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가평천 상류역의 어류상과 참갈겨니의 개체군 특징

        최준길 ( Jun Kil Choi ),장창렬 ( Chang Ryeol Jang ),변화근 ( Hwa Kun Bye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1

        2005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가평천 상류역의 어류상과 참갈겨니 개체군 특성을 조사하였다. 출현한 어종은 총 6과 16종 이었으며 우점종은 Zacco koreanus, 아우점종은 Pungtungia herzi 이었다. 한국고유종은 Pseudopungtungia tenuicorpa, Coreoleuciscus splendidus, Hemibarbus mylodon, Gobiobotia brevibarba, Microphysogobio longidorsalls, Z. koreanu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Iksookimia koreensis, Silorus microdorsalis, Liobagrus andersoni, Coreoperca herzi, Odontobutis platycephala 등 12종으로 고유화 빈도는 75.0% 이었다.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종은 H. mylodon 이었고 멸종위기야생동·식물에 속하는 종은 P. tenuicorpa와 G. brevibarba 이었다. Z. koreanus의 성장도는 3.44, 비만도는 0.004로 이었고 산란시기는 5~6월경 이었다. The fish fauna and population of Zacco koreanus in the upper region of the Gapyeong Stream was investigation from April, 2005 to August, 2009. The collected species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16 species belonging to 6 families. Dominant species was Z. koreanus and subdominant species was Pungtungia herzi. korea endemic species were Pseudopungtungia tenuicorpa, Coreoleuciscus splendidus, Hemibarbus mylodon, Gobiobotia brevibarba, Microphysogobio longidorsalls, Z. koreanu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Iksookimia koreensis, Silorus microdorsalis, Liobagrus andersoni, Coreoperca herzi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which showed a ratio of 75 % in all collected species. The species of H. mylodon was identified as natural monument, and P. tenuicorpa and G. brevibarba were endangered species. Length-weight relationship in the population of Z. koreanus was 3.44, and condition factor in the popuation was 0.004. The spawning season of Zacco koreanus was May and June.

      • KCI등재

        탄천의 서식처별 어류상과 피라미 개체군의 특징

        최준길 ( Jun Kil Choi ),장창렬 ( Chang Ryeol Jang ),변화근 ( Hwa Kun Bye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1

        2009년 8월부터 2010년 4월까지 탄천 9개 미소서식지에서 어류상과 피라미 개체군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7과 17종개체가 확인되었다.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Hemiculter eigenmanni와 Odontobutis interrupta로 2종(11.8%)이었으며 국외도입종은 Microterus salmoides 1종 이었다. 우점종으로는 Zacco platypus, 아우점종으로는 Carassius auratus 이었다. 서식처별로는 댐형 웅덩이, 사행형 웅덩이, 평여울, 거석형 웅덩이 등에서 Carassius auratus가 우점하였고, Pseudogobio esocinus는 샛강, Rhinogobius brunneus는 급여울, Z. platypus 는 개방형 하도습지, 낙차형 웅덩이, 폐쇄형 웅덩이 등에서 우점하였다. Z. platypus의 성장도와 비만도의 회귀계수 b값이 3.29의 값으로 나타났고 PCA 분석 결과 탄천에서 크게 3개의 Group으로 나누어졌다. 탄천의 서식처 별 Bray-Curtis Clust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차형 웅덩이와 폐쇄형 하도습지가 65.9%로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0.4%로 댐형 웅덩이와 급여울이 가장 대조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fish fauna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of Zacco platypus in the 9 microhabitat at the Tan Stream was investigated from August, 2009 to April, 2010. The collected species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17 species belong to 7 families. Korea endemic species were Hemiculter eigenmanni and Odontobutis interrupta, which showed a ration of 11.8% in collected species. Dominant species was Z. platypus and subdominant species was Carassius auratus. Dominated species of C. auratus was at the dam-type pool, Meander-type pool, run, and rock-type pool, Pseudogobio esocinus was side channel, Rhinogobius brunneus was riffle, and Z. platypus was channel connected pool, substrate-type pool and channel unconnected pool. Length-weight relationship in the population of Z. platypus was 3.29. PCA analysis was in to the 3 groups identified. Bary-curtis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ubstrate-type pool and channel unconnected pool 65.9% showed the most similar, riffle, and dam-type 30.4% were identified as the most contrast.

      • 평창간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최준길(Jun Kil Choi),송병용(Byoung Yong Song),손형찬(Hyoung Chan son) 상지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 1995 환경과학연구 Vol.1 No.1

          평창강 수계의 어류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 10월부터 1994년 6월까지 총 6회에 걸쳐 15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BR>  본 연구결과 어류는 총 8과 27속 37종이 확인되었으며 금강모치(Phoxinus kumgangensis), 갈겨니(Zacco temmincki),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참마자(Hemibarbus longirostris) 등이 우점하였다. 홍정천 수계에서 열목어(Brachymystax lenok)가 확인되었으며 홍정천, 홍정천과 속사천의 합류지점, 그리고 평창강 중류에서 천연기념물 259호인 어름치(Hemibarbus mylodon)가 확인되었다. 그외 금강모치(Phoxinus kumgangensis), 어름치(Hemibarbus mylodon),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us), 몰개(Squalidus japonicus coreanus), 참중고기(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sutae),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 돌상어(Gobiobotia brevibarba), 꾸구리(Gobiobotia macrocephalus), 돌마자(Microphysogobio yaluensis),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참종개(Cobitis koreensis), 새코미꾸리(Cobitis rotundicaudata), 퉁가리(Liobagrus andersoni), 미유기(Silurus microdorsalis), 꺽지(Coreoperca herzi) 등 다수의 한국특산종들이 서식하고 있어 평창강은 남한강 수계 중 강원도 영서지방의 대표적인 어류상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이들 어종에 대한 보호에 힘써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또한 어류 보호 측면에서 하상구조 변경 방지에 노력하여야 하며 어류의 서식처를 파괴하고 산란장 치어의 생활장을 방해하거나 강하성, 소하성 어류의 어로를 차단하지 말아야 하며, 본 지역을 하천 어류의 특정 보호 구역으로 선정하여 보호 대책에 구체적인 역점이 필요하며 관계 당국과 지역단체, 학술단체의 연계속에서 관심을 가져야 하며 점차 늘어가는 오염원에 대한 오염대책을 구체적으로 세워 시행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The ichthyofauna of Pyungchang River was investigated from October 1992 to June 1994 at 15 stations as shown in Fig. 1. Total number of species were 37species belonging to eight families. 17 of them(45.95%) were found to be endemic species of Korea. In this study Phoxinus oxcephalus and Cottus poecilopus were confirmed aboundantly inhabitant at the upper stream, and Zacco temmincki and Pungtungia herzi at the middle or lower reach of the river.<BR>  The result indicate that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is area was very diverse and stable in species composition.

      • KCI등재

        동강의 어류상과 생태학적 군집분석

        최준길 ( Jun Kil Choi ),오사무미타무라 ( Osamu Mitamura ),이동준 ( Dong Jun Lee ),신현선 ( Hyun Seon Shi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6

        2006년 5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동강의 어류상과 생태학적 군집분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종은 총 10과 31종이었다. 총 31종의 어종 중 일차담수어가 26종, 주연성 담수어가 5종으로 나타나 일차담수어의 구성비가 매우 높았다. 우점종은 참갈겨니(Zacco koreanus) 55.73%, 아우점종은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7.15%였으며, 우세종은 배가시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6.12%, 어름치(Hemibarbus mylodon) 4.87%, 참종개(Iksookimia koreensis) 4.49% 등이었다. 한국고유종은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 줄납자루(A. yamatsutae),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us), 쉬리(C. splendidus),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 그리고 어름치(H. mylodon) 등 19종(61.29%)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천연기념물이 1종,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종이 5종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예상되는 종수(기대종)의 분석 결과, 동강의 전 조사지점에서는 18(지점 4, 5)∼22종(지점 3)이 서식하고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사도 분석은 62.28%(지점 1과 2)∼84.13%(지점 1과 5)의 범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강유역은 어류가 서식하기에 매우 적합한 수환경을 유지하고 있으며, 각 조사지점별 수환경도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ichthyofauna and ecological community analysis in the Dong River,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May, 2006 to May, 2007. During the surveyed period, 31 species belonging 9 families were collected. Total of 31 species(primary freshwater: 26 species, peripheral freshwater: 5 species) were found with the primary freshwater fishes being highest. 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55.73%), and subdominant species was Coreoleuciscus splendidus(7.15%). Also,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6.12%), Hemibarbus mylodon(4.87%), Iksookimia koreensis(4.49%) were numerous. There were 19 Korean endemic species(61.29%), including Acheilognathus signifer, A. yamatsutae, Pseudopungtungia tenuicorpus, C. splendid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H. mylodon. Among them, 1 species was identified as qualifying for possible desigantion as a natural monument catergory, and 5 species were identified for designation required to protect under a wildlife category. As result of expected number of species according to rarefaction curve, the expected species of the Dong-river ranged from 19(St. 4, 5) to 22(St. 3) and result of similarity analysis ranged from 62.28%(St. 1 and 2) to 84.13%(St. 1 and 5). In conclusions, we could define that the Dong-river has a very good water conditions as habitat of fish, and habitat conditions also are very similar in every survey sites.

      • KCI등재

        수서곤충을 이용한 원주천 수서생태계 건강도 평가

        최준길 ( Jun Kil Choi ),신현선 ( Hyun Seon Shin ),오사무미타무라 ( Osamu Mitamura ),김숙정 ( Sook Jung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5

        본 연구는 2004년 5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서곤충은 과별 생물지수(FBI)와 물리적 서식환경(PHA)을 이용하여 원주천의 건강도를 평가하였다. 원주천 9개 지점을 통해 출현한 수서곤충은 총 8목 37과 62속 92종이었다. 과별생물지수의 경우 지점 1, 2, 3에서 4.55~4.82로 가장 건강한 하천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리적 서식환경과 과별생물지수 간의 상관관계는 지점 2가 각각 100, 4.82의 값으로 가장 좋은 서식환경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점 7과 9는 45, 6.17과 6.97로 가장 낮은 서식환경을 나타내어 물리적 서식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서식환경과 과별생물지수는 서로 역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ecosystem of Wonju stream from May until November in 2004 and made an health assessment of Wonju stream using family biotic indices(FBI) and physical habitat assessment(PHA) of the aquatic insects. Through this survey, aquatic insects covering 8 orders, 37 families, 62 genuses, and 92 species were observed at 9 stations along Wonju stream. In terms of family biotic indices, it was confirmed that station 1, 2 and 3 were maintaining the healthiest stream ecosystem with the value ranging from 4.55 to 4.82. In addition, station 2 was found to have the best habitat environment in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habitat assessment and family biotic indices with its value of 100 and 4.82, respectively. However, station 7 and 9 showed the lowest habitat environment with the value of 45, 6.17 and 45, 6.97, respectively. posing the need for improvement in PHA; further, station 7 and 9 showed inverted correlationship between PHA and FBI.

      • 환경변화에 따른 한국산 무당벌레 2종의 포식성에 관한 연구

        최준길(Jun-kil Choi),곽태순(Tae-soon Kwak),송병용(Buong-yong Song) 상지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 1997 환경과학연구 Vol.3 No.1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와 칠성무당벌레 (Coccinella septempunctata)를 대상으로 생활사와 진딧물 포식성에 대한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무당벌레 (H. axyridis)의 산란시기는 4-5월 경이며 난괴당 평균 25개를 산란하며 70시간 후에 부화된다. 또한 유충기간은 15일 정도이며 용화기간은 92시간 정도이다. 무당벌레 (H. axyridis) A-type과 C-type 그리고 칠성무당벌레 (C. septempunctata)의 진딧물에 대한 포식량은 2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무당벌레 (H. axyridis) A-type이 25℃에서 76.2마리, C-type이 70.8마리, 칠성무당벌레 (C. septempunctata)는 82.6마리로 칠성무당벌레 (C. septempunctata)가 포식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칠성무당벌레 (C. septempunctata)를 대상으로 빛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12L:12D일때가 74.6마리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조건과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포식 능력이 빛에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dy bug is a useful biologcal-agricultural medicines for preventation of the breeding and extermination as well as a natural enemy of aphid. We studied life cycle and enviromental factor for predatory taking aphids of Coccinellida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armonia axyridis bears from April to May about 25eggs per colony and hatches out after 70 hours. Also, on larva is needed for 15days, and in pupa is needed in about 92 hours. Predacious activity of H. axyridis A-type, C-type, and Coccinella septempunctata taking aphids reaches climax on 25℃. H. axyridis A-type contains 76.2 aphids, H. axyridis C-type is 70.8, and C. septempunctata containing 82.6 was top among them. In the light codition experiment of C. septempunctata, it contains 74.6 aphids under 12L:12D. But, predatory taking aphids was very similer according light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