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편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개선방안

        지은구(Eun-Gu Ji)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5 No.2

        The basic purpose of this paper finds out the development plan of Community welfare coalition system and looks for the plan for a coalition network between government and voluntary sector including non private organization(NPO) and NGO.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First, the paper monitors function of the existing Community welfare coalition system. Second, the paper finds 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development of the public and voluntary sector. Third, the paper looks for the improvement methods for the more well functioning of Community welfare coalition system fitting in Korea. Finally, the paper focuses on the device for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voluntary sector and the meaningful role of the two sectors of the successful fixing of Community welfare coalition system in Korea.

      • KCI등재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은구(Eun-Gu, Ji)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public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be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urrent government and the former government,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methods for more effective and equitable way to deliver the public social welfare service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followings. The first, the government must change the role of the community center which is the border line to provide welfare services and meet the community needs to the public. The second, the government must to establish the partnership with non-profit organizations to deliver the more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services. The third, the government should concern about the new role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ollaborative network which is not functioning well to provide the social welfare services through the public and the private relationship.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과 타당도 연구

        지은구(Ji, Eun Gu),손제희(Son, Jehui),김민주(Kim, Minju)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사회적 자본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간 국내외에서 진행되어온 사회적 자본 측정과 관련된 문헌을 연구하여 예비문항을 설정한 다음, 내용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 초점집단면접조사를 실시한 후 예비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예비지표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대구, 경북, 부산, 경남지역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553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18.0 및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최종 선정된 지표에 대해서는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사회적 자본 지표의 요인구조를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요인구조의 모형을 수립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셋째, 최종 확인된 지표에 대해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 자본 지표가 타당도를 확보한 유의한 지표임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ocial capital Indicator that social workers to recognize and examining the validity. For those purpose, we researched the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social capital measure being progressed in domestic and foreign in a while and set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and after interviewing the focus group to increase the content validity, we derived preliminary indicator. To examine the validity of derived indicator, we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the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Daegu, Gyeongbuk, Busan and Gyeongnam. Total 553 case of responses are used in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re carried out by SPSS 18.0 and AMOS 22.0. We examined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bout the ultimately selected indicator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rived a factor structure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confirmed model of derived factor structure. Third, examined verification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o secure the validity about ultimately confirmed indicator. It is empirically validated that the social capital indicator developed in this study is the significant indicator securing a validit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형 고령친화도시 점검척도 개발연구

        지은구(Eun-Gu, Ji),이원주(Won-Ju, Lee),김민주(Min-Ju, Kim)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고령자가 사회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는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한국형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가 WHO의 고령친화도시 8대 분야를 원용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노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노인이 친근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최저기준선(baseline)점검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고령친화도시 측정도구를 면밀히 분석하고,측정도구의 대안으로 한국형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를 새롭게 제시하면서 그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의 요인구조를 개발하였다. 둘째, 요인구조의 경험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모형을 수립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의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하였다. 신뢰도 분석을 통해 항목 간에는 내적일관성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타당도 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렴타당도 평가 결과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 모두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판별타당도 평가에서는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 변수들 간에 동일하다는 가설을 기각함으로써 판별타당도를 확보 하였다.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형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가 긍정적인 평가 도구로 활용을 높일 수 있음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elderly friendly cities in Korea. This scale should to contribute the building an active and dynamic life for the old people in Korea. To develop the scale suitable for the cities in Korea and checking the level of elderly friendly cities, three steps were performed.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first draft scale was developed and was examined by focus group members who are social workers working in area of the elderly to construct validity. Second, a closed questionnaire was provided for 500 randomly selected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ity of DaeGu. Lastly, as a result of survey, a scale of the level of elderly friendly cities was composed of 28 items that are placed in 10 sub domain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cale will be used for monitoring the criterion of the elderly friendly cities across the country, and furthermore, the scale will be used for practical use to make more comfortable and active living condition for the aging.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 서비스 품질관리척도 개발연구

        지은구 ( Eun Gu Ji ),이원주 ( Won Ju Lee ),김민주 ( Min Ju K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3 사회복지정책 Vol.40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서비스품질관리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연구가 SERVQUAL모델을 차용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복지관 관계자들 15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195개 지역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지역사회복지관들이 자체적으로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최저기준선 개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품질의 구성요소를 면밀히 분석하고, 측정도구의 대안으로 지역사회복지관 서비스 품질관리척도를 7개 영역 18개 문항으로 새롭게 제시하면서 그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구조를 개발하였으며,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확인된 요인구조의 경험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체 잠재요인 대상으로 측정변수들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의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타당도 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잠재요인 신뢰도값(CR; .855이상)과 평균분산추출값(AVE; .796이상, 상관계수 제곱=.384)이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표준오차추정구간값(.632/.608)이 지역사회복지관 서비스 품질관리 척도 7개의 변수들간에 동일하다는 가설을 기각함으로써 수렴 및 판별타당도를 확보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역사회복지관 서비스 품질관리척도가 유의미한 평가 도구로 활용을 높일 수 있음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The present study develops the service quality measure for the using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We explore the current service quality measur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SERVQUAL model and then verify the developed quality measure by the interview with two focus groups consisted of 15 supervisors working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final measure was examined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erified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95 community centers. Results indicate that 7 dimensions of 18 indicators have acceptable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It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re satisfactory.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can continuously improve and manage their service quality using the developed measure in terms of quality management.

      • 사회복지민영화의 비판적 검토

        지은구(Ji Eun-Gu)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9 비판사회정책 Vol.- No.27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에서의 민영화문제를 다룬다. 의료, 사회서비스, 노인장기요양서비스 등과 같은 사회복지영역에서의 민영화정책의 확대는 경쟁과 선택이라는 시장의 기제가 강조되는 영리중심의 민영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민영화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둘째, 사회복지영역에서 민영화와 영리화를 구분하고 영리화를 강조하는 이용자중심모델을 설명하며 셋째, 민영화에 있어 정부의 관리 통제적 측면을 설명하고 넷째, 민영화를 위한 전제조건과 영리화의 특징과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영리화의 한국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민영화에 대한 개념과 범위 그리고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사회지표를 사용하여 선진복지국가민영화의 전제조건 등을 분석하여 한국으로의 적용가능성과 한계를 민영화에 따라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The privatization of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ervices is a universal phenomena of the around world. Since 1980, the U. K. and U. S have been leading group the privatization of social services. The most crucial factor for changing the welfare system in the welfare states is the financial efficiency. In the beginning of the welfare system, the private support system is the main source besides state intervention. The transformation of the welfare state could be traced by which sector is the main part of the welfare in the product and supply. Public sector is the key after 1950s. After 1980s, welfare mix is the changing key to understand the welfare state. The South Korea is not an exceptional for privatization in the area of social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finitions, dimensions, and types of privatization. And also the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rivatization of welfare product and supply applying for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are the followings. First, find out the definitions, types of privatization. Second, distinct privatization, marketization, and profitization. Third, examine the sub conditions of privatization. Forth, apply the conditions of privatization for South Kore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South Korea is not a nation where the financial budget of welfare sector is over 20% of GDP such as advanced states. And infrastructure of welfare is very weak in the all part of welfare areas. So it is suggested that privatization or marketization should be a critical factor to undermine the public sector in the welfare areas.

      • KCI등재

        노인 일자리사업 정착을 위한 사회적 기업 활성화방안

        지은구(Eun-Gu Ji)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8 No.1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possibility of the social enterprise for the elderly peopl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strategies building the social enterprise which i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developing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is the most important policy for the elderly people because it provides job positions for the retired and also income stability for the old who lost economic security form their families and business companies. The social enterprise which is looking for the new job positions for the elderly people is a benefit for the old and the community. For the elderly people who are looking for jobs, the social enterprise could not only provide employment training and job skills also make profit from the market sector. For the community, the social enterprise provides the profit made form the market to the community services to create new jobs for the elderly people.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특성

        지은구 ( Eun Go Ji ) 한국민족연구원 2012 민족연구 Vol.0 No.51

        This exploratory study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In order to find the change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fter 2000 in Korea, this study adopted the analytical tools of Beslley(2002)`s model which analyzes the state role of the social service delivery in terms of financial, regulation, and provision and Young(2000)`s model which tr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Korea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is possibly summarized by the weakness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public and the strength of the market in the area of the social welfare. The study suggests that for strengthening the effectiveness and equity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in the era of the mix of the welfare, it might be necessary to analyze and understand about the components of the failures of the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