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백서의 가역성 뇌허혈 모형에서 저체온의 효과와 적용시기

        최병연,정병우,송광철,박진한,김성호,배장호,김오룡,조수호,김승래,Choi, Byung-Yon,Jung, Byung-Woo,Song, Kwang-Chul,Park, Jin-Han,Kim, Seong-Ho,Bae, Jang-Ho,Kim, Oh-Lyong,Cho, Soo-Ho,Kim, Seung-Lae 대한신경외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2

        Objective : We studied to clarify the effective time zone of mild hypothermic neural protection during ischemia and/or reperfusion after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ethods : In a reversible cerebral infarct model which maintained reperfusion of blood flow after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for two hours, the size of cerebral infarction, cerebral edema and the extent of neurological deficit were observed and analyzed for comparison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s under hypothermia($33.5^{\circ}C$). The temporalis muscle temperature was reduced to $33.5^{\circ}C$ by surface cooling for two hours during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for study group I. The following groups applied hypothermia for two-hour periods after reperfusion : group II(0-2 hours), group III(2-4 hours), and group IV(4-6 hours). They were rewarmed to $36.5^{\circ}C$ until sacrified at 2, 4, 6, 12, and 24 hours after reperfusion. Control group was maintained at normothermia without hypothermia. Results : In the experimental groups with hypothermia, the average value of the size of cerebral infarction($mean{\pm}SD$) was $1.97{\pm}1.65%$, which was a remarkable reduction over that of the control, $4.93{\pm}3.79%$. In the control, a progressive increase was shown in the size of infarction from point of reperfusion to 6 hours after reperfusion without further changes in size afterward. Intra-ischemic hypothermia(group I) prevented ischemic injury but did not prevent reperfusion injury. Group II examplified the most neural protective effect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and group IV(p<0.05). The cortex was more vulnerable to reperfusion injury than the subcortex. Mild hypothermia showed more neural protective effects on the cortex than subcortex. Conclusion : The most appropriate time zone for application of mild hypothermia was defined to be within four hours following reperfusion.

      • KCI등재

        미성취 영재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과제

        최병연(Byung-Yeon Choi) 한국영재교육학회 2021 영재와 영재교육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1990년대 초부터 국내에서 이루어진 미성취 영재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이 영역에 대한 연구는 물론 교육 및 정책적 지원을 위한 기반 조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 사례, 그리고 실험연구로 수행된 2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 연구자들은 ‘잠재력(능력)과 실제 수행(성취)간의 불일치’를 바탕으로 미성취 영재를 정의하고, 이들을 판별하기 위해 주로 지능검사나 표준화된 검사 점수, 혹은 학업 성취도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자들은 미성취 영재의 일반적인 특성을 성격,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가정환경 및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 및 교사에 대한 태도 등의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영재의 학업적 미성취 극복을 위한 경험적 연구는 상담과 교수적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 동향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가 필요한 과제를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성취 영재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판별 준거를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영재의 학업적 미성취와 관련된 변인들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연구와 이들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영재의 학업적 미성취를 예방하고 극복하도록 돕기 위한 모형(model) 개발과 다양한 중재 전략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인 혹은 프로파일 중심의 종단적 사례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The current study reviewed the research trends that have been written about the definition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fted underachievers, factors influencing underachieve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verse underachievement in Korea. Most domestic researchers defined underachievement based on discrepancy between potential (ability) and actual performance (achievement), and mainly used intelligence tests, standardized test scores, or academic achievement to identify them. Furthermore, researchers explo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ifted underachievers in terms of personality,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home environment and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attitudes toward peers and teachers. Empirical researches to reverse underachievement were carried out through counseling and instructional intervention programs. Findings from the research trends conducted so far, the following tasks are proposed that require further research.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identification of gifted underachievers, and to study specific variables related to the academic underachievement and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It also requires model development and empirical researches on various intervention strategies to help prevent and reverse the academic underachievement among the gifted students. Finally, individual or profile-oriented longitudinal case studies should be activated.

      • KCI등재

        창의성 신장 기법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초등영재의 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병연(Choi, Byung ye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3 영재와 영재교육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재의 창의성 신장 기법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경험을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 대상은 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 과학수업에 참여한 5학년 20명이었으며, 이들은 창의성 신장 기법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을 10차시(400분) 경험하였다. 학생들의 성찰일지와 인터뷰 자료를 지속적 비교 연구법을 사용하여 이들의 학습경험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기 위하여 교사의 성찰일지, 관찰자의 수업 참관일지, 수업 장면을 녹화하여 전사한 자료 등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초등영재들은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과정에서 생소함, 절차 준수의 양면성, 협동의 양면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익숙하지 않은 수업 방법이 생소했으며 절차에 따라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었지만, 절차에 따른 유익함도 경험하였다. 협동을 통한 문제해결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 역시 경험하였다. 둘째로 학생들은 문제중심학습 각 단계에서 자신들이 활용한 창의성 신장 기법들이 대체로 과제 수행에 적절했다고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수업 과정에서 경험한 교사의 안내와 피드백은 과제 수행 과정에서 직면한 어려운 개념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고 과정 수행 과정과 절차에 대한 단서가 되어 문제해결을 안내했다고 인식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experience of problem-based learning(PBL) using creative skill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e 5th grade 20 gifted students who took science classes for 10 periods(about 400 minutes).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reflection journals of students, teacher, and observers, and interviews of students which were audio tap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at is an inductive data coding process used for categorizing and comparing qualitative dat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BL was unfamiliar to the gifted students, as they didn't have any experience of PBL during the school life. Even though the process of PBL and creative skills were difficult, students experienced the value of following steps of PBL and constructing knowledge with peers in their own groups. Second, the method of creative skills which used during the problem solving were useful to the gifted students. Specially, the creative skills, such as, evaluation matrix and attribute listing were convenient for them. Third, the roles of teacher were considered as a facilitator of understanding and a guider of problem solving strategies. Teacher's guide and feedback were appropriated to the students.

      • KCI등재후보

        창의적 아동에 대한 교사의 지각

        최병연(Choi Byung Ye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지각을 Q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초등학교 교사 85명을 대상으로 확보한 진술문을 바탕으로 60개의 Q 표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Q 표본을 35명의 교사들에게 제시한 후, 각각의 진술문을 동의정도에 따라 분류하도록 하였다.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이들 요인은 전체 변량의 70.57%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한 창의적인 아동들은 모범적인 문제해결자, 특정 영역에 대한 유연한 사고자, 인내심이 많은 박학다식자, 자기주도적 문제해결자, 개방적인 사고자 등으로 유형을 분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유형 중에서 모험적인 문제해결자 유형의 설명력이 다른 유형의 설명력(52.31%)에 비하여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들은 창의적인 아동들을 일반적으로 학교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행동 특성을 가진 모점적인 학생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암시적 이론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아동에 대한 교사의 신념을 파악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수성을 반영한 창의성 이론을 정립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며,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creative students, using Q-Methodology. 60 statements which were collected from 85 elementary teachers used as Q samples for this study. 35 teachers who worked at Jeonbuk in Korea rated each statements based on the 9 points rating scales. Individual teacher's subjective perspective was analyzed and five types of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e students were found: 1) exemplary problem solvers. These type of students were considered having various and unique problem solving strategies, as well as many ideas and rich imagination. 2) flexible thinkers in the specific domain. These students were described as flexible in thinking and high degree of domain-specific knowledge. 3) well-informed thinkers with broad knowledge and endurance. These students read many books and showed resistance to the premature closure. 4) self-regulated problem solvers. These students preferred to solve problem independently. 5) open minded thinkers. These students showed the ability to produce many ideas or view a task differently.

      • KCI등재후보

        초등영재와 일반아동의 자기결정성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분석

        최병연(Choi, Byung ye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by comparing thei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8 gifted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from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121 general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on the introjected regul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Second,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higher score on all over the self-regulated learning with its subordinate factors except regulation factor in cognitive regulation domain. Third, motivations that are stronger self-determination showed more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bordinate factor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in both groups. For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trinsic regul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prediction variable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in both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와 일반아동간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를 밝혀보는데 있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아동 121명과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영재 98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영재들은 일반아동들에 비해 자기결정성 동기의 하위 요인 중에서 부과된 조절과 내적 조절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영재들의 점수가 일반학생들의 점수보다 높았으며, 인지 조절 요인 중에서 조절 요인을 제외하고 자기조절학습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영재와 일반아동집단 모두 자기결정성이 많이 포함된 동기 유형에 가까울수록 자기조절학습과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조절이 자기조절학습을 가장 많이 설명해 주며, 영재집단에서는 무동기 집단과 외적 조절 집단에 비해 부과된 조절 집단, 확인된 조절집단, 내적 조절 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의 창의성과 다중지능간의 관계

        최병연(Choi Byung Yeon),이현진(Lee Hyun Ji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4 영재와 영재교육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발달에 중요한 시기인 만 5세 유아들에게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창의적 능력만이 아닌 성격적 특성까지 고려해야한다는 통합적인 관점을 수용하여, 이를 기초로 유아의 통합창의성과 다중지능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의 하위요인들이 다중지능의 각 영역들과 어떤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BR>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학 중인 유아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검사와 다중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중지능 영역에서 신체-운동적 지능,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 능, 개인 내 지능, 대인간 지능이 통합창의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창의성과 다중지능의 언어적 지능 영역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언어 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인(독창성, 유창성)과 언어지능 영역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 을 나타났다. 셋째, 도형창의성과 다중지능의 공간적 지능 영역간에 높지 않게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고 도형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인(연속성, 완결성)과 공간적 지능 영역간에도 부분 적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넷째 창의적 성격과 다중지능의 개인 내 지능 및 대인간 지능 도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창의적 성격을 구성하는 요인전체와 개인 내 지능 및 대인간 지능에서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correlation and search of it between the creativity which becomes more important and needed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 which every person has own intellectual power can be develop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4 children"s and their parents or teacher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kindergartens and were examined in creativity and multiple intelligence individually.<B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following details:<BR>  First,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fields of multiple intelligence such as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body-kinesthetic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BR>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creativity and linguistic intelligence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and between the factor of consisting language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too.<BR>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agram creativity and linguistic intelligence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and between the factor of consisting language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too.

      • KCI등재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병연(Choi Byung-yeon),김호정(Kim Ho-jeo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3 창의력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가정환경과 창의성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가정환경 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에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창의성 발달과 가정환경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81명과 그들의 부모 81명을 대상으로 각각 창의성 검사와 가정환경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정환경 변인과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창의적 성격과 가정환경의 변인 중 언어적 환경,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정도 및 허용, 정서적 분위기, 경험의 다양성, 가정환경의 물리적 측면, 놀이자료와는 의미있는 상관이 있었다. 또한 가정환경 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도형창의성 능력과 창의적 성격, 통합 창의성에 있어서 상위집단의 유아들이 하위집단의 유아들보다 더 창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home environment to human creativity and creativity. It’s specifically meant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horne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to identify whether home environment made any differences to young children’s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integrated creativ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1 preschoolers and 81 their par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were examined in creativity and home environment individually.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horne environment to child creativity, the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factors of home environment such as verbal horne environment, the degree of satisfying their needs, emotional atmosphere, diversified experience, physical environment and play materials. Therefore, horne environment turned out to be related to creative personality. Second, concerning the impact of horne environment on child creativity, the preschoolers from families that provided better environment had a higher creative ability in completion and theme, sub-factors of figure area, than the others from families with poorer environment. And the former also had better creative personality and integrated creativity than the former in every subfactor.

      • KCI등재후보

        영재 담당교사와 일반교사의 창의성 비교

        최병연(Choi, Byung Yeon),박숙희(Park, Sook H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급을 담당하는 교사 집단의 창의성과 일반 학급을 담당하는 교사 집단의 창의성을 비교해보고, 교사의 창의성과 교직 경력간의 상관관계와 담당 교과목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를 검증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총 115명의 교사(65명의 영재학급 담당 교사/50명의 일반학급 교사)들에게 TCT-DP를 사용하여 창의성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영재학급 담당 교사(이하 영재교사)의 창의성이 일반학급 담당 교사(이하 일반교사)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학교급 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는, 초등영재를 담당하는 교사의 창의성이 초등 일반교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중등학교의 경우는 영재교사와 일반교사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담당 교사와 일반교사 집단의 창의성과 교직 경력 간에는 전체적으로 교사의 창의성과 교직경력 간에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영재담당 교사의 경우 창의성과 교직 경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중등 일반교사집단에서 교사 창의성과 교직 경력 사이에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영재담당 교사와 일반교사 집단의 창의성이 담당 교과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교사의 창의성은 담당 교과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reativity of teachers of the gifted with the creativity of teachers of the general students. The subjects were 65 teachers of the gifted and 50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TCT-DP was used to collect the subjects' creativ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creativity of teachers of the gift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as a whole(t=2.34, p<.05). Comparing the groups by the level of teaching, the teachers' creativity of the gifted in elementary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of general students(t=2.57, p<.05). This difference was not shown in the groups in middle school. Second, overall, the creativity of teachers was negatively correlated(-.32, p<.001) with their teaching career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oups in elementary school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in middle school. Third, Comparing the groups by their maj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 KCI등재

        발도르프 교육을 기반으로 한 유아 창의성 교육 방안 탐색

        최병연(Choi, Byung-Yeon),정윤경(Chung, Yun-Kyo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4

        유아 창의성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창의성의 본질과 유아 특성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이론적 근거가 분명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발도르프 교육에서 창의성은 개인 내에서 가장 높은 형태의 개인적, 사회적, 영적 발달이 일어날 수 있는 수단으로 간주할 만큼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발도르프 유아교육은 기억과 상상력을 위한 신체적 토대, 유아교육의 원리로서 모방과 본보기, 리듬과 반복의 중요성, 감각 체험을 통한 상상력 발달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교육활동은 자유놀이, 생활작업, 예술 활동, 이야기 들려주기 등이다. 본 고에서는 발도르프 교육이 유아 창의성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 따르면 유아를 위한 놀이는 놀이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야 진정한 의미의 유아·놀이 중심 교육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놀이는 유아가 성인의 지시에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욕구에 따라 일상에서 이루어져야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도움이 된다. 또한, 모든 교육활동은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유아의 상상력을 제한하는 어떠한 형태의 놀잇감이나 교육활동은 지양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예술가처럼 자유롭고 유연하게 사고하며 영혼의 안내자가 되어야 한다. Waldorf education views creativity as the most important method to develop individuals’ personal, social and spiritual aspect. Characteristics of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e raising physical foundation for memory, imitation and example as a princip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importance of rhythm and repetition, and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for sensory experiences. In this paper, we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Waldorf education for nurturing early childhood creativity. According to this study, play is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of children when children do not follow the instructions of adults, but they play by means of their own needs. In addition, all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able to maximize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 imagination. Therefore, any form of play or educational activity that limits children s imagination should be avoided. Finally, like an artist, a teacher should think freely and flexibly.

      • KCI등재

        창의성의 어두운 면: 부정적 창의성 및 악의적 창의성 연구 고찰

        최병연(Choi Byung Ye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3

        일반적으로 창의성은 긍정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지만 창의성은 잠재적으로 오용될 가능성이 많다. 창의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창의적 산물과 아이디어가 부정적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고의적으로 타인이나 다른 집단에게 피해를 주기 위해 창의성이 활용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창의성 연구에서 소홀히 되어 왔던 부정적 창의성과 악의적 창의성의 개념, 주요 연구, 연구의 쟁점, 교육적 시사점 등을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창의성이 부정적 혹은 악의적으로 활용되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창의성은 인간의 자아실현과 사회 발전을 위해 계발되어야 할 특성이지만, 부정적 혹은 악의적 창의성을 간과할 경우 창의성은 인간을 파멸로 이끌 수 있다. 따라서 창의성 교육 과정에는 창의성의 어두운 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더불어 창의성의 사회적 역할, 창의적 인물의 사회적 책임감, 도덕적 민간성 등과 같은 인성교육이 강조되어야 하며, 부정적 혹은 악의적 창의성과 관련된 개인의 특성과 환경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반영되어야 한다. Generally, creativity implies a positive and benevolent meaning, but creativity has the potential for misuse. Regardless of the creator s intent, creative products and ideas are used negatively and creativity is used to deliberately harm others or other groups. I reviewed main researches about the negative creativity and malevolent creativity, and suggested the research issu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is paper. In addition, I proposed research themes to minimize the negative or malevolent use of creativity. Creativity is a characteristic that should be developed for human self-actualization and social development, but creativity can lead to destruction if we are neglecting the negative or malevolent creativity. Therefore, in the course of creativity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such as the role of creativity in society, social responsibility of creative person, and moral sensibility, should be emphasized along with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dark side of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