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골극 골절의 관절경적 치료 후 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

        최종혁,김성환,주종환,김형식,Choi, Chong-Hyuk,Kim, Sung-Hwan,Joo, Jong-Hwan,Kim, Hyung-Sik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1

        목적: 경골극 골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골편의 정복 및 고정 후 골절편의 정복 정도와 전방 불안정성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골극 골절로 관절경적 치료를 받은 3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8개월(12개월-48개월)이었다. 수술 후 평가는 Lachman 검사 및 회전 불안정성 검사와 KT-2000 관절측정기를 이용한 건측과의 전방전위차이(SSD)를 측정하였다. 방사선 사진 상 골편의 완전 정복, 전방 거상 및 정복 실패로 나누었고, 골편의 정복 정도에 따른 전방 불안정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골편의 완전 정복, 전방 거상, 정복 실패는 각각 23예(71%), 8예(25%), 1예(4%)였고 pull-out 방법 28예 중 8예(29%)에서 전방 거상이 있었다. 완전 정복군과 전방 거상군의 SSD는 각각 2.0 mm와 2.8mm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Lachman 0등급 비율(P=0.021)과 3 mm 미만의 SSD의 비율(P=0.048)은 의미 있게 정복군이 높았다. 결론: 심하게 전위된 골절일수록 골편의 정확한 정복이 술 후 전방 동요를 줄이는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봉합사를 이용한 pull-out 방법에 의한 고정은 수술 후 골편 전방부의 거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 of the degree of reduction and anterior instability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of tibial spin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cases of tibial spine fractures treated with arthroscopic procedure could be evaluat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12{\sim}48)$ months. Evaluations included Lachman test, rotatory instability examination and side to side difference (SSD) using KT-2000 arthrometer. The degree of radiologic reduction was classified as accurate reduction, anterior elevation and reduction failure, according to which the degree of anterior instability was measured. Results: There were twenty three cases (71%) of accurate duction, eight cases (25%) of anterior elevation and one case (4%) of education failure. Eight (29%) of twenty eight cases with pull-out method showed anterior elevation. The SSDs of the accurate reduction and the anterior elevation group were 2.0 mm and 2.8 mm,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percent age of grade 0 Lachman test and SSD less than 3 mm of the accurate reduc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Accurate reduction is important in reducing anterior instability especially in unstable fractures. Therefore, arthroscopic pull-out method should be performed with great caution to avoid anterior elevation of the fracture fragment.

      • KCI등재

        견봉 쇄골 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강호정(Ho-Jung Kang),고일현(Il-Hyun Koh),주종환(Jong-Hwan Joo),천용민(Yong-Min Chun),김형식(Hyung-Sik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1

        목적: 견쇄관절의 손상이나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으나, 견쇄관절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저자들은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및 결과, 예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쇄골 외측단에서 2.5 cm 내를 침범한 원위 쇄골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1명 (2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과 CT상 원위 쇄골의 골절선이 견쇄관절로 연장 (5예)되어 있거나, 7 mm 이상의 견쇄관절의 이개 (separation)가 있는 관절내 골절 (9예), 또는 건측과 비교해서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관절내 골절 (7예)을 견쇄관절의 손상이 있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Craig 분류상 III형이 16예, V형이 5예였다. 금속판 (9예), 소형나사 (1예),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10예) 및 경 견쇄관절 K 강선 (1예)을 사용하여 골절을 고정하였다. 건측에 비해 100%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었던 1예 및 골편이 작아 고정력이 약하다고 판단된 1예에서 경 견쇄관절 (transarticular AC joint) K 강선 고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견봉 쇄골 인대 또는 오구쇄골 인대의 봉합이나 재건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결과: 21예 중 20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까지의 기간은 평균 8.4주이었다. 최종 추시시 5예에서 견쇄관절의 외상성 관절염이 관찰되었고, 4예에서 견쇄관절의 이개가, 2예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50% 이하의 상방전위가 남아 있었으나 견쇄관절의 이개 및 상방전위가 술전보다 증가된 예는 없었다. Kona 등의 기준에 따른 기능적 평가상 19예에서 우수, I예에서 양호, 1예에서 보통의 결과를 얻었다. 견쇄관절 손상의 분류에 따른 UCLA 점수는 I형에서 32.6점, II형에서 34점, III형에서 34.1점이었다. 술전 견쇄관절 손상 종류, 술후 잔여 관절의 이개 및 전위, 외상성 관절염의 유무와 임상 결과간에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p>0.05). 합병증으로는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고정술로 고정한 1예에서 불유합이 관찰되어 술후 3개월 금속판 고정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었으며,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예에서 추시 관찰 중 내고정물의 이완이 있었으나 추가적인 치료 없이 골절이 유합되었다. 결론: 견쇄관절로 연장된 골절이 있거나 관절내 골절이 있으면서 견쇄관절 간격이 7 mm 이상 벌어진 경우 또는 정상측과 비교하여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견쇄관절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라도 원위 쇄골의 정확한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통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수술 전 견쇄관절의 손상 종류 및 수술 후 경도의 외상성 관절염이나 이개, 상방전위와 임상적 기능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and the prognosis of various surgical treatments for th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n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21 patients with a minimum of 12 months follow up was done. We classified acromioclavicular (AC) injury into type I (only intra-articular fracture (IAF), 5 cases), type II (IAF with widening of the AC joint > 7 mm, 9 cases) and type III (IAF with AC joint superior subluxation > 50%, 7 cases). The distal clavicle fractures were fixed using plate (9 cases), mini screws (1 case), K wire and tension band wiring (10 cases) and transarticular pinning (1 case). Acromioclavicular or coracoacromial ligament reconstruction was not done in all the cases. Results: In 20 of 21 cases, bone union was achieved at an average of 8.4 weeks. Traumatic arthritis (5 cases), AC joint widening (4 cases) and AC joint subluxation (2 cases) were noted at the last follow up. The average UCLA score was 32.6 in the type I AC joint injuries, 34 in type II and 34.1 in type III.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outcomes and the preoperative AC joint injury pattern, postoperative traumatic arthritis, AC joint widening or AC joint subluxation (p>0.05). Concl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achieved by acute reduction and firm fixation of th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C joint injur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AC joint injury, the residual radiologic findings and the functional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