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운동 전 BCAA, OKG 및 Albumin 가중 투여가 에너지 생성 물질과 대사관련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백일영,곽이섭,서상훈,진화은,김영일,우진희,Paik, Il-Young,Kwak, Yi-Sub,Suh, Sang-Hoon,Jin, Hwa-Eun,Kim, Young-Il,Woo, Jin-Hee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6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장시간 운동시 BCAA 투여는 BCAA 산화시 발생되는 암모니아 등의 피로물질 축적에 의해 운동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나, 체내 글루코스가 소진되어가는 시점에서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기여 되어 운동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OKG나 알부민을 가중투여하면 크렙스 사이클의 중간물질로 또는 유리지방산 동원의 운반자로서 BCAA 단독 투여시 부정적으로 나타난 원인을 해결하여 운동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운동과 BCAA, 그리고 내분비 체계와의 관계는 각 호르몬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도출되는 결론이 다를 수 있어, 앞으로 BCAA 대사와 관련된 효소반응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CAA and additional OKG or albumin supplementation on energy metabolism and hormone changes in prolonged submaximal exerci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y took participated in each experiment. In each experiment (control, BCAA, BCAA+OKG, BCAA+albumin), the subject ran for 90 minutes on the treadmill. Blood was drawn and analyzed as glucose, FFA, ammonia, growth hormone, insulin, cortisol, $T_3$, and $T_4$. The obtained results were analyzed via two-way repeated ANOVA using SPSS program. A value of p<.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was the lowest in the BCAA supplement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mes of exercise (p<.05). In concentration of FF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mes of exercise and supplemented groups (p<.05). The concentration of blood ammonia was the lowest in the BCAA+albumin supplement group, and was the highest in the BCAA supplement group. Concentration of growth hormone, cortisol, $T_3$ and $T_4$ were increased as exercise progressed and decreased after all exercise. But concentration of insulin was decreased as exercise progressed. In these results, BCAA and additional OKG or albumin supplement with BCAA may make better effect to the increasing energy generation and inhibiting protein degradation during prolonged submaximal exercise.

      • KCI등재

        골프 숙련도에 따른 아이언 샷 연습량이 혈중 근손상 지표와 피로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서아람,백일영,서상훈,진화은,김영일,조수영,곽이섭,우진희,Suh, Ah-Ram,Paik, Il-Young,Suh, Sang-Hoon,Jin, Hwa-Eun,Kim, Young-Il,Cho, Soo-Young,Kwak, Yi-Sub,Woo, Jin-Hee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숙련도에 따른 아이언 샷 연습량이 혈중 근 손상 지표물질과 피로물질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었으며, 남자골프선수 24명을 대상으로 초급(8명), 중급(8명), 고급(8명)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연습량(100,200, 300타)으로 연습하는 동안 채혈시기별로 혈중근손상 지표물질인 CK(creatine kinase), LDH(lactate dehydrogenaset-혈중 피로물질인 무기인산, 젖산, 암모니아, 그리고 IGF- I (insulin like growth factor-I)과 크레아티닌의 수준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운동하는 동안 피로물질과 근손상 지표, 크레아티닌은 숙련도가 높을수록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연습량이 증가됨에 따라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회복시 피로물질과 크레아티닌은 운동종료 후 빠르게 회복되었으나, 근손상 지표, 특히 CK는 24시간이 지난 후에도 회복되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골프연습도 격렬한 운동과 마찬가지로 근손상과 상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숙련도와 연습량에 따라 차별화된 훈련과 회복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ron shot practice volume based on golf skill level on the indices of muscle damage and fatigue in blood. Twenty four golf players were studied under conditions of different golf skill level (beginners, intermediate, expert) and practice volume (100, 200, 300balls). In this study blood CK and LDH were determined to show the level of muscle damage, and blood phosphorus, lactate, and ammonia were measured to see the level of fatigue. Blood creatinine, and IGF- I generally used to see the rate of protein synthesis were also measured. In summary,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to mean that 1) blood fatigue factors, muscle damages, and creatinine levels increased due to a rise in the practice volume of iron shot, 2) those levels decreased due to rise in the golf skill level, 3) blood fators and creatinine recovered quickly after exercise, however muscle damages did not recover even after 24hr, Therefore, both golf skill lev-el and practice volume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muscle damage and fatigue during practice iron shot.

      • KCI등재

        달리기시 맞춤형 발보조기 사용이 피로물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로빈(Ro Bin Kim),진화은(Hwa Eun Jin) 한국사회체육학회 2007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blood fatigue induction factors and the comfort when the orthotics was put on during running. There were ten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absolute intensity exercise(6mile/hr, 5%). They ran on the treadmill with and without the custom foot orthotics. Lactate, ammonia, and phosphorous were analyzed after blood sampling was taken three times(before exercise, after finishing exercise performance, and 30min after recovery). The data concerning the overall comfort was collected by a questionairre. Experimental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program. The level of blood lactate, ammonia, and phosphorous with custom foot orthotics were the lower than that of without custom foot orthotics. During running the overall comfort was higher for the foot orthotic condition than the nonorthotic conditions.

      • KCI등재

        목질진흙(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투여가 운동 시 혈중 피로요인 변화와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백일영,한대석,박태선,곽이섭,서상훈,진화은,김영일,우진희,Paik, Il-Young,Han, Dae-Seok,Park, Tae-Sun,Kwak, Yi-Sub,Suh, Sang-Hoon,Jin, Hwa-Eun,Kim, Young-Il,Woo, Jin-Hee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 Linteus and C. militaris supplement on lactate, phosphorous, ammonia, MDA(malondialdehyde), GPX(glutathione peroxidase) and TAS(total antioxidant status) following $VO_{2max}$, and 85% $VO_{2max}$ exercise. The 15 male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5 P. liteus supplied(PL), 5 C. militaris supplied(CM), and 5 placebos supplied(PB)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supplement before and after.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exercise performance tim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L, CM and PB groups. Regular supplement of P. linteus or C. militaris partially reduces fatigue induction factors. Also, P. linteus or C. militaris supplement decreases MDA, increases GPX and TA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P. linteus or C. militaris supplement not only have a pharmacological effect for clinical treatment, but also have a maintenance effects on the tissue oxidant-antioxidant system after exercise. 본 연구는 인체를 대상으로 목질진흙버섯과 동충하초 투여 후 운동과 회복 중 피로유발 지연과 항산화 방어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으며, 남자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목질 진흙버섯 투여군(PL), 동충하초 투여군(CM), 그리고 위약 투여군(PB) 등 세 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해당음료 100ml/day을 구강으로 투여하였고, 투여 전과 후 운동수행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운동수행시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운동수행에 따른 PL군과 CM군의 피로물질 축적이 부분적으로 감소됨을 보였으며, 지질과산화 생성량은 감소되었고, 항산화효소 활성은 향상됨을 나타냈다. 따라서, 목질진흙버섯과 동충하초는 임상치료 목적의 약리작용 뿐만 아니라, 운동 시 에너지 동원과 피로물질 제거, 그리고 조직의 항산화 방어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12주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제 2형 당뇨환자의 ST 분절과 QTc 연장에 미치는 영향

        김영일(Young-Il Kim),백일영(Il-Young Paik),진화은(Hwa-Eun Jin),서아람(Ah-Ram Suh),곽이섭(Yi-Sub Kwak),우진희(Jinhee Woo)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

        12주 유산소 트레이닝 결과, 제 2형 당뇨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및 심혈관계 기능은 향상되었고, 심근허혈을 판단하는 ST- level과 ST-slope가 트레이닝 후 감소함을 나타냈다. 또한, 당뇨에서 자주 나타나는 대표적인 자율신경계 이상 마커인QTc interval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12주 유산소 트레이닝은 심혈관계 기능과 당뇨로 인한 심장허혈, 자율신경계 기능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effect of 12 week regular aerobic exercise on ST-segment and QTc interval in middle age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patients. The subjects consist of 13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patients in middle age men and all of them had no other complications. Subjects participated in aerobic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 They started to exercise for 20~60 min at 60~80% of HRmax (exercise intensity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per day, 3~5 times a week. The result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Weight and BMI, % body fat, fasting glucose, HOMA-IR, peakDB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peakHR, peakVO₂, exercisre tim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2 week aerobic exercise. Also, QTc interval and ST-segme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at rest, peak exercise after 12 week aerobic exercise. Conclusionally, 12 week aerobic exercise may be improvement in decreased cardiovascular mortality factors (ST-segment) and abnormal autonomic dysfunction (QTc interval) and potentially increased exercise capacity.

      • KCI등재

        규칙적 운동 및 식이요법이 비만여성의 안정시대사량과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형란(Hyong-Ran Park),백일영(Il-Young Paik),진화은(Hwa-Eun Jin),김영일(Young-Il Kim),곽이섭(Yi-Sub Kwak),우진희(Jin-Hee Woo)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6

        운동과 식이요법을 병행한 체중감량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비만인의 체지방량, 안정시대사량, 그리고 갑상선 호르몬 차이를 비교할 목적으로 실험한 결과, 체지방량, 체지방율, 체표면적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안정시대사량 예측치와 실측치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지만, 갑상선 호르몬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안정시대사량과 신체요인들과의 상관분석 결과, 제지방 체중이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였으며, 안정시대사량과 갑상선 호르몬들과의 관계에서는 TSH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8주간 체중감량 프로그램 참여로 체지방은 효과적으로 감소되었으나, 갑상선 호르몬 차이는 없었고 체중감소에 비해 제지방이 유지됨으로써 안정시대사량의 감소는 최소화되어, 에너지 대사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ting metabolic rate (RMR) and thyroid hormonal (TSH, T₃, and T₄) changes following weight loss by diet with regular exercise in obese women.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7 women who were above 30% body fat. The subjects arrived into the laboratory in the morning after 12 hour overnight fasting. All subjects measured RMR, % body fat, and fat free mass at weight loss program start time, after 4 weeks and after 8 weeks. All the RMR values were expressed as absolute value (kcal/day), absolute value/FFM (kcal/day/FFM), and absolute value/BSA (kcal/m²/hr), and were calculated predicted RMR value minus actual RMR value. Also, correlation of blood thyroid hormonal (TSH, T₃, and T₄) secretion and RMR were analyz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 body fat, and BSA following diet with exercise (p<0.05). Also,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predicted RMR and actual RMR value following weight loss (p<0.05). We also examined the hormonal changes according to weight loss. After weight loss, the level of TSH and T₄ were higher than befor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the level of T₃ was lower than rather befor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nthropometric factors, FFM was highly correlated (r=0.761) with actual RMR value before weight loss. Also, there was a correlation (r=0.771) with actual RMR value after weight loss. Therefore, actual RMR expressed as FFM increased in weight loss program by diet with exercise.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level of thyroid hormonal TSH and T₄.

      • KCI등재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가 지구성 운동수행력과 에너지 기질 및 혈중피로요소에 미치는 영향

        강서영(Seo-Young Kang),백일영(Il-Young Paik),곽이섭(Yi-Sub Kwak),조수연(Su-Youn Cho),김희은(Hee-Eun Kim),진화은(Hwa-Eun Jin)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1

        본 연구는 지구성 운동 시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가 운동 수행력과 에너지기질인 글루코스(Glucose), 유리지방산(FFA)동원과 중추 피로물질인 암모니아(Ammonia), 5-HT, 말초피로요소인 젖산(Lactate), 무기인산(Phosphorus), pH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가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구성 운동수행시간은 투여 전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10.7%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혈중 피로물질 농도(Ammonia, Lactate, Phosphorus, pH, 5-HT) 의 변화는 실험의 모든 시기에서 투여 전, 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혈중 에너지기질 농도(Glucose, FFA) 의 농도 변화는 실험의 모든 시기에서 투여 전, 후 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는 운동수행력을 10.7% 향상시켰으며, 향상된 운동수행력에도 불구하고 혈중피로물질의 추가적인 축적은 없었다. 따라서,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는 지구성 운동수행 시 피로물질 축적의 지연을 초래함으로써 운동수행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단일 물질 투여에 의한 선행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할 때, 복합 투여가 단일투여보다 운동수행력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운동수행력 증진 측면에서 단일투여와 복합 투여 효과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후 다양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복합투여물질의 구성 물질 및 비율, 다양한 운동의 형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lex ergogenic aid supplementation on endurance performance, energy substrate utilization (glucose, FFA) and blood fatigue factors (ammonia, lactate, phosphorous, pH, 5-HT) in endurance exercise. Subjects (male=10) took in complex ergogenic aid (180 ㎖/day) for 4 weeks and were tested after pre-test. Endurance performance times increased after supplementation compared to before supplementation. However, there was no additional accumulation of the fatigue materials. Thus the complex ergogenic aid supplementation caused the delay of the fatigue material accumulation during endurance exercise.

      • KCI등재

        Kinesio taping이 근력, 혈중 피로물질 및 근 손상 물질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Min-Sun Lee(이민선),Il-Young Paik(백일영),Yi-Sub Kwak(곽이섭),Hee-Tae No(노희태),Hwa-Eun Jin(진화은)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kinesio taping 적용이 근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운동 수행시의 상해예방 및 수행력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taping 요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근력 향상의 정도를 직접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1RM test와 Cybex test를 실시하였으며, 생리학적 변인으로는 CK, LDH, phosphorus, ammonia, creatinine, IGF-I의 6가지 혈중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피로와 근 손상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kinesio taping은 근력향상의 직접적인 지표(1RM, 등속성 운동능력)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했지만, 85%-1RM의 웨이트트레이닝 시의 근 피로 또는 근 손상지표물질의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만을 가지고 taping의 적용이 피로 및 근 손상 완화 효과가 없다고 판단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본 연구에서의 피로 및 근 손상 유발 수단인 85%-1RM 웨이트트레이닝은 고강도의 운동이며 운동에 소요된 시간도 40분 정도로 장시간이지만 다양한 근육부위에 적은 반복수와 set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피로 및 근 손상 지표물질의 축적이 현저하지 않았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taping 적용 후 나타난 여러 혈중성분들의 감소(Creatinine 제외) 경향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실제로 선행 연구 중 특정 대근육에 대한 반복적인 운동에 kinesio taping을 적용하여 피로 및 근 손상완화를 입증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특정 동작에 있어서의 근력 향상을 중점적으로 관찰한 연구가 아닌, 전신에 대한 taping을 적용한 후 각 근육 부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양한 관점에서 관찰하였다는데 있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관찰한 변인들 이외에도 신경계통의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도 함께 관찰하는 통합적인 연구도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on muscle strength and changes of muscle fatigue and damage. 10 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1-RM and isometric cybex muscle strength tests with and without taping application. Muscle strength (bench press, leg press) and extension (knee, shoulder) strengt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ap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lexion (knee, shoulder) strength. The concentration of fatigue factors (ammonia, phosphorous), muscle damage index substances (CK, LDH), IGF-I and creatinine were reduced after taping,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