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악행(惡行)의 서사화 방식과 진지성의 문제 -<현몽쌍룡기>를 중심으로-

        조혜란 ( Hae Ran Cho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한국고전연구 Vol.0 No.23

        이 논문은 <현몽쌍룡기>의 악인형 인물들의 악행이 작품의 문제의식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따져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현몽쌍룡기>는 반동인물로 악인형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그들이 저지르는 악행이 서사 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그 종류가 다른 작품들에 비해 매우 충격적이고 자극적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악행의 가장 특징적인 점은 부자간의 강상 윤리를 거스르는 범죄들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작품에는 자식이 부모를 향해 칼을 들거나 혹은 아들이 아버지를 죽이기 위해 자객을 고용하며 또 다른 아버지는 자기를 죽이려던 자객으로 아들을 지목한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아들의 패륜으로 인해 가문 유지가 어려워질 것 같자 아버지가 자기 아들을 호적에서 제하고 손자를 친아들로 삼는 것을 허락해 달라고 상소를 올리는 사건도 있다. <현몽쌍룡기>의 악행은 광해군의 인목대비 폐위나 영조가 사도세자를 죽이고 정조에게 왕위를 물려준 역사적 사건을 환기시킨다. 이 작품의 악행은 심각하고 진지한 문제를 던진 것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에서 악행이 서사화되는 방식을 고찰하면 이 작품이 문제적인 작품에 가까울지 아니면 오락을 원하는 독자의 취향에 맞춘 통속적 서사에 가까울지가 판단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가문 서사를 다루는 국문장편소설은 이제 전반적으로 연구사가 어느 정도 축적되었으며, <현몽쌍룡기> 역시 작품의 기본적인 성격은 이해 가능할 정도로 연구사가 쌓였다. 연구사의 단계에서 볼 때 이제는 국문장편소설도 개별 작품의 작품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본다.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현몽쌍룡기>의 악행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 이 작품은 문제적인 작품에는 못 미치며, 웰메이드플레이(well-made-play)처럼 단지 잘 만들어진 서사에 가까움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evil thoughts and conducts in villain characters in Hyunmongssangryonggi (現夢雙龍記) reflect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his times. This work is remarkable in presenting lots of wicked practices by villain characters in a very shocking and sensational way. The most notable improper act in this work is crimes against the fundamental ethical codes in a fatherson relationship. In this work we can find the kind of son who tried to kill his own father either by himself or by an assassin whom he himself had employed. We can find also the kind of father who assures his own son as an assassin who tried to take away his own life. Besides, there is another father who petitioned to the king to allow his attempts to remove his son`s name from the family register and to replace it with his grandson`s name for the sake of his family`s prosperity because he had thought his son was very improper. These kinds of practices between fathers and sons are rarely seen in the narrative conventions in classic novels and in the everyday life of a real world. But within the palace in Chosun dynasty, similar things happened. It was the dethroning of Queen Inmok by King Kwanhye, and the murder of the prince in a cruel way and the replacement of its place with his grandson by King Youngjo. In this sense, this work reminds us of this historical event. Given this contextual understanding, the evil practices of this work is worth analysing. For the analysis of how the evil acts are narrated in this work will show whether this work show the deep consciousness of the problems of his contemporary or it just tries to reflect the popular tastes. Generally the previous studies on the family saga of classic novels have been accumulated to some degrees, and Hyunmongssangryonggi also has been studied to help to understand its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nd contexts. Based on these previous studies, I think, it is time to try to evaluate the quality of an individual work. With this kind of consciousness, I analysed the villain characters` improper conducts of this work and came to conclude that this work is short of serious awareness to see the problems of his times and rather it tries to meet the popular taste like a well-made-play.

      • KCI등재

        고전소설에 나타난 군자형(君子型) 인물에 대한 고찰

        조혜란(Cho, Hae-ra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한국고전연구 Vol.0 No.33

        유교 경전에서 가장 바람직한 인물형으로 거론하는 것은 군자이다. 공자 이래 군자는 학문과 수양을 통해 자기 인격의 완성을 도모하고 실천하는 지식인들을 가리키는데, 조선조 현실에서 군자는 주로 신분을 지칭하는 단어로도 사용되었다. 본 고는 고전소설에 나타난 군자형 인물에 대해 고찰하고 그 의미를 살피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우선 군자의 개념에 대해 살피고, 조선에서 군자에 비견할 만한 단어로는 ‘선비, 은사, 처사’가 이에 해당함을 밝혔다. 군자 주인공의 등장으로는 17 세기 국문장편소설 <소현성록>의 소현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주인공 유형은 군자에서 곧 영웅호걸형으로 바뀌어 갔다. 이는 조선조 소설이 인격 도야와 실천에 주력하는 군자보다는 욕망에 충실한 인물형을 선택한 데서 비롯하는 결과로 보인 다. 또 여성의 경우는 조선조 현실에서는 지덕(知德)을 겸비하여 여중군자라 불리던 여성들이 있었던 데 비해 소설에서는 그런 여성인물을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이는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의 행동이 도덕적 자발성에 의한 선택이라기보다는 유교적 이념에 따른 순응이나 훈육의 결과일 가능성 때문임을 논하였다. Confucian sacred texts had presented the Confucian gentleman(君子,jun zi) as the most exemplary person. In the period of Ha-eun-ju(夏殷周),), the word ‘君子’ had been used to indicate the nobleman. Since Confucius, Confucian gentleman referred to the intellectuals who tried to attain the perfection of their personality and to practice their ideals in reality through study and self-discipline.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Confucian gentleman type characters were represented in the classical novels of Chosun dynasty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it.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concepts of the Confucian gentleman were explored. In Chosun dynasty, those words such as seonbi(선비) which means a man of virtue, eunsa(隱士) which means a retired scholar, and chuhsa(處士) which means a retired scholar were similarly used to refer to the Confucian gentleman. The Confucian gentleman type character appeared in Sohyunseongrok, a long piece novel written in Korean in the 17th century. It is notable that in the novels of Chosun dynasty, the Confucian gentleman type characters became to turn into the hero characters. This remarkable change might be caused by the tendency that Chosun dynasty preferred the characters who were loyal to their own desires to the Confucian gentleman characters who focussed on cultivation of their personality and the commitment in reality. For women, it is worth noting that while those females called the Confucian gentlewoman(女中君子) who had attained both knowledge and virtue really existed in Chosun dynasty, novels did not represent those kind of women. This absence of the Confucian gentlewoman character in the novels of those times might result from the tendency that female characters acted not through fulfilling their own ethical choice but through the obedience to the Confucian ideals and their disciplin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행장(行狀)에 재현된 조선시대 어머니상

        조혜란(Cho, Hae-ra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8

        본고는 한국문집총간 소재 17·18세기 어머니 행장을 대상으로 하여 그 재현 양상을 살피고, 조선시대 양반 여성 재현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 목표 이다. 조선시대 여성 행장 중 그 수가 가장 많은 것이 어머니 행장이며, 그 서술 분량 또한 풍부하다. 그러므로 어머니 행장의 경우는 보다 섬세한 서술 내용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집안의 어른인 어머니, 할머니 행장에서는 유교적 여성상을 재현하는 데 전형적인 항목도 보이지만, 이 외에 부수적인 교양 자질이나 재능, 여가와 연결 가능한 여공(女功)에 대한 서술 등 다양한 추억들도 적고 있다. 본고는 유교적 여성상에서 예상 가능한 전자보다는 대상 여성의 여타 자질들 및 여가, 취미 등의 요소에 주목하려 한다. 어머니 행장을 분석한 결과, 다수의 행장에서 어머니의 청렴함, 공적 영역에 속한 재화와 사적 영역의 재화를 선명하게 구별하고자 하는 태도, 당대 정치 상황에 대한 판단 등의 일화가 서술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남성들이 어머니에 대한 기억들을 누락 없이 수록하고자 하는 가운데 포함된 것으로, 이 같은 내용들이 본인에게 또 가문의 후손들에게 자기 어머니에 대한 긍정적 기억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다고 판단했기에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즉 일화의 주인공이 어머니일 경우, 유교 경전이나 조선시대 여성 규훈서에서는 굳이 강조하지 않았던 여성의 판 단 능력, 정치적 감각 등에 대한 적극적 인정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유교 경전이나 규훈서 등의 이념적 담론에서는 판단 주체로서의 여성을 강조하지 않는다. 행장에 나타나는 어머니의 의로움에 대한 서술은 실제 삶의 국면에서 드러나는 인정이라 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지식이나 교양, 취미나 재능 등에 대한 서술 양상 분석은 이 같은 요소들이 유교적 덕목을 함양하기 위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해당 여성의 개인적 관심사, 지적 호기심 등에 의한 것이었는지를 판단 가능하게 해 준다. 어머니 행장에서 드러나는 지식이나 교양, 여가 등에 대한 서술 양상은 다른 기록을 통해서는 드러나기 어려운 조선시대 양반 여성들의 개인적 면모, 취향, 향유의 면모를 읽어낼 수 있는 잣대가 될 수 있다. 부덕이나 의로움에 비해 여가, 취향 등을 가늠할 수 있는 대상 자료의 수는 적었으나 취미나 여가 등에 대한 고찰은 가족 관계를 전제로 한 어머니나 아내 혹은 딸 등이 아닌 개인 여성으로서의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This presentation focuses on Haengjang of mothers in the 17 th and 18 th century of Choson Dynasty. Haengjang of mothers constitutes the majority of Haengjang of women during the Choson period, and is rich in content. Women had to live under the rigid social restrictions in Choson society, but Mother as the object of filial piety had a strong position within her family. As there are few writings about women from the time, Haengjang provides the richest source of information on women of Choson. Besides Confucious virtue in Haengjang of mothers, there is another element that stands out. It is the description of Mother s righteousness. Righteousness, which is based on the subject s judgement about right and wrong, is a factor that seems distant from Budeok, one of Sadeok, which requires women to fulfill proper female duties. The Haengjang of mothers in the 17th and 18 th century shows that quite a number of women made practical decisions based on their judgement on the political power and their sense of public justice. The Haengjang of mothers and grandmothers, not unlike that of wives, sisters or daughters, certainly includes the descriptions of female virtues such as gentle personality, weaving skills and frugality. Yet, what interests me in Haengjang of mothers and grandmothers is the description of the subject’s refinement and talents which are related to her private interests beyond proper female virtues.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 style describing the subject s intelligence, refinement, interest, or talent would enable us to determine whether her actions and behaviors were to cultivate the Confucian virtues or to satisfy her personal interest and/or intellectual curiosity. If certain narratives are concluded as the latter, they would be meaningful sources with which we can examine women of Chosǒn as individuals. As there are little documents providing information on Choson women as individuals, Haengjang can be a meaningful and important research material.

      • KCI등재
      • KCI등재

        <숙녀지기>에 나타난 여성 지기(知己) 형상화의 의미

        조혜란 ( Hae Ran Cho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4

        <숙녀지기>는 작가나 창작 연대 미상의 작품이지만 총 6종의 이본이 존재하며 필사기나 출판기를 보면 20세기 초에 활발하게 유통이 된 작품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 연구사를 보면 지기(知己)에 대한 상층 여성들의 욕망을 그린 이 작품을 여성들의 윤리나 주체성 강조의 문제로 보는 것에는 어느 정도의 합의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마지막에 두 여성이 한 남편과 혼인하는 일부다처제에 대한 해석에서는 입장 차이가 나타난다. 본고는 이 부분의 해석을 위해 <숙녀지기>의 중요한 두모티프인 매신(賣身) 모티프와 일부다처제 혼인 모티프의 제재적 배경을 찾아 <숙녀지기>와 비교하면서 그 내용을 고찰하였다. 검토 결과 <숙녀지기>의 혼인 모티프는 19세기 조선 여성들의 ``지기``에 대한 욕망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드러났고 이 같은 혼인 양상에서 남편인 남성은 거의 수동적 존재로서 그 여성들의 지기 관계의 회복이나 지속을 위해 등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고는 <숙녀지기>의 활발한 유통 시기와 이 시기 조선 상층 여성의 실제적 연대의 예를 찾아 비교함으로써 당대적 맥락에서 이 작품이 갖는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Of Sukyeojigi(淑女知己), there is no record of its author and the year of its publication. Only six different manuscripts of it exist. Considering the mentions of copiers on their manuscripts and the records of publishing which are found in the copies of old type print, Sukyeojigi is thought to be largely circulated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hat is notable of this work is the existence of two female protagonists who belong to high class and desire a very close friendship between women. Two female characters of this work are represented to want the kind of friendship which is deeply involved not just as a woman but as a human being. In the Eastern classics, this kind of friendship is called jigi(知己). Jigi refers to the one who knows well his friend and is willing to sacrifice his own life for his friend. In those periods, this kind of deep friendship exclusively referred to men`s relationship. But in this work, two female protagonists wish to keep the close friendship even after their marriage. The previous studies of Sukyeojigi seem to agree that this work focuses on the female ethics and female subjectivity. But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last part of this work where two women have a marital relationship with the same man and lived together in happiness,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While some think that this ending reveals the conformity to polygamic customs under Confucian patriarchy, others think that this marriage results from two women`s desires. To give a way to interpret this last part, this study focused on two motifs in this story. One is the motif of selling one`s body. In this story, a daughter decides to sell herself and to become a servant in order to pay the funeral fee for her father`s death. The other motif is two female friends` marriage with the same person. In this motif, it is important to know whether these two women decide to marry with the same man by following their own desires, or it just reflects and satisfies men`s fantasies. To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se motifs, this study investigated other stories which include similar motifs and came to confirm that these motifs were largely found in other works as well. Through this comparative investigation, I could see that the marriage motif of Sukyeojigi reflects the women`s desire for a close friendship in Chosun dynasty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polygamic marriage life of this work, the husband is represented as a passive person and serves for his two wives to keep and restore the close friendship between them. Consider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irculation of this work and the bond of noble women in their ordinary life, this study tried to give mor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e representation of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women in this work.

      • KCI등재

        <옥루몽> 황소저의 성격 변화 -악인형 인물의 개과천선 과정 서술과 관련하여-

        조혜란 ( Hae Ran Cho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2

        이 논문은 <옥루몽>의 개과천선 과정 서술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한 것이다. <옥루몽>은 기존 논의에서 그 대중성과 진지성, 놀이 및 유흥문화에 대한 서술, 인간의 욕망에 대한 관용적 태도 등으로 주목 받은바 있으며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작품이다. 그런데 본고가 조명하고자 하는 황소저의 개과천선 과정 서술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논의한 기존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황소저는 벽성선과의 처첩갈등을 일으키는 장본인으로서, 작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꽤 큰 인물이며 다른 작품에 비해 그녀가 보여주는 개과천선의 과정 역시 주목할 만하다. 소설에서 개과천선 과정의 형상화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은 인물의 변화 과정을 그리는 것으로, 인물 성격의 변화야말로 소설 작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다. 또한 고전소설에서의 개과천선 과정 서술은 개과천선 모티프가 수용되어 있는 다른 고전소설 작품들과의 비교를 통해 인간의 심성이 환경과 어떤 방식으로 관계 맺기를 하는지에 대한작가의 인식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는 우선 황소저의 개과천선 과정에 대한 서술 양상을 분석하고 그의미를 살핀 후 동일 모티프가 들어 있는 다른 작품과 비교 검토하고, 또 <옥련몽>의 해당 부분 서술과 <옥루몽>의 서술을 비교 검토하여 <옥루몽> 개과천선 과정 서술의 특징에 대해서도 살폈다. <옥루몽>의 개과천선 과정에 대한 서술은 인간에 대한 작가 남영로의 이해만이 아니라 그가 이 작품에서 진정 진지한 태도로 현실에 대한 대응력을 모색하면서 형상화한 부분이 어딘가에 대해서도 다시 질문하게 한다. 기존 논의에서 많이 언급되었던 양창곡의 정치 담론이나 혹은 유흥 문화의 수용 등은 그 서술이 자세하고 구체적이기는 하나 당대 조선현실에서 실현 가능한 소설적 대안 혹은 해결이라고 간주하기는 어렵다. 이에 비해 개인의 변화를 그리는 개과천선 과정은 실현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진정성에 기반한 진지함을 가늠해 볼 여지가 있다. 본고는 기존논의에서 집중해서 다루지 않았던 황소저의 개과천선 과정을 살펴보고 그를 토대로 <옥루몽>이 제기하는 문제의식에 대한 재고의 자료로 삼고자 한다. This study resulted from the interest how villain characters` moral transformation is described in Ok-Ru-Mong. This work has attracted lots of attention for its popularity, seriousness, its description on entertainment culture, and its favorable accounts on human desires. So previous studies have usually focussed on these aspects. But the narration on the process of lady whang`s moral change for the better has relatively rarely studied. Lady Whang who as a concubine causes the conflicts with legal wife plays many parts in the action and her change for the better through repentance is notably described in this work. The fact that the writer elaborates the process of a villain character`s moral change shows his interest in characters` development, which is significant in the writing a novel. If we compare this novel`s narration of a villain character`s moral development with those of other classical novels, we may draw a good source to notic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mong write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mind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ly attempted to analyse the narration of lady Whang`s moral change and interpret its meaning. Secondly, this study compared it with other works which have similar motifs, especially, with Ok-Ryun-Mong.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of the narration on a villain character`s moral change of this work not only helps us to see the writer, Nam Young-Ro`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but also encourages us to think about other parts of this work which might reflect the writer`s serious efforts to confront his times. Although such parts as the political discourse of Yang Chang-Gok or the acceptance of entertainment culture of those times which have much explained in previous studies are narrated in details, it is hard to say those parts are suggested as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problematic reality of late Chosun dynasty. Instead the moral change of villain characters like lady Whang might apply to the real world of those times. On this ground we can discuss the writer`s serious and sincere interest in his tim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s attempt to analyse lady Whang`s moral change will be found its invitation to reconsider the seriousness and sincerity of Ok-Ru-Mong.

      • KCI등재

        취향의 부상 -<임씨삼대록>의 반복 서술을 중심으로-

        조혜란 ( Hae Ran Cho ) 한국고전문학회 2010 古典文學硏究 Vol.37 No.-

        <임씨삼대록>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중 하나로, 전편인 <성현공숙렬기>와 연작 관계에 있는 작품이다.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연작 중 <임씨삼대록>은 전편에 비해 서사적 흥미가 증가되었을 뿐 아니라 독립적인 작품으로 고찰할 경우에도 대중성, 오락성 등이 강화되었다. <임씨삼대록>은 통속에 가까운 관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노골화된 성적 욕망을 지닌 여성 인물들, 수많은 장면마다 빈번하게 등장하는 도술 등을 대거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의 전반적 분위기가 저급함으로 치닫지는 않는다. 바로 이 점이 <임씨삼대록>이 규방의 독서물이나 `錄 계열 소설`로 간주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임씨삼대록>의 서술자가 오락성 강한 설정을 하면서도 작품의 격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고찰하기 위해 본고는 서술론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이 작품의 서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건담 층위보다 더 미시적인 반복 서술에서 추출되는 몇 가지 요소들을 통해 이 작품의 서술적 지향을 고찰할 수 있었다. <임씨삼대록>의 서술자가 가문의식과 오락성(혹은 통속성)의 긴장감 속에서 지향하는 바를 고찰하기 위해 본고는 2장에서는 <임씨삼대록> 서술의 전반적 양상을 살펴본 후, 3장에서는 그 중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반복 서술의 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이 작품의 반복 서술에서 드러나는 서술 내용은 慈愛와 친밀감의 강조, 色과 富에 대한 허용적 태도, 감정의 신체화 증상 및 신체 훼손의 전시, 天運에 대한 순응적 태도의 강조 등이었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을 토대로 서술자의 지향을 살폈는데, 이 작품의 서술자는 무엇보다 인간의 감정을 중요시하여 人之常情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표현의 새로움과 快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선인 대 악인 대결구도의 도식적 서사 전개를 넘어서고 있었다. 그러나 기존 체제(이데올로기)에 대해서는 수호적 태도를 보이며, 정치적 저항 의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기존 논의에서 이 작품의 주제를 가문의식으로 잡은 것은 이 작품의 서술자가 지니는 체제수호적 입장을 읽은 것인데 그러나 이 작품의 고유한 특징은 서술자가 보여주는 감정 표현에 대한 수용적 태도, 이에 관련하여 관습적 표현 대신 새로운 표현 방식에 대한 추구, 과도함에 대한 집요한 추구 등의 표현에 대한 서술자의 취향과 관련된 것임을 밝혔다. <Imsisamdaerok> is one of Samdaerok novels, which deal with a family issue throughout three generations in the story. It is a serial work of <Seonghyungongsukryeolki(성현공숙렬기)>, but is more enjoyable to the readers than <Seonghyungongsukryeolki>. Not necessarily compared with the former work, it shows strong popularity by itself. <Imsisamdaerok> accepts female characters who frankly express their sexual desire.Moreover, it allows many scenes that shows Taoist magic. However, its sentiment does not get any vulgarity, and it is the reason that <Imsisamdaerok> can be still regarded as a "Kyubang(閨房) Novel" or a "Lok(錄) Novel", not a popular novel. To understand how it keeps fine quality, this paper analyses the narrative of the novel. This novel contains some repetitive narrations, and all of they converge into the same feature.To comprehend the purpose of the author, chapter II investigates the general form of the narration. Chapter III focuses on finding the repetitive narrations. As a result of the chapter III, it has been proved that <Imsisamdaerok> repetitively shows emphasis on parental affection and intimacy, permissive attitude to beauties and material desires, physicalization of emotionsㆍexhibition of damaging body, and emphasis on passive attitude to the fate. In the Chapter IV, the author`s interest is analysed based on the chapter III. The author takes most seriously on the emotion of a human being, so he or she positively understands human nature.Furthermore, the author overcomes a simple division of right and wrong, on the pursuit of newness of expression and pleasant sensation. However, the author does not try to cope with the convention, but try to adjust to the society.Former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theme of <Imsisamdaerok> is the strong family bondage, because they have mainly concentrated on the author`s conservative aspect.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put more stresses on the different aspect of the novel. This paper shows that the main features of <Imsisamdaerok> are positive attitude to the expression of emotions, pursuit of newness in the descriptive expression, and obstinacy in the excessiveness. Those features are all related to the author`s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