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퍼포먼스 공간, 구성적 헤테로토피아

        최승빈 ( Seung Bin Choi ) 대한무용학회 2021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spatial constitution of digital performance. Contemporary performances mediated by digital technology requires a perspective of interpretation that deviates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 This space, like Foucault's argument, is a space of heterotopia constituted by the subject. The subject has a body as a utopia. The subject's actions intersect with the virtual, realizing the utopia of the body in space. And through these relationships, space consists of heterotopia. The digital performance space constituting the heterotopia within the heterotopia is a constitutive space that expands the agent's agency and realizes the intersection of virtual and reality.

      • KCI등재

        ATM 보유의 은행 효율성에의 기여 분석 - DEA기법을 이용하여 : ATM 보유의 은행 효율성에의 기여 분석

        최승빈(Choi Seung-Bin),김혜숙(Kim Hye Sook) 한국산업경영학회 2007 경영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전자금융서비스 제공의 효율성 측정은 물론 전자금융 서비스전달 채널중 특별히 자동화기기에 대한 금융기관 의존도를 측정하는 자동화기기 지수에서 고려하는 ATM이 은행의 효율성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산출을 ATM서비스를 포함한 전자금융서비스 제공으로 정의하고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효율성의 측정에 있어 ATM의 투입이 기여한 부분은 효율적인 은행을 포함하여 어떤 은행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아직까지 국내의 시중은행들은 효율성보다는 고객의 편리성 제공이라는 차원에서 자동화기기가 도입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효율성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ATM의 기여도는 없었으며 인력의 기여도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우리의 은행들이 인력을 대폭적으로 감축했던 영향인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산출을 예대서비스로, 투입은 대면거래의 대용변수로 점포수를, 비 대면거래의 대용변수로는 ATM 설치대수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표본에 포함된 유럽의 대다수은행들은 ATM이 효율성에 상당한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국내의 시중은행들은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은행의 효율성 결정요인을 분석한 회귀분석의 결과 투입과 산출 변수 중 산출변수는 1%의 유의수준에서 모든 모형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입 변수 중에서는 ATM의 보유대수가 1-5% 유의수준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긍정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ATM을 도입한 일반적인 기대와는 달리 효율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CD/ATM effects on efficiency and the determinants of efficiency of ATM from available data of 33 major banks in Europe and domestic banks. In case of ATM of major European banks, ATM contributes to determining efficiency, but ATM of domestic banks does not. There is no domestic evidence that ATM services contribute to enhance efficiency. And also, domestic banks has shown 40% less efficiency than European banks. Expecially, there is no contribution that ATM affects in domestic banks. But, ATM service from European banks have shown that they have contribut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banking system not likely domestic ban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ATM services are much more crucial than simply applying them. From the results of Tobit analysis, the number of ATMs has shown meaningful effects to the banking services at the level of 1-5% significance. In conclusion, unlikely European banks, applying ATM doesn"t show any efficiency in domestic banks. This means that ATM services in domestic banks have to be controlled or managed in an effective way.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기술의 매개, 몸의 확장: 마크 핸슨의 ‘정서’와 ‘코드 안의 몸’을 중심으로

        최승빈 ( Seung-bin Choi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4 No.-

        본 연구는 현대 디지털 예술에서 논의되는 지각의 문제를 ‘과체화’의 현상으로 바라보고, 가상과 현실 공간, 몸과 가상 이미지의 관계를 상호 연계된 정서적 효과의 지속적 관점, 몸과 행위의 확장적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베르그손의 몸과 이미지에 관한 지각과 정념, 메를로-퐁티의 몸틀과 살의 가역성 개념을 바탕으로 디지털 예술의 변화를 기술과 매개된 몸의 확장으로 이해하는 마크 핸슨의 관점을 분석해 나갈 것이다. 핸슨은 우리가 경험하는 가상의 공간을 현실과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혼합 현실로 정의하면서, 이를 가상이 아닌 몸과 기술을 통해 매개된 ‘실재’로 바라본다. 몸의 운동이 디지털 이미지를 코드로 변형시키면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몸은 정보의 선택적 구성자로서 기능이 강화된다. 이것이 ‘정서’의 작용이다. 몸의 행위는 정서에 의해 정념적, 운동적 연장의 차원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기술이 매개된 이미지들은 변화된 몸틀, 즉 상황을 구성한다. 몸에 체화된 경험들은 행위를 통해 이미지로 지속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가상공간에 그려지는 이미지는 체화된 행위의 확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디지털 기술은 행위자와 수용자의 몸틀에 결합되면서 ‘코드 안의 몸’이 된다. 핸슨은 ‘코드 안의 몸’의 작용이 디지털 이미지와 공간의 가상성을 실재로 지각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논의하며, 수용자의 지각 또한 ‘코드 안의 몸’을 통해 변화된다고 본다. 따라서 디지털 예술에서의 지각은 바로 몸의 작용의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problem of perception in modern digital art as a phenomenon of “hyperembodiment” and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and real space, body and virtual image from a continual perspective of mutually related affective effects, and expansion body and action. Mark B. N. Hanson defines the virtual space we experience as a mixed reality that continuously interacts with reality, and views it not as virtual, but as “ real,” mediated through the body and technology. Digital art reconstructs the movement of the actor’s body by transforming the digital image into a code. In this process, the body is strengthened to function as a selective organizer of information. It is ‘affectivity’ that enables changes in the body, that is, to create experiences and relationships that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the body. And digital technology becomes “bodies in code”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body frame of actors and receivers. Therefore, Hanson discusses the action of the “bodies in code” as making the virtuality of digital images and real space perceptible, and sees that the perception of the receiver is also changed through “bodies in code.” Therefore, perception in digital art should be discuss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body.

      • KCI등재

        수행성과 상호매체적 전환

        최승빈 ( Seung Bin Choi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6 No.-

        현대에 수행성을 전제로 하는 공연예술은 지각의 변화를 초래했다. 이제 더이상 우리는 ‘작품의 해석’에 종속되지 않고, ‘사건’의 생성과 지각의 과정으로 나아가게 된다. 수행성은 의미의 재현과 의미의 해석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킨다. 어떤 것도 결정되지 않고 진행되는 행위들 속에서 관객은 매체의 물질성에 주목하게 되고, 물질성의 지각을 토대로 주체적인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적극적 행위자가 된다. 행위자와 관객의 공동-현존을 전제하는 수행적 공연에서는 행위자와 관객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관계 속에서 해체와 전도가 일어나는 ‘사이’의 상태가 실현된다. 이러한 ‘사이’의 상태는 전통적 공간의 해체를 가져오고, 역치적 공간에서 관객이 공연의 주체로서 행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공간 변화는 신체성의 변화 또한 초래한다. 퍼포먼스에서 이러한 지각적 전환은 몸이라는 매체에 대한 인식적 변화에 기반하고 있다. 관객은 의미를 재현하는 기호적인 몸뿐만 아니라, 행위자의 현상적인 몸 자체도 지각하게 된다. 현상적 몸은 일시적 사건을 생성하는 물질적인 몸으로 지각된다. 행위자의 현존하는 몸은 공간, 관객 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우연적이고 일시적인 과정들을 만들어간다. 이러한 이중적 몸의 지각은 체현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과정적 사건으로서의 공연에서 창발적 요소들이 새로운 의미들을 형성해간다. 기호적 의미를 전달하는 작품이 아닌, 사건을 형성하는 행위의 과정으로서의 공연은 우연을 산출하는 열린 공간을 열어주었고, 관객 또한 수동적 수용자가 아닌 능동적 행위자로 기능할 수 있게 했다.행위자와 수용자, 건축적 공간과 수행적 공간, 기호적 몸과 현상적인 몸 사이에서 일어나는 수행적인 사건들은 상호매체적인 관계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관계들 또한 일시적이고 우연적으로 창발되는 것이며, 그러므로 수행적 공연은 ‘완결’이 아닌 ‘생성’의 지속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열린 구조는 ‘사이’에서 다양한 진동이 일어나는 상호매체적인 경계 초월의 장이기도 하다. 수행적 공연은 모든 것의 ‘사이’에서 생성되는 결합, 교체, 해체, 상호작용들의 과정이다. 이러한 자기-지시적이고 자기생산적인 체계의 피드백 고리는 근본적으로 수행적 공연의 원칙인 예측불가능하게 창발되는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수행적 공연은 지속적으로 유동하는 의미 생산의 과정이며, 체현을 통한 지각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사이’의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Performative arts has caused change in perception. Now we turn to theprocess of creation and perception of ‘events’ rather than ‘interpretation work’. We deviate from the representation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through performativity. The spectator will notice materiality of the medium through the action is not determined anything. Also spectator is an active performer that constitute an independent means through perception of materiality. The state of ‘in-between’ is realized from the consistent interaction between the spectator and performer. It deconstructed the traditional space and create a liminal space. And the spectator acts as the subject of the performances in the limanal space. In addition, spatial transformation results in a transformation in the physicality. Perceptual conversion is based upon cognitive changes on the body as a medium in performance. The spectator perceived not only the symbolic body to reproduce the meaning, but the phenomenal body of the performers. The phenomenal body is perceived as a material body to create a temporary event. The existing body of performer makes the accidental and temporary event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spectators. This perception of the dual body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embodiment. And emergent elements creates a new meaning in the performance as a process of event. Performance as a process of action produced a event without passing a symbolic meaning. It provides an open space to create a contingency, and also to make the spectator into active performers. As a result, performative event are created between performer/spectator, architectural space/performative space, and symbolic body/phenomenal body and formed the intermedial relationships. These relationships are also emerging as a temporary and accidental. Thus performative performance is not an ‘complete’ structure, process of the continuous ‘creation’. Performative performance is the process of combining, replacement, deconstruction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in-between’ everything. The feedback loop as a self-referential, autopoietic system enabling a fundamentally open, unpredictable process emerged as the defining principle of performative performance. So performative performance is a process of meaning production that continuously flow in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e space of ‘between’ to enable a change in the perception through the embodiment.

      • KCI등재

        수행적 전환을 통한 퍼포먼스의 감각적 지각 변화

        최승빈 ( Seung Bin Choi ) 대한무용학회 2017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5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im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performance. Performance is the `event` that consists of performative. Performativity is a fundamental concept that allows corporeal behavior to mediate and constitute `events`. Performativity suggests the possibility for `viewing` of the phenomenal body and the behavior itself. In the process of the performance, the spectator can decide what they will see themselves, and construct the meaning of the performance through continuous relations. These discussions suggest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performance` as an `event`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and sensory percept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