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들의 SSI 토론활동 중 지식의 협력적 과정에서 나타나는 저항성 및 학습 유형 분석

        강지훈(Ji-Hun Kang),천재순(Jaesun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SSI 토론활동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담화의 특성으로서 저항성과 학습의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교원양성대학에 재학 중인 초등교육 전공의 초등 예비교사 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SI 토론활동의 주제는 모두 생명 영역으로 한정하였고, 2017년 1학기 동안 총 5회의 토론활동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소집단 내 토론활동의 녹화 및 녹음을 통한 전사 자료, 학생들의 개인 활동지, 조별 활동지, 토론활동 후 설문지이며, 자료 수집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삼각측정법이 적용되었다. 수집된 다양한 자료들은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귀납적 범주화를 실시함으로써 담화의 특성에 따라 각 저항성과 학습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소집단 내 담화의 특성으로서 저항성 유형과 학습 유형, 그리고 담화 내에서 나타나는 저항성과 학습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소집단 내 SSI 토론활동으로부터 나타나는 긍정적 담화의 요소인 저항성을 분석함으로써 과학수업에 있어서 토론활동의 중요성과 이를 통한 과학수업의 성공적인 교수학습 전략에 대해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SSI(Socio-Scientific Issue) discussion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the types of resistance and learning as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through them were analyz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f elementary education major who attended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topics of the SSI discussion activities used in this study were all limited to life domain and a total of 5 class discussions was conducte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ption data through recording of discussion activities in small groups, individual activity sheets and group activity sheets, questionnaires of students after discussion activities. Triangulation was applied to ensure reliability of data colle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each resistance and learning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discourse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and conducting inductive categorization. As a result, it was for resistance types and learning typ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and learning in discourse to be confirm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in this study that the students built the knowledge collaboratively while conducting the SSI discussion activities through the interviews after class discussion.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analyzes the resistance which is a factor of positive discourse from SSI discussion activities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is pedagogically meaningful and valuable because it contribute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discussion activities and establishes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in science classrooms in the future

      • KCI등재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과 일반계고 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과학 동기 수준의 비교분석

        한영희(Younghee Han),천재순(Jaesun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The level of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science motivation was investigated and some of them were interviewed to get their specific thoughts about science and its class in this study . It is also conducted with the aim of looking for ways on how to support them in the learning of the aforementioned subject. For this purpose, the test for the nature of science, SUSSI, and the test for the science motivation, SMQⅡ, were conducted to the second year students of the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They are 171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235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of the two schools in regards to all the nature of science. However, in the subfields: the observations and the inferences and the changes of scientific theories, the opinions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ere noticeably higher than those of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 students of the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were shown to be more likely to be viewed as experts in the subfields of scientific theories and law. Whereas, in the aspect of the science motivation, the students of the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s, showed a meaningfully lower level than those of the general high school. Qualitativ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for 20 focused students of the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showed that their low science motivation was caused by their refusal to learn difficult scientific term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science, and awareness of the relevance between the major and the content of the science curriculum. Thus, to improve their motivation and nature of science itself, the basic science education related to the major is nee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science text books used in agricultural specialized high school. 본 연구는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의 과학 학습 지원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과 과학 동기 수준을 조사하고, 과학과 과학 수업에서 갖는 구체적인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을 심층 면담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지방에 위치한 C농업계 특성화고 2학년 171명, D일반계고 2학년 235명을 대상으로 과학의 본성 검사(SUSSI)와 과학 동기 검사(SMQⅡ)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의 본성 전체는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들과 일반계고 학생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 영역인 관찰과 추론, 과학적 이론 변화는 일반계고 학생의 전문가 견해가 높았으며, 과학적 이론과 법칙은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이 전문가 견해가 높았다. 과학 동기에서는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이 일반계고 학생 보다 낮은 과학 동기 수준을 보였다. 농업계 특성화고에 재학중인 20명의 초점 학생들을 선별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이를 질적 분석한 결과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은 어려운 과학용어, 부족한 개념 이해 수준, 전공과 과학 교과 내용 사이의 관련성을 인지 하지 못하는 점 등으로 인해 낮은 과학 동기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의 낮은 과학의 본성 영역을 함양시키고 과학 동기를 높이기 위해 전공과 관련한 기초 과학 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농업계 특성화고에서 사용하는 과학 교과서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생명과학Ⅰ 방어 작용 단원의 백워드 설계 수업 방법 모색

        하민영(Min-Young Ha),천재순(Jaesun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와 요구에 맞추어 성취기준의 효율적인 실현을 위한 생명 과학Ⅰ 방어 작용 단원의 백워드 설계 수업 방법 및 수업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생명과학 Ⅰ교과에서 방어 작용 단원을 선정하고,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성취기준을 분석하였으며 교과서 분석을 통해 핵심 개념을 추출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백워드 설계 수업 템플릿을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행과제 및 평가기준이 포함된 구체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타당성 확보를 위해 완성된 최종 수업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이 검토하였고, 그 결과를 CVI(Content Validity Index) 값으로 산출하였다. 생명과학Ⅰ 방어 작용 단원의 성취기준의 분석 결과, 지식 차원에서 ‘개념적 지식’ 차원이 약 42.9%이며,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기’ 차원이 약 71.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완성된 프로그램의 전문가 타당성 검토 결과, 타당도 평균값은 3.86, CVI 값은 1로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이 타당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개발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실현과 더불어 교육과정상에서 요구되는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의 균형 있는 학습을 위한 방안이 되며 진정한 과정 중심 평가의 구체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validity of a backward design-based instructional program for the Life Sciences I defense action unit for efficient rea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 line with the changes and deman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Life Science Ⅰ, the defense action unit was selected, the achievement criteria were analyzed using Bloom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key concepts were extracted through textbook analysis.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a backward design instruction template was prepared, and based on this, a specific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including performance tasks and evaluation criteria was prepared.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a backward design instruction template was prepared, and based on this, a specific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including performance tasks and evaluation criteria was prepared. The final instructional program completed to secure validity was reviewed by a group of experts, and the result was calculated as a CVI (Content Validity Index) val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defense action unit of Life Science I, the “conceptual knowledge” level was about 42.9% in terms of knowledge, and the “understanding” level was about 71.4% in the cognitive process level for most part. As a result of expert feasibility review of the completed program, the average validity value was 3.86 and the CVI value was 1. Overall, the program was valid. The development of these this programs will be a plan for the realiz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a balanced learning of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required in the curriculum, and will be a concrete alternative to genuine process-based evaluation.

      • KCI등재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과학탐구실험 교과 내 ‘첨단과학탐구’ 단원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허희정(Heo, Heejung),천재순(Chun, Jae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교과의 ‘첨단과학탐구’ 단원에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과학과 핵심역량 설문과 면담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최근 3년간의 뉴스분석을 통해 첨단과학탐구 단원에 적용 가능한 주제로 인공지능을 선정하였고, 총 5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단일군 사전, 사후 과학과 핵심역량 평가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2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 독립표본 t-검정,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수업만족도는 5점 리커드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정량적인 분석을 보완하였다.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160명에게 적용한 후 사전, 사후 설문지에 모두 참여한 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수업의 효과성 분석을 하였다. 과학과 핵심역량을 대응표본 t-검정 한 결과 과학과 핵심역량 전체와 하위 영역 모두에서 사전, 사후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 공통교과로서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사전에 코딩 관련 프로그래밍을 접해 본 학생들과 접해 보지 못했던 학생들 간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한 결과 과학과 핵심역량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사전검사를 공변량으로 처리하고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사후검사의 결과에서 프로그램이 두 집단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즉, 개발된 프로그램은 코딩 관련 사전 지식이 있는 학생들에게만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 것이 아니라 사전 지식이 없는 학생들에게도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선택 교육과정 진입 전 형평성을 제공해주는 공통교과의 기능을 해 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 개발된 프로그램의 수업만족도는 4.39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개발된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수업 프로그램은 과학과 핵심역량 및 수업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실생활에서 문제 상황을 찾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이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따라서 본 수업은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교과 중 ‘첨단과학탐구’ 단원의 수업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해당 단원에서의 탐구활동이 다른 단원에 비해 부족했다고 평가되었던 선행연구 결과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과학과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미래 지향적인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첨단 과학 탐구 단원에서의 과학탐구실험 프로그램 개발이 꾸준히 이어지길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class program on the subj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hat can be applied to the ‘Advanced Science Research’ section of the high school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 course, an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interview. Methods Through news analysis of the last three years, AI was selected as a topic applicable to the ‘Advanced Science Research’ section, and a total of five-period teaching-learning plan was develop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of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the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sample t-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8.0.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5-point Likeard scale for class satisfac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supplemented through interviews. Results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to 160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was analyzed for 103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n the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paired sample t-test for science core competenc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n both total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their sub-domains.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s a common subject,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between students who had previously encountered coding-related programming and those who had not encountered i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of the two groups in the results of the post-test using covariance analysis. That is, the developed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not only on students with prior knowledge of coding, but also on students without prior knowledge. Therefore, this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served as a common subject that provides equity before entering the op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high at 4.39 points. Conclusions The developed AI-theme clas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class satisfaction. Through the activities of finding problem situations in real life and finding ways to solve them using AI, the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this class can be used as a class program for the ‘Advanced Science Research’ section among high school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 course, and it will be able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which was evaluated as lacking in inquiry activities in that unit compared to other units. It is hoped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research and experiment programs in the ‘Advanced Science Research’ section will be continued to improve science core competencies while at the same time enabling future-oriented education.

      •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과학 관련 진로교육과 중학생의 과학 진로 지향도 조사

        고은정 ( Eun-jung Ko ),천재순 ( Jaesun Chun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과학 관련 진로교육과 현재 중학생들의 과학 진로 지향도를 조사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관련 진로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2019학년도 1학기 동안 학교에서 실시된 각종 진로교육 프로그램에서 과학 진로교육과 관련된 활동을 분석하고 과학 교과와 진로 교과 시간에 이루어지는 과학 관련 진로교육을 조사하였다. 현재 중학생들의 과학 진로 지향도를 알아보기 위해 D중학교 1학년 9학급 285명, 2학년 9학급 283명, 3학년 9학급 288명의 남녀 학생 총 85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과학진로 지향도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나 하위 영역 중 과학 진로 선호도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과학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과학 관련 직업체험 기회의 확대, 과학 교사들을 통한 다양하고 정확한 과학 관련 직업 정보의 제공,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과학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 진로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in the actual school field and the science-career orientation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in the fiel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9, were analyzed the activities related to science-career education in various career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at the school and was investigated the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in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career curriculum ti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cience-career orien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856 male and female students in 285 first grade 9 classrooms, 283 second grade 9 class students and 288 third grade 9 class students of D middle school. The overall science-career orientation showed positive results, but the science-career preference score was the lowest among subscales. It is possible to operate a science-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e interests and interests of students, expand opportunities for science-related career experiences, provide various accurate and accurate science-related information through science teachers, and engage in science classes linked to everyday life Students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science-career preference.

      • KCI등재

        질병 관련 직업을 주제로 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광희(Cho, Kwanghee),천재순(Chun, Jae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는 활동 중심의 질병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적용후 학생들의 질병 관련 진로탐색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ADDIE 모형을 토대로 질병, 직업, 활동 요소로 구성한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자유학기제를 시행하는 D광역시 B중학교에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2학년 남학생 20명이며, 이들 중 7명의 학생들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탐색 경험을 확인하기 위해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학생 수업참여 양상을 녹화 및 관찰 기록하였다. 과학교육전문가 2인으로부터 안면타당도를 받아 반구조화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진로탐색 프로그램 종료 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학생들은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한 직업들을 학교 내에서 실질적으로 경험하고 탐색할 수 있었다. 나아가 학생들은 체험 활동을 통해 자신의 진로탐색 경험을 재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 결과는 Likert 5점 척도로 4.86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activity-centered program for career exploration related diseases and to phenomenologically understand students’ experience of activities about career exploration related disease. The program based on the ADDIE model was developed to be composed of elements: diseases, careers, activities, and applied to free learning semester at B middle school in D city.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20 students and 7 students of them were interviewed. Recording and describing were conducted to be confirmed the students’ experience of career exploration related diseas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it had held with the validity from two science education experts. The students could experience and explore various jobs in careers which were not able to experience in the school through the career-exploration program. Furthermore, students have reconstricted their experience of the career exploration by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for experience.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e program was 4.86 on the 5 point Likert scale.

      • KCI등재

        친밀감 정도 및 리더 유무에 따른 소집단 구성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사회 관련 과학쟁점(SSI) 논변활동 양상 분석

        (Su-Jin Lee),천재순(Jaesun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소집단 구성 방식에 따른 중학생들의 사회 관련 과학쟁점(SSI) 논변활동 양상 분석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S시에 위치한 E중학교의 과학반 학생 12명이다. 학교에서 많이 사용하는 소집단 구성 방식 중 세 가지를 선정하였다. 각각 친밀감 기반 구성, 무작위 구성, 친밀감에 기반한 리더 중심 소집단 구성이다. 논변활동의 주제는 모두 생명 영역으로 한정하였다. 한 학기 동안 총 5회의 논변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소집단 논변활동 녹화 및 녹음을 통한 전사자료, 학생활동지, 교사의 관찰일지, 면담 자료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여러 자료들을 종합적으 로 검토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삼각 측정법을 사용하여 연구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소집단 구성 방식에 따른 논변활동 활성화 및 논변의 수준은 친밀감에 기반한 리더 중심 구성에서 가장 높았으며, 친밀감 기반 구성, 무작위 구성 순으로 높 게 나타났다. 소집단 구성 방식의 변화가 개인의 논변활동 활성화에 큰 차이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소집단 구성 방식이 중학생들의 SSI 논변활동의 활성화 및 논변의 수준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 of the socio-scientific issue argument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methods of small group structu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 students in science class at E middle school in S city. We selected three different methods for small group construction that are mostly used in schools: an intimacy-based small group, a randomized small group, and a leader-centered and intimacy-based small group. The subject of the argumentation were all limited to the area of life. Total five times of argumentation ware held throughout one semester. All discourse activities from each small group were videotaped and recorded for data collection and transcribed. Additional resources for analysis include student activity sheets, teacher observation logs, and interviews with all students immediately after argumentation. All the data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was secured by using triangulation method of data.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leader-centered and intimacy-based small group was the most active in argumentative activities and the highest in the level of their argumentation as being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resistance among three small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randomized small group revealed the lowest level in both. The changes in the way of small group structure showed a big difference in activating the argumentative activity of the individ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ethods of small group structure affect on both active participation in argumentation and the level of argumentation to middle school students.

      • 과학의 본성과 도덕적 민감성의 관계에 관한 문헌 분석

        이수진 ( Su-jin Lee ),천재순 ( Jaesun Chun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3 No.2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일이며,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해 과학적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과학적 의사결정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및 과학적 도덕성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학자들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과학적 도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계를 밝히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과 도덕적 민감성의 관계에 관하여 문헌 분석을 통해 탐구해 보고자 한다. 첫째, 과학에 대한 신념으로서 과학의 본성의 정의 및 중요성을 살펴보고 또한 과학의 본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분석한다. 둘째, 과학교육에서 도덕적 의사결정 교육이 갖는 의의를 통하여 도덕적 민감성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 도덕적 민감성 측정 도구를 살펴본다. 셋째, 과학의 본성과 도덕적 민감성의 관계를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이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도덕적 민감성에 영향을 준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One of the important goals of science education is to raise scientific literacy, and it is also important to cultivate scientific decision-making ability in order to develop scientific literacy.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morality to develop scientific decision-making abilities. In addition, scholars report tha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ffects scientific morality, and it would be meaningful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of science and moral sensitivitie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First, it examines the definition and importance of the nature of science as a belief in science and analyzes the test tools for measuring the nature of science. Seco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moral sensitivity is examined through the implication of moral decision making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moral sensitivity measurement tools are examined. Third,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of science and moral sensitivity based o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literature analysis, the rationale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ffects moral sensitivity.

      • KCI등재

        유전 개념의 통합적 이해 향상을 위한 고등학생 대상 모델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예지(Ye-ji Jung),천재순(Jaesun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유전 개념에 대한 통합적 이해 향상을 위한 모델링 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전 현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유전 이론에 속하는 개념들을 연결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모델링은 교수-학습의 전략으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고전 유전 이론, 감수 분열 이론, 분자 유전 이론을 관련지어 이해할 수있도록 각 200분씩 총 4회차로 구성된 모델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은 2018학년도 1학기, S시 C고등학교에서 운영된 협력교육과정 거점학교 생명과학실험반 학생 19명에게 적용하였다. 각 회차의 수업은 8단계로 구성되며, 개인 활동 및 소집단 활동, 전체학급 활동이 포함된다. 학생들은 개인 모델을 생성한후 소집단 토의를 통해 이를 평가․수정하여 소집단 모델을 생성하였고, 전체학급 토의를 통해 소집단 모델을 평가․수정함으로써 회차마다 2회의 모델링 활동을 수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체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에 개념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수업 회차별로 학생들이 생성한 개인 모델과 소집단 담화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사전・사후의 개념도 검사 결과 및 각회차의 초기 모델과 최종 모델의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 였다. 또한 소집단 담화를 분석하여 유전 개념 간의 연결이 변화되는 양상을 도식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단편적으로 학습한 유전 이론을 연결하여 모델링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유전 개념에 대한 통합적 이해의 정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등학생을 위한 유전 개념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모델링을 활용한 교수-학습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중등 생명과학 영역 분석

        채지흔(Jiheun Chae),천재순(Jaesun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ifted Education Database, GED)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중등 생명과학 영역을 분석하여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GED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중등 생명과학 영역은 2018년의 ‘체제와 상호작용’, 2019년의 ‘에너지’와 ‘안정성’, 2020년의 ‘변화의 패턴’을 대주제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대주제는 여러 소주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주제별로 독립적인 수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소주제로 묶여 있는 수업을 하나의 개별적인 프로그램으로 간주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분석을 위하여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을 분석 도구로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분석에는 영재교육의 경험이 있는 현직 과학 교사 3인이 참여하였으며,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분석 결과를 지속적으로 논의하여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과 전체 15개의 프로그램의 분석 결과, 평가 기준의 36점 만점에 22점∼30점의 점수가 나타난다. 전체 15개의 프로그램을 평가기준의 주요 특성별로 살펴보면, 15개의 프로그램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특성은 ‘3. 목표의 명확성’이며, 다음으로는 ‘2. 재능 계발기회’와 ‘5. 평가 요소’, ‘6. 학습 활동’이 그 뒤를 따른다. 반면에, 15개의 프로그램에서 가장 잘 나타나지 않는 특성은 ‘10. 프로그램 구성 요소의 일관성 및 다른 교육자의 사용 편의성’이며, 다음으로는 ‘7. 교수 전략’과 ‘1. 차별화의 본질’이 그 뒤를 따른다. 결론 향후 중등 생명과학 영역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10. 프로그램 구성 요소의 일관성 및 다른 교육자의 사용 편의성’과 ‘7. 교수 전략’, ‘1. 차별화의 본질’의 특성을 보완하면 영재 학생이 가진 재능과 특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며 영재교육 현장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프로그램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초등 생명과학 영역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중등 영재교육과의 긴밀한 연계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분석한 프로그램이 영재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직접 수업을 관찰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gifted education programs by analyzing the secondary life science among the competency-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s of the Gifted Education Database (GED). Methods Among GED's competency-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s, the secondary life science consists of ‘system and interaction’ in 2018, ‘energy’ and ‘stability’ in 2019, and ‘pattern of change’ in 2020. Since each major theme consists of several sub-topics and independent classes are conducted for each sub-topic, the class grouped into one sub-topic was considered as an individual program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the program,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were used as an analysis tool. Three incumbent scienc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of the program, and 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were continuously discussed and opinions were colle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 total of 15 programs, a score of 22 to 30 out of 36 points of the evaluation criteria appears. Looking a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ion criteria,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15 programs are ‘3. target clarity’, followed by ‘2. talent development opportunity’, ‘5. evaluation element’, and ‘6. learning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least visible characteristics in 15 programs are ‘10. consistency of program components and ease of use by other educators’, followed by ‘7. teaching strategy’ and ‘1. nature of differentiation’. Conclusions When developing competency-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the secondary life scienc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haracteristics of ‘10. consistency of program components and ease of use by other educators’, ‘7. teaching strategy’, and ‘1. nature of differentiation’.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actively support the talents and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will be able to properly utilize the program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analyze competency-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the elementary life science to closely link with secondary gifted education. Al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to directly observe classes on how the programs analyzed in this study are implemented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