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문화적 무형자본을 바탕으로 한 ‘구별짓기’의 양태와 함의

        조희진(Cho HeeJin) 한국민속학회 2010 韓國民俗學 Vol.51 No.-

        이 연구의 목적은 종부와 종손, 반가(班家) 구성원들의 의복 관련 구술 속에서 과거에 존재했던 계급적 차이와 그로부터 형성된 지적(知的)ㆍ경험적 차이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구별짓기’의 양태를 유형화하여 그 특성과 합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반가 구성원으로서 경험의 유사성과 동질성을 가진 제보자들의 구술에 주목하여 발화의 공동성을 확인함으로써 의복 관련 지식과 기억, 경험에 의해 형성 된 인식의 ‘경계’와 ‘구별’을 의생활이라는 일상 영역에서 규명하는 데 의미를 두는 것이다. 반가의 구성원인 제보자들은 구술 과정에서 자신들이 경험했거나 제작했던 의복의 명칭과 사용 방법, 종류에 관한 지식은 물론 옷차림의 범절, 의례와 의례복에 관한 인식, 의복 재료의 생산과 제작 경험 등을 근거로 타인 혹은 다른 집단에 대한 구별짓기를 시도한다. 이러한 사례는 지나간 시대의 계급적 기반 속에서 형성된 의생활에 관한 경험과 지식이 현재의 상황에서 사회문화적 무형자본으로 작동하여 나타나는 구별짓기의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ty aspects of 'distinction' based on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costume as well as the memory about production and manufacture of costume by borrowing 'distinction' and 'Habitus' concept of Bourdie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nowledge about kinds and purposes of costume which upper class of Korean traditional society wore was used as a basic reason of distinction.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costume clearly showed the daily lives of upper class and class distinction. Second, 'distinct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concerning official costumes and ceremonies which upper class attended. Upper class people conducted confucian rites based on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nd they knew manners and etiquette of every rite and also how to utilize their formal costume. This was an significant reason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 classes. Third, 'distinction' was also carried out according to technical skills to produce clothing materials and manufacture costume. Particularly, ladies from upper class emphasized they had derailed knowledge about the production process of clothing materials. Also, they believed the knowledge was worthy to show their virtues as a wife of the eldest son or a lady from a noble family. They usually attempted to do 'distinction' against women from other classes or women in the same class who were contemporary with them. Conclusively, 'distinction' was formed on the basis of hierarchical, economic, experiential priority in the past.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의 관리역량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영향

        조희진 ( Heejin Cho ),이정욱 ( Jungwook Lee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1 국정관리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관리역량과 혁신 활동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관리가 중요하다(management matters)’는 공공관리 분야의 기본적 명제에도 불구하고 관리역량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혁신을 위한 관리역량을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성과관리, 변화대응관리, 네트워크관리로 파악하였고 이들이 세 가지 형태의 혁신 활동, 즉 혁신의 도입 및 운영, 근로자 주도 혁신 활동, 제품·서비스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노동연구원의 ‘2005 사업체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혁신의 도입 및 운영에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성과관리가, 근로자 주도 혁신 활동에는 변화대응관리가, 그리고 제품 및 서비스 혁신 활동에는 변화대응관리와 네트워크관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관리영역에서 충분한 역량이 개발·확보될 때에 조직 내 혁신 활동을 보다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서로 다른 혁신활동은 서로 다른 종류의 관리역량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혁신활동별로 추진 전략을 다르게 구성해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capacity and innovation in public organizations. Despite the widely accepted notion in public management that "management matters," few empirical studies have investigated how innovation activities are affected by management capacity. Viewing management capacity as consisting of four components including strategic human resources management (SHRM), performance management, proactive change management, and network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how each component relates to three aspects of innovation: innovation adoption-implementation, employee-initiated innovation, and product-service innovation. Regression analyses of the data from the 2005 Workplace Panel Survey reveal that innovation adoption-implement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HRM and performance management; that employee-initiated inno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proactive change management; and that product-service innov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active change management and network management. These results, altogether,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managerial capacity is a critical condition for successful innovation in public organizations. One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different aspects of innovation are associated with different components of managerial capacity, which indicates that different strategies are needed for different innovation activities.

      • KCI등재

        정부와 사회적 기업의 사회문제 매핑(mapping)을 통한 사회적 기업의 역할 모색

        황정윤 ( Joungyoon Hwang ),조희진 ( Heejin Cho ),김보경 ( Bokyoung Kim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3

        사회적 기업이 사회문제 해결의 핵심 주체로 주목받고 있으나, 이들이 실제 어떤 사회문제를 해결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문제 중심으로 정부의 사회문제 해결 현황과 사회적 기업 활동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8년∼2016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부는 ‘교육격차’ 영역에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반면, 사회적 기업은 같은 기간 동안 ‘경제/고용 불안정’ 해결을 위한 활동을 크게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와 사회적 기업 모두 사회갈등의 사회문제에 매우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경제/고용 불안정 영역, 문화소외 영역에서는 정부의 문제해결 노력이 비교적 소극적인 반면, 사회적 기업의 활동은 활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가 제약된 예산 및 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문제가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 기업이 사회문제 해결에 동참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향후 사회문제 중심으로 정부와 사회적 기업이 상호보완할 수 있는 영역을 발굴하고 사회적 기업의 미래를 지속가능하게 모색할 수 있는 정책적 설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social problem solving of Korean Social Enterprises(hereafter, SEs). As Korea’s social problems become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ified, the cooperative efforts of various actors, including not only the government but also S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We classified new types of social problems and analyzed the government’s fiscal investment and SEs’ activities from 2008 to 2016. The findings show that government invested 79% of the total budget on average to solve social problems. The area where the government invested the most budget was ‘education gap.’ SEs, on the other hand, engaged mainly in ‘economic/employment instability’ area. Also, we found that both actors were very passive in the social problem of social conflict. In a situation where the range of social problems that the government can solve with a limited budget and manpower, SEs are contributing to creating new social values by participating in solving social problems.

      • KCI등재

        시각 모델을 고려한 인지 대비 측정 및 영상품질 향상 방법에 관한 연구

        최종수 ( Choi Jong Soo ),조희진 ( Cho Heejin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6 품질경영학회지 Vol.4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contrast metric which is based on the human visual perception and thus it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digital images in many applications. Methods: Previous literatures are surveyed, and then the proposed method is modeled based on Human Visual System(HVS) such as multiscale property of the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CSF), contrast constancy property (suprathreshold), color channel property. Furthermore, experiments using digital images are shown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proposed contrast measure of complex images, it was found by experiments that HVS follows relatively well compared to the previous contrast measurement.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effectiveness on how to measure the contrast of complex images which follows human perception better than other methods.

      • KCI등재

        아동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조희진 ( Cho¸ Hee-jin ),권순용 ( Kwon¸ Sun-yong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아동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주제 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의 연구 절차에 따라 최종 선정된 총 16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연구의 일반적 특성,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이론과 기법,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목표 변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을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아동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연구는 2006년을 기점으로 현재까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양적 연구, 신경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아동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이론과 기법은 무용동작치료의 선구자 이론이나 기법, 타 분야의 이론, 그 외 치료적 요소를 활용하였다. 셋째, 아동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목표 변인은 신체·정서·사회·문제행동의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정서 영역 변인이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자들은 연구 설계의 한계점을 밝히고,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측면에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가 아동의 발달을 촉진하는 아동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연구와 임상 적용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published research literature from Korean journals on dance/movement therapy as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by describing study characteristics and to propos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Methods: A sixteen articles were selected for scoping review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Relevant data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theories and techniques, program outcome variables, and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dance/movement therapy were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Result: First, a number of published studies on dance/movement therapy for children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since 2006.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focused on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quantitative study design. Second, theories and method of dance/movement therapy were based on theories from the pioneer, other related fields of study, and therapeutic elements. Third, the main variables of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were categorized into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behavioral problems with a large predominance in the emotional domain. Lastly, limitations on study designs were identified and future recommendations on developing a program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scoping review may further used as a preliminary resource for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in research and clinical trial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