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계몽주의에 대한 비판 고찰 : 괴테와 짐멜의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최민섭(Min-Seop Choi)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1 가톨릭신학 Vol.- No.39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은 현대신학자로서 지금 우리가 사는 현실에서 상실되고 있는 ‘종교적 심성’에 대한 문제를 성찰했다. 인간이 지닌 영(spirito)과 정신의 실체가 비하되고, 그에 따라 상실되고 있는 종교적 현실에 대한 우려였다. 그는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면서 이 상황의 원인을 ‘계몽주의’로 꼽는다. 이 계몽주의의 가치는 ‘인간학적인 관점의 전환’이라는 명목으로 긍정적인 해석이 가능했지만, 실상은 모든 것들을 실증적, 객관적, 지성적인 틀 안에서 사고하게 하는 오류를 낳았다. 더 나아가 그리스도교 관점에서도 신 중심적 사고가 무너지고 현대 그리스도교인들의 신앙 역시 피폐화 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는 분석이다. 이렇게 계몽주의로부터 시작된 문제점들은 합리주의, 관념론, 인본주의 등으로 발전하여 더욱 실증적인 결과물들에 집중했고, 인간 정신의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형이상학적 가치들은 더욱 해체되어 훼손되기에 이르렀다. 폰 발타살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시금 고대 사상에 대한 숙고와 성찰을 시도해야 하고, 이로써 형이상학의 복원을 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전부터 이어오는 인간의 종교적 심성과 그 고대의 ‘영광’을 떠올려야한다는 점에서 폰 발타살은 괴테를 통한 문학적 성찰을 그 해법으로 제시한다. 계몽주의적 사고와는 다른 방법론, 즉 문학적인 기반에서 시작되는 신학적 미학의 새로운 시도는 ‘아름다움(bellezza)’에 대한 성찰로 확대되고, 이는 하느님의 ‘형상(Gestalt)’을 떠올릴 수 있는 방법론이 된다. 괴테가 인식하고 있는 하느님 찬양과 경외(Ehrfurcht)에 대한 개념은 폰 발타살 신학의 기반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들은 괴테가 지닌 사상과 그 당시 계몽주의의 ‘보편적 인간 본성’의 형식 안에서 파생된 칸트의 이론을 비교하면서 더욱 구체화 시킬 수 있고, 이는 폰 발타살이 인용하고 연구했던 짐멜의 저작을 통해 칸트와 그의 관념론을 비판함으로써 드러난다. 본고는 폰 발타살의 이러한 신학적 성찰과 노력을 통해 계몽주의의 실증적이고 관념론적인 사고가 아닌 인간 스스로가 지닌 영과 정신을 통해 형이상학적 가치를 복원하고, 그에 따른 그리스도교의 종교적 심성이 지닌 의미 또한 고찰하고자 한다. Hans Urs von Balthasar, as a modern theologian, reflected on ‘religious nature’, which has been lost in current period. He worried about being depreciated of the human spirit and minds, and losing religious reality accordingly. He faced such a reality, and then pointed out that ‘the Enlightenment’ was the cause of it. It was possible that the ‘The Enlightenment’ got the positive interpretation in nominal terms of ‘transfer in terms of humanity’, but in fact, it brought about the mistake which made everything came to think within the matrix of empirical, objective and intelligent. Further, in Christianity point of view, the Enlightenment has been analyzed that God centering thinking was collapsed, and land up in the situation that modern Christian’s faith also has been devastated. Those problems, starting from the Enlightenment, have been developed to rationalism, idealism and humanism. The Enlightenment concentrated on more positive output, and so metaphysical values focusing on human mental activities started to be dissolved. To solve these problems, von Balthasar asserted that to try again contemplating and self-examining about ancient ideology. With this, he claimed to restore the metaphysics. In the points of recalling human ‘religious nature’, which has been prevailed through the ages, and the ancient ‘glory’, von Balthasar presented, as a solution, the literature introspecting through Goethe. The other methodolog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nlightenment thinking, is the new attempt of theological aesthetics, which is based on this literature foundation, expanded to the reflection on ‘beauty’, then this became the methodology to recall God’s ‘Gestalt’. The concept of Goethe’s recognition about praising and awing God has become the base of von Balthasar’s theology. Such works could be more embodied as comparing Kant’s thinking, with Kant’s theory which was derived from the form of ‘universal human nature’ of the Enlightenment at that time. Then, criticized Kant’s idealism through Simmel’s work, which was quoted and studied by von Balthasar. Through such a von Balthasar’s theological self-examination and efforts, this study is to restore the metaphysical value through the spirit and minds of human himself, not empirical ideological thinking of the Enlightenment. And also consider the consequential meaning of ‘Christianity religious nature’.

      • KCI등재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 품질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민섭(Min-Seub Choi),신종칠(Jong-Chil Shin) 한국주택학회 2007 주택연구 Vol.15 No.1

          오늘날 부동산 시장에서 인터넷이 중요한 정보의 매개체로서 소비자들에게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24시간 제공하고 있다. 이렇듯 인터넷이 부동산의 각 부분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 분야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은 주로 개념정립이나 현황분석 등 주로 거시적인 차원의 수준에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부동산 유통시장의 투명성 확보와 부동산 상품의 표준화 작업, 공급자중심 시장에서 수요자 중심으로의 전환 등으로 인해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 기업들은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동시에 품질요인들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구성된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 품질요인들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만족이 결과 변수인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통해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와 관련하여 서비스 품질의 하위차원들을 규명하고 각 하위차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새롭게 개발하였다.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구성 요인 5가지를 추출 해냈다. 각 품질 구성 요인으로는 부동산정보, 의사소통, 디자인, 접속편리성, 시스템이라는 5개의 새로운 잠재변수가 생성되었다. 그리고 새로 생성된 변수인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품질 구성 요인 5개 모두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디자인, 부동산정보, 시스템, 접속편리성 순으로 모두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고객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5가지의 모든 품질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사소통 품질이 고객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인터넷 상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방향이 기존의 전통적인 상거래방식인 단방향성(One-way)과는 달리 쌍방향성(Two-way)이고 시장 주도세력이 이용자 개인이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이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느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BR>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관련기업들이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사이트의 개발과 운영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품질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standard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Internet real estate service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such service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se service quality factor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 turn,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customer’s intent to obtain once again such services from the same company. A standard for defining th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relation to Internet real estate services, and for measuring each sub-factor, has recently been developed. Five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Internet real estate services have also been identified, namely: real estate information, communications, design, convenience of connections, and system. In addition, new potential sources of information regarding these five factors have been found.<BR>  After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fiv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Internet real estate services on customer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all the factors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particularly in the following order (from that which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the most to that which affects it the least): communications, design, real estate information, system, and convenience of connections. Communication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he most because they are created through a two-way method rather than a one-way method―that is, through the traditional commercial dealings on the Internet. Rapid and accurate communications are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for Internet real estate service users, who are the main market forces.<BR>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that is, the factors that were determined in this study to affect the quality of Internet real estate services ―will be made known to companies that are developing and operating Web sites providing such services, so that they could take these factors into consideration as they endeavor to promote customer satisfaction.

      • 두 개의 유연 링크 구조물의 동적 해석 및 실험

        최민섭(Min Seop Choi),곽문규(Moon K. Kwak)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5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vibrations of a flexible two-link structure. The structure consists of flexible two-links; the sub link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main link. The main beam in made of composite fiber reinforced polymer and the sub beam is an aluminum beam. The main beam was maneuvered by an AC servo motor and the sub beam was maneuvered by a RC servo motor. In order to verify the theoretical result was construct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dynamic modeling approach and the kinematical synthesis proposed in this paper are effective.

      • ‘교회와 세상’에 관한 소고 - H. U. von Balthasar 신학을 통한 성찰 -

        최민섭(Choi Minseop)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9 누리와 말씀 Vol.46 No.1

        현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교회와 세상’은 때때로 어울릴 수 없는 두 가지의 공간으로 인식된다. 폰 발타살 역시 ‘교회와 세상’은 두 가지 실체인가, 하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없는가라는 질문에서 스스로의 신학을 성찰해간다. 지금의 세상은 마치 교회를 박해하고 있는 듯하고, 교회는 아무 죄도 없이 그런 세상을 버티며 살아가고 있는 듯하다. 지금의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교회의 가치는 점점 사라져가고, 교회 역시 세상 때문에 피곤해 보인다. 하지만 교회는 어느 때고 힘을 읽거나, 사라질 염려 없이 지금까지 굳건히 존재하고 있다. 다만 그 교회가 간직하여 ‘기억’하여야 할 것들에 대한 성찰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 ‘기억’이 잊지 말고 전해야 할 ‘전통’ 또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폰 발타살은 우리에게 중요한 사실을 지적하여 깨닫게 한다. 하느님이 창조 때부터 마주하고 있었던 구원의 대상은 ‘교회’가 아닌, ‘세상’이라는 것이다. 현시대를 사는 사람들이 ‘교회와 세상’을 구분하듯, 폰 발타살 역시 그 구분을 뚜렷이 한다. 하느님의 구원 대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그 나뉨에는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것이 분명히 존재한다. 다름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기억’하여 ‘전통’으로 간직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 ‘기억’과 ‘전통’의 이어짐 없이는 현시대가 내어놓는 발전과 다양한 사고들에 의해 불안할 수밖에 없는 세상과 교회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 때문이다. 자칫 지금의 교회는 교회 그 자체를 위해 설립된 것 같지만, 사실 교회는 세상이 간직해야 할 것들을 위해 마련되었다. 이러한 폰 발타살의 신학적 성찰은 “세상과 함께 하느님의 미래를 마주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는 교회”에 관한 반성이며, 하느님이 이 세상을 창조하여 사랑함은 ‘교회’를 위해서가 아니라, ‘세상’과 우리 모두를 위해서라는 사실을 깨닫기 위한 여정이다. To the people living in this era, it is recognized that ‘the Church and the World’ are two different spaces where cannot get along with, from time to time. Von Balthasar also thinks about seriously through these two questions in his theology; The Church and the World are two different true natures? Is there any possibility to be one? This world seems to persecute the Church; the Church seems to endure such a world without having any sins. To the people who are living in this world, the value of the Church is gradually disappearing, and the Church also seems to be tired because of the world. But the Church exists any time firmly until now, without losing her power and fear to be disappeared. Simply, it is strictly needed the introspection on the things that the Church keeps and ‘remember’. And also the ‘tradition’ that the remembrance should hand down also has important meaning. Based on such a fact, von Balthasar pointed out the important fact or let us realizes that the salvation object from the Creation is not ‘the World’ but ‘the Church. Like the modern people divide “the Church and the World”, von Balthasar also clearly divided it. That is to clarify the object of God. But in that division, there surely exists the thing that cannot share together. That is the fact to ‘remember the life of Jesus Christ and keep it as a ‘tradition’. Without that connection of ‘remembrance’ and ‘tradition’, it is true that the Church and the World should be anxious by the modern world development and its various thoughts. The current Church seems to be established for the Church herself, but the Church is prepared for the things that the World should keep. Such an introspection of von Balthassar is the self-reflection on “The trying Church to face the future of God with the World”. And also it is the journey to realize the fact that God’s Creation and His Love is not for ‘the Church’ but for ‘the World and all of us’.

      • 하느님과 인간의 유사성에 대한 소고

        최민섭(Choi Minseop)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6 누리와 말씀 Vol.- No.40

        창조주 하느님이 피조물인 인간에게 드러내는 ‘계시’의 표현은 인간이 갖고 있는 하느님의 모상 안에서 인식이 가능하다. 유한한 인간은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모상’(Imago)을 근거로 하느님께 유비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회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301항 - “창조하신 뒤에도,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피조물을 그대로 버려두지 않으신다.” - 을 근거로 ‘유비’ (Analogia)의 방법을 통해 지성적 본성 안에서 인식하고 사랑함으로서 다시금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할 수 있다는 설명을 지속해왔다. 인간이 창조되어 존재한다는 사실로부터 하느님의 모상과 유사하고, 그 창조주 하느님을 인식함에 있어서도 피조물인 인간은 지성적 본성이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하며 모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하지만 하느님에 대한 인식과 모방은 인간이 갖고 있는 유한함, 즉 불완전한 방식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불완전한 방식은 피조물로서의 인간과 창조주로서의 하느님 사이에 ‘상이성’으로 표현되며, 이 ‘다름’조차 하느님과 세상, 그리고 인간이 갖는 유비적인 관계성 안에서 그 긍정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간극이 갖는 유비적인 유사성과 상이성은 세상과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개방성의 원천이며, 이 하느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응답은 하느님의 본성에 다시 참여하도록 하는 ‘신화’(divinizzazione)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The expression of ‘revelation’ which God, the Creator, showed to human, the creature, can be perceived by ‘Imago Dei’ that human has. So, finite human can approach analogously to God based on ‘Imago’ from God.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Chapter 1, Article 1, 301 says “With creation, God does not abandon his creatures to themselves”. With this, the Church is explaining through the method of ‘analogia’ that we can participate again to God’s original nature by understanding and loving in intellectual original nature. This is to emphasize the creature’s intellectual original nature can participate and imitate God’s original nature by knowing the fact that human was created according to ‘Imago Dei’. But the cognition and imitation of God is made by human’s finite, which is imperfect, method. Such an imperfect method is expressed by ‘dissimilarity’ between God, the Creator, and human, the creature. This ‘dissimilarity’ can be interpreted positively between the analogous relation of God and the World, and human. These analogous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between God and human are the wellspring of God’s openness toward the world and human. The response of human to this God’s revelation can be the motive power (prime mover) of ‘divinizzazione’ for participating to God’s original nature again.

      •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소고

        최민섭(Choi Minseop)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8 No.1

        15-16세기의 사상적, 문화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은 가톨릭 교회는 19세기에 들어 그 현실을 직시하고 그 대응책들을 마련했다. 교회적으로는 제1-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서 노력했고, 많은 신학자들 역시 변화하는 세상이 내어놓는 다양한 문제들을 고민하고 성찰했다. 그 중요한 관건들 중에 하나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지닌 사상적, 문화적인 변화에 대해 가톨릭 교회가 지닐 수 있는 ‘관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었다. 하느님 중심의 사고에서 인간 중심의 사고로 전환됐지만, 인간은 더 불안했고, 세상은 세속화되어 원래 지니고 있었던 많은 것들을 잊고 망각했다.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은 ‘지금의 교회’와 ‘현시대가 지니는 문화’의 관계를 통해 이러한 세상을 바라보고 신학적 성찰을 이루어냈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독일의 관념론과 이상주의가 지닌 사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다양한 ‘문학작품들’과 ‘예술’을 통해 인간과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고자 했다. 이러한 폰 발타살의 생각들은 로마노 과르디니의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Weltanschauung)을 통해 더욱 견고하고 확고하게 발전해 간다. 세상을 전체적으로 바라보고 그 가치를 평가하는 관점을 지닌 과르디니의 사상은 폰 발타살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이러한 과정은 폰 발타살 사상의 기반이 된다. 본고는 젊은 시절의 폰 발타살이 독일문학과 고전을 자주 접하며,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통해 신학적 해석 방법에 접근하게 된 계기를 살핀다. The Catholic Church experienced many ideological and cultural changes in the 15–16th century. Going into the 19th century, she has faced the reality and then prepared the countermeasures. In terms of the Church, she has made efforts through the 1st and the 2nd Vatican Councils, and many theologians also were concerned and thought seriously about the various problems arose from the changing world. One of the important matters is the ‘view’ that the Catholic Church carries about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changes what modern people have. Even though, it is changed from the God-oriented to human-oriented thinking, but human beings get more anxious and the world gets more secularized, therefore they forgot and lost sight what they have by nature. Hans Urs von Balthasar achieved his theological contemplation through see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nt Church’ and ‘culture of present age’. He looked at German’s idealism (Deutscher Idealismus) critically from his youth, and tried to look the world and human refreshingly through the various ‘literary works’ and ‘arts’. Such thoughts are more fortified and developed by Romano Guardini’s ‘view to look at the world’ (Weltaschauung). Guardini’s vision which looked the world wholly and then evaluated its value, influenced greatly on von Balthasar, and such a procedure is to be the based on von Balthasar’s view. This study looks the momentum to approach his method of theological methodology through the view to look at the world (Weltanschauung) and von Balthasar’s frequent encounters with German literatures and classics in his youth.

      •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성에 대한 소고

        최민섭(Choi Min seop)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5 누리와 말씀 Vol.- No.38

        오늘날의 사람들에게 하느님 존재의 확실성에 대해 이야기하기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하느님 인식의 모호함 속에 ‘하느님과 인간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는 일은 아예 불가능한 일이 되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아주 오랜 시간동안 인간은 철학적인 사색과 신학적인 성찰을 통해 하느님과 인간, 그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해왔으며, 이러한 시도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지만, 적절한 답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 (Hans Urs von Balthasar)은 그동안의 신학이 집중했던 이성과 신앙, 철학적, 형이상학적 논쟁에 국한되지 않는 방법론, 즉, 문학과 음악, 그리고 그리스도교적 전통위에서 소통하는 그 외에 여러 가지 사상들을 통한 신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하느님과 인간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려고 시도한다. 특별히 그만의 방법론으로 평가받고 있는 ‘신학적 미학’은 그 동안의 신학이 망각해온 형이상학적이고 초월적 요소인 ‘아름다움’ (pulchrum)을 다시금 성찰함으로써 하느님의 영광과 자기계시, 그리고 그 최종적 형태로 이해되는 그리스도의 형상(Gestalt)에 다시금 다가설 수 있게 해준다. 이렇듯 von Balthasar의 신학은 ‘아름다움’을 지각하는 미학적 관점을 통해, 하느님의 자기계시와 그 계시 안에서 드러나는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가 성찰되고, 이 성찰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인 ‘계시사건’을 하느님과 인간의 만남이자 대화라는 구조 안에서 해석 가능하게 한다. These days, it is not easy to tell the people about the certainty of God’s presence. In such an uncertainty of cognition on Go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a human’ seems to be almost impossible. For a long time, human beings made efforts searching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a human’ through philosophical speculation and theoretical self-reflection. Such trials have been shown in various ways, but it is true that still couldn’t find proper answer to it. Under these circumstances, Han Urs von Balthasar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a human’ on the basis of theoretical self-reflection combined the theories of literature, music and other many theories on Christianity tradition. This method was not limited to the disputation of reason, religion, philosophy and meta-physics which previous theology concentrated until that time. Specially ‘theological esthetics’, which is evaluated as his own method, meta-physical and transcendental element, reflected ‘pulchrum; again, which had been forgotten. It makes approach again to God’s glory, self-revelation and Christ Gestalt which is understood as to its final feature. The theology of von Balthasar self-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a human’ which is revealed in God’s self-revelation through esthetic point of view perceiving ‘pulchrum’. This self-examination makes possible to interpret ‘revelation’, the core of Christian faith, in the structure as to encounter and communicate between God and a human.

      • 두 개의 유연 링크 구조물의 조종 및 진동 계측 실험

        최민섭(Min-Seop Choi),곽문규(Moon K. Kwak),양동호(Dong-Ho Yang)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5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vibrations of a flexible twolink structure. The structure consists of flexible two-links; the sub link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main link. The main beam in made of composite fiber reinforced polymer and the sub beam is an aluminum beam. The main beam was maneuvered by an AC servo motor and the sub beam was maneuvered by a RC servo motor. Theoretical investigation will follow.

      •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H. U. von Balthasar)의 ‘하느님의 얼굴’과 에마뉘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의 ‘타자성’에 관한 신학적 성찰 *)

        최민섭(Choi Minseop)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8 누리와 말씀 Vol.44 No.1

        철학과 신학의 멀어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들에 혼재, 이 모든 것들이 인간 중심의 사유라는 거대한 긍정의 힘으로 포함되어 결국 ‘존재’에 관한 애매모호한 여러 가지 추측들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근·현대의 사상가들 에게 이 존재는 더 이상 세상을 창조한 유일한 무언가의 개념이 아닌, 그 반대로 세상이 필요로 하여 존재하는 것들의 세상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하이 데거의 존재론의 시대적 사상적 지배와 맞물려 ‘존재자’ 보다는 ‘존재’가, ‘의 미’보다는 ‘현상’이 더욱 중요해진 시대를 도래하게 만들었다.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Hans Urs von Balthasar)과 유대인 철학자로서 에마 뉘엘 레비나스(Emmanuele Levinas)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아픔과 시대의 비극을 고스란히 경험했던 대표적 사상가들이다. 이 두 사상가는 유럽의 철학과 독일의 정치가 빚어낸 전체주의의 파국을 목격했고, 이 폭력성과 그간의 주류 사상이었던 서양 철학이 보여 왔던 전체성의 철학이 무관한 것이 아님을 인지 했다. 본고는 폰 발타살과 레비나스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느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나’와 ‘너’가 서로 공존하고 있지 못함에 대해 회의적으로 성찰한다. 하느님 존재 자체가 상실되고, 그 존재를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인간과 세상을 회의적 관점에서 반성하며, 그 원인을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 단절, 인간과 인간 사이에 일어난 ‘타자성’(l’Alterità)의 상실이라는 관점에서 재해석 해보 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폰 발타살 신학의 “하느님의 얼굴”과 레비나스의 철학의 “타인의 얼굴”에 관한 성찰은 그 가치가 있다. 이 두 사상가의 존재론은 형식 보다는 의미를 중시하는 또 다른 형이상학의 전환으로 그 중요함을 갖는다. 형이상학의 사라짐이 아닌, 기존의 신학과 철학이 오해 받았던 스콜라적이거나 하이데거의 철학적 사유에 흔들렸던 그 틀을 다시 잡아내는데 그 의미를 찾을 것이다. Distance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mixture of ‘seeing’ and ‘not seeing’, all these are included in an immense positive power as to a human-centered reason. Eventually, there poured out various vague presumptions about ‘Being’. To the philosophers in modern and post-modern era, this ‘Being’ is no longer the concept of somebody who is the only, who creates the world. On the contrary, it became the world of ‘Beings’ because the world needed. Such a phenomena is interrelated with periodic, ideological domination of Heidegger’s ontology, it made to come the era which gave more importance to ‘being’ rather than ‘an ens’, ‘phenomenon’ rather than ‘meaning’. Hans Urs von Balthasar and a Jewish philosopher Emmanuele Levinas are the representative thinkers, who experienced the agony of the World War II and the tragedy of the era just as it is. These two thinkers witnessed the collapse of totalitarianism by the European philosophy and the German politics. And they recognized this violence and the philosophy of ‘wholeness’ which were showed by the Western philosophy, until then the main stream thinking, are not irrelevant. This study skeptically thinks about God and human, human and human, ‘I’ and ‘You’ are not co-existed each other, focusing on von Balthasar and Levinas thinking. This study reflects on human and the world that are consistent with indifference about losing God-himself existence and His Being in skeptical perspective, tried to reinterpret in the point of its cause is the relationship severance between God and human, the loss of ‘otherness’, which arose between human and human. In this point of view, the speculations of von Balthasar’s ‘the face of God’ and Livenas’ ‘the face of others’ are worth. The ontology of these two thinkers is having the importance as to switch to another metaphysical changeover. It is not the disappearance of metaphysics. It can be appreciated the meaning to rediscover the frame which is swayed by scholastic philosophy, which was misunderstood by the existed philosophy and Heidegger’s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