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여성에서 질 상피세포 성숙치와 골밀도에 관한 연구

        지용일(Yong Il Ji),조숙(Sook Cho),윤정묵(Jung Mook Yoon),황성욱(Seong Ook Hwang),고승권(Seung Kwon Kho),이우영(Woo Young Lee),김준미(Joon Mee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2

        목적: 폐경 여성에서 질 상피세포의 성숙치와 골밀도의 관계를 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93명의 폐경 여성에서 질 상피세포의 성숙지수와 혈청 에스트라디올, 골밀도를 측정하였고, 질 상피세포의 성숙지수에 표면세포에는 1.0, 중간세포에는 0.6, 부기저세포에는 0.2의 값을 주어 질 상피세포의 성숙치를 산정하였다. 골밀도는 DEXA를 이용하여 제2, 3, 4 요추에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결과: 평균 질 상피세포의 성숙치는 50.53±20.74였고, 요추의 평균 골밀도는 0.88±0.14g/cm2였다. 질 상피세포의 성숙치는 나이, 요추 골밀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질 상피세포의 성숙치는 골밀도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반영한다. Objective: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vaginal cytolog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In 93 postmenopausal women, vaginal cytology smears were taken for maturation index, serum estradiol level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also taken. the percentage of each cell type found By vaginal cytology was multiplied to its specific value:superficial cells, 1.0; intermediate cell, 0.6; parabasal cell, 0.2 and modified to maturation value.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at lumbar spine using DEXA. Results: The mean bone mineral density was 0.88±0.14g/cm2. Mean maturation value was 50.53±20.74 and it was related with age and bone mineral density. Conclusion: Maturation value of vaginal epithelial cell represents the influence of estrogen on bone mineral density.

      • KCI등재

        Meigs` 증후군과 경화복막염을 동반한 양측성 난소섬유난포막증

        지용일 ( Yong Il Ji ),서미원 ( Mee Won Seo ),한은미 ( Eun Mee Han ),김대연 ( Dae Yeon Kim ),서대식 ( Dae Sil Suh ),김종혁 ( Jong Hyeok Kim ),김용만 ( Yong Man Kim ),김영탁 ( Young Tak Kim ),남주현 ( Joo Hyun Na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7

        Fibrothecoma is mesenchymal tumor deriving from the ovarian stroma composed of theca-like elements and fibrous tissues. Fibroma is rarely associated with Meigs` syndrome which consists of an ovarian fibroma, ascites, and pleural effusion. And also, sclerosing peritonitis associated with thecoma of the ovary is a rare, but intriguing phenomenon characterized by striking peritoneal reactive fibrosis.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Meigs` syndrome and sclerosing peritonitis associated with fibrothecoma of the bilateral ovaries in a 57-year-old woman. We report a cas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혈액암 환자에서 조기난소기능부족증 예방을 위한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작용제의 병합 사용

        전성욱 ( Sung Wook Chun ),지용일 ( Yong Il Ji ),주영돈 ( Young Don Joo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혈액 암으로 진단 받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는 환자에서 난소 기능 보존을 위한 성선자극분비호르몬작용 제 병합요법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대학병원에서 혈액 암으로 처음 진단 받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폐경 전 젊은 여성을 연구 대상에 포함하였다. 결과: 29명 (15-39세)의 환자가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이 중 5명은 항암화학요법 중 leuprolide를 병합투여 받았고 24명은 항암화학요법만 시행 받았다. 항암화학요법만 단독으로 시행 받은 24명 중에서 17명이 치료 종료 1년 이내 조기난소기능부족 증으로 진단 받았으며 leuprolide 병합 투여군 5명 중에서는 1명만 치료 종료 1년 이내 조기난소기능부족 증으로 진단 받았으나,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 = 0.054). Leuprolide 병합 투여 군에서 혈청 항뮐러리안호르몬 농도는 치료 전 (5.57 ± 0.18 ng/mL)에 비해 치료 후 (1.84 ± 0.22 ng/mL)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 < 0.001). 결론: 성선자극분비호르몬작용 제는 조기폐경 예방을 위해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으나 아직까지 그 효과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향후 충분한 추적관찰 기간을 가지는 대규모의 다기 관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 co-treatment for gonadal protection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neoplasms undergoing chemotherapy. Methods: Young premenopausal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leukemia or lymphoma between March 2010 and February 2012 and undergoing chemotherapy in a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Twenty-nine patients aged 15-3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 patients, five patients were receiving leuprolide concomitant with chemotherapy, and twenty-four patients were receiving chemotherapy alone. Seventeen patients in the chemotherapy alone group stopped menstrating and were diagnosed with primary ovarian insufficiency (POI) within one year after chemotherapy; and only one patient had POI in the chemotherapy plus leuprolide group,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4). In the chemotherapy plus leuprolide group, serum anti-mullerian hormone (AMH)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basal serum AMH levels (5.57 ± 0.18 ng/mL) (P < 0.001) after treatment (1.84 ± 0.22 ng/mL). Conclusion: GnRH agonist may be a promising option for the prevention of POF, but the effectiveness of GnRH agonist is still debatable. A large prospective multi-center trial with adequate follow-up is needed.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93-100)

      • KCI등재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의 임상적 고찰: 자궁내막 선암과의 비교분석

        이신화 ( Shin Wha Lee ),지용일 ( Yong Il Ji ),서미원 ( Mee Won Seo ),김대연 ( Dae Yeon Kim ),서대식 ( Dae Sik Seo ),김종혁 ( Jong Hyeok Kim ),김용만 ( Yong Man Kim ),김영탁 ( Young Tak Kim ),남주현 ( Joo Hyun Na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8

        목적: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은 자궁내막암 중 드문 암종에 속하지만 나쁜 예후를 보인다는 면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내막 선암과 비교하여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고, 치료에 대한 결과 및 예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1989년 5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수술로 진단된 21명의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 환자와 332명의 자궁내막 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자들의 의무기록, 병리보고서를 통하여 임상적 특징, 조직학적 소견, 수술적 병기, 치료 양식, 예후 및 생존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21명의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 환자들의 진단 당시 평균 나이는 60.9세였다. 폐경 후 여성이 18명이었으며(85.7%), 대부분의 환자가 비정상 질출혈을 나타냈다 (75%). 자궁내막암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비만, 당뇨, 고혈압, 호르몬 대체 요법의 경험 등은 대체로 보이지 않았다. 병기 1기가 10명 (47.6%), 2기가 2명 (9.5%), 3기가 5명 (23.8%), 4기가 4명 (19.1%)이었다. 병기에 관계없이 전체 3년 생존율은 자궁내막 선암에서 97.4%이었고,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에서 43.1%로 나타났다. 수술을 시행 받은 21명의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 환자 가운데, 3명의 환자가 수술만 시행하고 보조요법을 받지 않았으며, 9명의 환자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6명의 환자가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을, 그리고 3명의 환자가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과 방사선 요법을 함께 시행 받았다. 결론: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 환자들은 자궁내막 선암에 비해 나쁜 예후를 보였다. 따라서, 난소암의 경우와 같은 철저한 수술적 병기결정이 예후를 결정하는데 필수적이며, 충분한 수술 후 보조요법이 필요하다. Objective: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UPSC) is uncommon endometrial cancer, but clinically significant because of its poor progn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inical and 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and to evaluate the overall survival compared with endometrioid adenocarcinoma of uterus. Methods: Twenty one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and 332 patients with endometrioid adenocarcinoma who were surgically staged at the Asan medical Center between 1989 and 2004 were analyzed with review of clinical characteristics; pathologic findings, surgical stages, treatment modalities, prognosis and survival time from medical records and pathologic reports. Results: In 21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the median age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60.9 years (range, 38-81 years), which occurred in 18 postmenopausal women (85.7%) and usually presented with abnormal vaginal bleeding (75%).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or a history of hormone replace therapy, known as risk factors of endometrial cancer, were not so frequently associated. In 21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there were 10 patients (47.6%) with stage I disease, 2 (9.5%) with stage Ⅱ, 5 (23.8%) with stage Ⅲ, and 4 (19.1%) with stage Ⅳ. The 3-year survival rate was 97.4% in endometrioid adenocarcinoma and 43.1% in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in all stages. Among 21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who had surgical staging, 3 patients received only operation and 9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after surgery, 6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and 3 patients eceived concurre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showed a higher rate of abdominal metastasis and poor prognosis compared to patients of endometrioid adenocarcinoma. Therefore, complete surgical staging like in cases of ovarian cancer is vital in determining disease prognosis and vigorous adjuvant therapies are required.

      • KCI등재

        자궁절제술이 수술 초기 난소예비력에 미치는 영향

        전성욱 ( Sungwook Chun ),전균호 ( Gyun Ho Jeon ),조현진 ( Hyun Jin Cho ),지용일 ( Yong Il J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1

        목적 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한국여성에서 수술 초기 난소예비력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후향적으로 자궁절제술 수술 전 규칙적인 월경을 보이던 30-50세 사이의 여성에 대한 의무기록과 검사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총 31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모든 대상 환자는 양쪽 난소수술 없이 예정된 자궁절제술을 시행받았으며 이 중 복강경하 질식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21명, 복식전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10명이었다. 모든 대상 환자는 수술 전과 수술 후 3일째 Anti-Mullerian hormone (AMH) 검사를 시행받았다. 모든 개별 환자들의 수술 전 후 AMH 농도의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결과 수술 전과 수술 후 AMH의 평균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46±0.49 ng/mL and 2.29±0.43 ng/mL; P=0.200). 수술 전후 유의한 AMH 변화는 없었다(1.17±6.63%; P=0.861). 결론 자궁절제술은 수술 초기 난소예비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the ovarian reserve in early postoperative period after hysterectomy in Korean wome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laboratory data of patients aged 30-50 years with regular menstruation before hysterectomy, and 31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enrolled underwent scheduled hysterectomy with conservation of both ovaries (laparoscopy-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n=21; an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n=10), and received serum anti-Mullerian hormone (AMH) tests preoperatively and 3 days after operation. Changes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MH levels of each patient were calculat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 cant differences between pre-and postoperative AMH concentration (2.46±0.49 ng/mL and 2.29±0.43 ng/ mL; P=0.200). No signifi cant percentage reduction of AMH level existed (1.17±6.63%, P=0.861).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hysterectomy does not infl uence the ovarian reserve in early postoperative period.

      • KCI등재후보

        폐경여성에서 녹내장 발생과 혈중 에스트라디올 농도와의 관계

        전균호 ( Gyun Ho Jeon ),조현진 ( Hyun Jin Cho ),전성욱 ( Sung Wook Chun ),지용일 ( Yong Il Ji ),정철회 ( Chul Hoi Jeong ),서민희 ( Min Hee Suh ),이주은 ( Joo Eun Lee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폐경여성에서 녹내장 발생과 혈중 에스트라디올 (estradiol, E2)농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30명의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혈중 E2 농도, 폐경 관련 임상 지표, 안압, 빛 간섭 단층촬영 등의 녹내장 관련 임상 지표를 측정하였다. 안과적 선별 검사 결과에 따라 녹내장 의심 군으로 분류되면 정밀검사를 시행하여 녹내장 여부를 확진 하였다. 모든 환자들을 녹내장 의심 군과 녹내장 비의심군으로 분류한 후 두 군 사이의 혈중 E2 농도 및 지질 농도, 골밀도 등의 폐경 관련 임상 지표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30명 중 녹내장 의심군으로 분류된 환자가 8명 (26.7%)였으며, 이중 1명이 치료가 필요한 녹내장, 2명이 초기 녹내장으로 진단되었다. 녹내장 의심 군과 비교하여 녹내장 비의심군에서 혈중 E2 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19.40 ± 4.79 vs. 13.95 ± 4.55 pg/mL, P = 0.525). 혈중 E2 농도가 높은 군 (≥ 20 pg/mL)과 낮은 군 (< 20 pg/mL) 사이의 녹내장 의심자의 빈도 또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25.0 vs. 27.3%, P = 0.645), 녹내장 의심 군과 비의심군간의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도 녹내장 의심 군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지표는 역시 없었다. 결론: 폐경여성에서 빛 간섭 단층 촬영과 같은 정밀 선별검사를 시행한 결과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슷한 연령대의 녹내장 유병 율보다 높은 빈도에서 녹내장 환자를 발견할 수 있었다. 혈중 E2 농도와 안압 및 녹내장 발생 위험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glaucoma and association with the serum estradiol (E2) level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evaluated the serum E2 level, female reproductive factors and glaucoma related risk factors including intraocular pressure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findings in 30 postmenopausal women who visited Obstetrics and Gynecology outpatient clinic. Patients who showed abnormal findings on the glaucoma screening test were classified to the glaucoma suspect group (group-G), and underwent a glaucoma confirmatory test. Serum E2 level, female reproductive and other menopausal health-related factors such as lipid profiles and bone mineral densities were analyzed in the group-G and non glaucomatous group (group-N). Results: Eight out of thirty participants (26.7%) were classified to the group-G. One of them was diagnosed as having glaucoma that required treatment, and the other two were found to have early glaucomatous changes. Compared to the group-G, the group-N had a higher level of serum E2 (19.40 ± 4.79 vs. 13.95 ± 4.55 pg/mL) The difference, howev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525). The proportion of glaucoma suspect patients in the groups with a higher serum E2 level (≥ 20 pg/mL) and a lower serum E2 level (< 20 pg/mL) was similar (25.0 and 27.3%, P = 0.645).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no female reproductiv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laucoma. Conclusion: Comprehensive glaucoma screening using an OCT in postmenopausal women could detect more glaucoma patients than prevalence in the similar age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in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E2 level and the risk of glaucoma.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106-111)

      • KCI등재
      • KCI등재

        젊은 여성에서 발생한 초기 자궁내막암의 고용량 progestin의 치료효과

        조윤현 ( Yun Hyun Cho ),서대식 ( Dae Shik Suh ),지용일 ( Yong Il Ji ),김대연 ( Dae Yeon Kim ),김종혁 ( Jong Hyeok Kim ),김용만 ( Yong Man Kim ),김영탁 ( Young Tak Kim ),남주현 ( Joo Hyun Na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목적: 자궁내막암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본 연구에서는 가임력을 요구하는 젊은 여성에 있어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 고용량의 progestins의 치료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8년 4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울산대학교 산부인과교실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고용량의 progestins으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적응증, 치료 방법, 치료 평가 방법, 치료 기간, 재발 유무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결과: megestrol acetate 80-160mg의 용량 혹은 medroxyprogesterone acetate 500-1,000 mg의 용량으로 호르몬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7명 (70.0%)의 환자가 치료에 반응을 보였고 4명의 환자가 임신에 성공하였다. 3명의 환자가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모든 환자가 재발의 근거 없이 경과 관찰 중이다. 결론: 가임력을 원하는 초기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고용량의 progestins 치료는 정기적인 치료 평가와 적절한 경과 관찰 하에 일차적 치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high dose progestins in young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endometrial cancer. Methods: Between April 1998 and December 2005, 10 women with early stage of endometria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high dose progestins as primary therapy for the purpose of saving fertility. Results: They took 80~160 mg of megestrol acetate or 500~1,000 mg of medroxyprogesterone acetate per day, and then followed up with the endometrial curettages. Seven patients (70.0%) responded to the treatment. Three patients didn`t respond and so underwent hysterectomy as definite treatment. Four patients were able to become pregnant after completing treatment. No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Conclusion: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well-differentiated endometrial adenocarcinoma who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 with a progestational agent responded to the treatment. High-dose progestin therapy can be used as primary therapy in selected young women with early stage of endometrial carcinoma.

      • KCI등재

        임신중기에 패혈성쇼크에 이환되었으나 만삭분만한 증례

        조현진 ( Hyun Jin Cho ),전균호 ( Gyun Ho Jeon ),전성욱 ( Sung Wook Chun ),정철회 ( Chul Hoi Jeong ),지용일 ( Yong Il J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5

        The Septic shock is a major cause of maternal death during pregnancy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etal state. Septic abortion is the representative cause.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t causes or unknown causes as well. As soon as the diagnosis of septicemia, it should be treated immediately and aggressively.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and fetal condition such as fetal distress, the delivery time should be decided. This case is of a mother who suffered from septic shock at the 23rdweek of the pregnancy. The cause of the septicemia could not be found in this case, but the patient was able to recover through early aggressive treatment. The fetus was in a favorable condition so the patient was able to give birth to the baby in full-term after recovering from sep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