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기능의 접근성 사례 조사

        최성은 ( Seong-eun Choi ),김석일 ( Suk-i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1

        이 논문에서는 접근성 있는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을 때 우리나라에서 입수 가능한 화면 낭독 프로그램이 이들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 기능을 충분히 지원하는가를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미국 Freedom Scientific사의 JAWS for Windows 10.0 한글판이 실험에 사용한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 기능을 지원하였다. 그러나 국산 화면 낭독 프로그램은 개발 환경에 따라 접근성 지원 기능이 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동사(動詞)/형용사(形容詞)+(료(了)/득(得))+정도부사(程度副詞)+형용사(形容詞)” 형식 연구 - 정도 부사 “흔(?)”, “태(太)”를 중심으로

        최성은 ( Seong Eun Choi ) 한국중국학회 2015 중국학보 Vol.72 No.-

        ‘動詞+程度副詞+形容詞’形式’可以變換成‘動詞+得+程度副詞+形容詞’形式,不過在句法功能上,‘動詞+程度副詞+形容詞’形式還受到흔多限制。雖說在這兩個形式之間能變換,但不能說句法功能完全相同。‘程度副詞+形容詞’描寫動作行動者的態度的話,就不能變換成‘動詞+程度副詞+形容詞’形式。反過來有時把‘動詞+得+程度副詞+形容詞’變換成‘動詞+得+程度副詞+形容詞’形式,省略‘得’字而動詞與‘程度副詞+形容詞’互相緊密地結合的話,就其功能會不相同。譬如,在‘動詞+得+程度副詞+形容詞’的‘得’後面能附加其타成分,‘動詞+程度副詞+形容詞’形式不可附加。而且,顯現出與結果補語的否定形式壹樣的形態。‘形容詞+(得/了)+程度副詞+形容詞’形式比‘動詞+(得/了)+程度副詞+形容詞’受到更多的制約。‘形容詞+程度副詞+形容詞’形式可以成立,相反‘形容詞+得+程度副詞+形容詞’形式不可以成立。可是成立條件也只是可以用‘흔多’和‘太多’,不能與表示消極意義的‘흔少’、‘太少’結合。通過以上的考察,應該把‘動詞/形容詞+程度副詞+形容詞’裏的‘程度副詞+形容詞’分類到結果補語。‘動詞/形容詞+了+程度副詞+形容詞’的‘程度副詞+形容詞’也不能表示消極意義。卽,不能用‘흔少’、‘太少’和‘不多’來表示。還有,‘動詞/形容詞+(得/了)+程度副詞+形容詞’裏存在不對稱現象,這現象在‘動詞/形容詞+了+程度副詞+形容詞’裏更突出。‘程度副詞+形容詞’短語作爲補語時,壹般來講表示積極意義的形容詞沒有흔大的限制,不過相對而言表消極意義的形容詞受到흔大的制約。尤其是‘了’字後面的數量補語更突出這樣的現象。這是因爲動作行爲和事件完結後,出於應該産生出其結果的期待心理。‘動詞/形容詞+(得/了)+程度副詞+形容詞’形式裏的程度副詞大部分是‘흔’和‘太’,령外還發現‘最’、‘特別’也用在‘動詞/形容詞+程度副詞+形容詞’形式裏邊。把‘흔’用在‘動詞/形容詞+(得/了)+程度副詞+形容詞’時的功能與用‘太’來表現時的功能不大壹樣。卽,比如說‘흔’不能用在否定形式,主要‘太’用在否定式。現在可以說‘動詞/形容詞+程度副詞+形容詞’形式還是過渡時期的形態,但是其使用頻率度傾向於越來越增加。特別是除了‘形容詞+得+程度副詞+形容詞’以外,‘動詞/形容詞+(得/了)+程度副詞+形容詞’形式裏使用‘흔多’來情況是相當普遍的。

      • KCI등재

        지방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의 정책도구 유형분석 : 세종시 사례를 중심으로

        최성은(Choi, Seong Eun),설진배(Sul, Jin Bae)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정부 저출산 대응정책의 정책도구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여 저출산 대응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 정책지원 분야를 8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정책도구를 직접성과 적극성을 기준으로 9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세종시의 저출산 대응을 위한 자체사업(2013년~2018년)에 적용한 후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책지원 분야별 사업의 수는 자녀교육, 자녀양육, 출산지원, 임신지원, 가정생활, 일자리, 결혼 및 정주여건, 기타 순으로 많았다. 둘째, 저출산 대응정책의 집행에는 간접도구가 주로 활용되었다. 셋째, 정책지원 분야별로 활용된 정책도구를 보면, 임신지원과 출산지원 분야의 경우 직접성과 적극성이 높은 직접공급방식의 정책도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반면, 그 밖의 자녀양육, 자녀교육, 결혼 및 정주여건, 가정생활, 일자리 분야는 직접성이 낮고 적극성이 중간수준인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 특성을 고려한 보다 효과적인 정책도구 활용의 필요성과 지방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a direction for policies responding to the low fertility by analyz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olicy tools used by local governments. In this research, the study categorizes the types of policy tools into nine types based on the levels of directness and proactiveness and, the fertility support projects conducted by Sejong City from 2013 the 2018 are divided into eight polici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projects were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education for children, child-rearing, childbirth support, pregnancy support, family life, employment, marriage and residency condition. Second, indirect tools were mainly used to enforce the low fertility policy. Third, the direct tools, which have high levels of directness and proactiveness, were employed the most in pregnancy support and childbirth support. For other areas such as child-rearing, children education, marriage and residency conditions, family life, and employment, indirect tools which have a low level of directness and an average level of proactiveness were mostly us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tools to resolve the low fertility issue.

      • KCI등재

        무엇이 한국의 고학력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어렵게 하는가?

        최성은(Choi, Seong Eun)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고학력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와 경력단절 이후의 복귀가 저조한 이유를 발전주의적 생산레짐에 따라 형성된 한국의 여성노동시장환경에서 찾는 데 있다. 한국의 발전주의적 생산레짐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은 한국의 노동시장의 제약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한국여성 노동시장의 제약, 특히 고학력 여성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충분히 설명해 줄만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노동시장, 교육 · 숙련, 복지, 정치체제의 제도적 상호보완성에 따라 형성된 한국의 여성노동시장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실행에 있어 어떠한 제도적 측면을 강조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한다. 분석 결과, 한국의 경우 발전주의 생산레짐을 통하여 상당히 제약이 있는 여성노동시장 구조가 형성되어 왔다. 그런데 그동안의 여성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고자 추진하였던 대부분의 정책들은 성별화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 문제와 같은 큰 틀에서의 논의보다는 여성의 돌봄의 부담을 해결할 방안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따라서 이제 우리는 노동현장에서 남성 중심의 내부노동시장을 약화시키는 정책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reasons why Korean highly educated women have low participation and low return rate in the labor market after career break, which are found in the environment of Korean female labor market which was form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ist production regime. Recent research on the developmental production regime of Korea has presented a very useful rationale to explain Korean labor market constraints. However, research that sufficiently explains the labor market constraints of Korean women, especially the problems displayed in the labor market of highly educated women, is largely inadequate.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emale labor market that was formed due to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of welfare, political system, receiving industrial and labor market, education/training. Also I am looking for a policy implication that emphasizes institutional aspects in policy implementation.

      • KCI등재

        한국의 아동보호정책 형성과 변동: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최성은 ( Seong Eun Choi ),권준이 ( Jun-i Kwon ),신가원 ( Ga Weon Shin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1 국가정책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2013년 제정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아동학대처벌법」)」 사례를 통해 한국의 아동보호정책 형성과 변동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 옹호연합모형(ACF)에 근거하여 외적요인, 정책하위체제 내 요소들을 구조화하고 정책산출을 분석하였다. 친권제한에 초점을 맞추어 친권제한에 대한 적극적 옹호연합과 소극적 옹호연합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아동학대처벌법」 제정 찬성이라는 동일한 신념체계를 가진 민간단체 중심 옹호연합의 다양한 전략들이 여론의 흐름을 변화시켜 법 제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동학대처벌법」이라는 정책산출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아동보호정책 변동과정 학습기회 제공, 정책옹호연합모형 적용 정책분야 확대, 정책옹호연합모형의 타당성 증명이며, 정책적 함의로는 법적ㆍ제도적 문제점 개선, 부처 간 정보공유 및 공조체계 구축, 훈육 및 체벌에 대한 교육시행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change of child protection policy in Korea through the case of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enacted in 2013. Based on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model, the external parameters and the elements within the policy sub-system were structured. In addition, policy output was analyzed. It was divided into a coalition that passively supported parental authority restrictions and a coalition that actively supported parental authority restrictions. Various strategies of the coalition centered on private organizations with the same belief system of support for enacting the Child Abuse Punishment Act changed the flow of public opinion, positively affecting the legislation. Through this,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was finally enacte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learning in child protection policy variations, the expansion of ACF applicable policy areas, and the validity of the ACF. Policy implications included improve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systems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on awareness of discipline and corporal punishment.

      • KCI등재후보

        미숙아에서 선별검사를 이용한 발달지연 위험인자 분석

        최성은(Seong-Eun Choi),이건희(Kon-Hee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developmental delays in preterm infants. Methods: We studied 151 preterm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t the Hallym University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from January 2013 to November 2016. After discharge, the infants were evaluated by a pediatric neurologist via the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K-ASQ:SE II, which consists of five domains: communication (CC), gross motor (GM), fine motor (FM), problem solving (PS), and social-emotional (S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normal group and an abnormal group (abnormal results on at least one of the five domains). Several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risk factors for developmental delays were analyzed. Results: Several factors, such as birth weight (BW), gestational age (GA), Apgar score at 1 and 5 min (AS1, AS5), hospital days (H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chronic lung disease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early sepsis,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and history of management of invasive ventilators, dexamethasone, anti-hypotensiv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normal and abnormal groups. BW was a risk factor for developmental delay according to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individual domain analysis, risk factors were lower GA for domains CC and FM, lower AS1 for GM domain, lower BW for PS domain, and longer HDs for SE domain. Conclusion: In preterm infants, regular developmental screening especially follow-up observation, is important for early detection of developmental delay, considering the risk factors, such as GA (≤30 weeks), BW (≤1,500 g), low AS1, and long HDs, which may be helpful in the early diagnosis of developmental delay.

      • KCI등재

        합계출산율 변화에 대한 재이해: 연령별 출산율 변동 방향성 분석을 중심으로

        최성은 ( Choi Seong Eun ),최영준 ( Choi Young Ju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2 공공정책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연령별 출산율의 변동 방향성 유형 분석을 통해 각 지방자치단체의 연령별 출산율의 증감변동유형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함으로써, 합계출산율 증감변화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먼저, 연령별 출산율 계산식을 고려하여 전년 대비 연령별 출산율의 변동을 일으키는 모든 경우의 수를 증가, 감소 각 5개 유형(총 10개)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논문 지면의 한계상 17개 시·도의 분석 결과를 담지 못하고, 대신 2012-2018년 합계출산율 평균 상위 10% 광역자치단체인 세종, 전남과 하위 10%에 속하는 부산, 서울의 2012년부터 2018년까지의 변동 방향성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별 출산율의 변동 방향성 유형 분석 결과를 통해 각 지자체별로 합계출산율의 증감변화를 단순하게 인식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수치의 증감은 분자요인인 출생아 수뿐만 아니라 분모요인인 여성 연앙인구수 변동에 영향을 받으므로, 합계출산율이 각각의 지방자치단체의 저출생 정책 대응 수준을 평가하는 잣대로 여겨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If the birth rate by age ha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births and women’s population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at policy responses should be follow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demographic profile of each local gover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rection type of the birth rate by 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more accurate evidence of changes in the total fertility rate by accumulating the basic data of the fluctuation types of the birth rate. Taking the formula of the age-specific fertility rate into account, we create 10 fluctuation types of the fertility rate. Then, we analyze the types of local governments with the top 10% and bottom 10% fertility rates from 2012 to 2018. We found that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total fertility rate for each local government should not be simply interpreted. The fact that the total fertility rate ‘increased’ and ‘decreased’ year-on-year for each local government is affected not only by the number of newly-born babies but also by the change in the number of female population, which is a denominator. Therefore, we argue that the total fertility rate should not be considered a simple yardstick for assessing the level of low birth rate policies of each local government.

      • KCI등재

        세종시의 노인복지 정책헌신도 비교분석 : 행정적, 사회경제적, 규범적 준거집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성은 ( Seong Eun Choi ),유란희 ( Lanhee Ryu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3 地方行政硏究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헌신도 개념을 활용하여 준거집단과 비교하여 세종시의 노인복지 현황 및 노력 정도를 진단하는 데 있다. 정책헌신도는 특정 분야에 대한 지방정부의 자발적인 노력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기존 연구에서는 정부의 재정역량 등으로 측정된 바 있다. 그러나 중앙정부에 대한 재정의존도가 높은 환경에서 지방정부의 자체적인 노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지방정부가 자체재원을 마련하여 운영하는 자체사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1년 지방재정 자료를 바탕으로 전체 자체사업 대비 노인분야 자체사업의 비중 및 자체사업의 지원방식, 세부영역을 분석하기 위해 행정적·사회경제적·규범적 준거집단으로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서울시와 강남구, 대전시와 유성구를 선정하여 세종시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세종시의 재정자립도나 재정자주도 등 재정역량은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와 비교하여 높은 편이었으며, 노인복지예산 및 노인 부문 자체사업예산도 꾸준히 증가하였다. 사회경제적, 규범적 준거집단과 비교하여 노인분야 정책헌신도는 3순위를 차지하여 노인복지 향상을 위한 세종시의 노력 정도는 중간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체사업의 현금성 수당 규모가 크고 세부 영역별로 정책헌신도도 준거집단과 달리 ‘건강 및 돌봄’ 다음으로 ‘장사시설/장례 관련’, ‘존중 및 통합’ 순인 것으로 확인된다. 유사한 지방자치단체들이 노인의 사회참여와 일자리에 초점을 맞춘 것과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이는 세종시 또한 초고령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노인들이 사회참여나 일자리 지원 등 다양한 복지수요가 있음을 인지하고 세부 분야의 예산을 조정하는 한편, 준거집단의 일자리 관련 자체사업을 벤치마킹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e of elderly welfare expenditure and efforts to improve the welfare for the elderly by using ‘policy commitment’ in Sejong city. Policy commitment refers to local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s to specific field on their own funding program. Previous studies have attempted to utilize ‘financial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ellf-fudning program due to an environment with high fiscal-dependence on the central government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local-level eldelry welfare expenditure, self-funding welfare programs, support method and detaied programs for old people in 2021 with Sejong and administrative, socio-economic, and normative reference groups.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ly, Sejong’s financial capacity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16 regional local government(administrative groups), furthermore, social expenditure and self-funding welfare programs for the elderly have steadily increased in Sejong; secondly, compared to the socio-economic and normative groups incluidng Dajeon city, Yuseong-gu, Seoul city, and Ganam-gu, policy commitment for the elderly wefare is ranked in the middle; thirdly, self-funding welfare programs for old people in Sejong is largely funded in-cash,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policy commitment by detais in the elderly programs self-funded. To be specific, Sejong city supports a lot of ‘funeral facilities’, and ‘respect/social integration’ after ‘care service’, even though reference groups focus on ‘social participation’ or ‘job projects’ for the elderly. The result indicates that Sejong city needs to adjust self-funding programs for detailed area of the elderly welfare, and attempts to benchmark other programs for senior job-project of reference groups in order to meets various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in Sejong.

      • 우리는 실패가 더 필요한가?: 1, 2, 3차 낙동강 페놀오염사건의 조직학습 실패를 중심으로

        최성은 ( Seong Eun Choi ) 명지대학교 정부행정연구센터 2016 정부행정 Vol.12 No.-

        본 연구는 1991년부터 2008년까지 낙동강 상수원 지역에서 발생한 세 차례의 페놀 유출사고를 통하여, 정부의 정책 실패에 대한 학습의 재실패 현상의 원인을 분석하고, 환경 재난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환경오염사고는 일단 발생하면 그 영향이 경제적·정치적·환경적 측면에서 장기적·포괄적으로 나타나므로 사후 조치가 엄밀히 행해져야 한다. 또한, 차후 동일한 재난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예방절차도 준수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사후 조치와 관련한 조직학습이 재실패하여 동일한 사고가 재발되곤 한다. 이 글은 그러한 사례 중 1, 2, 3차에 걸쳐 재발된 낙동강 페놀 유출 사건을 중심으로 조직학습 재실패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응과 복구 차원에서 조직학습이 일부 일어났지만,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실패, 정보흐름 차단 및 정보공유가 미비하여 조직학습이 재실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ree times of phenol spill accidents in the upper Nakdong River from 1991 to 2008, to investigate into the cause of the re-failure of organizational learning through the failure of the government policy. Also this study is focused to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disasters. I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 once occurs, the impact from the economic, polit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appears in the long term comprehensively. So it must be made strictly posteriori measures. In the future, it must also conform prophylactic procedures so that the same accident does not occur. But, in fact the same accidents reoccur because of the re-fail i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As a result, the organizational learning appeared partially in response and recovery dimension.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organization learning re-failed to build a cooperative network, due to an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e, and the cut-off of information flow.

      • KCI등재

        미국 중산층 여성 일-가정양립 경로의 역사적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최성은(Choi, Seong Eun),양재진(Yang, Jae-ji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6 한국사회정책 Vol.23 No.3

        ‘저복지 국가인 미국에서, 여성들의 일-가정양립은 어떠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져 왔을까?’ 이 질문에 답을 하고자, 미국 여성 일-가정양립경로의 형성과정에 대한 역사적 인과관계를 4단계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과거 전업주부에 머물렀던 중산층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 일-가정 양립모델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기존연구들과의 차별성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단계는 여성의 고등교육이 확대되고, 산업변화로 미혼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시작된 시기였다. 제2단계는 중산층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뉴딜, 소비자본주의,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확대된 시기이다. 제3단계는 여성해방운동으로 정부의 적극적 조치에 대한 ‘적극적’ 시행이 요구되어 전문화된 직업영역으로 여성의 일자리가 확대된 시기였다. 제4단계에서는 더 나은 정규직 일자리로 진입하려는 여성 근로자의 공급 측면과, 양질의 근로자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요부분이 개별고용관계를 통해 노동시장 제도 내에서 맞물렸다. 이로써 맞벌이의 규범화가 이루어졌다. 즉, 저복지국가인 미국에서는 여성의 개별적 노력(학업을 통한 능력향상과 여성운동)과 개별고용관계가 발달된 노동시장 특징으로 인하여, 고학력 중산층 여성의 ‘고(高)고용-고출산’이 가능하며, 정규직 일자리로의 재복귀가 비교적 용이한 여성 일-가정양립 패턴이 완성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route in which reconcili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has been operating in the United States whose welfare standards are low, by using analytic narratives,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e first step saw an increase in the social advancement of unmarried women due to the increase in employment in the occupation of white-collar, as well as the increase of women in the Academy an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second step, the social advancement of married women was increased by the enforcement of the New Deal, consumption capitalism, and World War II. In the third step, the sphere of highly-educated women was expanded to a professional one through active measures aimed at gender equality, and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of the 1960s took place. The United States’ path model was completed in the fourth step. This study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o complete route of the American’s Route were individual efforts of women (capacity building through the academic and the powerful women’s movement) and the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in labor market. This study shows that individual efforts of women, especially in building capacity through the academic and the powerful women’s movement, and the labor market, whose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is well-develope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mpleting the route of the highly educated middle-class women in Ameri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