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백두대간 훼손지와 관리방안

        최윤호 ( Yeon Ho Choi ),최태진 ( Tae Jin Choi ),강현미 ( Hyun Mi Kang ),조우 ( Woo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전세계적으로 지형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용어는 ‘산맥’으로 지구규모의 지각활동(조산운동)과 지질구조, 풍화침식작용 등으로 만들어지고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것으로 현재의 산맥은 비교적 최근이라 할 수 있는 2억 5천만년 전에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즉, 산맥을 바라보는 과학계의 입장은 위치와 방향, 형성과정, 형성시기 등이 상관성을 갖는 산지가 연결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질구조 및 지형을 반영하여 산맥을 구분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반도에서는 독특한 산지인식체계가 존재하며, 그 산물이 바로 백두대간이라 할 수 있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으로부터 지리산까지 이어진 산줄기의 흐름을 말하는 것으로 단순히 산을 지형적인 측면에서만 바라본 것이 아니라, 지형적인 측면과 더불어 자연생태계, 그리고 인간의 삶까지 함께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보았던 우리나라 전통지리 인식체계의 산물이다. 따라서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사회·문화적 가치는 물론 국가의 자연 생태적 측면에서 가장 핵심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의 거리는 통상 1,400㎞에 달하며, 우리나라 생물종의 약 1/3 이상이 생육하고 있어국토의 생태축과 풍부한 생물다양성의 보고 역할을 함은물론 한반도 10대강의 발원지로써 국가적인 보호가 반드시필요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많은 국민과 시민단체의 노력하였으며, 이에 부응하여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산림청이 주도하여 2003년 12월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공포하였고 2005년 9월 9일 2,634.27㎢의 백두대간보호지역을 지정하였다. 지정 당시에는 이해관계자들 사이에 많은 갈등이 있었으나 많은 토론과 조정과정을 통해해결되었다. 이는 당시 대한민국 국토면적 99,646㎢의 2.64%에 달하는 면적이다. 이후에도 백두대간보호지역의확대를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2015년 1월 현재백두대간보호지역의 면적은 2,750.77㎢이다. 하지만 이렇게 법률에 의해 백두대간이 보호받고 있으나 백두대간보호지역 지정 이전에 발생한 훼손지와 백두대간보호지역 경계에 인접한 훼손지의 경우 여전히 복원되지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향후에도 보호지역 내·외로 개발압력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2015년 9월 4일 문화관광부가 입법예고한 ‘산악관광진흥구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의 경우 27개 법령이 정한 각종 인허가 절차를 통합하고 간소화할 수 있게 되어 백두대간보호지역의 훼손도 가속화 시킬 소지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백두대간보호지역 내 마루금 등산로를 비롯한 훼손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중 등산로 조사는 전구간을 조사하되 일정 거리별로 조사를 실시하되 산림환경피해도 등급을 포함하여 물리적인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훼손지는 백두대간보호지역과 보호지역에 인접한 주요 훼손지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2011년도부터 2014년까지 조사결과를 포함하고 있으며, 군사보호지역 등 접근이 곤란한 지역을 감안하여 진부령에서부터 남덕유산 구간까지의 조사결과이다. 또한, 마루금 등산로 조사의 경우 국립공원 지역은 모두 제외하고 조사를 실시한 결과이다. 그 결과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평균 노폭은 0.9∼1.3m정도로 조사되었으며, 나지폭의 평균 노폭은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0.8m 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침식깊이는 깃대배기봉∼청화산 구간이 14cm 정도로 훼손이 심한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평균물매가 급한 것과 국립공원을 제외한 마루금 등산로 중 일반인의 방문이 많은 구간이다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백두대간 내 주요훼손지를 조사한 결과 도로는 56개소, 채광·채석지는 16개소, 농경지와 주거지 등은 81개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제4분과 : 생태계 서비스 ; 낙남정맥 등산로의 훼손현황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최윤호 ( Yeon Ho Choi ),이준우 ( Joon Woo Lee ),최태진 ( Tae Jin Choi ),권형근 ( Hyeong Keun Kwon ),방홍석 ( Hong Seok Bang ),최성민 ( Seong Mi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백두대간이 우리나라 생태계의 핵심축이라고 한다면 낙남정맥은 경상남도 지역의 생태계 실태를 그대로 반영하는 생태계의 핵심축이라 할 수 있다. 즉, 낙남정맥은 지리산 영신봉으로부터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매리 고암나루터까지로서, 지리산의 산악지대와 더불어 창원시 지역과 같이 도심지역을 통과하는 등 다양한 지역을 관통하며 지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다른 정맥과는 달리 남강댐의 사천방수로가 설치되어 있어 유수에 의해 단절되는 곳이있는 유일한 정맥이다. 한편, 본 연구의 대상지라 할 수 있는 낙남정맥 마루금의 도상거리는 총 236.63km에 달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지는 낙남정맥의 마루금등산로와 마루금등산로에 연결된 분기등산로이며, 마루금등산로의 조사시 보측을 통하여 약 100m마다 조사측점을 선정하고 등산로 훼손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의 기본적인 방식은 권태호 등(1998)의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만, 본 연구의 대상지가 매우 긴 장거리 구간이며, 동시에 향후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때에도 간단한 교육을 받은 사람이면 누구나 조사할 수 있도록 조사항목을 간략화하였다. 주요 조사방법은 조사 위치를 GPS로 측정하고 노폭과 침식깊이, 경사 등을 조사하고 등산로의 상태를 조사원이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건전과 보통, 불량의 3단계로 분류하였다. 이밖에도 원기반재질과 암석노출유무, 노폭확대유무, 등산로의 단절 등 총 12가지 항목을 조사하였다. 특히 낙남정맥의 마루금을 모두 도보로 이동하며 산림청이 관리하여야 할 등산로인지의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낙남정맥 내탐방객을 위해 설치된 안내판의 상태와 정보전달 형태 등을 조사하였다. 낙남정맥 마루금등산로에 대한 조사 결과, 전체 조사측점수는 1,976개소이었으나 도로와 임도, 마을도로 등 등산로 이외의 조사측점을 제외할 경우 1,775개소가 등산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낙남정맥 마루금 상에서 등산로로 관리되어야 할 구간은 전체 구간 중 89.8% 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등산로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평균 노폭의 경우 0.71m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남금북정맥 0.78m와 금북정맥의 0.73m에 비해 다소 좁은 수준이었으며, 평균 최대 침식깊이의 경우 6.71cm로 나타나 2011년도에 조사한 한남금북정맥의 평균 최대침식깊이 6.43cm에 비해서는 다소 높고, 금북정맥의 평균 최대침식깊이 7.28cm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마루금 등산로의 평균 경사도의 경우 17.66%로 한남금북정맥 마루금 등산로 20.83%, 금북정맥 마루금 등산로 20.03%에 비해서 다소 완만한 것으로 조사되어, 다소 완만한 경사도로 인해 훼손의 정도가 다소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마루금등산로의 건전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낙남정맥의 경우 묘지, 도로 등 등산로라고 판단되지 않는 지점을 제외한 총 1,775개의 측점 중 건전하다고 판단되는 조사지점은 1,533개소(86.3%)이었으며, 보통이 207개소(11.7%), 불량이 34개소(1.9%)로 조사되었다. 특히 등산로 상태가 불량으로 판정된 곳 34개소 중 50%인 17개소는 지리산국립공원의 영신봉에서 시작되는 국립공원 구역이었으며, 8개소는 경상남도 창원시의 천주산 등산로로 나타나 등산로 이용객의 영향력이 훼손의 주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마루금등산로에서 분기된 등산로를 조사한 결과, 전체 조사 구간 236.63km 구간 내 총 184개소의 분기 등산로가 조사되어 1km에 0.77개의 분기 등산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기 등산로의 평균 노폭은 0.94m로 한남금북 정맥의 분기 등산로 평균 노폭 0.93m와 거의 유사하였으며, 금북정맥의 분기 등산로의 평균 노폭 1.00m에 비해서는 비교적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기 등산로의 경우 마을로 이어지는 길들이 많기 때문에 마루금 등산로에 비해 노폭이 다소 넓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평균 침식깊이의 경우 한남금북정맥은 6.26cm, 금북정맥은 9.74cm이었으며, 낙남 정맥은 8.10cm로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의 평균 정도로 조사되었고, 평균경사의 경우 한남금북정맥은 17.94%, 금북정맥은 20.01%이었으나, 낙남정맥은 14.30%로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내판은 등산로를 이용하는 탐방객들에게 위치 및 방향그리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등산로 이용시 안전을 담보하는 중요한 시설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걷는길에 대한 다양한 사업을 실시하고 있어 마루금 등산로를 비롯해 마루금 등산로와 연결하여 새로운 노선이 계속적으로 선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적절한 안내판 설치를 통해 탐방객의 안전한 산행을 유도하며, 추가적인 훼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내판의 정보제공 형태를 방향과 공간거리, 시간거리, 포인트 (공간좌표), 기타 정보 안내, 비석(표지석)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193개의 안내판이 조사되었다. 이는 산술적으로 1km마다 0.82개의 안내판이 설치된 것으로 산행에 있어 약 30분 정도마다 하나의 안내판이 설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낙남정맥 마루금등산로에 설치된 비석과 포인트, 기타 정보제공만을 하는 안내판 78개를 제외하면, 산행 관련 안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115개 정도이며, 1km에 약 0.48개, 즉, 2.06km마다 하나 정도의 안내판이 설치된것을 의미한다. 즉, 1시간 이상 산행을 해야 안내판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산악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아울러 단순히 방향정보와 거리 정보만을 제공하는 안내판의 경우 등산로를 이용하는 이용객이 계속적으로 이동을 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산행에 필요한 안내판의 숫자는 더욱 줄어든다고 할 수 있다. 낙남정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정맥이나 백두대간과는 달리 남강댐의 공사와 사천방수로 공사로 인해 물길이 마루금을 가로지르는 유일한 정맥이다. 또한 93개의 도로에 의해 마루금의 단절이 이루어졌다. 이는 약 2.54km마다 단절이 이루어진 것으로 낙동정맥의 단절간격인 6.43km, 호남정맥의 7.67km에 비해 단절의 정도가 매우 높은 것이며, 금북정맥의 단절간격인 2.54km와 동일한 수준이다. 한편 임도를 포함할 경우 총 138개소에서 단절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어 1.71km의 단절간격을 나타내 금북정맥의 단절 간격인 2.04km보다 단절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낙남정맥 마루금 등산로 조사결과 훼손의 정도는 기존의 정맥과 유사하거나 다소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앞으로도 국림공원지역과 창원시 지역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향후에도 큰 훼손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일부 급경사 지역에서 등산로의 노폭이 확대되고 종침식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경사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대표적인 것이 배수체계의 확립이라 할 수 있다. 즉, 등산로 정비 사업에서 반드시 배수체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훼손 자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노면의 재질을 바꾸거나 시설물 도입을 통해 훼손을 억제하는 방법도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정맥과 같이 이용객이 적은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적용하는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등산로의 관리방안 중 특히 중요한 점은 이용자의 안전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시설물의 설치와 더불어 안내판의 설치를 통해 안전사고 발생위험의 최소화를 유도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주요 정맥들에 대한 조사결과 안내판의 숫자가 매우 적은 편인 동시에 정보의 제공 형태도 다소 불명확하여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모든 안내판에 반드시 안내판 고유의 번호를 설치하도록 하고 관리기관에서 해당 번호와 위치정보와의 연계를 실시함으로써 안전사고 및 등산로 관리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장 낮은 수준의 안내판 설치에 있어서도 방향과 거리를 반드시 동시에 표현할 필요가 있으며, 거리는 인접한 다음의 목적지와 탈출이 가능한 목적지 두 곳을 함께 표현하는 방식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 제5분과 : 계획 관리 및 서비스 ; 무등산국립공원 자연생태계 복원종합계획 -장불재와 중머리재, 서석대를 중심으로-

        최윤호 ( Yeon Ho Choi ),오구균 ( Koo Kyoon Oh ),김보현 ( Bo Hyun Kim ),문광선 ( Gwang Seon Moon ),최태진 ( Tae Jin Choi ),허훈 ( Hun Heo ),김영선 ( Yeong Seo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의 주요 거점이라 할 수 있는 서석대와 입석대, 장불재와 중머리재에 대한 자연생태계 복원을 위해 무등산국립공원의 실태를 파악하고 복원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무등산은 1972년 5월 22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2013년 3월 4일 제21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무등산 지역의 다양한 자원과 더불어 무등산주상절리대를 비롯한 정상부의 경관자원이 기인한 바가 크다. 그러나, 무등산국립공원의 경우 연간 수백 만 명의 탐방객이 방문하고 있으며, 이 중 상당수가 무등산국립공원의 주요 거점이라 할 수 있는 서석대와 입석대, 장불재와 중머리재에 방문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설악산국립공원의 권금성 지역처럼훼손이 급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어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정상부 복원방안 수립을 위해 탐방객수와 통행패턴 조사, 현장에 대한 지형측량, 산림환경피해도 등급 조사, 항공사진 촬영 등을 실시하였다. 탐방객 수는 공원관리에 있어 핵심 대상이자 훼손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인자라고 할 수 있으며, 무등산국립공원의 탐방객 수 조사는 국립공원 지정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파악할 수 있다. 국립공원 지정 이전의 경우에는 ‘광주광역시(2010) 무등산공원계획 타당성검토, 자연자원조사 및 보전·관리계획(안)’의 자료(표 1)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2013년과 2014년 데이터는 무등산국립공원 조사 데이터(표 2)를 이용하였다. 국립공원 지정이후 탐방객 수는 연간 약 3, 4백만 명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월별 평균 탐방객의 경우 2014년도에는 2013년도에 비해 다소 하락하였으나, 공휴일 탐방객의 비율은 전체 탐방객 대비 55.8%에서 59.5%로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이 무등산국립공원을 방문하는 탐방객에 의한 훼손압력은 매우 높을것으로 판단되며, 적절한 대응책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급격한 훼손지 확대로 인해 복구 및 복원에 막대한 재원이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탐방집중도 분석결과 전체 탐방객 중 중머리재에 9.7%,토끼봉 8.9%, 장불재 5.8% 그리고, 서석대와 입석대가 각각 4.4%, 3.1% 정도 집중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의 주요 거점 통행패턴의 경우 무등산국립공원의 허브(hub)역할을 하고 있는 장불재를 중심으로 2014년 10월 4일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중머리재에서 장불재로 이동하는 이용객이 722명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장불재에서 너와나 목장 또는 휴양림으로 이동하는 이용객인 84명으로 가장 적게 조사되었다. 산림환경피해도는 Frissell(1978)의 환경피해도 등급을 개선한 권태호 등(1992)의 조사방법으로 조사하였고, 대상지는 주요 복원대상지인 장불재와 중머리재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위적인 훼손의 경우 장불재는 12,902㎡, 중머리재는 7,866㎡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무등산국립공원 정상부 복원을 위해 원지형의 복원, 안전성 확보, 복원 가능성 제고, 생태계 건강성 등 4가지의 기본 방향을 수립하였으며, 기본 방향을 통해 주요 거점에 대한 관리목표를 표 4와 같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임도 배수시설 규격 산정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최윤호 ( Yeon Ho Choi ),이준우 ( Joon Woo Lee ),김명준 ( Myeong Jun Kim ) 한국임학회 201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0 No.1

        본 연구는 임도 설계자가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임도 배수시설을 설계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임도 배수시설 규격 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프로그램의 특징은 임도설계자가 현장 측량을 하기에 앞서 실내에서 임도의 예측을 실시할 때 현장 측량을 통해 취득해야 하는 데이터가 없이도 간편하게 강우강도를 이용하여 유역 내 유출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배수구조물의 최소 규격을 산출해 줌으로써 과도한 설계를 억제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임도가 시설되는 지역의 각 유역별 유출량을 산출함으로써 배수구조물의 적절한 배치에 기여코자 하였다. 특히 배수관의 설치에 따른 전과정을 보고서로 작성하여 파일 및 출력물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합리적인 설계과정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오류 발생시 즉각적인 수정이 가능케 함으로써 임도 설계기술의 상향평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 calculation program of forest road drainage facilities that may help forest road designers to design forest road drainage facilities more conveniently and precisely.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rogram is that the forest road designers may calculate the amount of outflow in the basin using rainfall intensity data conveniently, without the data designers should acquire through site measurements when they carry out indoor preliminary measurements before they go out for outdoor measurements. In this manner, excessive design may be restrained by offering minimum standard calculation for drainage structures. And al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facilitate proper layout of drainage structures by calculating outflow discharge of each basin where forest roads will be installed. Especiall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leveling-up of forest design techniques as the researcher has prepared the reports on whole process of drain pipe installation and provided them in the form of computer file or printout, which show a rational design process, and make it possible to modify in case of an error.

      • KCI등재
      • 제1분과 : 보호지역 식생구조 및 관리 ; 백두대간 외래식물 분포실태 및 관리방안

        최윤호 ( Yeon Ho Choi ),오현경 ( Hyun Kyung Oh ),이병천 ( Byung Cheon Lee ),오충현 ( Chung Hyun Oh ),송홍선 ( Hong Seon Song ),최태진 ( Tae Jin Choi ),권형근 ( Hyeong Keun Kwe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산업의 발달로 인해 전세계적인 교류가 인적으로 또는 물적으로 매우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우리나라도 적극 동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류는 지역과 지역, 나라와 나라 등 어느 지역을 불문하고 확대되고 있으며, 각종 물자에서 사람, 그리고 동·식물분야까지도 확대되고 있다. 이 중 동·식물의 경우 특정한 목적에 의해 반입되는 경우도 있으나, 사람과 물자의 이동에 의해 부지불식간 유입되는 경우도 상당수에 달한다. 특히 일단 유입된 종은 기존에 서식하던 지역에 비해 경쟁종이나 천적에 해당하는 종이 없어지게 되면서 ‘생태적 해방(ecological release)’을맞이함으로써 서식지를 넓혀가는 종들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일부 유입된 종에 생태계교란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제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 이후 교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서 외래식물의 유입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시기에 국토가 황폐화해지면서 국토녹화에 기여할 수 있는 외래종을 도입한 경우도 상당수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당시에는 생물자원에 대한 중요성과 가치인식도 매우 낮았을 뿐만 아니라 외래식물에 대한 연구도 사실상 거의 없었기 때문에 무계획적인 도입이 이루어졌기도 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생물자원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생물자원에 대한 시장규모가 2003년 8천억 달러에서 2010년 현재 2조 5천억 달러로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대한민국정부, 2009).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지리적인 위치와 기후인자의 특이성으로 인해 식물자원이 4, 130여 종 이상으로 식물종의 다양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며 생물다양성에 대한 보전 노력이 매우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국립생물자원관, 2008). 특히 우리나라 기후조건의 경우, 다양한 식물종의 생육에 유리하기 때문에 외래종의 침입도 매우 용이할 수밖에 없으므로 외래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토의 65%를 담당하고 있는 산림청의 경우 식물분야의 무수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외래식물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 생물종의 약 33%가 생육하고 있다는 백두대간은 우리나라의 핵심 생태축이라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두대간 지역에서 일부 생태계교란종이 보고되고 있는 반면이들에 대한 모니터링은 종의 확인에만 그치고 있어 이에대한 관리대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청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대규모 외래식물 모니터링연구로서 남부지방산림청이 관할하고 있는 백두대간보호지역 중 국립공원지역을 제외한 28, 828ha에 대한 종합적인분포현황을 파악하고 외래식물의 제거를 포함하는 관리방안 수립을 목표로 시행되었다. 연구의 범위는 남부지방산림청이 관할하고 있는 지역으로 백두대간 마루금을 기점으로 할 경우 부소봉에서 삼도봉까지이며, 도상거리로 약 290km, 실거리로 550km 정도이다. 조사는 2013년 4월부터 11월까지 수행되었으며, 외래식물의 분포형태조사는 대부분 양지성 식물인 외래식물의 특성을 감안하여 외래식물의 분포가 예상되는 지역을 수치지형도(1:5, 000)와 수치임상도(1:5, 000), 인공위성영상 등을 기반으로 하여 GIS를 통해 사전에 추출한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마루금 등산로 전구간과 임도, 도로, 주택지, 채광·채석지, 농경지, 헬기장 등 3, 000개소 이상을 추출하고이를 중심으로 외래식물조사를 실시하였다. 외래식물 분포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외래식물조사는 외래식물 분포지역을 맵핑하고 개체단위로 분포할 경우 분포지역을 명시하고 조사된 종을 기입하며, 군락으로 분포할 경우 식물사회학적방법(Braun-Blanquet, 1964)에 따른 층위별 출현 종 목록과종에 따른 우점도(피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향후 외래식물제거시 외래식물 분포현황을 손쉽게 판별하기 위해서 DB의 구조는 분포지역 내 외래식물 종의 유무, 분포지역 내특성, 방형구 내 외래식물 종의 유무, 방형구 내 특성 등4개의 DB로 이루어졌다. 외래식물 분포실태에 대한 조사결과 남부지방산림청이 관할하는 백두대간보호지역 내 외래식물의 분포지는 총907ha(687객체) 정도이었으며, 이중 조림지가 약636. 2ha(104객체)이었으며, 임도가 148. 6ha(182객체), 그리고 이들 지역을 제외한 외래식물의 면적이 122. 1ha(401객체)로 조사되었다. 특히 조사된 외래식물의 종은 총 86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귀화식물은 67분류군이었고, 목본 3분류군, 초본 64분류군이었다. 또한 주요 훼손지로 분류한 경우, 마루금 등산로에 해당하는 능선부, 산정부, 헬기장이 각각 34, 15, 12분류군(마루금 등산로 전체 36분류군)이었으며, 도로 47분류군, 채광·채석지 23분류군, 농경지 45분류군, 임도 4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국화과가 20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개망초, 달맞이꽃, 망초 등의 출현빈도가 매우 높았다. 특히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된 12종 중 미국쑥부쟁이, 애기수영,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도깨비가지, 돼지풀 등 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반음지에서 생육이 가능한 붉은서나물과 미국자리공, 주홍서나물 등이 확인되었다. 한편, 외래식물의 관리전략 수립을 위해 백두대간보호지역 외래식물의 관리 목표를 백두대간보호지역 생태적 보전과 생물종다양성 보전, 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에 두고 제거 및 박멸과 억제, 유입차단, 지속적인 모니터링등 2+2 관리전략과 각 전략별 기본방향을 수립하였으며, 관리사업의 방향과 실행단계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제5분과 : 계획관리 및 서비스 ; 백두대간 보호지역 안내표지판 실태 및 관리방안

        최윤호 ( Yeon Ho Choi ),이준우 ( Joon Woo Lee ),최태진 ( Tae Jin Choi ),권형근 ( Hyeong Keun Kweon ),허훈 ( Hoon Heo ),권경익 ( Kyeong Ik Kwon ),김병구 ( Byung Goo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국토의 골격을 이루는 한반도 중심 산줄기로, 한반도 자연생태계의 핵심축을 이루며 생물종다양성의 보고(寶庫)라 할 수 있다. 백두대간보호지역은 「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에 의거하여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해당 법률에서 수립하고자 하는「백두대간보호 기본계획(2006∼2015)」에 따라 관리를 받고 있다. 특히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은 특별법으로서 백두대간보호 정책은 다른 정책에 우선하여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며, 백두대간보호지역에서 개발행위를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며 보호지역에서 개발이 불가피 한 경우에는 반드시 산림청장과 협의토록 규정하고 있는 등 백두대간보호를 위하여 정책적으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백두대간보호지역 내 숲길 이용에 관한 정책은 아직 명확하게 기본방향이 설정되지 않았으며, 특히 마루금 등산로의 경우 핵심보호구역임에도 관리의 기본방향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반면 최근 트레킹 열풍으로 많은 등산객들이 백두대간을 찾고 있고 이에 맞추어 자치단체와 관련기관에서는 경쟁적으로 안내를 위한 시설을 설치하고있어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이용에 관하여 국민적으로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현실적으로 많은 이용객이 백두대간을 찾는 현상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안내표지판 등이 시설되는 것을 충분히 감안하더라도 안내표지판의 표준안이 제시되지 않은 상태로 오랜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에 설치되는 안내시설물이 갖춰야 할 정보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태이다. 아울러 설치 이후에도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고 있어 백두대간에 대한 이미지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다행히 산림청에서는 2007년도에 등산로 주변 공공디자인 연구가 수행되어 숲길에 적용되는 다양한 시설물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수립된 바 있다. 하지만 2007년도에 수립된 연구결과가 현장에 전파된 것은 2012년경부터로 아직 많은 곳에 설치되지 못한 상태이며, 당시 가이드라인의 수립에 있어 백두대간이란 특수성이 별도로 포함되지 않은 부분이있어 이를 일부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현장조사를 통해 현장에 설치된 안내시설물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산림청의 안내시설물 표준안의 개선방안 수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백두대간보호지역 내의 안내표지판에 대한 실태조사·분석을 통해 백두대간의 상징성 및 통일성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전 구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단, 향로봉에서 청화산구간은 2011, 2012, 2013년도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국립공원지역은 국립공원관리공단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백두대간보호지역 내 안내표지판에 대한 조사결과 총2, 246개의 안내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중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설치한 것이 834개(국립공원 구역 내 806개)이었으며, 국립공원 구역 이외의 백두대간보호지역 내에 1, 440개(국립공원관리공단이 설치한 28개 포함)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중 산림청이 직접 관리하는 보호지역에 대한 안내표지판의 실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정표에 해당하는 유도사인이 총 603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안내사인에 해당되는 안내표지판은 주의금지 안내표지판 360개, 종합안내표지판 88개, 자원안내 안내표지판 148개, 해설 안내표지판 179개이었고, 광고성 안내표지판 역시 32개나 확인되었다. 재질은 목재로 만들어진 안내표지판이 497개로 가장 많았으나 철재로 이루어진 제품 역시 356개나 되었으며, 플라스틱 112개, 석재 104개로 조사되었고 목재와 철재, 철재와 플라스틱 등 복합적으로 사용된 제품 역시 369개나 되었다. 한편, 설치주체는 산림청이 467개로 가장 많았으나 설치 주체가 표기되지 않은 시설물이 무려 467개에 달하였으며, 민간에 의해 설치된 안내표지판 역시 205개나 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원칙 없이 무분별하게 안내표지판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백두대간보호지역 내 안내표지판의 정비를 위해 안내표지판의 등급을 0∼5등급까지 6개의 등급으로 분류한 결과 1, 440개 중 338개(23. 5%)가 정비가 필요하거나 현재 시설을 제거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밖에 백두대간보호지역 내 안내표지판의 경우 백두대 간보호지역에 대한 표현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80%에 달하였으며, 민간에 의한 무계획적인 설치, 부적합한 재료의 사용, 구조적인 문제, 중복설치, 정보의 오류, 내구연한의 부재 등 다양한 문제가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각각의 문제점에 대한 보완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백두대간보호지역 안내표지판의 설치표준안을 수립하였으며, 향후 백두대간보호지역 내 안내표지판에 대한 종합적인 정비작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데크의 논슬립가공 표면형태 변이에 따른 마찰성능 변화 평가

        한연중 ( Yeon Jung Han ),이주희 ( Ju Hee Lee ),박용건 ( Young Gun Park ),최윤호 ( Yun Ho Choi ),여환명 ( Hwan Myeong Yeo ) 한국목재공학회 2012 목재공학 Vol.40 No.6

        최근 국내에서 목질계 재료를 이용한 데크의 설치사례는 증가하는 추세이나, 상대적으로 데크의 기초 물성과 안전성에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신발과 데크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은 보행자의 기동 능력에 많은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마찰력은 바닥재의 재료 특성, 바닥재의 요철무늬 형상, 신발 밑창의 형태, 바닥재와 신발 사이 접촉면의 습윤도 등 여러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데크의 요철무늬에 따른 마찰력 변화를 측정하고 미끄럼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데크의 재료는 천연목재와 합성목재의 두 종류이고, 신발과 접촉하는 데크표면은 데크의 길이 방향으로 홈가공처리를 한 단일 논슬립가공 형태와 길이방향에 더불어 가로방향에 추가로 홈 가공처리를 한 이중 논슬립가공 형태 두 종류이다. 실험에 사용된 신발의 밑창 형태는 더블유형(W형)과 네모형(□형)의 두 종류를 사용하였고, 데크 표면의 함수율 상태에 따른 마찰력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기와 평형을 이룬 건조상태와 수분습윤상태에서 측정하였다. 각각의 조건에서 마찰계수를 결정하고 각각의 인자가 마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stallation of deck has been on the rise in Korea recently, but there is little of research on the safety of desk. One of the major factors effecting maneuverability of a pedestrian is frictional force between an outsolo of shoe and a surface of the deck. The frictional force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such as raw material variance of deck, surface convex shape of deck, outsolo petterns of shoes, and moist condition of contact surface between deck and shoes.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ng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frictional force. Two kinds of deck, which were made of natural wood and wood plastic composite,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urface convex patterns of deck were classified to single nonslip (longitudinal groove processing) and double nonslip (longitudinal and transverse groove processing). Two kinds of shoes outsole petterns, W-shape and rectangle-shape, were used in the tests. Also, the friction tests were carried out at dride surface conditional and water-adsorbed surface condition.

      • 리졸버 신호 피크 지연 측정 기능과 이를 활용한 ASC 제어

        김연호(Yeon-Ho Kim),박형민(Hyun-Min Park),강태환(Tae-Hwan Kang),조범철(Beom-Cheol Cho),최윤호(Yun-Ho Choi),박주원(Joo-Won Park),조원희(Won-Hee Jo),우재혁(Jae-Hyuck Woo)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2 No.11

        Recently, as the markets interest in eco-friendly vehicles has increased rapidly, technology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is required. Among them, the increase in the mileage of electric vehicles is the most important item, and an optimized control system of the driving motor with the highest battery energy consumption is essential to achieve this. In order to increase th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of the motor control system, the first step is to precisely measure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motor. This paper proposes a new resolver signal peak delay calculation method that can reduce the chip size by about 30%, and explains how to reach the safe state through additional control of the IC even in the event of a microcontroller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