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MZ 일원의관속식물상1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파주-연천)-

        이승혁 ( Seung Hyuk Lee ),최승세 ( Seung Se Choi ),이두범 ( Doo Bum Lee ),황승현 ( Seung Hyun Hwang ),안진갑 ( Jin Kap Ah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서부전선(파주-연천) 일대의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확증표본을 근거로 한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의 관속식물은 109과 330속 501종 8아종 48변종 1품종의 총 5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식물종은 최근에 유입된 귀화식물을 비롯하여 약 4,880여종의 식물이 보고되었으며 한반도 전체 식물의 약 11% 정도가 민통선 이북 서부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 생물은 Ⅱ급 층층둥굴레 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태풍전망대에서 임진강에 이르는 군작전로 가장자리에 3개체가 생육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 3분류군, Ⅳ등급 3분류군, Ⅲ등급 13분류군, Ⅱ등급 13분류군, Ⅰ등급22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고려엉겅퀴 등 4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숲 절개지 또는 숲가장자리에 분포하였다. 희귀식물은 위기종(EN) 층층둥굴레 1분류군, 취약종(VU) 느리미고사리 등 4분류군, 약관심종(LC) 쥐방울덩굴 등 6분류군으로 총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51분류군으로 귀하율은 9.14%, 도시화지수는 15.89%로 산출되었으며 환경부지정 생태계교란식물은 단풍잎돼지풀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DMZ생태축의 서부지역 식물상 연구를 수행하고 주요 식물의 분포 양상과 보존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the western front (Paju-Yencheon Area) of the Civilian Control Zone. Vascular plants collected in these areas were a total of 558 taxa composing of 501 species, 3 subspecies, 48 varieties and 1 forma of 330 genera under 109 families This shows that 11% of the 4,880 vascular plant species that are known to exist in Korea is distribut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DMZ. 1 taxa of endangered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found: the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in the edge of the military operation road from Taepung observatory to Imjin river. For the floristically specific ones of the Korean floristic zones, 3 taxa of the 5th grade, 3 taxa of the 4th grade, 13 taxa of the 3rd grade, 13 taxa of the 2nd grade and 22 taxa of the 1st grade were found. For the endemic species of Korea, 4 taxa including Cirsium setidens (Dunn) Nakai were confirmed to be distributed mostly on the slope or the cutting area. Among the collected rare plants (11 taxa), there were 1 taxa of endangered species, 4 taxa of vulnerable species and 6 taxa of least concern species. Also, 51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nd 4 taxa of ecosystem disturbance organism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identified.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index for all species were estimated to be 15.89% and 9.14% respectively. Our survey is expected to be considered as primary data of biological diversity and ecological axis in the DMZ and the western part of the DMZ.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o be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for conservation and protection of the DMZ.

      • KCI등재

        인천, 경기 지역 무인도서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송세규 ( Song Se-gyu ),최승세 ( Choi Seung-se ),신현철 ( Shin Hyun-chul ),서형수 ( Seo Hyung-soo ),박진영 ( Park Jin-young ),차진열 ( Cha Jin-yeol ),김철환 ( Kim Chul-hwan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4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와 특정도서 정밀조사를 통해 인천, 경기 지역 무인도서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115과 401속 691종 7아종 76변종 7품종의 총 78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최근에 유입된 귀화식물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의 4,596종의 약 17%에 해당된다. 양치식물 29분류군, 나자식물 6분류군, 피자식물의 쌍자엽식물 582분류군, 단자엽식물 164분류군으로 집계되어 한반도 전체 비율에 비해 양치식물과 나자식물의 종 다양성이 다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상은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동백나무를 비롯하여 다수의 남방계식물이 분포하는 특성을 갖는 점에서 식물구계학적으로 남부아구에 가깝다. 식물상의 종다양성은 대체로 도서의 면적에 비례하고, 인위적인 간섭이 많은 도서일수록 귀화식물의 수는 증가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고유종은 병꽃나무를 비롯하여 외대으아리, 은꿩의다리, 새끼노루귀, 태안원추리, 털중나리 등 16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은 개정향풀을 비롯하여 두메대극, 민솜방망이 3분류군, Ⅳ등급은 회리바람꽃, 산마늘 등 11분류군, Ⅲ등급은 멀꿀, 감탕나무, 곽향 등 36분류군, Ⅱ등급은 세뿔석위, 해당화, 초종용 등 38분류군, Ⅰ등급은 소사나무, 선괭이눈, 쥐방울덩굴 등 79분류군 등 총 167분류군, 그리고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아까시나무, 좀명아주, 닭의덩굴 등 53분류군이 생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무인도서의 귀화율을 분석하였으며 황산도엣 가장 높은 14.4%로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 생물에 해당되는 식물로는 돼지풀, 애기수영, 가시박, 미국쓱부쟁이, 가시상추, 환삼덩굴 등 6종이 확인되었다. 특히 황산도에는 돼지풀, 환산덩굴, 미국쑥부쟁이, 가시상추 등 4종의 생태계교란 식물이 발견되어 인접 무인도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각각의 생육특성 및 생리학적 특성 파악을 통하여 종자산포 이전에 적극적인 방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학술적으로 중요하거나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개정향풀, 앵도나무, 큰천남성, 두루미천남성 등이었다. 식물의 생존과 번성을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방목된 염소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대한 관리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편, 개석송과 산오이풀을 비롯하여 일부 식물들은 종 분포적 특성을 감안할 때 오동정된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조사시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rough a National survey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Uninhabited islands and a detailed survey of the Specific islands, vascular plants of uninhabited islands in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s were identified as a total of 781 taxa of 115 families, 401 genera, 691 species, 7 subspecies, and 76 varieties. This taxa accounts for about 17% of the 4,596 species on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ncluding recently introduced naturalized plants. The flora was counted as 29 taxa of pteridophytes, 6 taxa of gymnosperms, 582 taxa of dicotyledon of angiosperms, and 164 taxa of monocotyledon plants, while it was analyzed that the species diversity of pteridophytes and gymnosperms, was somewhat lower than the total ratio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whole. The flora is close to the southern subgroup phytologically in that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a number of southern plants, including Meliosma oldhamii, Carpinus erosa and Camellia japonica. The diversity of flora is generally proportional to the area of the islands, and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increased in islands with more anthropogenic interference. No endangered wildlif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found, and 16 taxa (Weigela subsessilis, Clematis brachyura,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Hemerocallis taeanensis, etc.) were found for endemic species , 167 taxa (Ⅴ level 3 taxa, Ⅳ level 11 taxa, Ⅲ level 36taxa, Ⅱ level 38 taxa, Ⅰlevel 79 taxa) for floristic target species, and 53 taxa (Rumex crispus, Robinia pseudoacacia, Chenopodium ficifolium, Fallopia dumetorum etc.) for naturalized plants. The ecosystem of Disturbed Plants were identified as 6 taxa (Ambrosia artemisiifolia,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Aster pilosus, Lactuca scariola, Humulus japonicus).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academically important or noteworthy were Apocynum lancifolium, Prunus tomentosa, Arisaema ringens and Arisaema heterophyllum. Grazing goats were investiga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reatening the survival and prosperity of plants, and management measures were expected to be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t was judged that some plants, including Lycopodium annotinum and Sanguisorba hakusanensis, were misident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e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needed to be carefully observed during future investigations.

      • KCI등재

        백두대간 구룡령과 고직령의 나비군집 비교와 분포변화

        김도성,오기석,박성준,최승세,이승혁,Kim, Do Sung,Oh, Ki Seok,Park, Seong Joon,Choi, Seung Se,Lee, Seung Hyu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3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다양한 생물 서식지이며 동물의 이동통로로 새로운 서식지로의 이주와 재서식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2014년에 4월부터 9월까지 백두대간 구룡령(명계리)과 고직령(서벽리)의 나비군집을 모니터링 하고, 두 지역의 나비를 과거기록과 비교하여 분포지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명계리 65종 1098개체, 서벽리 63종 1161개체가 조사되었다. 두 지역의 비교에서 명계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5종, 서벽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3종으로 나타났다. 종 순위별 개체수에서는 명계리는 큰줄흰나비 127 (11.6%), 줄흰나비 100 (9.1%), 산제비나비 90 (8.2%), 서벽리는 뿔나비 146 (12.6%), 줄흰나비 134 (11.5%), 네발나비 69 (5.9%)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개체 이하를 보인 종은 명계리 24종, 서벽리 23종으로 나타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두 지역의 유사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적색목록의 나비가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출현종을 과거 분포자료와 비교한 결과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이에 백두대간의 나비는 아직까지 잘 보전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거시적으로 백두대간의 서식지 경관이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s home to a wide range of organisms inhabiting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monitored butterfly communities of Guryongryeong (Myeonggye-ri) and Gojingkyeong (Seobyeok-ri) from April to September in 2013 to 2014,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data to determine changes in their distribution. We found 1,098 butterflies of 65 different species in Myeonggye-ri, and 1,161 butterflies of 63 different species in Seobyeok-ri. Comparing the two regions, 13 species appeared only in Seobyeok-ri and 15 species appeared only in Myeonggae-ri. When species were ranked according to number of individuals, the top species three species were as follows: Artogeia melete (127, 11.6%), A. napi (100, 9.1%), and Papilio maackii (90, 8.2%) in Myeonggye-ri; and Libythea celtis (146, 12.6%), A. napi (134, 11.5%), and Polygonia c-aureum (69, 5.9%) in Seobyeok-ri. The number of species with fewer than three individuals each was 24 in Myeonggye-ri and 23 in Seobyeok-ri, accounting for a high percentage among the total number of specie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regions were relatively high, and many of the butterflies are on the Red List of Korea. Compared with previous distribution data,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This consistency indicates that the butterflie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have been conserved well, and therefore the continuity in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s necessary to keep in the big picture.

      • KCI등재

        독도의 식물 근권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의 다양성

        어주경 ( Ju-kyeong Eo ),박혁 ( Hyeok Park ),최승세 ( Seung-se Choi ),신현철 ( Hyun-chul Shin ),송세규 ( Se-kyu Song ),엄안흠 ( Ahn-heum Eom ) 한국균학회 2017 韓國菌學會誌 Vol.45 No.4

        본 연구에서는 독도의 근권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을 분리·배양하였다. 형태적 특징과 18s rDNA 염기서열에 의거하여 총 7속 8종의 수지상균근균을 동정하였다; Acaulospora longula, Acaulospora mellea, Claroideoglomus claroideum, Diversispora aurantia, Funneliformis mosseae, Gigaspora margarita, Paraglomus occultum, Septoglomus constrictum. 동도와 서도의 종 다양성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한반도에서 발견한 것과 동일한 분류군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독도의 수지상균근균 다양성 연구와 추후 수지상균근균의 기능 규명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were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s of Dokdo Islan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18S rDNA sequence analysis, eight species belonging to seven genera were identified: Acaulospora longula, A. mellea, Claroideoglomus claroideum, Diversispora aurantia, Funneliformis mosseae, Gigaspora margarita, Paraglomus occultum, and Septoglomus constrictum. No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he AMF isolated from Dongdo and Seodo in Dokdo Island, and all of these AMF have been reported previously in Korea.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for diversity and functional analyses of AMF in Korea.

      • KCI등재후보

        참나무 5종의 생태 복원 적지 추정을 위한 경제림 육성단지의 기후와 입지 요인 분석

        이승연,김의주,이응필,조규태,박재훈,이영근,정상훈,홍용식,박진희,최승세,김해란,유영한,Lee, Seung-Yeon,Kim, Eui-Joo,Lee, Eung-Pill,Cho, Kyu-Tae,Park, Jae-Hoon,Lee, Young-Keun,Chung, Sang-Hoon,Hong, Yong-Sik,Park, Jin-Hee,Choi, Seung-Se,Kim 한국하천호수학회 2020 생태와 환경 Vol.53 No.4

        The most important thing to successfully restore an oak forest is finding suitable climatic conditions and topographic factors for the oak species to be introduced.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five dominant oak trees on the Korean Peninsula, we carried out analysing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forest vege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ange of annual mean temperature of the five oak trees was narrow in the order of Q. mongolica (7.7~14.3℃), Q. variabilis (9.2~13.8℃), Q. acutissima (10.5~14.3℃), Q. serrata (11.4~13.7℃), Q. aliena (11.0~12.9℃). The range of annual precipitation of oaks was narrow in order of Q. mongolica (1072.7~1780.9 mm), Q. variablis (1066.6~1554.9 mm), Q. acustissima (1036.5~1504.8 mm), Q. serrata (1062.6~1504.7 mm). The range of altitude was in order of Q. mongolica (147~1388m), Q. serrata (93~950m), Q. variabilis(90~913m), Q. acustissima (60~516m), Q. aliena (55~465 m). The range of slope was in the order of Q. mongolica (8~56°), Q. variabilis(5~52°), Q. serrata (11~45°), Q. aliena (15~38°), Q. acustissima (16~37°).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very useful in the case of ecological restoration using deciduous oak trees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후보

        조류모니터링에서 카메라트래핑의 적용이 가능한가?

        김우열(Woo-Yuel Kim),이화진(Hwa-Jin Lee),하정욱(Jeong-Wook Ha),박성준(Seong-Joon Park),박종철(Jong-Chul Park),최승세(Seung Se Choi),박진영(Jin-Young Park),이중효(Jung-Hyo Lee),차진열(Jin-Yeol Cha)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서 실시된 생물 조사 중 카메라 트래핑 결과가 조류의 고정 조사 결과에 활용될 때 보완 조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카메라 트래핑 사진 439컷 중 283컷(64.4%)이 유효 하였고 분석결과 16 종이 기록되었다. 그리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팔색조와 흰배멧새, 양진이, 진홍가슴, 힝둥새가 카메라 트래핑 결과에서만 기록되었다. 또한 연구자의 직접 모니터링 결과와 카메라 트래핑 결과의 결합된 생태 지표가 연구자의 직접적인 결과만으로 유도 된 것보다 유의 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카메라 트래핑 포인트의 시공간적 연구의 가능성에 대한 분석은 조류 활동 시간(일출, 일몰)에 따라 기록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작은 데이터양의 약점에도 불구하고, 고도에 따른 종수의 변화가 확인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 연구는 임도에서의 카메라 트래핑을 보여 주었지만, 회피성이 강하고 숲 내부에서 주로 서식 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이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카메라 트래핑을 이용한 모니터링이 직접조사 결과에 보완 결과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14, 2015 to December 15, 2015 in order to compare camera trapping and direct survey results in the Baekdudaegan sites. As a result, 283 (64.4%) cuts of 439 cuts of the camera traps were analyzed and 16 species were recorded. And Pitta nympha (endangered wildlife class II), Emberiza tristrami, Carpodacus roseus, Luscinia calliope, Anthus hodgsoni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Also, I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as a complementary survey when the result of camera trapping survey results be used to secure the bird. Moreover, the analysis of the possibility of spatio - temporal study of the camera trapping point confirmed that it was recorded in accordance with birds active time (sunrise, sunset). And, Despite the weakness of the small data volume of this study, the change in species number by altitude showed similar tendency to the study conducted in India.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camera trapping on the most open road in the forest, but it was identified as the dominant species in preference to the inside of dark forest which is evasive. This suggests that supplement as a result the survey is monitored using the camera trapping direct result suggests a pos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