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지의 외상성 단추 구멍 변형

        차수민(Soo-Min Cha),신현대(Hyun-Dae Shin),김경천(Kyung-Cheo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6

        외상으로 인한 무지의 단추 구멍 변형은 매우 드물다. 류마토이드 관절염의 변형은 중수 수지관절의 활액막염이 관절낭의 비정상적 신장, 단무지 신전건의 약화를 유발한다. 또한, 단무지 신전건 부착부로 병변이 진행되어 장무지 신전건의 척측 아탈구 및 수장부로의 탈구로 변형이 발생한다. 반면, 외상으로 인한 경우는 관절낭의 배요측 손상과 단무지 신전건 부착부 파열 및 장무지 신전건의 척측 전위가 원인이다. 저자들은 2예의 외상성 무지의 단추 구멍 변형을 경험하였고, 모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손상된 단무지 신전건은 관절낭과 신전 두건에서 쉽게 박리되었다. 관절낭을 겹치도록 재봉합 후, 단무지 신전건을 관절낭에 전진시킨 후 재부착하였으며, 장무지 신전건도 정상 해부학적 정렬에 맞추었다. 다른 한 예에서는 단무지 신전건의 부착은 다소 양호하였으나 관절낭, 장무지 신전건이 매우 약화된 상태였다. 술 후 12개월, 두 예 모두에서 임상 결과는 만족스러웠다. Traumatic buttonhole deformity is very rare. In rheumatoid arthritis, synovitis of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stretches the dorsal capsule and as a result the extensor pollicis brevis gradually becomes attenuated. Also, the extensor pollicis longus progressively subluxed ulnar and volarward. However, in the cases derived from trauma, combination injuries to the dorsoradial capsule, extensor pollicis insertion and ulnar subluxation of extensor pollicis longus, are essential. Authors experienced the cases of two traumatic buttonhole deformities, and performed operative treatment. In one case, the injured extensor pollicis brevis insertion was detached from the capsule and hood. We advanced and reattached the extensor pollicis brevis to the capsule, after imbricating the capsule and established the normal alignment of the extensor pollicis longus. In the other case, the extensor pollicis brevis insertion was maintained, but the capsule and extensor pollicis longus were severely attenuated. At the 12-month follow-up, the clinical results were satisfactory in both cases.

      • KCI등재

        원위 요척 관절의 관절염

        차수민(Soo Min Cha),신현대(Hyun Dae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2

        원위 요척 관절은 전완부의 충분한, 무통성의 회전 운동 및 상지를 이용한 체중 부하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적인 구조물이다. 이 관절의 관절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가장 흔한 것들로는 외상, 선천성 이상, 퇴행, 염증성 질환이다. 여성에서 퇴행성, 염증성 질환뿐 아니라 선천성 병변도 더 흔하게 발병하며 외상은 남녀 비는 동일하다. 초기의 증상이 있는 원위 요척 관절염의 치료는 비수술적으로 시작을 하며 불응성의 통증 발생 시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또한 외상과 관련되어 관절염이 진행하기 전에 부정 유합된 요, 척골에 대한 교정 절골술,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 봉합 및 재건, 척골 단축술 등을 시행하는 것도 방법이다. 진행성 병변에서 척골 절제술이 효과가 있지만 술 후 발생하는 불안정과 척골 절제 단의 요골 충돌 등이 문제시된다. 이러한 불안정을 해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연부 조직 안정화 술식 및 관절 치환술 등이 이용되고 있다. The distal radioulnar joint (DRUJ) is a complex structure that enables sufficient, painless forearm rotation and provides weight-bearing capabilities of the upper extremity. Arthritis of DRUJ is multifactorial; the most common causes are trauma, congenital anomalies, as well as degenerative and inflammatory diseases. Congenital etiologies, as well as degenerative and inflammatory causes of arthritis are more common in women. Conventionally, initial management of symptomatic DRUJ arthritis is nonsurgical; surgery is generally reserved for patients with refractory pain. Moreover, advanced arthritis arising from trauma can be prevented by early interventions in the form of corrective osteotomy for malunited distal radius and distal ulna fractures, repair/reconstruction of the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and ulnar shortening osteotomy. Although the outcomes are typically positive following excision of the distal ulna in definitive arthriti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instability and impingement of the residual distal ulna stump, can be serious. Procedures managing unstable residual ulna include soft tissue stabilization techniques and DRUJ implant arthroplasty.

      • KCI등재

        A Fusiform Epineural Ganglion Encompassing the Ulnar Nerve in the Cubital Tunnel

        Soo-Min Cha(차수민),Hyun-Dae Shin(신현대),Kyung-Cheon Kim(김경천),Dong-Hun Kang(강동훈)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5

        결절종에 의한 주관 증후군은 비교적 드물고, 대부분의 결절종은 척상완 관절의 내측에서 기원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주관 내에서 방추형의 신경 외막 결절종이 척골 신경을 압박하는 매우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다. 48세 남자가 약 6개월 전부터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전형적인 주관 증후군의 증상을 호소하였다. 전기생리학적 검사상 압박성 척골 신경 병증 소견을 보였다. 주관 내에서 반경 1.4cm, 길이 7.2 cm의 방추형의 신경 외막 결절종이 척골 신경을 에워싸는 양상이었고 관절과의 연결은 없었다. 결절종을 절제 후 척골신경은 전방 경근 이동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6개월에 통증, 저린감, 감각 저하는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악력, 파지력, 근육 쇠약 역시 회복되었으며, 전기생리학적 검사에서 상당한 호전이 관찰되었다. Cubital tunnel syndrome, caused by a ganglion, is rare and most ganglion cysts originate from the medial aspect of the ulnohumeral joint. We present an extremely rare case of a fusiform epineural ganglion, encompassing the ulnar nerve in the cubital tunnel. A 48-yearold man complained of a 6-month history of typical cubital tunnel syndrome symptoms.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were compatible with the compressive neuropathy of the ulnar nerve. A fusiform epineural ganglion cyst (1.4 cm in diameter and 7.2 cm in length), which encompasses the ulnar nerve in the cubital tunnel, was found with no connection to the elbow joint. The ganglion cyst was excised and the ulnar nerve anterior transmuscular transposition was performed. Six months postoperatively, the patient was free of pain, tingling sensations, and numbness. In addition, his grip and pinch strength improved, the muscle wasting showed recovery, and an electrophysiological study demonstrated some improvement.

      • KCI등재

        1차 의료 기관에서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으로 의뢰된 예에 대한 분석

        차수민(Soo-Min Cha),신현대(Hyun-Dae Shin),이승현(Seung-Hyun Lee),김보건(Bo-K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6

        목적: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developmental dysplasia of hip, DDH) 추정 진단으로 전원 의뢰된 환아들에 대해서 전향적으로 역학 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l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1차 의료 기관에서 DDH 추정 진단으로 전원된 121예중, 2년의 추시가 가능했던 8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문진, 이학적 검사, 단순 방사선 촬영, 초음파 검사 등으로 확진하였고 의뢰된 총 82예와 확진된 예를 대상으로 역학 조사를 하였고 최소 2년의 추시를 시행하였다. 결과: 82예 중 56예(68.3%)에서 정상, 15예(18.29%)에서 DDH, 11예(13%)에서 기타 질환으로 진단되었다. 전체 82예에 비해 DDH로 진단된 예에서 여아의 비율, 가족력의 존재가 통계학적으로 많았으며, 둔위의 비율은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소아과 전문의로부터 61예, 정형외과 전문의로부터 21예가 의뢰되었고, 정형외과 전문의가 의뢰한 환아들에서 DDH 진단율이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왔다(p<0.05). 결론: 1차 의료 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이학적 검사나 방사선 소견에 대한 지침 설정 및 체계적 연수 교육 등을 통해 보다 DDH 추정 진단에 대한 확진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A prospectiv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in the patients referred to our hospital with suspected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DDH).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121 patients referred from the primary healthcare institutions, with suspected DDH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7, 82 patients who were able to be followed up for at least 2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onfirmation of the diagnosis was determined by patient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simple radiographs, and ultrasonography.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in the total 82 cases which were referred from the primary healthcare institution and were confirmed as having DDH, and at least a 2-year follow up was performed in all these cases. Results: Of the 82 cases, 56 cases (68.3%) were within normal limits (W.N.L), 15 cases (1829%) were confirmed as having DDH, and 11 cases (13%) were diagnosed with several different diseases other than DDH. Compared to the total 82 cases, the percentage of females, presence of family history was statistically higher in the cases confirmed as having DDH. However, the incidence of breech presenta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all cases. 61 cases were referred by pediatricians and 21 cases were referred by orthopedic surgeons to the primary healthcare institution, and the diagnostic rate of DDH was statistically higher in the cases referred by orthopedic surgeons (p>0.05). Conclusion: The rate of confirmation of the suspected diagnosis of DDH would hopefully increas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physical examination protocols or radiologic study and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that could be applied in the primary healthcare institution.

      • KCI등재

        주관 증후군에서 척골 신경 경근 전방 이동술의 임상 결과

        차수민(Soo-Min Cha),김경천(Kyung-Cheon Kim),강동훈(Dong-Hun Kang),신현대(Hyun-Dae Shi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2

        목적: 주관 증후군 진단 후 질환 중증도에 따른 척골 신경 경근 전방 이동술의 임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주관 증후군 진단 후 변형된 Mackinnon 술식으로 척골 신경의 경근 전방 이동술을 시행한 9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전 중증도는 McGowan등급으로 파악하였고 등급 I (1군) 35예, 등급 II (2군) 37예, 등급 III (3군) 22예였다. 결과: 술 후 통증은 세 군 모두에서 술 후 의미 있게 호전 되었고, 1군과 2군에서 3군에 비해 회복 정도가 유의하였다. 감각 기능은 세 군 모두에서 술 후 의미 있는 회복을 보였고, 1군은 3군에 비해 유의하게 회복 정도가 우수하였다. 운동 기능의 회복 정도 역시, 세 군 모두에서 술 후 의미 있는 회복을 보였고, 3군과의 비교에서 의미 있는 회복 정도 관찰할 수 있었다 (p<0.05). 술 후 Akahori 분류를 이용한 평가에서 1군의 80%, 2군의 73%, 3군의 59%에서“양호”또는 “우수”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변형된 Mackinnon 술식으로 치료한 주관 증후군에 대한 후향적 연구에서 술 전에 비해 술 후 통증, 감각 및 운동 기능이 호전 되었으나 호전 정도는 중증도가 심할수록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Purpose: To retrospectively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of the cubital tunnel syndrome after ulnar nerve transmuscular anterior transposition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8, the 94 cases that underwent ulnar nerve anterior transposition using modified Mackinnon method after diagnosed as cubital tunnel syndrome were enrolled for this study. The severity of each cases was classified using McGowan classification before surgery, and were divided into grade I of 35 cases (group 1), grade II of 37 cases (group 2), and grade III of 22 cases (group 3). Results: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degree of pain improvement, and which was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oup 1 and 2 compared to group 3.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degree of sensory function improvement. The degre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2, and 2 and 3, however, group 1 showed higher degree of improvement compared to group 3.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degree of motor function improvement, and which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2, and compared to group 3, group 1 and 2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disease severity (p<0.05). In evaluation using Akahori classification after surgery, 28 cases in group 1 (80%), 27 cases in group 2 (73%), and 13 cases in group 3 (59%) showed results of “good” or “excellent”. In the whole group, the age and Akahori classification after surger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p<0.05, r=-0.512). Conclusion: In the retrospective analysis regarding the cubital tunnel syndrome using modified Mackinnon method, postoperative pain, sensory, and motor function was improved compared to which before surgery, however, the degree of improvement decreased as the disease was more severe. Especially, as the age is older, the degree of improvement more decreases.

      • KCI등재

        봉소염으로 오진된 원위 지간 관절의 급성 결절성 통풍

        차수민(Soo-Min Cha),김경천(Kyung-Cheon Kim),신현대(Hyun-Dae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1

        고령에서의 급성 통풍의 첫 발작이 수지의 원위 지간 관절에서 드물지 않게 생긴다고 하나 대개 발작 시작 7일 이내에 특별한 치료 없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10여 일 전부터 시작된 시지 원위 지간 관절의 압통 및 종창을 주소로 내원한 61세 남자에서 봉소염 진단으로 절개, 배농을 계획하였고, 피부 절개 후 전형적인 통풍 결절들이 관절낭의 표면 및 굴곡 건 일부 및 신전 건 주위에 침윤된 것을 확인하였다. 건 및 관절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통풍 결절을 제거하였으며, 관절액은 흡인하였다. 환자는 통풍으로 진단 받은 병력이 없었으며, 내원 당시 통풍성 결절을 의심할 만한 특이한 검사실 소견도 없었고, 병력 청취상 급성 발작을 야기할 만한 특별한 인자도 없었다. 최종 조직학적 검사상 통풍 결절 및 음성 이중 굴절을 보이는 요산 결정 확인 후, 술 후 6개월째 Allopurinol 제제를 복용 중이다. In elderly patients, the first incidence of gout often affects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DIP) and usually subsides without specific treatment after about 7 days. A 61-year-old male was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a 10-day history of tenderness and swelling in his index DIP, which was initially diagnosed as cellulitis. After a skin incision was made to drain the lesion, typical tophaceous deposits were observed around the extensor apparatus, flexor tendons, and joint capsule. The tophi were meticulously removed in order to minimize the injury to its surrounding structures, after which the joint fluid was aspirated. There was no history of gout, laboratory findings suggesting tophaceous gout, or apparent predisposing factors in the patient’s history. Pathology confirmed tophaceous deposits and negative birefringent crystals, and the patient has been managed on allopurinol for post-operative six months.

      • KCI등재

        악성 종양의 골막 반응을 보이는 단순 골막하 혈종

        차수민(Soo-Min Cha),신현대(Hyun-Dae Shin),김경천(Kyung-Cheon Kim),황정모(Jung-Mo Hwang),김보건(Bo-K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6

        외상 또는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도 골막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양성의 소견을 보이는 균질하면서도 연속적인 양상이다. 원위 요골의 성장판 손상 병력이 있는 11세 남아의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원위 요골의 골간단에 미만성의 골용해성 소견을 보이며, 외측 피질골의 음영이 감소되었다. 코드만 삼각 양상의 반응이 원위 요골의 외측에, 수개의 침골 양상의 골막 반응이 내측에 관촬되었다. MRI 소견상 관상면의 T2 강조 영상에서 골막을 박리하는 골성 기원의 종괴가 관찰되었으며 축성 사진상 비균질의 고신호 강도의 종괴와 내부의 액체-액체 경계(fluid-fluid level)가 관찰되었으며 종괴의 경계는 불분명하고 조영 증강되는 양상이었다. 일차성 악성 병변을 의심하여 생검을 시행하였으나 단순 혈종의 육안적 소견 및 병리적 결과를 얻은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benign periosteal reaction, which can occur after trauma or stress, has a solid and uninterrupted appearance on radioqraphy. In contrast an aggressive periosteal reaction, which may indicate a malignancy, appears as a Codman’s triangle or with a spiculated and sunburst pattern. In the present case, an 11-year-old boy with a previous injury to the distal radial growth plate presented with diffuse osteolysis on the distal radial metaphysis and decreased opacity of the lateral side cortex on plain radiograph. A Codman’s triangle-like lesion was seen on the lateral side of the distal radius, and a few spicules were observed on the medial side of the distal radius. A T2-weighted cor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revealed a mass that had stripped the periosteum; the mass had heterogeneous signal intensity and a fluid-fluid level on axial views. The margins of the mass were unclear, but enhanced. Suspecting a primary malignancy, we performed a biopsy. The pathology revealed that the mass was a simple hematoma.

      • KCI등재

        파행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 버킷 림프종

        차수민(Soo-Min Cha),신현대(Hyun-Dae Shin),김경천(Kyung-Cheon Kim),이정길(Jeong-Kil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1

        3세 여아가 미열을 동반한 우측 파행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검사실 소견에서는 적혈구 침강 계수(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30 mm/h)와 C-반응성 단백(C-reactive protein, CRP; 1.5 mg/dl)이 약간 상승되어 있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원위 대퇴의 후내측에 골막 반응이 관찰되었고, 인접 광근으로 팽윤하는 양상을 보였다. 급성 화농성 골수염 의증으로 일주일간 항생제 및 항염증제로 치료하였으나 증상의 호전 및 ESR, CRP의 정상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병변의 골막 및 근육 생검 결과 Bcl-6 양성의 버킷 림프종(Burkitt lymphoma)으로 확진되었다. 소아에서 혈액 종양은 첫 증상으로 파행이나 관절통 등의 근골격계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임상 경과를 보이지 않거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소아 파행에 대해서는 확진을 위하여 조직 검사 또는 골수 흡인 생검 등이 필요할 수 있다. A three-year-old girl presented with a right-sided limp and mild fever. Laboratory findings were normal, except for an elevate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of 30 mm/h and a C-reactive protein (CRP) level of 1.5 mg/d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a periosteal reaction in the distal posteromedial femur with contour bulging and extension of the reaction to the adjacent vastus muscles. Under a working diagnosis of acute suppurative osteomyelitis, she was initially treated with antibiotics and anti-inflammatory agents for one week. However, this did not result in resolution of her problems or normalization of the ESR and CRP. Biopsies of periosteum and muscle revealed Burkitt lymphoma expressing Bcl-6(+). In a child, limping can be the first clinical sign of hematogenous malignancy. In a limping child, if the general clinical course does not show improvement, and empirical treatment is ineffective, a comprehensive evaluation is necessary, including biopsies or bone marrow aspiration.

      • KCI등재

        소아 및 청소년의 장골에서 발생한 고립성 골 낭종의 유연성 골수내 정에 의한 치료 효과

        차수민(Soo-Min Cha),신현대(Hyun-Dae Shin),김경천(Kyung-Cheon Kim),황정모(Jung-Mo Hwang),김보건(Bo-K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3

        목적: 소아 및 청소년의 장골에서 발생한 고립성 골 낭종에 대해 유연성 골수내 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4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장골에 고립성 골 낭종이 발견된 총 8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10.8세, 병적 골절을 동반한 경우 13예, 동반하지 않은 경우가 72예였으며, 부위별로는 상완골 근위부 33예, 상완골 간부 41예, 근위 대퇴골 11예였다. 1군(스테로이드 주입) 21예, 2군(소파술 및 동종골 이식술) 18예, 3군(유연성 골수내 정을 이용한 감압 및 고정술) 46예였다. Capanna의 분류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 골 낭종의 흡수 및 치료에 걸리는 기간은 1군 평균 18.4개월, 2군 10.6개월, 3군 5.8개월이었다. Capanna 분류의 완전 치유는 1군 67%, 2군 56%, 3군 78%였다. 재발은 1군 1예(5%), 2군 1예(6%), 3군 1예(2%)에서 있었고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예는 1군 2예(9%), 2군 1예(6%)에서 보였다. 결론: 소아 및 청소년의 장골에서 발생한 고립성 골 낭종에서 유연성 골수내 정은 병변의 치유 효과가 탁월하며 치료 기간도 짧으며 술 후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으로 생각한다. Purpose: A retrospective review of cases series about the outcomes of treatment for simple bone cyst in the long bones with fl 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aterials and Methods: Eighty-fi ve cases with a simple bone cyst in the long bones diagnosed between April 2002 and December 2007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10.8 years. Thirteen cases were accompanied by a pathological fracture, and 72 cases were not. Thirty-three cases had a simple bone cyst on the proximal humerus, 41 cases on the shaft of the humerus, and 11 cases on the proximal femur. Steroid injections were performed in 21 cases (group 1), curettage and a synthetic bone graft in 18 cases (group 2), and decompression and fi xation using fl 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in 46 cases (group 3). We followed up all cases for at least 24 months and evaluate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Capanna classifi cation. Results: The mean duration for absorption and healing of bone cysts was 18.4 months in group 1, 10.6 months in group 2, and 5.8 months in group 3. The complete cure rate according to the Capanna classifi cation was 67% in group 1, 56% in group 2, and 78% in group 3. There was one case of recurrence in group 1 (5%), one case in group 2 (6%), and one case in group 3 (2%), as well as two cases of “no response to treatment” in group 1 (9%) and one case in group 2 (6%). Conclusion: Fl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for simple bone cys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effective for healing cystic lesions with a short healing duration and for mechanical stability.

      • KCI등재

        부정 유합: 상지에서의 변형 교정

        차수민 ( Soo-min Cha ),신현대 ( Hyun-dae Shin ) 대한골절학회 2017 대한골절학회지 Vol.30 No.4

        상하지를 막론하고 골절 후 부정 유합은 허용 범위를 벗어난 단축, 각 형성, 염전 또는 회전 변형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상지의 이러한 부정 유합이 하지와 구별되는 점은 비 체중 부하(non-weight-bearing)의 특징으로 건측 대비 단축의 정도는 상완골, 요척골 등의 장골에 따라 어느 정도는 허용이 된다. 다만 기능의 장해를 유발할 수 있는 부정 유합, 특히 각 변형, 회전 변형 등은 환자가 호소하는 당시의 기능 장해뿐 아니라 불안정 및 퇴행성 병변으로 진행, 드물게는 압박성 신경병증 유발 가능성 등으로 교정을 요하는 경우가 있다. Malunions after fractures are classified as shortened, angulated, torsion, or rotational deformities that is outside the acceptable range, regardless of the location, whether upper or lower extremity. The distinct feature of a malunion in the upper extremity is that it is free from weight bearing; thus, some degree of shortening is allowed compared with the contralateral normal side in long bones, such as the humerus, radius, or ulna. However, malunions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especially angulated or rotational deformities, are more likely to develop instability, degenerative lesions, or rarely, compressive neuropathy. Hence, malunions with such association may occasionally require cor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