6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는 확진 후 2주내 시행하였으며 15 MV x-ray를 이용하여 일일 2회 (매 치료당 120cGy) 주 5회 치료하였으며 방사선 총량은 6400-7080 cGy (중앙값 6934 cGy)가 되도록 조사하였다. 결 과 : 치료후 종양의 완전관해 (CR)는 전체 61명 중 22명이었고 부분관해 (PR)가 32명에서 관찰되었으며 무반응 (NR)의 경우도 7명에서 관찰되었다. 완전관해의 경우 중앙 생존기간이 19.5개월로 부분관해의 11.7개월, 무반응의 6.3개월에 비해 높아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p=0.0003), 1년 및 2년 생존율도 완전 관해군에서 70.0%, 22.7%로 부분관해의 46.8% 및 3.3%보다 높았다. 전체 61명 환자 중 IIIA군이 29명 IIIB군이 32명이었고 완전 관해는 IIIA군에서 11명, IIIB군에서도 11명이었다. 각 병기에 따른 1년 및 2년 생존율은 IIIA군이 각각 63.3%, 16.8%이고 IIIB군이 43.3%, 3.6% 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고 (p=0.043), 중앙 생존기간은 IIIA가 16.7개월, IIIB가 11.4개월이었다. 국소 치료 실패율은 양군에서 유사한 정도로 관찰되었으나 (IIIA 74.4%, IIIB 75%), 원격전이는 IIIB 환자가 높게 나타났다 (IIIA 24.1%, IIIB 43.8%). 조직학적으로도 편평상피암과 선암의 경우 국소치료 실패율은 비슷하였으나 (편평상 피암 74.5%, 선암 71.4%), 원격전이는 선암이 많았다 (편평상피암 29.8%, 선암 50.0%). 과분할 방사선 치료에 대한 합병증은 전체 61명 환자 중 43명에서 Grade I- II의 방사선 식도염이 관찰되었고 치료 종결 후 2개월 내에 2명의 환자에서 급성 방사선 폐렴이 나타났고, 만성 방사선 폐렴은 1명에서 나타났으며 13개월만에 만성 방사선 폐렴에서 폐 섬유화가 진행되어 사망하였다. 결 론 : 국소적으로 진행되어 수술 불가능한 비소세포성 폐암중 특히 IIIA의 경우 치료에 대한 독성을 감안하더라도 과분할 방사선 치료를 시도하여 완전 관해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존율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The effect of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on locally advanced non-small lung cancer was studied by a retrospective analysis. Materials & Methods:We analyzed sixty one patients of biopsy -confirmed, IIIA and IIIB non-small cell lung cancer. Using the ECOG performance scale, all the patients were scored less than 2. They were treated by curative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alone from Oct. 1992 to Oct. 1995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ll the patients received 120cGy b.i.d with more than 6 hours interval between each fraction. The total dose of radiation was reached up to 6400-7080 cGy with a mean dose of 6934 cGy. The resul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53.1% in 1 year, 9.9% in 2 years with a median survival time (MST) of 13.9 months. The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rate was 37.0% in 1 year, 8.9% in 2 years. Twenty two patients were classified as complete responders to this treatment and their MST was 19.5 months. When this was compared with that of partial responders (MST: 11.7month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03). Twenty nine patients of stage IIIA showed a better overall survival rate (1yr 63.3%, 2yr 16.8%) than IIIB patients (1yr 43.3%, 2yr 3.6%), which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cant (p=0.003).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showed a better survival rate (1yr 64.3%, 2yr 21.4%) than that of squamous cell counterpart (1yr 49.4%, 2yr 7.4%), although thi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p=0.61). Two patients developed fatal radiation-induced pneumonia righ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reatment which progressed rapidly and they all died within 2 months. One patient developed radiation- induced fibrosis after 13 months. He refused further treatment and died soon after the development of fibrosis. Conclusion : Among locally advanced NSCLC,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was effective on stage IIIA patients by increasing MST with acceptable toxicities. Acute radiation-induced pneumonia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and must be avoided during or after this treatment.

      • 양성 발작성 두위 현기증의 임상양상과 이석 정복술의 효과

        강보승,최필조,임태호,배성만,송형곤,송근정,정연권 대한응급의학회 2002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3 No.3

        Purpose; Until recently, three variants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have been recognized: the first is posterior-canal canalolithiasis, the second is horizontal-canal canalolithiasis, and the last is horizontal-canal cupulolithiasis. However, the last two types of BPPV have not been introduced into the textbook of Emergency Medicine yet. The otolith repositioning maneuvers are effective treatments for BPPV, but in emergency medicine, there has been little interest in and research on them. Our goals were to determine the efficacies of these treatments and to examine the clinical features of each types of BPPV. Methods: We performed a 6-month prospective study on forty-one patients(47 cases) who presented with a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consistent with active BPPV to the emergency departments of a secondary hospital and a tertiary hospital (Dec. 2001-May. 2002).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modified Epley canalith repositioning maneuver for posterior-canal BPPV, a modified Barbecue rotation for horizontal-canal canalolithiasis, and the maneuver of Joet al. for horizontal-canal cupulolithiasis. Results: A resolution attributable to the first intervention was obtained in 71.4% of the posterior-canal BPPV cases by using the modified Epley maneuver and in 73.1% of the horizontal-canal BPPV cases by using a modified Barbecue rotation & the maneuver of Jo et al. Conclusion: The otolith repositioning maneuvers result in a resolution of vertigo in the majority of patients (84.8% of the cases) immediately after treatment. They are safe and require no special equipment or investigations. They should be established as the treatments of choice for BPPV in emergency departmen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