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부 편평상피암 세포주에서 p53 유전자의 특성

        김욱(Yu Jin),문용석(Yong-Suk Moon),정효순(Hyo-Soon Jeong),장성익(Sung-Ik Jang),최인장(In-Jang Choi)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3

        p53 종양 억제 유전자의 변이는 원발성 종양에서 발견된 유전자변이 중 가장 흔하다. 같은 종류의 종양이라도 가지고있는 p53 유전자의 세부적 특성에 따라 종양의 발생과 진행 양상 그리고 약제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면역세포화학법, PCR-SSCP, 염기서열분석 및 Western blo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4개의 피부 편평상피암 세포주에서 p53 유전자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세포주 중 3개의 피부 편평상피암 세포주에서 돌연변이가 검출되었다. 즉, KUMA3 세포주의 codon 176에서 T가 A로, codon 281에서 G가 A로, KUMA4 세포주의 codon 241에서 CC가 TT로 그리고 KUMA6 세포주의 codon 266에서 G가 T로의 치환이 관찰되었다. p53 유전자 codon 72의 단일염기 다형태에서는 KUMA3과 KUMA4 세포주는 Arg/Pro 이형접합체로, KUMA5 세포주는 Arg/Arg 동형접합체로 그리고 KUMA6 세포주는 Pro/Pro 동형접합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양한 편평상피암종의 p53 유전자 연구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e mutation of p53 tumor suppressor gene is the most common genetic variation of primary malignant tumors. The occurrence, progression and reaction for medical management of cancer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53 gene, even if they are same kinds of malignant tumors. In this study, the property of p53 gene in 4 kinds of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immunocytochemistry, PCR-SSCP, sequencing and Western blot methods. As a result, p53 mutation detected in 3 kinds of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s. Namely, it is found that T in codon 176 changed to A, and G in codon 281 changed to A in KUMA3 cell lines; CC in codon 241 changed to TT in KUMA4 cell lines; G in codon 266 changed to T in KUMA6 cell lines. I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of codon 72 of p53 gene, the genetic variations are Arg/Pro heterozygote in KUMA3 and KUMA4 cell lines; Arg/Arg homozygote in KUMA5 cell lines; Pro/Pro homozygote in KUMA6 cell lin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p53 gene researches of various squamous cell carcinomas.

      • KCI등재후보

        KUMA3 모세포주와 변이주에서 EGF에 대한 반응

        오해일(Hai-Ill Oh),문용석(Yong-Suk Moon),최인장(In-Jang Choi)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6

        세포의 신호전달체계 통로와 연관된 많은 성장인자 중 epidermal growth factor (EGF)의 기전이 가장 잘 밝혀져 있다. EGF는 표피의 재생과 EGF 수용체가 과발현되는 상피암의 약제치료에 항암제와 병용으로 사용함으로써 항암 효과를 상승시킨다. 그러나 과도한 EGF사용으로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아랫입술 편평상피암 조직에서 확립한KUMA3 모세포주와 과량의 EGF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장기간 계대배양으로 획득한 변이주를 대상으로 EGF에 대한 반응들을 관찰하였다. EGF 처리에 대한 세포군락 형성 형태는 모세포주에서는 세포들이 분산된 상태로 뚜렷한 세포돌기들이 관찰되는 반면에 변이주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형태로 둥근 세포들로 밀집된 상태였다. 대조군에 대한 EGF처리군의 세포군락수의 비율은 EGF농도에 따라 두 세포주에서 같은 양상으로 줄었으나, 변이주에서 세포군락수의 비율은 모세포주보다 더 높았다. 모세포주 세포와 변이주 세포를 같은 수로 동시에 배양하였을 때 EGF가 첨가되지 않은 배양액에서는 모세포주 세포가 우성적으로 성장하였으나, EGF가 첨가된 배양액들에서는 변이주 세포가 우세하게 자랐다. EGF에 의한 세포분화나 고사 및 증식에 관여하는 bc1-2, p53과 PCNA의 단백 변화를 휴지기 상태의 세포에 3, 6, 9, 12, 24시간으로 EGF로 처리하여 Western blot으로 관찰하였으나 두 세포주에서 변화의 차이가 없었다. EGF에 의한 EGF 수용체 단백의 세포 내 유입 후 탈감작이 모세포주에서는 EGF처리군 모두 동일한 상태였으나, 변이주에서는 EGF처리 시간별에 따른 EGF수용체 단백이 주 기성을 나타내었다. EGF 수용체 tyrosine kinase의 기질인 annexin I과 annexin II의 발현 변화는 모세포주에서는annexin I과 annexin II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았고, 변이주에서는 annexin I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annexin II는 EGF처리 12시간과 24시간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annexin II의 현저한 감소를 정확히 판명하기 위해 면역세포화학법으로 관찰하였을 때 모세포주에서는 EGF처리 9시간에서 세포질에 편재해 있던 annexin II가 핵막 쪽으로 이동되었으나 변이주에서는 annexin II가 세포막 쪽으로 이동되어 있었다. 변이주의 EGF처리 12시간과 24시간에서 annexin II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은 annexin II가 세포밖으로 분비되었기 때문이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변이주에서 EGF처리에도 불구하고 모세포주와 다르게 세포군락 형성 형태와 세포모양이 대조군과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은 EGF 수용체 단백의 EGF처리에 따른 시간별 주기성과 EGF처리로 인한 annexin II의 세포 밖 분비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들은 여러 상피암에 약제치료 시 항암제에 EGF 병용여부를 결정하는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EGF has been a representive growth factor for understanding the signal transduction that underlies the biological response of a number of growth factors. EGF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growth inhibition in the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over-expressed EGF receptors, but the mechanism that determine sensitivity to the growth inhibition by EGF are not well understood. The KUMA3 parental cell line, derived from a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uman lower lip, was established and variant cell line derived from the parental cell line was acquired by treatment with high dose EGF (200 ng/mL) for 6 months. The KUMA3 parental cells treated with EGF showed marked scattering cells with prominent dendritic processes. On the other hand, EGF treated cells in the variant cell line showed a dense monolayer of ovoid cells similar to untreated cells. Therefore, it was conformed that the variant cell line was resistant to the growth-inhibitory effect of EGF. To gain insight into the action mechanism of EGF in the KUMA3 parental and variant cell lines, Western blot analysis was examined to identify transregulation of EGF receptor. In the all parental cell lines treated with EGF, EGF receptor proteins were completely disappeared by lysosomal degradation. However, EGF receptor proteins were shown the periodic appearance according to the time course in the variant cell lines treated with EGF. In Western blot and immunocytochemical analyses, annexin II protein evenly distributed in the cytoplasm relocated to the plasma membrane at 9 hrexposure to EGF an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12 hr- and 24 hr-exposures to EGF in the variant cell line. However, annexin II protein relocated to the nuclear membrane at 9 hr-exposure to EGF and was not any change in amount at 12 hr- and 24-exposure to EGF in the parental cell lin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tention of colony formation pattern and cell morphology in the variant cell line treated with EGF might be owing to the heterologous desensitization of EGF receptor and exocytosis of annexin II.

      • KCI등재

        겨드랑동맥의 분지의 형태에 따른 어깨밑동맥의 변이

        박승범(Seung-Beom Park),이재호(Jae-Ho Lee),최인장(In-Jang Choi),최우익(Woo-Ik Choi),진상찬(Sang-Chan Ji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30 No.3

        이 논문에서는 겨드랑동맥의 분지 양상의 여러 가지 변이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겨드랑동맥은 작은가슴근에 의해 세 부분으로 나뉘게 된다. 작은가슴근을 기준으로 몸쪽 부위가 첫째 부분, 작은가슴근과 겹치는 부위가 둘째 부분, 작은가슴근보다 먼쪽 부위가 셋째 부분이 된다. 그 중 겨드랑동맥의 셋째 부분에서 어깨밑동맥, 앞위팔휘돌이동맥과 뒤위팔휘돌이동맥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동맥들의 변이는 매우 다양하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128쪽의 팔에서 어깨밑동맥의 분지 양상에 대해 연구했다. 어깨밑동맥이 겨드랑동맥의 셋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37.5% (48/128), 둘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4.7% (6/128)로 관찰되었다. 한편, 어깨밑동맥이 뒤위팔휘돌이동맥과 함께 일어나는 경우가 25.8% (33/128) 관찰되었는데, 셋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21.1% (27/128), 둘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4.7% (6/128) 관찰되었다. 어깨밑동맥이 가쪽가슴동맥과 함께 일어나는 경우는 12.5% (16/128) 관찰되었고, 이 경우 셋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4.7% (6/128), 둘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7.8% (10/128) 관찰되었다. 어깨밑동맥이 뒤위팔휘돌이동맥과 가쪽가슴동맥 모두 함께 일어나는 경우가 19.5% (25/128) 관찰되었는데 셋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12.5% (16/128), 둘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7.0% (10/128)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어깨밑동맥과 함께 분지하는 동맥에 따라서 일어나는 부위가 의미 있게 다르게 나타났다 (p=0.025). 이 결과는 해부학뿐만 아니라 임상의사들에게도 어깨밑동맥의 분지 양상의 변이에 대한 경향을 제시해 줄 것이며, 그로 인해 각종 혈관 시술 및 외상환자 진단 및 치료 시 정확하고 빠른 대처를 가능하게 하고 또 불필요한 부작용이나 합병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xillary artery (AA) is often referred to as having three parts, with these divisions based on its location relative to the pectoralis minor muscle. In third part, AA gives off the subscapular (SSA), anterior circumflex humeral, and posterior circumflex humeral arteries (PCHA). However, variations in these arteries were extremely diverse. So, we observed actually some branching patterns of these arteries in this study. Method: We studied the pattern of SSA in 128 upper limbs from donated cadavers. Result: SSA was originated directly from the third and second parts of AA in 37.5% (48/128) and 4.7% (6/128), respectively. A PCHA made a common trunk with SSA in 25.8% (33/128), and these trunks arose from the third and second parts of AA in 21.1% (27/128) and 4.7% (6/128), respectively. A lateral thoracic artery (LTA) arose from SSA in 12.5% (16/128), and these were originated from the third and second parts of AA in 4.7% (6/128) and 7.8% (10/128), respectively. In 19.5% (25/128) of upper limbs, LTA, SSA, and PCHA have a common trunk, and these arose from the third and second parts of AA in 12.5% (16/128) and 7.0% (9/128),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branching pattern of the SSA, its orig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 SCOPUSKCI등재

        편평상피암에서의 c - myc , erb B 및 EGF - Receptor 유전자의 세포 - 분자생물학적 특성

        이규석 ( Kyu Suk Lee ),규영욱,최윤애 ( Yoon Yae Choi ),송준영 ( Joon Young Song ),최인장 ( In Jang Choi ),장성익 ( Sung Ik Jang ),백원기 ( Won Ki Baek ),서민호 ( Min Ho Suh ) 대한피부과학회 1994 大韓皮膚科學會誌 Vol.32 No.2

        Background : Oncogenes and EGF-Receptor(EGFR) may be involved n different stages of the multistep carcinogenesis process. A specific pattern of karyotypic abnormalities in solid tumors can be detected by cytogenetic methods. Onjective : This study is intnded to observe the cytomolecular kiologic chracterization of c-myc, erb B and EGFR genes in squasnous cell carcinoma(SCC) of the skin and cervix. Methods : We have eytogenet,ically examined the short-term culturs from SCC. The rearrangement, amplification or expressi.on of erb B, c-myc, and EGFR genes were studied by Southern blot, analysis of genomic DNA and by slot blot analysis of tota! RNA extracted from biopsies of normal skin and SCC tissues. EGFR expression was examined immunohistochemially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nd the localizat,ion of the c-myc oncogene mRNA by in situ hybridization. Results : A remarkably structural aberration was del 6(q21-qter) counted 20 metaphases among 28 metaphases ana1yzed. In nunierical aberration, all chromosomes were lost or gained randomly. Amenploid including triploid and tetraploid were observed in 8 metaphases, 6 tumor cells contained marker chromosome. In Southern blot analysis, rearrangement and amglificaton of EGFR in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cervix uteri and skin respectively. In slot blot analysis, the levels of c-myc, erb B and EGFR mRNA increaaed respectively 3.5, 2.5 and 2.8 times in SCC when compared to normal tissues. In immunoperoxidase stain, EGFR was present, in SCC where keratinocytes with strong cyto-plasmic staining but no membr, line labelling, where as in normal skin the were primarily present in t,he membrane and cytoplasm of basal cells. In situ hybridization with c-myc cDNAs allowed detection of grains representative of biotin labelled cDNA-mRNA hybrids in the frozden section of SCC tissu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cific patterns of karyotypir abnormalites, rearrangement, or amplification of EGFR gene, and overexpression of oncogenes and EGFR gene may be associated with the carcinogenesis of SCC. (Kor J Dermatol 1994; 32(2): 223-233)

      • KCI등재

        단완 12부위에서 장완 13부위의 완간역위를 가진 22번 염색체 모자이크삼체성

        최인장(Choi In Jang),이인환(Lee Ihn Hwan),고복현(Ho Bok Hyun),장성익(Chang Sung I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1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4 No.2

        정상분만과 정상의 신체발육한 11세 환아의 주된 증상은 지능장애였으며 그의 관찰된 임상소견으로 눈꺼풀 틈새의 하사성, 넓고 납작한 코, 긴 인중, 작은 하악골 및 비정상적인 귀여다. 사지와 생식기에는 전혀 이상이 없었으며 흉부와 복부에도 특이할 만한 이상은 발견되자 않았다. 말초혈액세포를 이용한 Gㆍband와 NORㆍband로 22번 염색체 모자이크 삼체성이였으며, 특이한 22번 염색체는 일반적인 길이와 완비(arm ratio)를 기초로 하여 단완 12부위에서 장완 13 부위의 완간역위를 가진 산물로 밝혀졌다.

      • KCI등재후보

        글라이포세이트 노출로 인한 DNA손상에 대한 녹차의 예방적 효과

        박정민 ( Jung-min Park ),최우익 ( Woo-ik Choi ),진상찬 ( Sang-chan Jin ),이재호 ( Jae-ho Lee ),최인장 ( In-jang Choi ) 대한임상독성학회 2016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14 No.2

        Purpose: Green tea is known as a potent anti-oxidant, anti-carcinogen, and genetic protector. Glyphosate (N-phosphonomethyl glycine) is a widely used non-selective herbicide that causes DNA damag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in human blood lymphocytes exposed to glyphosate using the Sister Chromatid Exchange (SCE) frequency method. Methods: Peripheral blood was obtained from 10 volunteers and cultured through four different conditions. Four groups were divided into control, glyphosate only (300 ng/mL), glyphosate and low (20 μm) concentration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nd glyphosate and high (100 μm) concentrations of EGCG. Results: The glyphosate exposed groups had a higher mean SCE frequency (10.33±2.50) than the control group (6.38±2.28, p<0.001). The low concentrations of EGCG groups had a lower mean SCE frequency (9.91±1.93) than the glyphosate-only group, although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219). However, the high concentration group (9.49±1.85) had a significantly lower SCE frequency than the glyphosate-only group (p=0.001). Conclusion: EGCG has a gene protective effect in human lymphocytes exposed to the genotoxicity of glyphosate in the case of high concentrations.

      • KCI등재

        자매염색분체교환을 통한 글라이포세이트 유전독성

        이상훈 ( Sang Hoon Lee ),김성진 ( Sung Jin Kim ),최우익 ( Woo Ik Choi ),진상찬 ( Sang Chan Jin ),최인장 ( In Jang Choi ),이재호 ( Jae Ho Lee ) 대한임상독성학회 2014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12 No.1

        Purpose: Glyphosate (N-phosphonomethyl glycine) is widely used as an herbicide for weed control in rural areas. It is also readily available for suicide attempts. Glyphosate has high toxicity and negatively affects the human body.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tudy the genotoxicity of a low-concentration of glyphosate through sister chromatid exchange (SCE) in human blood lymphocytes in vitro. Methods: Primary lymphocyte cultures were obtained from blood samples of 11 males and seven females who had been exposed to glyphosate (0, 100, 200, and 300 ng/mL). The frequency of SCEs was examin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All doses of glyphosate induced a significant dose-dependent increase in SCE frequenc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01). In particular, the SCE frequency for exposure to low-dose glyphos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even a low-dose of glyphosate may damage DNA and females are more vulnerable to glyphosate.

      • KCI등재

        암세포주의 p53 단백질 발현에 대한 웅담의 영향

        김 욱(Yu Jin),문용석(Yong-Suk Moon),정효순(Hyo-Soon Jeong),최인장(In-Jang Choi)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1

        본 연구는 세포자멸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p53 단백질 발현에 대한 웅담(bear bile)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 분석과 RT-PCR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p53 유전자 특성이 서로 다른 암세포주를 대상으로 p53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53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HaCaT, KUMA3, KUMA4 및 KUMA6 세포주에서는 웅담처리에 의해 p53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돌연변이가 없는 HCT116과 KUMA5 세포주에서는 p53 단백질 발현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모든 세포주에서 웅담처리에도 불구하고 p53 mRNA의 양적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웅담처리에 의한 p53 단백질의 증가가 단백질 합성의 증가가 아니라 단백질 안정성의 증가를 유도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웅담에 대한 종양세포의 감수성은 p53 유전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웅담처리는 p53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세포주의 변이형 p53 단백질에만 영향을 주었다. The effects of bear bile on the expression of the p53 protein in cancer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by Western blot and RT-PCR methods. The p53 protein expression was increased after addition of bear bile in HaCaT, KUMA3, KUMA4 and KUMA6 cell lines that carried mutations in the p53 gene, but it is not increased in HCT116 and KUMA5 cell lines with the normal p53 gene as determined by Western blot method. The level of p53 mRNA was not altered in all cell lines after the treatment of bear bile as determined RT-PC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ment of the p53 protein after addition of bear bile was caused by increase in the protein stability but not by increase in protein synthesis. It can be concluded that bear bile affects positively only in the cell lines which have genetic variation of the p53 gene, and does not affect in the cell lines which have wild-type p53 gene, on the other hand.

      • KCI등재후보

        정신박약아의 피문의 특징

        김대광(Dae Kwang Kim),최인장(In Jang Choi),양경춘(Kyung Chun Yang),강복수(Pock Soo Kang),장성기(Sung Ki Cha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0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5 No.1

        간추림 정신박약아 115 명과 정상인 156 명을 대상으로 손가락과 손바닥 부분의 피문양상과 손바닥문, 손금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전체적인 손가락 지문을 보면 정상 남자의 경우 소용돌이형이 50.7%, 여자에서는 자쪽고리 형이 51.3%, 정박아 남자의 경우 자쪽고리형이 51.9%, 정박아 여자의 경우 소용돌이명이 50.2% 다운증후군 남자에서는 자쪽고리형이 62.5%, 다운증후군 여자에서도 자쪽고리형이 70.6%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손가락 지문 능선수는 정상인 남녀 모두에서 첫째손가락에 각각 155개, 134개, 정박아 남녀에서는 첫째손가락에 각각 142개,148개로, 다운증후군 남자에서는 첫째손가락에 134개, 다운증후군 여자에서는 다섯째손가락에 89 개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p<0.05) 총피부능선수는 정상 남자에서 146.8개, 정상 여자에서 130.6 개, 정박아 남자 135.2 개, 정박아 여자 143.8개, 다운증후군 남자 131.5개, 다운증후군 여자에서는 79.8 개호 나타났다. (p<0.05) 총교차점수 는 청상 남자 15.0 개 정상 여자 14.3 개 정박아 남자 11.6 개 정박아 여자 14.3 개, 다운증후군 남자에서는 12.2개, 다운증후군 여자에서는 116 개호 나타났다. (p<001) 지간문 피문양상에서 I₂ I₃ I₄ 에서의 자쪽고리형의 출현을 보면 정상 남녀의 경우 I₄ 에서 자쪽고리형이 높게 나타나는 반면, 다운증후군 남녀에서는 I₃ 에서 자쪽고리형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정신박약아와 다운증후문 환자의 지문이상이 염색제이상이나 다fms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갱신발달 장애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어 정신박약아의 예견과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사람 난소발생에 있어서 IGF2 유전자의 역할

        박형태(Park Hyung Tae),김홍태(Kim Hong Tae),최보화(Choi Bo Hwa),김정란(Kim Jung Ran),김대광(Kim Dage Kwang),최인장(Choi In Jang),이인환(In Hwan lee),장성익(Chang Sung I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6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9 No.2

        간추림. 사람 난소 발생에 있어서 IGF2가 어떤 역항을 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IGF2의 유전자 산물인 단백질에 대한 단 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연역조직화학기법으로 각 난소조칙에 대한 IGF2 발현정도를 검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숙난 소에서 특징적인 것은 난자에서 IGF2의 발현이 매우 높았으며 과립세포와 난포막세포 (theca cell)에서도 IGF2의 발현이 관찰되었으나 높지는 않았다. 반면에 일차성 난포에서의 난자에서는 IGF2의 발현이 있었지만 성숙난포에서처럼 높지 않았으며 난포세포에서는 IGF2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황체세포에서는 IGF2 발현이 애우 높았으나 기질세포와 상피세포에서는 IGF2의 발현이 전혀 없었다. 이런 결과로 미루어 보아 IGF2는 배란에 깊이 관여하고 황체호르몬 (progesterone) 분비를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되며 난소암이 대부분 상피세포에서 기원되는데 비정상적 IGF2 발현이 난소암과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