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신약학회의 역사Ⅰ(1961~1994)

        조태연(Tae Yeon Cho)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3

        한국신약학회는 작년으로 창립 50주년을 맞았다. 이 글은 한국신약학회의 반세기 역사 중 처음 33년 반을 비판적으로 개관하고 성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기간은 창립회원들이 전적으로 헌신한 기간일 뿐만 아니라 또 ‘지배’한 기간이라는 점에서 이후의 기간과 다르다. 처음 12년 남짓은 왕성한 의욕과 희망의 기간이었다면, 다음 22년 가까이는 안주와 긴 침체의 기간이었다. 초심과 동인은 무엇이었고 이를 퇴색케 한 것은 무엇이었나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이 글은 그것이 사람에 대한 관심과 학문에 대한 열정이라고 규정한다. The New Testament Society of Korea (NTSK, hereafter) celebrated the fiftieth-year birthday last year (2011). This paper is a critical re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the thirty two years history of the NTSK (1961-1994). This period is compared to the later period (1994-2011) in that the founders of the NTSK not only showed their committed and sacrificial lives but also monopolized power throughout the whole period. First twelve years of it were a period of hope and enthusiasm whereas the following twenty two years were a long period of indolence and decline. This paper shows that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factors which decide either a success or a failure was whether or not the NTSK had a sincerity and earnestness for people (members) and New Testament scholarship as an academic discipline.

      • KCI등재

        성결의 문화지도와 예수 인류학

        조태연(Cho, Tae Yeon) 한국신약학회 2016 신약논단 Vol.23 No.1

        역사적으로 그리고 종교적으로, 예수가 살던 시대 유대교의 유일한 이데올로기는 ‘카도쉬’(qadosh), 즉 성결이었다고 한다. 이 논문은 유대교의 성결이념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배경으로 예수의 실천과 활동을 문화인류학적으로 접근하고 분석하는 연구다. 성결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접근은 기존의 이해에 결여된 많은 점들을 보게 하였다. 특히 영국의 여류 문화인류학자의 메리 더글라스(Mary Douglas)의 공헌이 매우 컸다. 이 연구는 지속적으로 문화인류학적 통찰을 방법론적 모델로 사용했다. 이 논문은 우선 레위기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를 남긴 메리 더글라스의 이론을 소개할 것이다(I). 다음에는 유대교의 문화적 지도를 배경으로 인 체의 피부와 구멍 등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과 활동을 조사할 것이다(II). 이런 바탕에서 예수의 실천이 유대교의 성결 이데올로기와 왜 충돌하는지 살피고(III), 마지막으로 예수께서 주창하신 대안적 성결과 하나님의 나라가 무엇이었는지 조망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당시 유대교의 성결이념과 역사적 예수의 실천을 대비시키고, 나아가 예수께서 이루고자 한 하나님의 나라가 무엇이었는지 밝힐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빵이다, 몸이다··· - 마가복음 1:1-3:6의 식탁교제 모티프에 관한 연구

        조태연(Cho, Tae Yeon) 한국신약학회 2021 신약논단 Vol.28 No.2

        마가복음에서 식탁교제의 모티프는 확연하다. 특히 수난사화에서 절정에 도달한다. 예수는 빵을 가리켜 당신의 ‘몸’이라 한다(14:22). 마가는 분명 빵과 식탁교제의 모티프(빵의 기독론)로써 예수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마가복음에서 식탁교제 모티프 전체를 아우르는 하나의 일관되고도 통일된 문학적, 신학적 틀이 있다면 그것은 빵으로써 그리스도의 몸을 상징하는 ‘빵의 기독론’이다. 그것은 ‘빵의 상징’과 ‘몸의 신학’이다. 문제는 마가복음 초입에 나타나는 식탁교제의 본문들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느냐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마가복음의 첫 번째 대단원(1:1-3:6)에 나타나는 식탁교제를 ‘빵의 기독론’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증명하려고 한다. (1) 예수는 세례와 시험 후 천사들에게 수종을 받음으로써 몸을 회복하였다(1:13). 그리고 시몬의 장모를 고친 후엔 그녀에게서 수종을 받음으로써(1:31) 놀라운 ‘하나님의 나라를 ‘체험하였다.’ (2) 갈릴리 논쟁에 나타난 빵의 신학과 확신은 모두 천사들과 시몬의 장모를 통해 얻은바 몸의 회복과 하나님 나라의 체험에서 왔다. (3) 그 신학과 확신이 바로 빵의 기독론을 만들었고, 후자가 마가 전체를 통하여 복음의 줄거리를 형성한다. 이 논문은 문학이론과 서사비평을 방법론으로 한다. 특히, 당신의 체험과 그에 따른 ‘의식’의 변화를 중시함으로써 예수를 ‘입체적 인물’(round character)로 전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서사적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The literary motif of table fellowship is clear and dominant in the Gospel of Mark. It reaches its climax, especially in the passion narrative. Jesus identifies ‘bread’ as his ‘body’ (14:22). Mark obviously leads his gospel with the motif of bread and table fellowship. If we have one single, consistent, and unified literary and theological framework that encompasses the whole table-mate motif in the Gospel of Mark, it is the “Christology of Bread,” which symbolizes the body of Christ as bread. In other words, the ‘symbol of bread’ and the ‘theology of body.’ The problem is how to understand the texts of table dating that appear at the beginning of the Gospel of M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table fellowship motif in the first unit of the Gospel of Mark (1:1-3:6) within the “Christology of Bread.” This paper tires to prove the following argument: (1) After the baptism and temptation, Jesus recovered his body by being served with breads by angels (1:13). And after healing and by being served with breads by Simon’s mother-in-law, Jesus experienced the kingdom of God in the table fellowship. (2) The theology and conviction of bread by Jesus in 3:1-6 all came from the same restoration of his body and his experience of the kingdom of God. (3) The Christology of bread came from his theology of bread and assurance, and the latter forms the plot throughout the Gospel of Mark. This paper employes literary criticism and narrative criticism as a methodology. In particular, we assume Jesus as a “round character” by placing emphasis on his experience and consequent changes in consciousness. By doing so, we can secure some space for narrative imagination.

      • KCI등재

        오이코노미아(οἰκονομία) - 맘몬 세상과 하나님의 나라 사이를 서성이다

        조태연(Cho, Tae Yeon) 한국신약학회 2020 신약논단 Vol.27 No.4

        이 연구는 예수의 비유들에서 하나님의 나라와 ‘오이코노미아’(οἰκονομία)의 관계를 조명한다. 이 목적을 위해 예수의 ‘모든’ 비유를 범주별로 평면적으로 늘어놓고 연속적으로, 통합적으로 읽되 특히 공간과 인물을 주목한다. 그 결과, 이 연구는 다음의 중요한 점들을 발견한다. 첫째, 예수의 많은 비유는 인간에게 삶과 살림의 현장인 ‘오이코스’(οἶκος/집)를 배경으로 삼고, ‘오이코노미아’를 소재로 한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비유에서 바탕은 땅이다. 땅에서 농작이 이뤄지고 곡식이 생산되며, 거기서 재화가 창출되고 인간의 삶과 문화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셋째, 서른대여섯개를 헤아리는 예수의 모든 비유들은, 인간의 삶과 하나님의 나라 사이에서, 다음의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되고 상호 관련되며 하나님 나라의 상징을 발전시켜나간다: (1) 땅과 농사의 자연 비유, (2) 돈과 살림의 경제 비유, (3) 잃은 자를 찾는 사람의 비유, 그리고 (4) 빵과 먹임의 식탁교제 비유. 넷째, 이런 범주를 따라 예수의 비유를 연속적으로, 통합적으로 읽으면 집안어른(소유자 계층)에게서 특질(traits)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재물에 완전 집착하던 그가 변하여 채무자의 이자를 변제하고, 큰 빚을 탕감하며, 실적이 미달돼도 후히 삯을 쳐준다. 하나님의 나라는 맘몬 세상에서 배불리는 경제학으로 나아간다.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dom of God and the Oikonomia (οἰκονομία) in the parables of Jesus. For this purpose, all the parables of Jesus are laid out side by side in categories, read consecutively and collectively, but especially noting spaces and characters. As a result, the study finds the following important points: First, many parables of Jesus are based on the oikos (οἶκος/ home), the locus of everyday life, and the subject of Oikonomia. Second, nevertheless, in every parable, the basis is the land. For it is the land where crops are produced, goods are created, and human life and culture are formed. Third, thirty-five or thirty-six parables of Jesus, which are located between human life and the kingdom of God,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nd they are interrelated to develop the symbols of the kingdom of God: (1) the nature parables of land and agriculture, (2) the economy parables of money and property, (3) the parables of human beings in which the lost are found, and (4) the table fellowship parables of bread and food. Lastly, consecutive and collective reading of Jesus’ parables along with these categories can detect changes in traits of the characters (of the owner class). He, who was totally obsessed with wealth, is changed to reimburse debtors’ interest, write off large debts, and pay well even if one doesn’t perform well. The kingdom of God moves on from a Mammonism to the economics of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예수의 식탁교제와 비유의 기원

        조태연(Tae Yeon Cho)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5 No.-

        이 논문은, 예수가 여행길에서 함께 나눈 식탁교제의 실천(행위전승)이 그에 관한 비유(말씀전승)와 구조적으로 얼마나 일치하는지 점검해 봄으로써 예수의 여행과 경험 그리고 이에 관한 통찰과 직관이 비유를 창작하는 데 어떻게 기여했는지 그 가능성을 찾아보려 한다. 예수가 실제로 식탁에서 꿈꾸고 가르친 하나님 나라의 이상과 실천이 어떻게 비유가 되었는지, 비유의 이야기 세계는 예수의 실천 및 현실경험으로부터 왔는지 여부를 알아보려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우선 예수의 여행과 식탁교제에 대한 확실한 사항들을 살핀다. 구체적으로는 행색의 지침과 방랑의 라이프 스타일을 점검한 후 식탁교제의 여러 측면들을 구조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특별히 누룩의 비유와 항아리의 비유를 해석한다. 이 두 비유는 30개 남짓 예수의 비유들 가운데 매우 특별한 것으로서 모두 여성을 소재로 할뿐만 아니라 방랑의 콘텍스트에서 발생했을 예수의 식탁교제를 다룬다. 각각의 비유를 해석할 때엔, 주석적 작업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식탁교제를 비유의 정황으로 설정하고 갈릴리 마을 예수의 상황과 비유 내용 사이를 긴밀하게 연결시킬 만큼 상상과 성찰을 시도할 것이다. 해석과 논의는 일관되게 비유 등 예수의 말씀이 ‘기록문화’(writing culture)가 아니라 ‘구술문화’(oral culture)에 속했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This is a study on the historical Jesus. This article explores Jesus` practice of table fellowship and interprets his two parables, the Leaven (Matthew 13:33; Thomas 96) and the Empty Jar (Thomas 97), both dealing with the same subject. Presupposing that Jesus was a person of oral culture, this study tests how his experience of a wandering and hospitable table fellowship affected him in composing those parables. This study suggests a possibility either that a certain great hospitality by a woman became a script of the parable for Jesus. Identifying that a jar is a body and a body a jar, this study suggests that Jesus put his autobiography into the parable of Empty Jar. When Jesus began his journey he was full of spirit and energy, but the more he practiced his power for healing and did people good, the more he was exhausted. This article emphasizes again and again the importance of Jesus` experience of wandering and table fellowship not only composing the parables but also in interpreting them.

      • KCI등재

        태양의 일식(日蝕)

        조태연(Cho, Tae Yeon) 한국신약학회 2014 신약논단 Vol.21 No.3

        이 논문은 마가복음의 초입부터 중반부에 이르는 서사적 구조를 살피는 연구다. 특히 예수의 세례(1:2-13), 비유(4:1-34), 그리고 반복되는 항해 이야기(4:35-8:21) 사이에 서사적 연결성이 있는가 여부에 대한 연구다. 이 세 가지 대단위 본문 단위에는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모두 바다 또는 강을 배경으로 하는 점, 거기서 예수와 제자들이 각각 사탄과 대결하는 점, 그리고 놀랍게도 ‘봄’과 ‘들음’의 모티프를 가장 중요한 문학적 요소로 등장시킨다는 점이다. 세 본문 단위를 다룰 때 중요하게 관찰할 점과 그들 사이의 서사적 관련성이란 다음과 같다. (1) 예수의 세례: 다른 복음서와 달리 마가에서 세례 후 하늘이 열리고 그 영이 자기에게 내려오는 것을 보는 것도 그리고 하늘로부터 나는 소리를 듣는 것도 오직 예수 자신의 체험이다. 예수는 세례 받을 때 매우 특별한 ‘봄’과 ‘들음’의 체험을 얻었다. 그것은 생명과 권능의 확신이었고, 하나님과 자신 사이의 일체감이었다. 그는 그 후 사탄과의 싸움에서 이겼다. (2) 예수의 비유: 마가복음의 비유를 이해하고자 할 때에 중요한 부분을 충실히 직역해야 한다. 예수는 비유를 시작할 때 “들으라. 보라”고 하시며(4:3), 중간에 “너희의 듣는 것을 너희가 보라”고 하신다(4:24). 기본적으로 예수의 비유는 언어로써 장면을 보여주는 ‘그림언어’다(참조. 4:3, 24). 그러므로 비유는 소리로써 연출하는 빛의 예술이며 말씀으로 그려내는 하나님 나라의 비전이라 할 수 있다. 비유는 하나님의 나라를 비춰주는 계시의 태양이다. 그러나 비유엔 명암(明暗)이 있어, 보게 하는 기능뿐 아니라 보지 못하게 하도록 사탄이 개입할 여지도 있다(4:15). 일단 비유가 발화되면, 보긴 보아도 진정으로 보지 못하고 듣긴 들어도 깨닫지 못하는 사람도 있는 것이다(4:12). (3) 제자들의 항해: 예수는 거듭된 항해를 통해 제자들을 바다로 내몰았으나 제자들은 실패한다. 그들은 항해에서 ‘보지 못함’과 ‘듣지 못함’을 연출한다(6:49-50; 8:18). 이는 외부인에 대한 비유의 경고(4:12)가 내부인인 제자들에게로 적용되어, 그들이 “마음의 둔함”에 빠졌기 때문이다(6:52;8:17). 전체적으로는, 길가에 떨어진 씨앗을 새가 먹듯(4:4), 제자들이 항해에서 바다 속 레비아단(사단)에게 말씀을 빼앗기는 양상으로 나타난다(4:15). 비유가 계시의 태양이라면, 항해는 그 해를 삼키는 일식(日蝕)과도 같다. 이러한 관찰은 그 세 본문 단위 사이의 상호 교차적인 해석으로 말미암아 마가 이해에 새로운 빛을 줄 수 있다. 예수는 비유를 말할 때 세례 때 얻은 빛과 소리의 체험을 투사했을까? 항해는 비유의 연장일까? 마가복음 전체는 비유로서 빛과 소리의 텍스트가 될 수 있을까? This study tries to explore a meaningful narrative structure in the Gospel of Mark among (1) the experience of Jesus’ seeing and hearing at his baptism (1:2-13), (2) the parable discourse which stresses seeing and hearing (4:1-34), and (3) the boat trips where the disciples of Jesus always fail in seeing and hearing because their heart become hardened (4:35-8:21). In the first unit (1:2-13), the center of Jesus’ experience is the oneness between Jesus himself and God on the one hand, and the consciousness of life and power on the other. He wins a victory in his confrontation with the Satan by overcoming its temptation. In the second unit (4:1-34), Jesus calls his disciples and people to seeing and hearing by beginning his parabolic discourse, “listen, behold…” (4:3). The parable of the Kingdom of God is a ‘picture language.’ As soon as Jesus tells a parable, his voice immediately disappears in the air but there remains its picture. If one ‘hears’ a parable, one can ‘see’ its vision and reality. That is the parable, an invention in which a ‘voice’ creates a ‘light.’ However, the parable of Jesus is also an invention that “one may indeed see but not truly see, and indeed hear but not truly understand” (4:12). That is why Jesus stresses, “See what you hear” (4:24). In the third unit (4:35-8:21), Jesus repeatedly takes his disciples with him to the sea, where a Leviathan (Satan) alive. But the disciples always fail in seeing and hearing in their confrontation with the Satan. In the final trip, Jesus rebukes them, “Having eyes do you not see, and having ears do you not hear?” (8:18). Their failure in seeing and hearing is caused by their ‘hardened heart’ just like the Pharisees (3:5; 6:52; 8:17). If the parable is a sun of revelation of the Kingdom of God, the boat trips are like an eclipse of the sun. A close analysis of the structural point in the three units of Mark’s narrative opens up a possibility of intertextual readings. In the narrative imagination of Mark, does Jesus use his extraordinary experience of seeing and hearing at his baptism when he tells his parables? In the narrative world of Mark, are the boat trips an extension of parables? Is his whole gospel a parable, a text of hearing and seeing? Two stories of healing the blind are like the sun of hope rising again from the eclipse. Especially the story of Bartimaeus shows that an outcry of voices gives a new light to the blind, as in the case of parables. If the women who experienced Jesus’ resurrection run and tell the good news (the voice) to the disciples (16:7), they will get the new light of the Kingdom of God with repentance.

      • KCI등재
      • KCI등재

        회개와 복음의 이야기 극장

        조태연(Tae Yeon Cho) 한국기독교학회 2013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86 No.-

        This is a study of the characters in the Gospel of Mark. All other people than Jesus, the twelve, Jewish leaders (opponents) are called “minor characters”. This is the case of the studies by David Rhoads, Joanna Dewey and Donald Michie, Mark as Story. An Introduction to the Narrative of a Gospel (Philadelphia: Fortress, 1999). However, this study tries to prove that some of them are important and great characters by showing how they ``repent`` in the Passion Narrative of Mark. They are the centurion, who executed a death penalty to Jesus (15:16-20, 24-27) but confessed his faith immediately after the death of Jesus, Arimathea Joseph who voted against Jesus for a death penalty (14:55; 15:1) but held a funeral for him (15:42-47), a young man who fled naked (14:51-52) but revealed the news of Jesus` resurrection (16:5-7), and the mother of Jesus who was ``outside`` and tried to stop the ministry of Jesus (3:31-35) but became a witness together with two other women for the death and funeral and resurrection of Jesus (15:40-41, 42-47; 16:1-8). Mark`s story of Jesus makes them stand not only as prominent characters but also as owners and protagonists of the gospel with their extraordinary experience of repentance and their heartfelt autobiographic s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