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뤼(張律)의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를 통해 본 공간의 일상과 환대에 대하여

        진성희 한국중국소설학회 2019 中國小說論叢 Vol.57 No.-

        Zhanglü(張律) has been reflecting social reality through narratives going beyond time and space between contemporary Korea and China. His film, Gunsan: Ode to the Goose is one about stranger to visit there and our ideas about the strangers. With the movie, we can infer what world Zhanglü points to. This thesis looked into movement of space and figure, issue of reality and memory, consciousness of Zhanglü about reality of daily life compared to historical ideas, narratives built based on form of film. Gunsan described strangers living in Korea, psychology and attitude of a group responding to strangers through travel to Gunsan of a couple of woman and man. Zhanglü thinks that colonial trauma still controls our mental. But Gunsan shows that actual reality cannot be recognized by transcendental ideas surrounding our society and real power to lead the world with full irony and false consciousness come from daily life. Zhanglü described Gunsan as a space where dailiness is fully embodied without depending any truth system, so that communication between I and the others is possible. Modern order and reason, rationalism govern the space. The space does not make difference disappear with principle of homogeneity. Rather the space is one of hospitality, kind of Heterotopia where cultural memories with multi-layers coexist. As such, consciousness on theme and a view of the world in Gunsan about daily life and the others reaches unique aesthetic achievement, organically making relationship with non-linear narrative structure. 장뤼(張律)는 동시대의 한국과 중국의 ‘주류 시공간’을 이탈해나가는 서사를 통해 사회적 현실을 관통해 왔다. 그의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는 지역을 찾아온 이방인과 그들을 대하는 우리의 관념에 관해 성찰한 영화로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 장뤼가 지향하는 현실 세계의 모습은 어떠한지에 대해 유추해볼 수 있다. 본고는 <군산>을 지역의 공간과 인물의 이동, 실재와 기억의 문제, 역사적 관념과 대비되는 일상의 실체에 관한 감독의 중심 의식과 영화적 형식이 만나 구축된 서사에 대해 논한 것이다. <군산>은 남녀의 군산 여행기를 통해 한국에 머물고 있는 이방인과 그들을 대하는 집단의 심리와 태도에 대해 묘사했다. 이에 장뤼는 여전히 식민지 트라우마와 특정 기억이 우리들의 정신을 지배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렇지만 <군산>은 우리 사회를 둘러싸고 있는 선험적 관념들로 현실의 실체를 제대로 파악할 수는 없으며 모순과 허위의식으로 주조된 세계를 이끌어가는 진정한 힘은 일상에서 나온다고 말하고 있다. 장뤼는 <군산>의 군산을 어떠한 진리 체계에도 기대지 않고 일상성이 충만하게 구현되며 이로서 나와 타자와의 소통이 가능한 공간으로 묘사했다. 이 공간은 근대적 질서와 이성, 합리주의가 지배하며 동질성의 원리로 차이를 무화(無化)시켜버리는 곳이 아니라 중층적 문화적 기억들이 혼재할 수 있는 헤테로토피아적, 환대의 공간에 가깝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상과 타자에 대한 <군산>의 주제의식과 세계관은 비선형적 서사 구조와 유기적으로 관계 맺으며 독특한 미학적 성취를 이뤄냈다.

      • KCI등재
      • KCI등재

        전공 영어강의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진성희,김학일 한국공학교육학회 2013 공학교육연구 Vol.16 No.3

        Recently, Korean universitie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 (EMI) lectures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gain both specialized knowledge and enhanced English ability. Previous researches on effective EMI lectures have focused on exploring the effects of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learning outcomes. Whereas the input variables of learning have been investigated as predicting variables of effects in EMI lectures, there has been a few research for investigating process variables to yield learning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ffecting on learner satisfaction and effects. The participants are 209 engineering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Independent variables are defined as English motivation, English competency, and English confidence, a mediated variable is Cognitive engagement, and dependent variables are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hip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arners' English competency & English confidence → Cognitive engagement → Learning satisfaction →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Especially, the structural model confirms that the effect of learners' English confid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is mediated by the level of learners' Cognitive engagement. Further, the implication for effective EMI lectures is discussed based on the observed research results.

      • KCI등재

        공과대학 학생들의 시각적 대시보드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활동 경험

        진성희,유미나,김태현,김성은,이현빈,최학남 한국공학교육학회 2021 공학교육연구 Vol.24 No.1

        As online learning continues to be extended, many engineering colleges are engaged in online learning activities. One of the corecompetencies required of engineering students in a knowledge-convergence society is communication skill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are frequently used in educational field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vide visual dashboards inonline discussion activity systems to more effectively support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However there is less qualitative studieson students' experience in discuss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engineering studentsparticipating in discussion activities using online discussion systems and visual dashboards. We interviewed 15 students who participated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to achieve their research objectives about their experience in utilizing the online discussion system,their perception of visual dashboards, and their experience in discussion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perception ofthe use of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y system, the visual dashboard, and the perception of a sense of social presence were understood. To be more effective in providing tool support, such as discussion activity systems and visual dashboards 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instructors ne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learner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 KCI등재

        중국계 미국인 영화에 대한 일 고찰 ― 영화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과 <페어웰>을 중심으로

        진성희 중국문화연구학회 2022 중국문화연구 Vol.- No.56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과 <페어웰>은 중국계 미국인 감독들의 자전적 경험에 기반해 만든 이민 후속세대의 삶과 정체성 확립에 관한 영화다. 존 추와 룰루 왕은 이전의 중국계 미국인 영화가 구현해왔던 고국을 향한 맹목적 노스탤지어, 타국 사회를 향한 분노와 이민자로서의 열등감에 대한 이민자 서사에서 벗어나 이민이라는 삶의 형태를 담백하고 다소 가벼운 시선으로 조망했다. 더불어 두 영화는 문제의식을 강렬하게 드러내진 않아도 어디에서도 완벽히 흡수될 수 없음에 관한 소외의 정서를 담았다. 이러한 소외의 굴레에서 인물을 구원하는 것은 가족이란 존재다. 영화 속 인물들이 고국과 타국의 양 문화권 사이에서 방황해도 이를 극복하며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가족 안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두 영화가 제한적이고 특수한 주제인 이민 후속세대에 관한 서사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소와 세대를 불문하고 여러 관객층의 공감을 견인해낼 수 있었던 것은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보편적 서사를 추구했기 때문이다. 더하여 인물들이 정체성 전치의 과정을 거치며 집단 내의 갈등과 문제를 해결하고 다중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통해 글로벌 디아스포라가 양산되고 있는 현 시대의 문화적 환경에서 인간은 어떻게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존엄을 확인할 수 있을까에 대해 시사했다.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교육서비스에 대한학교교육 이해관계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진성희,유미나,서경원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4

        Generative AI technology holds transformative potential for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s in public education and investigate the needs of school stakeholders regarding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s. To explore these needs, a survey involving 127 teachers, 225 students, and 127 parents in Seoul was conducted. The analysis of perceptions regarding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upport revealed that teachers were comparatively more positive than students and parents in perceiving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such services.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 scenarios among the three groups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higher effectiveness than students and parents. When prioritizing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s, all three groups expressed a common need for support in basic academic skills and recommend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However, teachers and parents exhibited a higher demand for student learning history management, while students emphasized a greater need for career guidance. Regarding support for realizing personalized education based on AI, high needs were identified for edutech devices, training on their usage, and reducing administrative work. Basing on the study results, we discuss pertinent issu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I-based education services.

      • KCI등재

        공과계열 대학생을 위한 실천적 리더십 역량 분석: 기업체 경영진과 대학생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진성희,성은모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4

        급속히 발전하는 과학기술환경과 현대 경영환경에서는 경영관리 능력과 함께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분석력이 리더의 핵심 자질로 부각되면서, 국내외 기업에서 공과계열 출신 경영진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의 기업조직에서 리더가 될 수 있는 공과계열 대학생들의 리더십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적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과계열 대학생들의 진로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기업현장에서 공과계열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실천적 리더십 역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현장의 경영진 27명과 공과계열 대학생 28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천적 리더십 역량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공과계열 대학생들의 실천적 리더십 역량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실천적 리더십 역량의 구성요소별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는 경영진과 대학생들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리더십 구성요소에 대한 수행도 인식을 분석한 결과 기업체 경영진들의 공과계열 출신 신입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 수행수준보다 대학생들이 자신의 리더십 수행수준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십 역량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해 도출된 공과계열 대학생들이 핵심적으로 갖추어야할 실천적 리더십 역량은 창의력, 다양성수용력, 의사전달능력, 경청, 신뢰구축, 협업능력, 목표설정, 목표관리능력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과대학에서 대학생들의 실천적 리더십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과정운영 전략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actical leadership competency for students in engineering college. To undertake this research, 27 CEOs in company fields and 288 engineering students in A university were surveyed, a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on practical leadership competency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mportance awareness on components of practical leadership competency between CEOs and engineering stud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performance awareness on components of practical leadership competency between two group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were perceived on their leadership performance higher than that of CEOs. Also, 8 components among 30 components of practical leadership competency were drawn as core competencies to be developed; ① Creation, ② Acceptance of diversity, ③ Communication skill, ④ Building trust ⑤ Good listening skill, ⑥ Collaborative ability, ⑦ Goal setting, ⑧ Goal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n educational program for developing leadership competency were suggested.

      • KCI등재

        공학전공 학생들의 융합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진성희,김재희,Jin, Sung-Hee,Kim, Jae H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convergence competence of under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and analyze its educational effects.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engineering students, 13 experts in engineering education field surveyed the need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nd 829 students from four engineering colleg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rea and Honam area were assessed for the level of convergence competency. The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needs analysis and the program consisted of four major themes: convergence lecture, convergence competence, convergence practice, and convergence vision.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the two expert validation tests. A total of 4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election of 10 students from each of the four universities. As a result of pre-post comparison of students' convergence competencies, the average of all competencies in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vergence mindset, differentiation mind, commitment, communication, and social value competenc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programs and convergence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산업체 요구분석을 통한 신산업 융합기술교육의 방향

        진성희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8

        Convergence education, which is operated by many engineering colleges, is mainly led by government-led projects. Convergence majors ar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field of the university professors rather than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needs of th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s of convergence technology education related to new industry fields by analyzing industry needs. Participants were 299 industrial workers in various fields.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parts: necessity for convergence education, demand for convergence new technology education from industry perspective, and opinions about undergraduate convergence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industry needs for fusion technology education was high,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IoT convergence, bio-health, advanced new material, and renewable energy fields among convergence technology field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industry demand for convergence new technology education were presented. The suggestions for expectations,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undergraduate education were presented and implications for convergence technology educ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공과계열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융합교육은 대체로 정부주도의 사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해당 대학의 소속 교수진 전공 및 연구 분야를 고려하여 개설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부각되고 있는 신산업 분야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산업체에 근무하는 299명의 산업체 종사자들이다. 수요조사도구는 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 산업체 관점에서의 융합신기술교육에 대한 요구, 학부융합교육에 대한 의견으로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산업체의 필요성 인식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융합기술분야 중 IoT 융합분야, 바이오헬스, 첨단신소재,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교육 수요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산업체 분야별 융합신기술교육에 대한 요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학부융합교육에 대한 기대, 문제,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이 제안되었고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찬반토론 현황 대시보드가 토론 만족도 및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진성희,유미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ashboard that presents the status of pros and cons and participation in online debates and how they diff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6 students attending on the master's course, and they were participated in online debates two times. We examined the effects the online debate dashboard types, the social comparison, and writing self-efficacy to students' satisfaction on online debate activities, students' awareness and social presence. We analyzed the main and the interaction effects with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The concret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s of students' writing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Second, two-way interaction effects of debate dashboard types and writing self-efficacy on students'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Third,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online debate dashboard types, the social comparison, and writing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when presenting the dashboard for the onlin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guide the students to utilize different types of dashboard considering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찬반토론의 의견 제시 현황과 참여도현황을 제시한 대시보드의 효과와 그 효과가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온라인 토론 대시보드 유형과 학습자 특성인 사회비교동기와 쓰기 효능감이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만족도, 학습자 인식,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017년도에 대학원생을 3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두 분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토론을 실시하였으며, A분반은 찬반토론 현황 대시보드만을, B분반은 찬반토론 현황 대시보드와 참여도 현황 대시보드를 제공받았다. 학생들은 2회의 온라인 토론에 참여하였고, 학습자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비교동기와 쓰기 효능감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토론 대시보드 유형과 학습자 특성인 사회비교동기와 쓰기 효능감이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만족도, 학습자 인식,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쓰기 효능감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리고 대시보드 유형과 쓰기 효능감의 이원상호작용이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시보드 유형, 사회비교동기, 쓰기 효능감 간의 삼원상호작용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비교동기와 쓰기 효능감과 같은 학습자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어떤 유형의 대시보드를 제공하는 것이 학습자의 토론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 그리고 사회적 실재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온라인 토론학습에 대시보드를 제시할 때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자 특성에 따라 다른 유형의 대시보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학습양식이나 학습자 동기 특성과 같은 다양한 학습자 특성 변인에 따른 대시보드의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으며, 대시보드의 유형에 따른 효과가 온라인 토론의 직접적인 성취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