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간 신경종에서 보존적 치료의 임상적 결과

        이진우,최윤락,한수봉,Lee, Jin-Woo,Choi, Yun-Rak,Hahn, Soo-Bo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4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low-dose gabapentin for interdigital neuroma. Metrials and Methods: Between April 2000 and June 2003, 32 patients (39 feet) with interdigital neuroma were treated with using low-dose gabapentin. Two of the 32 patients were male, and thirty were female, and the average age was 47.4 years. The follow-up was 6 to 44months (mean 15.1 months). All cases were diagnosed by phys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aphy or MRI. Low-dose gabapentin (300-600 mg) was prescribed and shoe modification was recommended. The patients were evaluated through questionnaire. Results: Neuroma was found in twenty one cases at the third intermetatarsal space, and thirteen at the second intermetatarsal space. The sensitivity of ultrasonography was 96% and that of MRI was 79%. Overall satisfaction was rated as excellent or good by 18 cases (57%). Average pain relief ratio was 50.3%, and in 14 cases, more than 80% of pain relief was noted. Nine (28%) of 32 patients showed they had no activity restrictions, such as daily activities or work, whereas 8 (25%) had mild restrictions and 15 (47%) had major restrictions. Twelve of 15 patient with major restrictions had been treated operatively (neurectomy; 10 cases, decompression; 2 cases). One case had gastrointestinal problem. Conclusion: Low-dose gabapentin for interdigital neuroma was one of the effective conservative treatments. The operation may be preserved for patient with the persist symptoms, nevertheless the conservative treatments and use of low-dose gabapentin.

      • 사지 재건에 있어 서혜부 유리 피판술의 적응증 및 예후 인자

        김보람,한수봉,강호정,최윤락,김선용,Kim, Bo-Ram,Hahn, Soo-Bong,Kang, Ho-Chung,Choi, Yun-Rak,Kim, Sun-Yong 대한미세수술학회 2009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8 No.2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for groin flap, but its small and unpredictable vessels of pedicle have made it to lose its initial popularity. Although it would be ideal flap when it is focused on its useful advantages such as relative larger size, low donor site morbidity and possible bone graf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for prognostic factors for successful groin flap. Authors intended to determine prognostic factors which are relative with success of free groin flap.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2007, 107 patients who underwent groin flap for reconstruction of extremities were selected consecutivel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prognostic factors which were related with success of groin flap. Eighty of 107 (74.8%) flaps surviv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 according to the recipient site. Nineteen of 20 cases (95%) survived in upper extremities, but 61 of 87 cases (70.1%) survived in lower extremitie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22).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mean diameter of donor veins was significantly larger in success group (p=0.021). Groin flap is recommended for reconstruction of upper extremities than lower extremities. It is thought to be critical that surgeons try to match vessel diameters between donor and recipient site.

      • KCI등재

        과신전 손상 후 발생한 제5 수지 신전형 중수지 관절 잠김

        윤홍기(Hong-Kee Yoon),최윤락(Yun-Rak Choi),김지섭(Ji-Sup Kim),박재한(Jae-Han Park),강호정(Ho-Jung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5

        신전형 중수지 관절 잠김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신전제한 없이 굴곡제한을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현재까지 밝혀진 원인으로는 중수지 관절의 과신전 수상 이후 수장판의 파열 및 관절 내 감입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과신전 손상으로 파열된 수장판과 부 요측측부 인대가 배측 탈구 후, 요측과에 상부로 감입되면서 발생한 신전형 중수지 관절 잠김에 대해 배측 접근법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술 후 양호한 임상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he extension type locked metacarpophalangeal joint of the little finger is an extremely rare condition characterized by loss of flexion with little or no loss of extension. The most common cause for locking is entrapment of a strap of the ruptured palmar plate. We treated a locked metacarpophalangeal joint of the little finger due to a hyperextension injury. The mechanism of locking was a torn part of the palmar ligament that forcefully rides across the prominence of the radial condyle of the metacarpal bone together with the accessory collateral ligament. These dislocated parts of the ligament formed a constricting bundle that prevented closed reduction. Locking was released successfully by an open reduction using the dorsal approach of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without complication.

      • KCI등재

        갈퀴 족지 변형에서 장 굴곡 건의 근위부 연장술

        한수봉(Soo Bong Hahn),최윤락(Yun Rak Choi),박장원(Jang Won Park),이진우(Jin Wo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장 굴곡 건 단축에 의한 갈퀴 족지 변형의 수술적 치료로 장 굴곡 건의 근위부 연장술 후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장 굴곡 건 단축에 의한 갈퀴 족지 변형으로 장 굴곡 건의 근위부 연장술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7예를 대상으로 했다. 평균 연령은 20.9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 은 34개월이었다. 13예는 심한 첨족 변형으로 아킬레스 건 연장술을 시행한 환자로 수술장에서 확인한 장 굴곡 건 단축에 대해 연장술을 동시에 시행하였고, 4예에서는 장 굴곡 건 단축에 의한 갈퀴 족지 변형에 대해 근위부 연장술을 단독으로 시행하였다. 최종 추시 시 보행 중 족지 말단이나 근위 지간 관절 배부의 통증과 신발 선택의 자유도, 외관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모든 예에서 갈퀴 족지 변형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16예에서 보행 시 통증은 없었고, 10예에서 신발 선택의 제한은 없었다. 이학적 검사상 족지 말단이나 근위 지간 관절 배부의 피부 경결이나, 족지의 운동장애는 관찰되지 않았다. 저자들의 분류 등급에 의해 우수가 10예, 양호가 6예, 보통이 1예로 평가되었다. 결론: 장 굴곡 건 단축에 의한 갈퀴 족지 변형의 치료로 장 굴곡 건의 근위부 연장술은 변형의 예방 또는 교정, 족지 말단이나 근위 지간 관절 배부 통증, 신발 선택 등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 권장할 만한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acquired claw toe deformities that had been treated with proximal lengthening of the long toe flexor tendon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patients with a claw toe deformity due to contracture of the long flexor tendons were treated with proximal lengthening of the long toe flexor tendons from January 1993 to January 2003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 year.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as 42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4 months. Achilles tendon lengthening was also performed in 14 cases with an equinus deformity. At the final follow-up, a residual toe deformity, toe pain during walking, patient's satisfaction, and limitation of the shoe-wear were assessed. Results: At the final follow up, all cases showed a complete correction of a claw toe deformity, and did not have callosity at the toe tip or dorsal aspect of the toes. Toe pain during walking was found in 1 case, and a limitation of the shoe-wear was noted in 6 cases. At the final evaluation, 10 cases were graded as excellent, 6 good, and 1 fair. There was no recurrence of the claw toe deformity or limitation of the toe motion. Conclusion: Proximal lengthening of the long toe flexor tendons is recommended for treating flexible claw toe deformities. The procedure produced excellent results regarding the deformity correction and pain relief.

      • KCI등재
      • KCI등재

        척측 수근 신건의 탈구에 대한 수술적 치료

        오범석(Bum-Suk Oh),최윤락(Yun-Rak Choi),고일현(Il-Hyun Ko),오원택(Won-Taek Oh),엄남규(Nam-Gyu Eom),강호정(Ho-Jung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3

        목적: 완관절 척측 통증의 원인 중 하나인 척측 수근 신건 탈구는 유병률이 낮고 그 수술적 치료 결과가 보고된 바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11예의 척측 수근 신건 탈구 증례를 대상으로 시행한 수술적 치료 방법 및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진행한 1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자기공명영상 검사 및 동적 초음파를 사용하여 진단하였다. 손상의 분류는 Inoue의 분류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type A 2예, type B 1예, type C 5예가 있었다. oInue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3예가 있었으며, 원위 요척 관절로 탈구 2예, 척측 잠 김탈구로 1예가 있었다. 수술적 치료로 type A와 B는 재배치 후 신전 지지대를 봉합한 후에 골섬유막을 고정하였고, type C는 재배치 후 골섬유막을 고정하였다. 분류되지 않는 3예는 모두 척측 수근 신건 재배치 후 신전 지지대를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anchor suture를 사용하여 골섬유막을 고정하였다. 수술 전후 임상적 결과는 관절 운동 범위와 악력을 비교하였고,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Q-DASH) score, Mayo wrist score를 통하여 환자의 기능적 회복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받을 당시 나이의 중앙값은 32세였으며 수술 후 평균 11.2개월간 추시 관찰하였다. 동반손상으로는 삼각섬유인대 복합체 손상 5예, 원위부 요척 관절 불안정성 2예가 있었으며, 탈구된 신건 중 3예에서 종 파열 소견을 보였다. 운동 범위는 건측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84.7%에서 최종 추시에서 92.4%로 호전되었고 VAS score, Q-DASH score, Mayo wrist score 모두 호전을 보였으며(평균 6.0점에서 1.1점, 평균 40.9점에서 12.4점, 평균 75.9점에서 86.4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척측 수근 신건 탈구는 드문 질환이나 완관절의 척측 통증 및 운동 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학적 검사와 자기공명영상 검사 및 동적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진단 후 수술적 치료를 통해 각 분류에 따른 적절한 방법으로 수술 시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Extensor carpi ulnaris (ECU) subluxation has a low incidence rate, to date, there has only been a few studies evaluating the operative treatment for type of inj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analyze 11 patients with ECU subluxation who underwent operative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5 and February 2015, 11 patients received operative treatm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dynamic ultrasound were used to make the diagnosis. ECU subluxation patterns were classified by the Inoue’s classification system. There were two cases of type A, one case of type B, five cases of type C, and three cases unfit for Inoue’s classification. We also found two cases of radial subluxation and one case of ulnar locked subluxation. In type A and B cases, ECU tendons were relocated then sheaths repair was performed, and the extensor retinaculum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In type C cases, the fibro-osseous sheaths were fixed. In the three unclassified cases, extensor retinaculum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In all cases, fibro-osseous sheaths were fixed using the anchor suture technique. We compared the clinical results based on the following: motion range of the wrist joint; grip strength;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Q-DASH) score; and Mayo wrist score. Results: The median age of patients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as 32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1.2 months. There were five cases of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tear, two cases of distal radioulnar joint instability, three cases of ECU split tear as accompanying inju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esults. The average motion range of the wrist increased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value (84.7% to 92.4% compared to contralateral normal side). The postoperative VAS score, Q-DASH score and Mayo wrist score showed better results compared with the respective preoperative values (6.0 to 1.1, 40.9 to 12.4, 75.9 to 86.4). Conclusion: ECU subluxation is a rare occurrence. Dynamic ultrasound is useful in diagnosing ECU tendon subluxation. Satisfactory results can be obtained with the use of a proper technique, which depends on the type of subluxation.

      • KCI등재후보

        후방 골간 신경 마비의 치료

        한수봉(Soo Bong Hahn),최윤락(Yun Rak Choi),조재호(Jae Ho Jo),강호정(Ho Jung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2

        목적: 근위 요골골절 및 탈구와 연관되어 발생한 후방 골간 신경 마비의 임상양상을 알아보고 치료법과 예후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외상성으로, 또는 수술 후 후방 골간 신경 마비 환자 중 압궤 손상이나 상완골 골절을 동반하지 않은 1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은 근위 요골 골절이 2예, 전완부 동시 골절이 6예, Monteggia 골절이 5예, 요골두 골절이 1예였다. 수상 후 신경 마비를 보인 경우가 8예, 관혈적 정복 후 발생 경우가 3예, 내고정물 제거 후 발생한 예가 3예 있었다. 자연 회복의 징후가 없는 경우 신경 탐색술을 시행하였고, 수술방법을 결정하였다. 운동기능 및 범위의 회복 정도와 만족도로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자연 회복된 7예는 모두 폐쇄성 골절 환자였으며, 평균 6.2주 후부터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나머지 7예는 신경 봉합 술(1예), 신경 유리술(1예), 비복 신경 이식술(2예), 건 전이술(3예)을 시행하였다. 자연 회복된 환자와 신경 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는 양호한 회복을 보였으며, 건 전이술을 시행 후에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근위 요골 골절 및 탈구 후 후방 골간 신경 마비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폐쇄성 손상의 경우 대부분 자연 회복된다. 관혈적 정복 후나 내고정물 제거 후에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 회복되지 않는 경우에 적절한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results, and prognosis of posterior interosseous nerve injury related to fracture or dislocation of the proximal radius. Materials and Methods: From patients with posterior interosseous nerve injury between January, 1985 to December 2002, fourteen patients were selected. There were 2 cases with fracture of the proximal radius alone, 6 cases with fracture of both bones of the forearm, 5 cases with Monteggia fracture, and 1 case of radius head fracture. Eight cases showed nerve injury at the time of trauma, 3 cases after open reduction, and 3 cases after hardware removal. The involved nerve was explored in patients without spontaneous recovery for further treatment. Final range of motion, motor function, and satisfaction were used to assess the results. Results: Seven cases, all with closed fracture, showed spontaneous recovery. The average time of recovery was 6.2 weeks. The remaining 7 cases were treated by neurorraphy (1 case), neurolysis (1 case), sural nerve graft (2 cases), and tendon transfer (3 cases). All case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Conclusion: Traumatic posterior interosseous nerve injury rarely happens. Injury after closed fracture usually shows spontaneous recovery. Injury can also take place during open reduction or hardware removal. In cases without spontaneous recovery, The prognosis is generally good after proper treatment.

      • KCI등재

        수술 후 발생한 상완골 원위부 불유합의 치료

        김형식 ( Hyung Sik Kim ),장기준 ( Ki Joon Jang ),최윤락 ( Yun Rak Choi ),고일현 ( Il Hyun Koh ),강호정 ( Ho Jung Kang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4

        목 적: 상완골 원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불유합으로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들에 대해 수상 원인, 방사선 소견, 치료 결과 및 예후 등 임상적 추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상완골 원위부 골절로 수술적 치료 후 불유합 상태가 지속되어 재수술을 시행한 환자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 수술 후 불유합 진단까지의 평균 기간은 7.4개월(4∼16개월)이었다. 최종 추시 기간은 평균 24.6개월(12∼65개월)이었다. Mayo Elbow Performance Score와 The Disability of Arm, Shoulder and Hand Score를 이용하여 기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 불유합에 대해 금속판 고정술 및 골편 이식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주관절의 관절운동 범위는 굴곡 구축 18.8o(0∼30o), 후속 굴곡 120.2o (102∼140o)였다. 합병증으로는 중등도의 관절 강직이 3예, 내과 불유합이 2예, 내고정물의 해리가 1예에 서 관찰되었다. 결 론: 상완골 원위부 골절의 불유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차 수술시에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유지가 우선시되어야 하며, 자가골이식 등의 적절한 추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for non-union of distal humerus fracture. We evaluated them in terms of causes of injury, radiologic findings, and clinical outcomes such as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consecutive radiologic patients who were confirmed to have nonunion of a distal humerus fracture underwent reoperations. These patients had already undergone operations for distal humerus fractures. This survey was held from 2005 to 2010. The average period up to diagnosis of non-union after the first operation was 7.4 months (4 to 16 month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6 months (12 to 65 months). Each patient was graded functionally according to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and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Results: Osteosynthesis was performed by internal fixation with plates and screws and then a bone graft for non-union of the distal humerus fracture.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ithin the elbow joints was found to be a flexion contracture of 18.8 degrees (0∼30 degrees) and further flexion of 120.2 degrees (102∼140 degrees). Amo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ree cases of medium-degree stiffness, two cases of medial column nonunion, and one case of dissociation of the internal fixator were reported. Conclusion: Stable internal fixation for maintenance reduction status is essential after accurate initial anatomical reduction. We concluded that nonunion could be prevented by additional surgical treatment such as autogenous bone graft, if it is necessary.

      • KCI등재

        슬관절 강직에서 변형된 Thompson 대퇴사두근 성형술의 예후 인자

        한수봉(Soo Bong Hahn),박광원(Kwang Won Park),이승환(Seung Hwan Lee),최윤락(Yun Rak Choi),강호정(Ho Jung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6

        목적: 슬관절 강직에서 변형된 Thompson 대퇴사두근 성형술을 이용한 수술 후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7년 2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슬관절 강직으로 변형된 Thompson 대퇴사두근 성형술을 시행받은 38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평균 92개월(최소 18개월, 최장 133개월)간 추적 관찰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36세였으며, 남자가 33명, 여자가 5명이었다. 슬관절 강직의 원인은 슬관절 주위 골절이 33예로 가장 많았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해 수술 후 관절 운동 범위, 굴곡 구축, 술 후 운동 범위의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았다. 결과: 다변량 검정에서는 수술 전의 운동 범위가 작을수록 수술 후에 굴곡도의 증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01), 수술 전 굴곡 구축이 클수록 수술 후 굴곡 구축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001). 결론: 슬관절 강직에서 보존적 치료로 운동 범위를 회복할 수 없다면, 조기에 대퇴사두근 성형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수술 전 강직의 정도가 심할수록 더 많은 관절 운동 범위의 개선을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prognostic factors of modified Thompson quadricepsplasty for a stiff knee.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87 to February 2007, 38 knees of 38 patients were managed with modified Thompson quadricepsplasty for a stiff knee. Thirty three males and 5 females were enrolled with a mean age of 36 years. The average follow-up duration was 92 months (range, 18 to 133 months).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stiff knee was a fracture around the knee in 33 case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ognostic factors. Result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gain of ROM after surger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OM before surgery (p<0.0001), and flexion contracture at the last follow u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l flexion contracture (p<0.0001). Conclusion: In a stiff knee, modified Thompson quadricepsplasty should be considered as soon as possible if the patient cannot gain an acceptable ROM through conservative management. More improvement in the ROM can be obtained in those with a more severe limitation of motion.

      • KCI등재

        단순 혹은 주관절 주위 손상을 동반한 소두 골절의 수술적 치료

        강호정(Ho-Jung Kang),박광환(Kwang-Hwan Park),이정길(Jung-Kil Lee),최윤락(Yun-Rak Choi),한수봉(Soo-Bong Hahn),김성재(Sung-Jae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2 No.2

        목적: 단순 소두 골절 및 주관절 주위 손상을 동반한 소두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고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을 시행한 25명의 환자 (평균나이, 49세)를 대상으로 하였고, 소두 골절은 1형 골절이 19예, 3형 골절이 6예 있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4.8개월이었고 최종 추시시 방사선학적 및 기능적 결과를 분석하여 소두 골절의 형태, 동반 골절 유무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평가하였다. 결과: 25예 중 24예에서 평균 1년에 방사선학적 유합을 얻었으며, 기능적 결과는 Broberg와 Morrey의 점수에 의해 우수 18예, 양호 4예, 보통 2예, 불량 1예였다. 소두 골절은 1형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동반 주위 골절은 외과 골절이 가장 많았다. 1형 골절이 3형 골절인 경우보다, 주위골절이 있는 경우 비관절면 골절인 경우가 관절면 골절인 경우보다 임상적 결과가 좋았다. 나이, 동반골절의 종류, 소두 골절에 대한 내고정물의 종류, 수술적 접근법, 수술 후 고정 기간에 따른 임상적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전체의 88%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소두 골절의 형태와 추가적인 관절면 골절 동반 유무가 중요한 예후 인자로 조사되었다. Purpose: We wanted to assess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and the prognostic factors after an operation for capitellar fractures associated with/without other injury around the elbow.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25 patients (mean age: 49 years-old)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capitellar fractures, there were nineteen type 1 fractures and six type 3 fracture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14.8 months. We assessed the factors affecting the radi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s, such as the fracture pattern, the patient age and the surgical approaches. Results: In 24 of 25 patients, bony union was achieved at postoperative 1 year. There were eighteen excellent, four good, two fair and one poor functional results according to the Broberg and Morrey elbow score. The most common type was type 1 and the most common associated injury was lateral condylar fracture. The patients with type 1 fracture rather than the patients with type 3 fracture and the patients who had an extraarticular associated fracture rather than an intraarticular associated fracture had better clinical outcomes. Conclusion: 22 (88%)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at the result. The type of capitellar fracture and an associated intraarticular elbow fracture were shown to b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