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벼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의 월동처와 본답발생

        이기열,박성규,안기수,최병렬,Lee Ki-Yeol,Park Sung-Kyu,Ahn Ki-Su,Choi Byeong-Reo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3 No.4

        Overwintering sites and Seasonal occurrence of various growth stage of the rice black bug, Scotinophara lurida BURMEISTER were studied at the rice paddy field in Chungbuk area, from 1999 to 2001. Attraction by light trap from overwintering site of overwintering adults occurred from early June to mid July and its peak was shown on late June. Eggs were oviposited from early July to early August and its peak appeared in late July. Nymphs were observed from mid July to late September with its peak on mid August. The newly eclosed rice black bugs were found in late August and its peak on mid September. The rice black bug overwintered as adult at mountain foot, banks, and rice paddy levee. 충북지역에서 벼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에 대한 월동처와 본논발생에 대하여 1999년부터 2001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벼먹노린재 월동성충은 월동처에서 6월 상순부터 7월 상순까지 유아등에 포획되었으며, 이동최성기는 6월 하순이었다. 본논에서 각 태별 발생 피크는 월동성충이 7월 중순, 알이 7월 하순, 약충은 8월 중순에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제 1대 성충은 9월 중순에 가장 높은 밀도 피크를 보였다. 월동태는 성충이며, 월동충은 산기슭, 제방, 논뚝에서 발견되었다.

      • KCI등재

        뽕나무깍지벌레 1세대 부화 약충의 발생과 살충제 감수성

        이선영,이성찬,양창열,서미혜,최병렬,윤정범,Lee, Sun Young,Lee, Seong Chan,Yang, Chang Yeol,Seo, Mi Hye,Choi, Byeong Ryeol,Yoon, Jung Beom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4

        뽕나무깍지벌레는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의 주요 해충이다. 뽕나무깍지벌레의 산란 및 부화특성과 복숭아 및 매실의 깍지벌레 방제용으로 등록된 살충제 10종(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벤퓨라카브 입상수화제. 피리플루퀴나존 입상수화제, 클로티아니딘 입상수용제, 뷰프로페진 수화제, 뷰프로페진+이미다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뷰프로페진+에토펜프록스 입상수화제, 뷰프로페진+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벤퓨라카브+뷰프로페진 유제)의 살충제 감수성을 조사였다. 뽕나무깍지벌레의 1세대 부화시기와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5월 초에 가장 많이 발생해서 약 14일 정도 연속적으로 부화하였다. 부화율은 77.7% 였으며, 월동 암컷 성충 1개체의 평균 총 산란수는 58.7개, 평균 부화약충수는 45.7마리였다. 시험에 사용한 살충제 10종 모두에서 100%의 부화 약충 살충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약충 부화시기에 맞추어 약제를 살포하면 효과적으로 방제가 가능한 것을 시사한다. The white peach scale (Pseudaulacaspis pentagona) is a significant pest of trees belonging to the Rosaceae famil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n insecticides on hatching rate of first instar white peach scale larvae (crawlers). The insecticides are Dinotefuran WG, Benfuracarb WG, Pyrifluquinazon WG, Clothianidin SG, Buprofezin WP, Buprofezin+Imidacloprid SC, Buprofezin+Etofenprox WG, Buprofezin+Thiacloprid SC, Benfuracarb+Buprofezin WG, Acetamiprid+Buprofezin EC. We observed that several crawlers emerged in early May, with the average number being 45.7. Hatching period was approximately 14 days, and the hatching success rate was approximately 77.7%. Overwintering females produced an average of 58.7 eggs. All insecticides achieved 100% mortality in crawler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se insecticides can effectively control white peach scale when used at the crawler stage.

      • KCI등재

        시설토마토에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허브식물의 유인효과

        서미혜,양창열,신용습,윤정범,최병렬,박정준,Seo, Mi Hye,Yang, Chang Yeol,Shin, Yong Seub,Yoon, Jung Beom,Choi, Byeong Ryeol,Park, Jung-Joon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4

        담배가루이 방제는 대부분 화학적 방제에 의존하므로 약제저항성 증가가 야기되므로, 트랩식물을 이용한 대체방제법 개발을 위해 허브식물들에 대한 담배가루이의 기주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완주군에 있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내 토마토온실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허브 식물로 레몬밤, 초코민트, 로즈제라늄, 애플제라늄을 지면으로 부터 50 cm와 작물 상단부의 30 cm 위치에 각각 설치하여 담배가루이 밀도를 조사하였다. 허브식물의 설치 위치별 담배가루이 밀도를 각각 조사한 결과 레몬밤이 설치된 곳에서 높았으며 로즈제라늄과 애플제라늄은 오히려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유인제, 기피제 및 트랩식물을 포함한 허브 식물을 사용하는 담배가루이의 대체방제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oblem of increased resistance to pesticides is caused by the management of Bemisia tabaci, which depends almost entirely on pesticides, and to solve this problem, we investigated the host preference of B. tabaci among herbal plants to develop a possible attractant for alternative control methods.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greenhouse tomatoes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Herbal Science in Wanju-gun. Major herbal plants such as lemon balm, chocolate mint, rose geranium, and apple geranium were installed 50cm from the ground and 30cm from the top of the tomatoes, then the density of B. tabaci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nsity of B. tabaci by the location of the herbal plants, it was found that the lemon balm location showed the highest B. tabaci density while rose geranium and apple geranium were rather avoid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B. tabaci control methods using herbal plants including attractants, repellents, and trap plants.

      • KCI등재

        핵과류 4종에 발생하는 노린재의 종류와 상대적인 풍부도

        양창열,이선영,이성찬,서미혜,윤정범,최병렬,Yang, Chang Yeol,Lee, Sun Young,Lee, Seong Chan,Seo, Mi Hye,Yoon, Jung Beom,Choi, Byeong Ryeo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4

        우리나라에서 노린재류는 여러 과수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우리는 핵과류 4종(매실, 체리, 자두, 복숭아)의 과실에 발생하는 노린재의 종류와 상대적인 풍부도를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핵과류 과수원에서 과실에 발생하는 노린재는 가시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등 4종이었다. 조사기간 중에 4종의 상대적인 풍부도는 썩덩나무노린재(65%), 갈색날개노린재(26%), 가시노린재(7%), 알락수염노린재(2%) 순이었다. 썩덩나무노린재는 매실, 체리, 복숭아에서 우점종이었던 반면, 자두에서는 갈색날개노린재가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핵과류 과실에 발생하는 노린재는 성충이 81%이었고 약충이 19%이었다. 한편 핵과류 과종별 노린재의 발생은 생육초기보다는 생육후기에 더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핵과류 과수원에서는 수확기에 썩덩나무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의 관리방안에 대한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Stink bugs (Hemiptera: Pentatomidae) are economically important pests of fruit trees in Korea.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rvey the relative abundance of stink bugs on four stone fruits, maesil (Prunus mume Sieb. et Zucc), cherry (Prunus avium L.), plum (Prunus salicina Lindl), and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from 2017 to 2019 in the field. Four stink bug species were observed, including Carbula putoni (Jakovlev), Dolycoris baccarum (L.), Halyomorpha halys (Stål), Plautia stali Scott. H. halys was the most abundant (65%), followed by P. stali (26%), C. putoni (7%), and D. baccarum (2%). H. halys was the dominant species in maesil, cherry, and peach fruits, whereas P. stali was the dominant species in plum fruits. Most (81%) of the stink bugs observed were adults, with nymphs accounting for only 19% of the observed specimens. More stink bugs were observed during the late season than during the early season. These finding suggest that control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management of H. halys and P. stali at harvest in stone fruit tree orchard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