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광주 초기소설의 디아스포라 글쓰기 연구

        진선영 ( Sun Young Ji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5

        김광주는 청춘의 절정기를 상해에서 보낸다. 자발적으로 선택한 상해 행에서 이주민 청년은 열정과 낭만, 새로운 이상향을 발견하며 세계주의에 참여하지만 실시간으로 검열 당하는 계급적, 종족적 한계는 디아스포라라는 삶의 조건을 차별과 배제로 인식하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가의 상해 체험을 다룬 6편의 소설을 분석해 봄으로써 상해라는 공간 체험과 1930년대라는 시간 체험이 작가의 디아스포라적 글쓰기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김광주가 보여주는 1930년대 상해 디아스포라 현실은 1920년대 상해행이 목적하는 혁명과 이념적 지향이 상실된 정신적 디스토피아로 그려진다. 소설은 조선 디아스포라 집단의 공동체 의식을 파괴하는 분파주의와 개인적 영웅심, 지사 놀이에 대한 환멸로 가득 차 있다. 항일 지사라는 아름다운 가면을 쓰고 코리맨의 정체성을 상실해가는 ‘코리-상하이언’들의 향락적인 삶을 거침없이 파헤침으로써 상해 디아스포라 사회를 진단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포스트식민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김광주가 모국으로 끊임없이 소설을 실어 나른 디아스포라 글쓰기의 목적이다. 김광주의 지사 놀이에 대한 환멸과 대항적 주제 의식은 여성이면서 디아스포라 난민이라는 이중적 타자의 위치를 갖는 조선 디아스포라 여성을 통해 실천된다. 이들이 타락한 혁명가들에게 던지는 선언은 진정한 혁명이란 개인적 야심을 버린, 전 민중이 함께하는, 민중을 위한 ‘행복’이란 것이다. 혁명은 이론적,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상해에서의 사상적 위장은 포즈에 지나지 않음을 비판하고 진정한 독립은 모국에서만 가능하다는 인식을 드러낸다. 또한 거시적 차원에서 볼 때 ‘사람이란 남을 지배하고 싶어 하면 불행해진다’, ‘사람으로 져서는 안 된다’는 복선적 명제를 통해 일본 나아가 세계적으로 확장되던 제국주의에 일침을 가한다. 김광주는 조선 디아스포라 여성의 적극적이고 목적론적인 삶을 통해 식민성을 탈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Kim, Gwang-ju spent his young age in Shanghai. This young immigrant who had chosen to go to Shanghai voluntarily found passion, romance, and new utopia, and he participated in globalism. However, what the limit of his class and tribe had been censored simultaneously makes him realize the conditon of his life to discrimination and elimination. Through analyzing his 6 stories, this study discovers how the space in Shanghai and 1930`s period had been in his Diaspora writing. Kim, Gwang-ju`s 1930s Shanghai Diaspora reality described 1920`s revolution to go to Shanghai and distopia that lost ideological aim. His story is filled with disillusionment of factionalism which destroy community spirit, personal hero`s mind, and patriot play. He exposed cori-shanghaian`s pleasure seeking life who was losing cori man`s identity with a mask of anti-Japan patriot and searched for the possibility of new post-colonialism. This is the main purpose of Kim, Gwang-ju makes efforts day and night to write a story to his motherland continuously. His disillusionment and counter thematic consciousness comes out with Chosun Diaspora woman character who is a female and a Diaspora refugee status simultaneously. These women characters announce to corrupted revolutionists that the real revolution is to throw away personal ambition, to be with all people and to do something happy for all people. Because revolution can`t be progressed theoretically and stably, his work criticizes their ideological camouflaged is just a show and the real independence is possible only in motherland. And with macroscopic view, his stories take deliberate jabs at colonialism that not only to Japan but also to the World with stories` foreshadows, are like ``human being meets with misfortune when they want to rule other people`` and ``do not be defeated by human``. Kim, Gwang-ju suggested new purpose that could be out of colonialism and overcome it through Chosun Diaspora women`s aggressive and purposive life.

      • KCI등재

        한국전쟁기 김말봉 소설의 이데올로기 연구 -< 별들의 고향 >을 중심으로-

        진선영 ( Sun Young Jin ) 겨레어문학회 2015 겨레어문학 Vol.55 No.-

        본고는 김말봉의 소설 < 별들의 고향 >을 대상으로 한국전쟁기에 발표된 해방-전쟁 체험문학으로서 가치와 김말봉 소설을 통시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별들의 고향>은 1947년 크리스마스를 이틀 앞둔 날로부터 시작하여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과정, 한국전쟁, 피난 등 한국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4년을 기록하고 있다. 처절한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작중인물이 겪는 삶의 부침은 역사적 사건 뒤에 숨겨진 혼란한 이면들에 대한 문학적 반영이다. 작가는 역사적 사실로서 ‘전체주의’(공산주의)와 ‘자유주의’(민주주의)를 이항 대립적으로 서사화하면서 반공주의를 당위적 가치로서 선언하고 있다. 우익의 자유주의, 민족주의적 색채를 표면화하기보다 좌익의 ‘악’,‘추’, ‘부정’적 요소를 전면화하여 당위적으로 제시되는 인과응보적 결말은 이데올로기의 교훈성을 강제하며 자유민주주의/반공주의를 수호하고자 했던 작가 김말봉의 사상의 민낯을 드러낸다. 반도대학 정치과의 최창열은 스스로를 초인으로 자처하였기에 송난,연심과의 애정 관계에서 심한 마음의 부침을 겪고 신을 모독하고 부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반항의 과정은 두 번의 탈피(연심의 죽음을 통한 육체적 탈피, 송난의 애정갈등을 통한 정신적 탈피)를 통해 자기 부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하느님과 김영숙에게 인도되는 필연적 과정으로 그려진다. 이론과 간접 경험으로만 하나님을 영접한 창열에게 한국전쟁은 하나님을 권능을 생 체험하게 되는 종교적 계기가 된다. 신의 사도들에게 한국전쟁은 신을 불신하는 계기가 아니라 오히려 기도를 배우고 신을 경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작품의 주제의식은 결말에 이르러 ‘별’을 통해 상징화된다. 공산주의에 대항하여 끝까지 자유민주주의/반공주의를 선택한 사람들의 영혼으로서의 별은 이데올로기적 투사물이며, 암흑의 시대에 고향을 지키는 수호와 안내의 상징으로서 별은 종교적 투사물이다. 두 개의 주제의식은 변별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반공주의=기독교주의=가족주의가 동항을 이루고 공산주의=반기독교주의=반가족주의가 대립적으로 위치하면서 선과 악의 이항대립적 관계를 형성한다. 작가는 반공이데올로기를 비롯한 정치적 강령이 삼투된 기독교주의를 절대적 우위를 놓고 있는데 이러한 우익 편향의 시대인식은 김말봉의 해방이후 작품세계를 지배하는 절대적 가치로 군림한다. This study evaluates war-experienced literature which is released in Korean War, Kim, Mal-bong``s noble < Homeland of Star >, and begins to study Kim, Mal-bong``s story with diachronic change. Writer makes a narrative by mutual oppositively between communism and democratic, and testimonies liberal democracy as a natural value. Fictionalizing of historical incident faces crisis when a ``goodwill(liberal democracy)`` in poor exposed to coercive and strong ``evil(communism)``. Evil``s temporary victory and goodwill``s reserves are related to return of stronger goodwill and evil``s extermination, and good will``s one-sided victory is realized naturally as a punitive justice at last. Choi, Chang-yeol, political science of Bando college, named himself as a superman. That is the reason why he has been tortured by the relationships with Song nan and Yeon sim, and he violates the sanctity and denies. But, this kind of reaction describes to guide to the God and Kim, young-sook smoothly via self-denial steps through twice breaks(physical break through the death of Youn sim and mental break through Song nan``s love affair). For Chang-yeol who receive the God with a theory and secondary experiences, Korean War is a religiously momentum to experience the God``s power. For messengers of the God, Korean War is the chance to learn a pray and not to disbelief the God but to experience the God. They became messengers to deliver a God``s message that they``ve experienced from human being with a desire. As a appropriate value, liberal democracy and christianity show compressively < Homeland of Star >``s sense of subject, writer``s sense of history, and his world of writing works. At the last part of the story, a star that Chang-yeol, Young-sook, Young-joo, and Deuk-soon watch together is a symbol to prove these two values literally and religiously. A star that is identified a ghost of dead people who worked for value of liberal democracy expresses a virtue of justice, order, and freedom. Now, Chang-yeol, Young-sook, Young-joo, and Deuk-soon will illuminate splendid light to human world as a messenger of the God and will open at dawn to stimulate hope and courage with other stars that will be risen up afterwards.

      • KCI등재

        이제하의 「유자약전」연구 : 근대성을 중심으로

        진선영 ( Sun Young Jin ) 現代文學理論學會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7

        본고에서는 이제하의 소설을 예술가 소설로 전제하고 작가가 긍정적으로 구현하는 예술가 상이야말로 작가의 목적의식과 세계관을 반영하는 인물로 정의한다. 긍정적인 예술가는 획일화된 자본주의 사회에서 지배논리에 굴복하지 않고 ''자기성''을 유지한다. 더불어 현실의 폭력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가치로서 새로운 질서를 구상한다. 「유자약전」에는 세 명의 다른 양태를 지닌 예술가가 등장하는데 이들은 모두 ''유자''와의 관계성을 통해 작가가 이상화하는 예술의 본질과 대안적 가치로 수렴된다. 육체의 방기와 내면적 고립을 통해 현실에 폐쇄적으로 대응하는 유자는 잠을 통해 상징계적 질서를 거부함으로써 어머니의 뱃속으로 퇴행하는 ''요나''적 존재이며, 그녀의 그림 그리기는 창호지의 세계에 갇힌 사람들에게 현실의 위험성과 두려움을 알려 경계하기 위한 처방, 즉 샤먼의 주술적 행위와 유사하다. ''요나''와 ''샤먼''의 이미지는 소외되지 않고 파편화되지 않은 정체성의 표상으로 상징적 구속에 훼손되지 않은 신화적 기표로 드러난다. 이들은 근대 중심에 존재하지만 대항적 가치를 지닌 상징으로 되풀이 언급됨으로써 안티 모더니티의 핵심적 표상물이 된다. 반면 ''나''와 ''풍당 선생''이 유자에게 가하는 폭력성은 1960년대의 폭력적 근대의 속성을 내면화한 주체가 유자로 대변되는 세계에 가하는 폭력이다. 유자는 이러한 폭력성을 자발적 희생을 통한 사회적 정화로 받아치고 있다. 폭력성, 획일성, 제도화에 대항하는 유자의 이미지들은 근대성의 대항적 가치에 대한 믿음을 일깨운다. 긍정적인 예술가 상을 통해 작가가 보여주고자 했던 궁극적인 서사의식은 근대가 구현하고 있는 절대적 가치의 허상이다. 더불어 그 결락을 통해 현실을 재조명하고 그것을 무의식적으로 체화한 스스로 무력하길 자처하는 주체에 대한 반성적인 인식을 촉구하고 있다. This study tells that a writer pictures the artist aspect reflects the writer's world perspective with based on Lee Jeha's novel is the Artist-novel. In the Story of 「Yu Ja Yak Jeon」, there are three different artists show up, and they have essentials of the art that writer idealizes between the relationship with "Yu Ja" and receive the alternative value. Yu Ja, reacts unsociably, is the existence of ''Jonah'' which is backward to the mother's womb through the sleeping that denies simbolic cosmos and her painting is likely to be the shamanism's behavior for the people who are locked up in the blind spot to warn dangers and threatens of real life. The image of ''Jonah'' and ''Shaman'' is the symbol of the identity which are not isolated and fragmented, and it shows the mystic figure that are not damaged with restriction of modern symbol apiece. They exist in the core of modern society but not to be captured by modern violence, it is the anti-modernities' main theme to work as real signifier in the modernism. Otherwise, ''Teacher Poong Dang'' and ''My'' violence to the ''Yu Ja'' reflects that the subject who internalized 1960's violent modernism's attribute commit violent to the ''Yu Ja''s world. ''Yu Ja'' receives this violence as a social purification through the voluntary sacrifice. An ''Yu Ja''s intrinsic attribute awakens the belief about anti-valuation of the modernism.. The ultimate narrative consciousness which the writer wants to show the positive artist aspect reinvents reality through the illusion of absolute value that modernism incarnates and its deficit, and urges the regret for the subject who have been accumulated a violent modernism unconsciously or voluntarily.

      • KCI등재

        김말봉 이명 연구

        진선영 ( Jin Sun-yo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3

        본고는 김말봉의 이명에 대한 확정 및 식민지 시기 작가 의식의 규명에 집중하였고 그의 작품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공과가 검증되어 제대로 된 김말봉 작가 연보 및 작품 목록이 작성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정리해 보면 첫째 김말봉의 본명은 말봉이다. 둘째, 김보옥은 김말봉의 필명이며 처녀작 「시집살이」와 이문옥이라는 필명은 확정을 유보한다. 셋째, 이슬 ‘로(露)’ 풀 ‘초(草)’의 露草는 김말봉이며 길 ‘路’ 풀 ‘草’의 路草는 사회주의자 鄭伯(鄭志鉉)이다. 다른 뜻의 두 개의 한자어를 모두 김말봉의 이명으로 판단하였고 이것이 검증 없이 되풀이 된 것이다. 김말봉의 이명을 확정하고, 유보하다 보면 김말봉의 첫 번째 글이 저널리즘에 부인기자로서 여학교를 방문한 뒤 쓴 기사문일 수 있으며, 식민지 시대 김말봉의 첫 등장은 부인기자로서 였음을 점칠 수 있다. 김말봉은 1928년 <중외일보> 학예부에 입사하여 1930년대 초반 퇴사하였고 약 1년 남짓 후에 <중외일보>의 후신인 <중앙일보>에 김보옥이라는 필명으로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하게 된다. The study focuses on confirmation of Kim Mal-bong's multiple names and investigation of the colonial period of the writer's consciousness. In summary, the first Kim Mal-bong's real name is Malbong. Second, Kim Bo-ok is the pen name of Kim Mal-bong, and Lee Moon-ok, the pen name of Kim Mal-bong, is reserved for confirmation. Third, Nocho(露草) is Kim Mal-bong and Nocho(路草) is a socialist Jeong Ji-hyun. Both different Chinese words were judged by Kim Mal-bong's multiple names, which was repeated without verification. Now, the name Nocho and the articles in the socialist magazine ‘New Life’ should be deleted from Kim Mal-bong's annual report. Kim Mal-bong's first post could be a female reporter after visiting a female school as a journalism reporter. Kim Mal-bong appeared to have joined ‘Choongwae Ilbo’ in 1928 and left office in the early 1930s. He married Jeon Sang-beom in Busan, where he enjoyed his honeymoon. And after about a year or so, Kim Bo-ok, who was elected under the pseudonym of the ‘JoongAng Ilbo’, is the successor to the ‘Choongwae Ilbo’.

      • KCI등재

        최인욱 신문연재 중편소설 연구

        진선영(Jin, Sun-Young)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3 No.-

        한국 현대문학은 상당한 문학적 축적과 괄목할 만한 결실을 맺었음이 주지의 사실이지만 풍성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누락되고 결실(缺失)된 텍스트들이 존재한다. 이에 문학 연구의 편향성에 대한 반성과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로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고 결실된 텍스트를 복원하는 작업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 취지를 목적으로 최인욱의 1950년대 신문연재 대중소설을 연구하였다. <벌레먹은 장미>는 1953년 8월 20일부터 9월 25일까지 『서울신문』에 연재되었다. 이 소설은 신체의 노출이나 육체적 행위를 서사의 표면에 배치하고 공포, 범죄, 광기 등과 같은 사회동향에 의해 방출된 무질서한 힘들을 조합하여 선정성을 극대화한다. 하지만 이러한 일탈의 영역은 보편적 가치 즉 도덕성의 회복을 통해 제거됨으로써 강렬한 멜로드라마적 속성을 지니게 된다. 표면적으로는 성적인 것의 추구와 파격적인 세태 설정을 통해 독자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지만 이면에는 이 모든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줌으로써 타매(唾罵)하는 새로운 교훈의 서사를 발견할 수 있다. <청춘은 아름답다>는 1954년 9월 12일부터 11월 1일까지 『서울신문』에 발표된 중편소설이다. 이 작품의 주제의식은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한다’는 그레샴의 법칙으로 정리된다. 악화는 학교부정과 사회부정을 저지르는 구세대를, 양화는 영리와 기지, 논리적 이성으로 이에 맞서는 청춘세대, 신세대를 대변한다. 세대의 속성을 대변하는 가치와 그것의 상대적 대립을 통해 전후세대의 가치혼란을 형상화하고 각각의 세대는 일정한 세력과 영향력을 지니면서 사회전반에 공존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이 작품에서는 세력의 균형이 신세대로 약간 기우는 듯 보이지만 젊은 세대 내에 존재하는 양가성을 보여줌으로써 균형을 조정한다. 최인욱의 이 두 작품은 작가의 개인적 이력으로 볼 때 초기소설에서 중기소설로 넘어가는 시기에 발표된 것으로 향후 장르적 변화를 예고한 작품이자 주제의식의 성숙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두 작품은 1950년대 전후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세태소설을 넘어서 사회비판을 통해 휴머니즘을 고취하는 사회소설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t is true that modern Korean literature has literary accumulation and noticeable success, but there are still existed vanished works regardless these abundant results. Therefore, to find out unknown writers and to restore the vanished works have being proceeded with regrets about the bias of literal studies and changes of paradigms in new era. Wit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researches Choi, In-wook's 1950's serial story in newspaper. The <Tainted Rose> was serialized on Seoul Daily from 20th of August to 25th of September in 1953. This story is exposed physical acts and goes extreme sexually suggestive with fear, crime and madness that were released in the terms of social trends at that time. However, this deviation is removed through universal valuation, that is, moral recovery, and has melodrama's attributes. Seeking sexual things and preposterous plots in the story arouse interest, but on the hidden side, to show everything plainly appeals insulted new moral lesson. The <One's youth is beautiful> was serialized on Seoul Daily from 12th of September to 1st of November in 1954. This work's theme consciousness shows Gresham's Law such as ‘Bad money drives out good money!’. In this story, Bad money represents old generations; commit illegal things in school and community and good money represents new generations who against old generations with smart, tactful and logical intellects. The value indicated attribution of generation and its against made anomie, each generation owned steady power and effect, and coexisted in whole society in the same age. The balance of power inclined to the new generations in this story, but showing both sides in new generations controlled the power balance, again. These two Choi, In-wook's stories were published on his early works to the middle. These two works predicted his genre changes later and showed maturing his theme consciousness. These two stories carried on social stories' function to stimulate humanism through social criticism and were beyond the stories that reflected social conditions around 1950's post Korean War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송계월 소설 연구

        진선영(Sun Young Jin)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현대소설연구 Vol.- No.54

        Song, Gye-wol was engaged in a social movement, ‘Seoul Girls Movement’ which leads ‘New Woman Culture Movement’, was a woman representative journalist of Gye-Byoek, and was an wide-awaken woman writer who try to united between a sense of purpose in life and subject in literature. All previous studies of Song, Gye-wol dealt with non-literal side of her and it aroused other misunderstandings and critic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Song, Gye-wol`s novels and illuminates her subjects and meanings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ong, Gye-wol`s novel is known that there is only one, but her novels are four books. <Letter from a Factory> is a female labor novel with woman laborer, describes a real story about gender discrimination in labor spot. <The First day of Street Messenger>, admitted as her major work, is rated typical professional literature that woman worker accepts classification and resolve to become a great warrior for proletarian liberation. <Young Mother> 2nd Episode presents writer`s purpose of to stimulate proletarian class struggle consciousness as express criticism of false awareness of bourgeois class through main character`s voice directly. <Sea Shore of Sin-Chang> is created as a form of novel on thewall, has strong instigation with her hometown, Sin-Chang`s fishermen`s struggles about the secret of gentleness as a colonial eploitation`s typical example. Her novels showed as that focusing on classification of unstable and illogical systems in colonial era Based on true story, she gained fresh materials and transmitted it to strong sense of subject. Moreover, not only reproducing oppressed reality but also suggesting practical purpose that arouse socialistic impulse. Song, Gye-wol present professional literatures armed with the strongest spirit of classification and fight with based on her personal experiences and social realism among women writers in that era.

      • KCI등재

        식민지 시대 ‘북청’의 지역성과 함경도적 기질성

        진선영 ( Jin Sun-you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5 No.-

        본고에서는 식민지 시대 함경남도 ‘북청’의 지역성과 그 장소성을 지역적 정체성을 표상하는 도구로 사용한 작가와 작품을 발굴하고자 한다. 역사적 삶의 공간으로서의 함경도 ‘북청’과 이러한 공간성이 작품에 투영되어 아이덴티티로 발현되는 ‘함경도’성을 통해 식민지 경성에 대항하는 공간적 대항지로서 유의미한 해석을 마련해 줄 수 있다. 식민지인들에게 북청은 북청 물장수로 대표되는 억척스러움과 강인함의 상징이었고 북청인들은 고향을 떠나 타향에 정착하여 그들만의 유대를 형성한 입지전적 이주민들이었다. 또한 그들은 현실적 고통을 교육을 통한 미래적 비전으로 전환시켰으며 스스로 북청인으로서의 긍지가 가득했다. 지역문학의 방법론으로 북청의 지역 정서를 증명하고자 할 때 제일 먼저 언급되어야 할 작가가 송계월이다. 송계월의 소설과 수필은 고향 북청을 배경으로 하는 글이 많다. 단순히 고향의 풍경을 점묘(點描)하거나 애정 어린 향수를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지리적 환경에 대비한 강인한 생활력과 정신력을 찬양하며 과도기 조선인들의 나약한 정신력에 대비하여 하나의 이데올로기적 지향점으로 서술하고 있다. 북청에서의 유년 시절은 송계월의 사상 형성에 주요한 동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성실함, 근면함, 높은 교육열 등의 북청 지역성은 식민지를 타계할 수 있는 민족정신의 지향점으로 제시된다. 특히 송계월은 자본주의의 기세를 물리칠 대안으로 함경도 여성의 ‘노동을 통한 경제적 독립’과 ‘교육열’을 제시한다. 함경도 여성의 ‘찔악’의 정체성은 ‘우주라도 혼자 정복하리라’는 굳세고 강인한 정신의 지역적 별칭으로 정신과 물질의 자립, 미래에 대한 투자를 통해 탈식민의 대안적 가치로서 제시되었다. 송계월의 기질과 지향은 북청의 역사적인 전통과 지리적, 문화적 환경에 영향을 받은 바 크다. 송계월은 함경도적 정체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과 이것이 당대 현실의 모순을 타파할 수 있는 지향적 이데올로기였음을 자각하였다. 깊은 사고를 바탕으로 한 강인한 행동성, 노동의 신성성, 교육의 미래성 등은 북청의 지역성을 하나의 이념으로 받아들인 송계월의 실천적 지향이었다. This study develops writers and works that represented with Hamgyongnam-do’s ‘Buk-cheong’ locality and location used as a local substantial factor in colonial era. For people in colonial era, ‘Buk-cheong which has been represented by ’Buk-chong Water salesman was a symbol of relentless and strongness, and the people in ‘Buk-chong’ left from their hometown and make their own relationships. Therefore, they switched their recent hardships to futuristic vision through education and fully packed with pride as a ‘Buk-chong’ people. To prove ‘Buk-chong’ locality as a regional literature’s methodology, Song Gye-wol is the first writer has to be mentioned. There are many Song Gye-wol’s novels and essays with her hometown ‘Buk-chong’ background. Song Gye-wol described her hometown not just to portray it and to treat nostalgia praise strong vitality and willpower against sterile circumstance and but to point out ideologically against weak willpower of people of Chosun Dynasty. Young period in Buk-chong helped not only to build a Song, Gye-wol’s thought but also to present a ‘Buk-chong’ locality such as faithfulness, diligence, and fervor for education overcome colonial era. Especially, Song Gye-wol suggested Hamgyong-do woman’s economic independence and fervor for education as an alternative plan for defeating capitalism. Hamgyong-do woman’s identity presented as an alternative value of post-colonialism through independent of spirit and material and investment for the future with local dissimilar expressions of strong and tough spirit such as ‘Conquer the cosmos by themselves’. Song, Gye-wol’s tendency and aim had been affected by ‘Buk-chong’s historical tradition and geographic and cultural circumstances. Song, Gye-wol realized that deep awareness about Hamgyong-do style identity could break contradiction. Strong activity, sacrifice of labor, and future of education that based with deep thoughts were Song, Gye-wol’s practical aim who accepted ‘Buk-chong’s locality as a firm philosophy.

      • KCI등재

        일반논문 : 장덕조 신문 연재 장편 「은하수」 연구

        진선영 ( Sun Young Ji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6

        식민지 시대에 쓰인 장덕조 초기소설은 이후 70여 년 동안 지속된 장덕조 소설의 주제의식을 예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작가의 초기소설 중 신문에 연재된 처녀 장편 「은하수」(1937.7.17-12.29.)를 통해 초기소설의 주제 의식과 작가의 세계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은하수」는 장르적으로 볼 때 대중연애소설임에도 주인공 남성과의 연애 관계는 약화되고 오히려 식민지 여성들의 개인적, 사회적 수난사가 전면화 되어 있기에 제명 (題名) 「은하수」처럼 아름답고 고귀하지만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부유(浮游)하는 ``약하고 불쌍한 무리들``의 수난을 인물 분석을 통해 살필 필요가 있다. 소설 속에서 세상의 지탄을 받는 살인하는 여자(신영순), 타락하는 여자(김명애), 자살하는 여자(정신적 자살-오현경)의 내막과 심경은 광인의 살기어린 목소리를 통해 직설적으로 전달된다. 이들이 살인하거나 타락하거나 미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남성으로 대변되는 사회의 부조리 때문이다. 여성들이 다른 시대적 감각과 성격, 외모를 가지고 있지만 하나같이 똑같은 운명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것은 ``계집된 죄``라는 공통된 운명의 질곡 때문이며 남성들은 오직 태생적으로 갖게 된 남성된 무기를 특권처럼 휘둘러 여성을 시련과 고통으로 내모는 것이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 남성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불합리만을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 주눅과 자만, 콤플렉스 등의 여성 개인적 결함까지 함께 비판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식민지 여성의 삶과 시련,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Early Jang, Duk-jo`s story in colonial era presented her story`s main subject last for 70 years. This study examines her first serial story in a newspaper 「the Milky Way」(1937.7.17-12.29) and try to find out her early work`s thematic consciousness and her own view of the world. Although 「the Milky Way」 is the public love story, having relationships with male character weakened and female character`s individual and social hardships are exposed in colonial era. Accordingly, weak and pitiful character`s hardships in the story have to be analyzed just like "the Milky Way", beautiful and noble but go around. In the story, killer woman(Shin, Young-soon), corrupted woman(Kim, Myoung-ae), committing suicide woman(psychological suicide-Oh, Hyun-kyung)`s core hearts are delivered directly. The reason why they kill people, being corrupted, or get crazy is because social irrationality which is represented by masculine gender. Women have different sense and appearance, but they can`t live with same destiny. There is one very important reason; women have common guilt because they are female and men have a privilege and use this force only because they are male. However, this story criticized male-dominated social irrationality but female`s timid, conceit, and complex and suggested female`s life, hardship and promising perspective under the colonial era.

      • KCI등재

        성인여성의 쇼핑성향과 샵마스터의 태도에 대한 반응 연구

        진선영(Sun Young Jin),이선재(Sun Jae Lee) 한국복식학회 2001 服飾 Vol.51 No.2

        The study is designed to classify consumer groups based on thei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satisfaction to the shop-master, and factors of the shop-master`s nature to underst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women from 18 to 35. The fin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447(consumers) and 336(shop-masters) pieces of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sed with SAS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ere composed of four dimensions : recreational shopping orientation, convenience/economic shopping orientation, store/brand loyalty shopping orientation, and shopping confidence. 2. In the satisfaction to the shop-master, the consumer was not satisfied by the appearance, product-presentation, and consumer-management of the shop-master but kindness, trust, and product-explanation by the shop-master. The shop-master guessed that consumers were completely satisfied. 3. The consumer had an influence on product-understanding. response, and consumer-understanding of the shop-master, and the shop-master guessed that consumers had an influence on every thing of shop-master. 4. The more consumers were store/brand loyal, the mor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hop-master, and had an influence on the factors of the shop-master`s nature. But consumers were confident on the shopping, were not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atisfaction of the shop-master and the factors of the shop-master`s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