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설재배지 점적관개 시스템에서의 관개균일성 검토

        최순군 ( Soon-goon Choi ),남원호 ( Won-ho Nam ),홍은미 ( Eun-mi Hong ),최진용 ( Jin-yong Choi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점적관개 시스템에서 관개균일성이 고려되지 않았을 경우 근권역 에서의 과습이나 수분스트레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점적기의 특성과 관개시설의 규모 및 관개방식에 따라 관망을 설계하고 이에 따른 관개 균일성을 검토하는 것은 시설작물의 안정적인 생산에 주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활용되고 있는 시설재배용 관개시스템은 다국적 회사의 제품을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토양과 작물 및 시설규모에 적용하였을 경우 관개의 균일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시설재배 특성을 반영하여 관망을 설계하고 적정 토양수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관개균일성을 검토하였다. 상용되고 있는 점적기의 압력과 유량의 관계식을 도출하여 적정 압력범위를 선정하였으며 관망에서의 수두손실을 계산하였다. 관의 시작부의 점적기 유출량과 말단부의 점적기 유출량이 차이가 클 경우 문제가 되므로 수두손실이 적정 압력범위 이하가 되도록 관망을 설계하였으며 설계된 관망을 모의운영 할 수 있는 모형을 제작하였다. 각 관에서의 유입 압력과 유량을 변화시켜 점적기에서의 유출량을 측정함으로써 관개균일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관개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관의 길이와 직경, 유입압력 등을 설계함으로써 적절한 관망의 설계기준을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의가 있다. 또한 관개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망의 설계는 토양수분 장력에 따라 구동되는 자동관개시스템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異)층 토양에서의 점적관개에 따른 토양수분분포 모의

        최순군 ( Soon Goon Choi ),남원호 ( Won-ho Nam ),최진용 ( Jin-yong Choi ),홍은미 ( Eun-mi Hong ),전상호 ( Sang-ho Jeo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국내 시설재배지 중 다수는 저평야 지역에서 용수원과 수리시설이 완비된 논에 설치되어있지만 토양수분의 관리는 재배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논 지역 시설재배지의 경우 상부 인위토양에 비하여 하부 논 토양의 낮은 수리전도도로 인해 과다 관개시 과습에 의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시설재배지에서 토양수분에 대한 정보는 관개량 및 관개 시점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점적관개를 대상으로 관개에 의한 토양수분 상태의 변화를 mixed form Richards 공식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모델의 형식은 격자 중심형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모델의 해는 유한차분법을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모의 결과 토양수분은 낮은 토양수분상태에서 유속이 급히 감소하였으며 수평방향에 비하여 수직방향으로 더 깊이 도달하였다. 모델은 토조실험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토조에 논, 밭 토양을 2층 구조를 형성하도록 각각 40 cm 깊이로 채우고 FDR 형식의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하여 관개 중ㆍ후 시간에 따른 토양수분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모의 내용을 바탕으로 상용되는 점적테이프를 고려하여 점적기 간격, 유량, 관개 시간에 따른 토양 내 각 지점에서의 토양수분 함량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점적기 간격이 좁을수록 균일한 토양수분 분포를 보였으며 높은 점적기 유량과 짧은 관개시간을 적용하는 것이 낮은 점적기 유량과 긴 관개시간을 적용하는 것보다 균일한 분포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개시스템 구성 및 운영방법의 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농업용 저수지 관재용수 공급시기 및 절수 방법 기초자료 설문조사 분석

        남원호,최진용,최순군,장민원,이남호,고광돈,Nam, Won-Ho,Choi, Jin-Yong,Choi, Soon-Goon,Jang, Min-Won,Lee, Nam-Ho,Ko, Kwang-Don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11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8 No.1

        Agricultural reservoirs importantly role for paddy rice cultivation with about 18,000 numbers, so that understanding of operational rules for the reservoirs is quite meaningful for proper irrigation water supply.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key reservoir operational elements over nationwide. The target reservoirs are mainly operated by 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nd 221 water management persons in province office of KRC were involved in this survey. The key reservoir operational elements including starting and ending time for irrigation, transplanting water supply periods, midsummer drainage periods and drought response strategy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key elements for reservoir operation depend on weather, rice variety and cultivation conditions.

      • 시설재배지 점적관개 설계를 위한 관개균일도 및 성능 평가

        남원호 ( Won-ho Nam ),최순군 ( Soon Goon Choi ),최진용 ( Jin-yong Choi ),홍은미 ( Eun-mi Hong ),전상호 ( Sang-ho Jeo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시설재배지 점적관개 시스템 설계를 위해서는 점적기의 특성과 관개시설의 규모 및 관개방식에 따라 관망을 설계하고 이에 따른 관개균일도 및 관개효율의 검토가 요구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활용되고 있는 시설재배지 점적관개의 경우 점적관개자재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한 상태이고, 관개시설의 선정,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기준이나 지침이 없기 때문에, 근권역에서의 과습이나 수분스트레스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점적관개 자재들의 대한 성능평가 및 관개 효율, 관개균일도에 대한 기초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시설재배 특성을 반영하여 적정 토양수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점적관개 설계를 위한 관개균일성 및 관개효율을 검토하고, 점적기별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농인들과 관개기술자들의 적정 점적관개 시스템의 선정, 설계 및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자동관개시스템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농업용수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 설문조사 분석

        남원호 ( Won-ho Nam ),최진용 ( Jin-yong Choi ),이남호 ( Nam-ho Lee ),장민원 ( Min-won Jang ),유승환 ( Seung-hwan Yoo ),최순군 ( Soon-goon Choi ),고광돈 ( Kwang-don Ko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농업용 저수지 운영에 있어서 안정적인 용수의 공급과 가뭄대책의 수립을 위해서는 저수지의 효율적인 물관리 체계의 수립이 요구된다. 기존의 농업용수관리 방식은 각 지사에서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가뭄평가 및 대책수립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각 지사의 농촌용수 관리방식을 정보화하는 것은 가뭄의 중장기 예보와 가뭄대책 수립을 위한 필수사항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화 관리 방식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리방식 개발방향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가뭄평가 및 대책수립 지원 시스템의 적절한 개발방향을 수립하기 위하여 농촌용수와 관련된 전문가 224명을 대상으로 농촌용수관리 실태에 대하여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은 관할구역 내 저수지의 급수시기 및 급수시기 결정방법, 관할구역 내 못자리면적의 비율, 이앙용수 공급시기와 이앙용수량 결정 방법, 중간낙수를 고려한 저수지운영여부 및 중간낙수의 시기, 저수지 급수 종료시기, 절수의 방법 및 시기, 이모작이 실시되는 논의 비율 및 이모작으로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등으로 구성되었다. 설문결과 급수시기 결정 방법은 주민의 요구가 41.8%, 담당자의 경험이 28.8%로 나타났으며 급수시기는 지역별로 상이하나 4월 중순 32%, 4월 하순26%로 나타났다. 중간낙수 고려여부는 86%가 고려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중간낙수시기 역시 지역적으로 상이하지만 6월 하순이 31.3%로 가장 많았으며 7월 초순이 21.0%로 나타났다. 급수 종료시기는 대체적으로 지역적 편차가 적어 9월 하순이 46.4%, 10월 초순이 24.1%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물 관리체계 및 가뭄극복지원시스템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