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팀학습에서 팀메타인지가 팀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혜란(Roh Hyelan),최미나(Hyelan Roh)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how team metacognition effects have an influence on team interaction in team learning that participated university students. To conduct this study, we developed 17 items for measuring team metacognition and 19 items for measuring team interac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 object of this study was 113 students on 13 teams who participated a team learning program in the university of Chungbuk province.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re in the following. The first, there is a one factor of team metacognition that influence positively to team interaction level. It is ‘to determine together about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whenever team learning’. The seconds, there are three factors of team metacognition for predicting team interaction improvement. The positive effect factors were ‘various tools use to understanding learning contents’ and ‘to determine together about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whenever team learning’. The negative effect factor was ‘discussion of what will do before starting team learning.' Therefore, it can be told that the program administrator should support adjusting a pre-determined plan of team learning under the cooperation of the team members whenever it takes place, even though they already had a whole plan before starting team learning. 이 연구는 팀학습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팀메타인지가 팀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팀메타인지를 측정하기 위한 17개 문항과 팀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19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충북 소재의 대학교에서 실시한 팀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15개팀의 1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첫째, 팀학습에서 팀상호작용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팀메타인지 요인은 1가지로 ‘팀활동 때마다 시작 전 내용과 방법을 함께 결정’하는 것이었으며, 둘째, 팀학습에서의 팀상호작용 역량 향상을 예측하는 팀메타인지 요인은 3가지로 ‘내용의 이해를 위해 다양한 도구 활용’과 ‘팀활동 때마다 시작 전 내용과 방법을 함께 결정’요인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팀학습을 진행 전에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학생들이 팀학습의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하더라도 매번 팀활동을 시작할 때 구성원이 모두 참여하여 공동으로 팀활동 계획을 점검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수정 보완하도록 지원해야 하며 새로운 학습도구를 시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대안적 교수설계 관점을 적용한 교수분석 프레임웍 개발

        노혜란(Hyelan Roh),최미나(MinaChoi),서윤경(Youn-Kyung Se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8 기독교교육정보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systemic and integrated teaching analysis applying for perspectives of instructional system design. In order to do so, areas of a teaching analysis and teaching activities are rearranged according to act of teaching. Second, activities of a teaching analysis a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perspectives of alternative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Third, a framework of teaching analysis applying for perspectives of alternative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and tools of teaching analysi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an act of teaching is examined in three areas: knowledge/planning, teaching skill/management and attitude, and evaluation/reflection, and teaching analysis frameworks according to an act of teaching are suggested by periods of before, during, and after a term. Teaching analysis tools are also suggested by the frameworks.

      • 학습동아리 경험여부, 성공인식정도에 영향을 주는 팀메타인지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노혜란(Roh, Hyelan),최미나(Choi, Mina)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3 학습과학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학습자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지원되고 있는 학습동아리 참여자의 학습동아리 경험여부와 성공인식정도에 주된 영향을 주는 팀메타인지 예측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팀메타인지란 팀학습을 수행하면서 인식하는 팀인지에 대한 인지를 의미한다. 본 연구를 위해 충북소재 S대학에서 2010 2학기부터 2011년 2학기까지 학습동아리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181명의 유효한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동아리 경험여부에 영향을 주는 주된 팀메타인지 예측요인으로 3가지가 도출되었다. 학습동아리 경험이 있는 경우 이전에 활용했던 팀활동 방법을 적용하여 학습하는 경향이 높았으나, 필요한 경우 추가학습은 하지 않으며, 메신저나 게시판 등의 다양한 학습도구를 활용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는 학습동아리 경험이 있을수록 학습방법, 추가학습, 학습도구와 관련된 팀메타인지는 오히려 약화되어 학습동아리 활동이 스테레오타입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학습동아리 성공인식정도에 영향을 주는 주된 팀메타인지 예측요인은 1가지가 도출되었다. 학습동아리 성공인식정도가 낮을수록 학습 종료 후 충분히 학습했는지 성찰하는 정도는 미비하였다. 이 결과는 학습동아리 팀성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팀성찰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predicting factors of team metacognition which are mainly affected by students’ group working experience and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as participating learning community in university. In order to determine these factors, we surveyed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learning community in S university in Chungbuk, between second semester of 2010 to that of 2011. After collecting valid data from total 181 students for one year of research, we took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predicting factors. As a result, first, there are three predicting factors of team metacognition which are influenced by whether one has experience of group working before or not. Specifically, students who experienced group working before tend to stick to the same learning method that they practiced previously. Besides they are not willing to have extra learning and use various other kinds of learning tools such as messenger, bulletin board or so on. Consequently, it reflects the more students experience in group working, the weaker the team metacognition related to learning method, extra learning, and learning tools becomes. Therefore, it implies team studying activity can be stereotyped unintentionally. Lastly, in terms of a perception degree of one’s educational success, there is one predicting factor of team metacognition affecting. It is found that if students don’t fulfill enough on their accomplishment after finishing their entire tasks, they tend to reflect less on what they have studied so far. This highlights the fact that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in school needs to support students’ study groups by delivering an importance of team reflection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of it as a final step of the whole group study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