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Dependence in Alzheimer's Disease

        조주연(Choo-Yon Cho),조항석(Hang-Suk Cho),조경희(Kyung-Hee Cho),최경규(Kyoung-Gyu Choi),오희종(Hee-Jong Oh),김대현(Dae-Hyun Kim),정승필(Seung-Pil Jung),최규동(Kyu-Dong Choi),이홍수(Hong-Soo Lee),배철영(Chul-Young Ba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 No.1

        연구배경 : 노인의 인지장애는 노인성 치매로 잘 알려진 알쯔하이머병의 기능적 상태가 감소한 경우와 연관이 많다. 그러나 이러한 인지장애가 기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및 가족적 문제와 어느 정도까지 병존하고 있는지는 아직도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흔한 노인성 조건들, 가족기능, 그리고 영양학적 문제들이 기능적 의존성과 독립적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1997년도 12월부터 1998년도 6월까지 우리나라의 9개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신경과 및 노인병클리닉에 내원하거나 입원한 53명의 알쯔하이머병 환자들이 대상이 되었다. 모든 환자들은 치매에 관한 DSM-IV 진단기준 및 NINCDS-ADRDA 기준상 probable Alzheimer's disease에 부합하였으며, 모두 경도 내지 중등도의 인지장애를 보였고, 언어소통이 가능하였다. 종속변수는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DLs)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s) 이었고, 주요 독립변수에는 정신상태, 우울, 흔한 노인성 조건들 19가지, 가족기능, 영양상태 등이 포함되었다. 기술통계학과 사회인구학적 및 건강변수들과 같은 혼란변수를 통제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알쯔하이머병 환자들의 56%가 하나 이상의 ADLs 의존성을 보였으며, 그중 목욕하기 (55%), 옷입기 (47%) 등에서 어려움을 보였으며, IADLs 의존성중에서는 여행 (79%), 집안일 (79%), 재정관리 (79%) 등에서 의존성이 높았다. 알쯔하이머병 환자들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노인성 조건들, 그중 특히 피로, 요실금, 구갈, 수면장애, 낙상력, 눈의 통증, 어지러움, 슬관절통, 체중감소, 요통 등의 경우 IADLs 의존성과 다발성 연관관계를 보였고, 낮은 교육수준, 요실금 등은 ADLs 의존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ADLs, IADLs 개개항의 의존성, 조건들이 독립적인 예측인자가 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의학적 가료를 요할 것을 의미하며, 하나의 조건을 예방하는 것으로는 그 이상의 IADLs 의존성을 방지하는데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즉, 여러 가지 활동의 의존성 및 조건들이 개개인의 결과변수에 독립적으로 관련하기 때문에 그들의 기능적 의존성 이 예견된다면 이러한 다발성 조건들은 동시에 치료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결론 : 알쯔하이머병의 기능적 의존성과 흔한 노인성 조건들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일부 조건들이 알쯔하이머병의 기능적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개개인에 맞게 이루어져야 하고, 다발성 질환들을 다스려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알쯔하이머병에 대한 성공적인 평가 및 치료는 환자의 개개 의학적 조건들의 기능적 상태에 독립적으로 기여하는가에 대해 사려깊게 짚어보아야 할 것이다. 그 개연성의 문제에 대하여서는 알쯔하이머병에 대한 종적 및 기타 실험적 자료들이 계속 나와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ommon geriatric conditions, family function, and nutritional problems had an independent association with functional dependence beyond the effect of cognitive impairment in 53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s. Methods : The 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53 in-patients and out-patients of nine hospitals in Korea. All subjects met DSM-IV criteria for dementia and NINCDS-ADRDA criteria for probable Alzheimer's disease. Among fifty-three patients with probable Alzheimer's disease, all were mildly to moderately impaired and communicable. Chi-square tests were performed to assess bivari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lected 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common geriatric conditions, nutritional status, and functional status. Multivariate analyses were done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to adjust for the potentially co nfounding effects of sociodemographic and health variables. Results : 56.6% of the study population was dependent on one or more items in ADLs. The most prevalent items of ADL dependence were bathing (54.7%) and dressing (47.2%). Subjects with lower education level, poor cognition, and poor nutrition were more likely to be dependent. Low educational level, poor cognition, and urinary incontinence wer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risk of ADL dependence. Several conditions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items of IADLs. Each item of IADL dependence of the patient has its own set of independent predictors. Some conditions are more universal in independently predicting IADL dependence.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some common geriatric conditions affecting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s appear to have multiple and differential relationships with the specific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s) dependences.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medical care. Preventing one condition may not be sufficient to prevent future IADL dependences since in most cases more than one condition is independently related to each outcome variable. Thus, multiple conditions may need to be managed concurrently if further functional dependence is to be expected.

      • KCI등재

        노인의 당뇨병성 근위축증

        조주연(Choo-Yon Cho),민병이(Byung-Yee Min),오태(Tae-Yeon Oh),김지은(Ji-Eun Kim),김충열(Chung-Yeol Kim),이동민(Dong-Min Lee),장미(Mi Jang)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1

        당뇨병성 근위축증(diabetic amyotrophy)은 동통성 비대칭성 또는 대칭성 다발신경병증의 일종으로 발생율은 당뇨환자의 1% 정도이며 50세 이상의 경한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고, 대퇴부위의 통증과 함께 시작되어 근력의 약화와 근육위축을 야기할 수 있다. 진단기준은 신경학적 증상이 시작되거나 이전에 진단된 당뇨병과 갑자기 시작된 하지 동통, 한쪽 또는 양쪽의 하지 근육의 근력약화, 근전도상 근육질환 배제와 종양 혹은 다발성 척추 협착증의 배제 등을 포함한다. 당뇨병성 근위축증은 감각 신경에 의한 증상은 없는 것이 특징이며, 병리기전 및 임상 양상에 따라 비대칭적이거나 빠른 진행을 보이는 혈관성 또는 체중 감소가 선행되거나 대칭으로 서서히 진행하는 대사성의 두 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신경전도검사, 근전도검사 및 자율신경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다른 다발성말초신경병증과의 감별이 필요할 경우에 한하여 말초신경생검을 시행할 수 있다. 예후는 당뇨 조절을 잘 하면 자연적으로 호전된다고 하나 그 기전에 대해서는 뚜렷이 밝혀지지는 않았다. Diabetic amyotrophy in the elderly is considered as a distinctive form of diabetic neuropathy. It is characterized by weakness of proximal muscles either unilaterally or bilaterally, and is associated with pain. It is usually seen in patients with poorly controlled or previously unrecognized diabetes mellitus, and weight loss is a common concomitant. We report a case of an elderly patient with recently uncontrolled diabetes mellitus who has diabetic amyotrophy. A 65-year-old woman diagnosed with diabetes mellitus 5 years ago, was admitted with weight loss, mild pain, and weakness in both calfs, causing difficulty in walking and abrupt gait disturbance and consequently repeated falls.

      • KCI등재

        한국 노인의학 교육과 진료의 현황과 발전 방향

        조주연(Choo yon Ch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7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8 No.2

        The growth of elderly population accompanied by their chronic diseases and medical expenses following the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may cause huge problems and conflicts in the family and socioeconomically. Furthermore, geriatrics is gaining stronger ground as measures for aging, frailty and geriatric syndromes. Geriatrics need to be strengthened in classes and clinical rotations at medical schools as well as in residency trainings and fellowships. Professional geriatricians should be cultivated by the cooperation of the current geriatric academies and associated organizations. The importance of long term care and assisted living facilities for management of geriatric chronic diseases are being noted, by which continuous and integrated care should be sought. For this, systematic improvements and perceptional changes in the society need to be made. Now is the time for discussions, in-depth analyses and self-evaluation to come up with measures, such as regular family doctor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elderly lives.

      • KCI등재

        노인에서의 지역사회획득 폐렴

        조주연(Choo-Yon Cho),조용진(Yong-Jin Ch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2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3 No.4

        입원을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폐렴의 대다수는 노인 환자들이며 젊은 환자들에 비하여, 입원기간이 길고, 동반질환이 많으며,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노인 인구에서 폐렴은 중요한 사망원인이다. 노인들의 경우 급성 호흡기 증상이 아닌 혼돈이나 무기력증, 기저질환에 의한 기능부전으로 폐렴 증상이 표현될 수 있어 진단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사망률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노인 환자에서 폐렴의 중증도 평가를 시행하여 질병의 예후를 예측하고 입원여부 등을 결정하여 치료방침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겠다.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is an important threat to the health of older adults. CAP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overall mortality and the most common cause of infection-related death in Korea, especially in older adults. As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CAP is increasing recently, the economic and clinical burden is also increasing consistently. The clinical presentation in older adults is different from that in younger patients. Classic symptoms are often absent in older adults. Therefore, appropriate diagnosis and treatment can be delayed.

      • KCI등재

        노인에서 혈청 요산 농도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오정은(Jung Eun Oh),조주연(Choo Yon Ch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1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2 No.4

        연구배경: 고요산혈증은 대사증후군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청장년층과 노인을 구분하지 않고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연구되어 있어 노인에서 요산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을 평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혈청 요산 농도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2008년 6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60세 이상 남녀 523명(남자, 308명; 여자, 215명)을 대상으로 혈청 요산 농도에 따라 삼분위수로 나누어 낮은 군을 1분위군으로 하고 높은 군을 3분위군으로 하여 대사증후군의 개별 대사 이상 항목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 대사증후군의 교차비를 구하였다. 결과: 혈청 요산 농도가 1분위군에서 3분위군으로 높아질수록 남자, 현재 흡연, 문제 음주의 비율이 증가하였다(P<0.001). 그리고, 평균 허리둘레, 중성지방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공복혈당,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01). 성별, 음주, 흡연, 체질량지수를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혈청 요산 농도 1분위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3분위군의 교차비가 1.95 (95% CI=1.14-3.34)로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증가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노인에서 혈청 요산 농도의 증가는 대사증후군의 위험도 증가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Background: Many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hown that hyperuricemia wa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However, there is little data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ric acid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elderly people. Methods: Subjects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were 523 men and women aged 60 years and more,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one university hospital in Chungcheongnam-do for general health check-up from July 2008 to December 2010. Study peopl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serum uric acid level tertiles. Results: The proportion of male, current smoking, and heavy alcohol consumptio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serum uric acid level (P<0.001). Waist circumference and triglyceride increased, and fasting blood sugar and HDL-cholesterol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first tertile to third tertile of serum uric acid level (P<0.05). Compared to the subjects in the first tertile, those in the third tertile were at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odds ratio=1.95, 95% confidence interval: 1.14-3.34, P=0.015).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serum uric acid level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 KCI등재

        노인에서 기립성 저혈압에 대한 amezinium methylsulfate의 효과 및 안정성

        이상현(Sang-Hyun Lee),배철영(Chul-Young Bae),조주연(Choo-Yon Cho),최규동(Gyu-Dong Choi),김자영(Ja-Yung Kim),오한진(Han-Jin Oh),이상엽(Sang-Yup Lee),박주성(Ju-Sung Park),유희탁(Hee-Tak Yoo),원장원(Jang-Won Won),조경희(Kyung-Hee Ch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 No.1

        연구배경 : 노인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기립성 저혈압은 어지럼증, 낙상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원인이지만,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 약물사용이 제한적이어서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질환이다. Amezinium metilsulfate는 교감신경내로부터 방출된 노르아드레날린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간접형 교감신경자극제로서, 본 연구에서는 기립성 저혈압 노인환자에서 amezinium 투여 후 혈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2월 1일부터 8월 31까지 13개 병원 가정의학과 및 노인의학 센터에 내원한 60세 이상 기립성 저혈압 노인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치료군 41명은 amezinium 10mg을 하루 2회 2주간 투여하고, 대조군 59명은 기립성 저혈압 환자교육자료만 제공한 후 2주후 평가 비교하였다. 평가항목은 혈압, 맥박, 기립후 환자의 자각증상, 의사의 개선도 평가, 혈액 및 소변검사와 심전도로서 처치 전후에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어지럼증의 호전은 치료군에서 60.0%, 대조군에서 42.9%, 심계항진은 치료군에서 47.1%, 대조군에서 25.0%, 오심은 치료군에서 56.3%, 대조군에서 30.0% 발한은 치료군에서 45.5%, 대조군에서 28.6%, 호흡곤란은 치료군에서 41.7%, 대조군에서 20.0%의 호전을 보였으나 두 군간에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의사가 시행한 총체적 개선도 평가에서 치료군은 61.0%, 대조군은 18.6%의 호전을 보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처치전과 처치후의 혈압 및 맥박변화는 치료군에서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1), 대조군에서 이완기혈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맥박변화는 치료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앙와위 상태를 기준으로 기립 후 혈압차이를 산출하고, 처치 전후 혈압차이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치료군에서 대조군보다 기립 후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차이 변화량이 더 많았으나, 기립 3분 후 이완기혈압차이 변화량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Amezinium 투여후 환자가 호소한 증세는 졸리움, 불안증, 변비, 상복부 불쾌감, 홍조 각 1예였으나 치료를 중단할 정도로 심한 증세는 없었고, 투약 중단 후 소실되었다. 혈액 및 소변검사와 심전도검사에서 투약 후 약물과 관련되어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결론 : 기립성 저혈압을 가진 노인에서 amezinium metilsulfate의 투여 후 맥박의 유의한 변화나 안정시 혈압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심한 부작용 없이 기립 후 혈압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Background : Orthostatic hypotension is common condition in the elderly, but choice to treat it pharmacologically is limited because of expected side effects. Amezinium metilsulfate is an indirectly acting symathomimetic drug, which affects postganglionic sympathetic neurons, selectively inhibiting both intraneural monoamine oxidase and reuptake of norepinephr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icacy of amezinium for orthostatic hypotension in the elderly. Methods : A total of 100 patients aged 60 years or older with orthostatic hypotension participated in this multicenter study. The treatment group (n=41) received amezinium 10mg bid for two weeks and was given a patient education brochure about orthostatic hypotension.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the patient education brochure. We evaluated the patients blood pressure, pulse rate at supine, one and three minutes after standing. Assessments of orthostatic symptoms and laboratory examination were don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 In patients with orthostatic symptoms, amezinium treated patients showed improvements in dizziness (60.0%), palpitation (47.1%), nausea (56.3%) whereas the control group reported improvements in dizziness (42.9%), palpitation (25.0%), nausea (30.0%),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global symptom evaluation by the investigator, the amezinium group had more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01). Standin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fter treatment with amezini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out changes in supine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Only standing diastolic blood pressure in the patient educated control group was increased. We calculated net differences of orthostatic changes of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after intervention. The differences of standing change of blood pressure in the amezinium group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differenc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at 3 minutes after standing was significant. Conclusion : This study indicates that amezinium is efficacious and safe in the treatment of orthostatic hypotension in the elderly, without change of resting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 KCI등재

        병원에 입원한 노인의 영양상태에 관련된 요인

        이남규(Nam Kyu Lee),오정은(Jung Eun O),홍성호(Sung Ho Hong),조주연(Choo Yon Cho),안재억(Jae Ouk A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 No.4

        연구배경 : 본 논문은 지금까지 노인 영양상태 평가의 지표로 알려진 여러 요소를 바탕으로 병원에 입원한 노인환자들의 영양상태를 살펴본 것이다. 방법 : 이 조사는 1997년 12월 1일부터 1998년 7월 10일까지 서울과 구미의 순천향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 노인환자 191명을 대상으로 직접 인터뷰를 하여 이루어졌다. 성별, 배우자 유무, 술, 담배, 식사횟수, 신체질환 유무와 간이 영양 평가(Mini-Nutritional Assessment, MNA)와의 관계는 카이제곱 분석을 통하여 상호 연관관계를 판명하였다. 나이, 노인 우울증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사회망 척도(Social Network scales),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기본적 일상생활활동(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BADL) 등과 MNA의 관계는 상관분석과 카이제곱 분석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상관분석 혹은 카이제곱 분석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MNA를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조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71.8세였으며, 남자가 101명(52.9%), 여자가 90명(47.1%)이었다. 그 중 남자는 75세까지가 76명(75.2%), 76세 이상은 25명(24.8%)이었으며, 여자의 경우 75세 이하는 68명(75.6%), 76세 이상은 22명(24.4%)이었다. MNA의 평균치는 18.8±0.41정이었으며, 영양불량 상태에 있는 노인 환자는 남녀별로 각각 26명(25.7%), 15명(16.7%)이었다. 결론 :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요소는 하루의 식사횟수였고, 그 다음이 BADL, 우울증, 사회망 척도, IADL, 성별, 심각한 만성질환, 뇌혈관 질환의 순서였으며, 예상 밖으로 치매는 노인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그 정도가 미미하였다. 이상에서 우리가 중점적으로 분석하려 했던 운동성에서는 BADL과 IADL이 강하거나 혹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역시 노인의 영양상태와 관련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nutritional conditions of the aged patients admitted in the general hospital on the basis of various elements known till now as the factors for nutritional assessments of the aged. Methods : This research was done via direct interview & chart review with 191 aged patient over 65 who are in both Seoul & Gumi hospita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from December 1, 1997 to July 10, 1998. The co-relation between gender, living alone or not, alcohol, smoking, meal per day and severe chronic disease and Mini-Nutritional Assessment (MNA) was made clear through Kai-square Analysis. The relation between age, Geriatric Dpression Scale (GDS),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Social Network Scale (SNS),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and Mini-Nutritional Assessment(MNA) was researched using ANOVA and Kai-square Analysis. An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racticed regarding the variable that has significant as relation in ANOVA or Kai-square Analysis as independent variable, and MNA as dependent variable. Results :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71.8, and they consist of 101 men (52.9%) and 90 women(47.1%) : for the male, 76(75.2%) were under the age of 75. and 25(24.8%) over 76 : for the female, 68(75.6%) were under the age of 75 and 22(24.4%) over 76. The mean of MNA were 18.8±0.41, and the number of the aged who were suffering from malnutrition were 26(25.6%) and 15(16.7%) respectively.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al per day" was the most influential element, followed by BADL, depression, Social Network Scale, IADL, Gender, severe chronic disease and cerebra-vascular disease. Unexpectedly, the dementia's influence on malnutrition of the aged was very little, if any, As for the Mobility on which we focused to analyse, there was a strong or clear co-relation with BADL and IADL, and therefore, it seemed that it has close co-relation with malnutrition of the aged.

      • KCI등재

        65세 이상 노인에서 대장 용종의 특성 및 용종 절제술의 시행률

        한기원(Gi-won Han),유병욱(Byung-wook Yoo),조용진(Yong-jin Cho),오정은(Jung-eun Oh),홍성호(Sung-ho Hong),조주연(Choo-yon Ch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9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0 No.2

        연구배경: 대장암의 유병률 및 사망률은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증가가 두드러지며, 선종성 대장용종의 유병률도 증가한다. 대장용종을 발견하고 제거함으로써 대장암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음에도 여러 이유로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발견되는 용종의 특징과 용종 절제술의 시행률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3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하여 대장내시경을 시행 받은 무증상 65세 이상의 노인들 중 대장암으로 진단된 경우와 대장내시경을 끝까지 마치지 못해 임상적 의미가 없었던 경우, 과거 대장 용종을 진단받았던 경우를 제외한 202명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혈압, 혈당, 중성 지방, 고밀도 콜레스테롤 등을 조사하여 대장용종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에서 발견된 용종의 수, 위치, 조직학적 특성과 발견된 용종에 대한 용종제거술의 시행률 및 시행 시까지 걸린 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장 용종은 65.8% (133명)의 유병율을 보였으며, 75.2%에서 2개 이상의 용종이 발견되었고, 좌측(42,9%)에 더 많이 분포 하였다. 조직학적으로 79.2%가 신생물성 용종이였다. 용종군은 비용종군과 비교해 유의한 임상적 차이가 없었으나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을 만족하는 개수가 늘어날수록 대장용종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용종 절제술은 54.1%에서 시행되었으며 시행하기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244일로 진단 후 6개월 이후가 36.1%로 가장 많았다. 결론: 65세 이상 노인에서 54.1%의 대장 용종절제술 시행률은 대장암의 유병률과 사망률에 비춰볼 때 높은 빈도라고 생각하기 어려우며, 시행 시기도 6개월 이후가 36.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대장용종 절제술을 보다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Prevalence and mortality rates of colon cancer and adenomatous polyps is increased in the elderly. Although removal of colon polyps is known to decrease the mortality rate of colon cancer, various reasons prevent its widespread practice.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colon polyps and rate of polypectomy in the elderly. Methods: 202 asymptomatic patients over 65 who underwent colonoscopy at a University hospital health examination center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7 were selected, excluding those with colon cancer, incomplete colonoscopy, and history of colon polyps. Variou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erum chemistry levels were analyzed for association to colon polyps and the number, location, histology of polyps, whether colonoscopy was performed and the interval until treatment was measured. Results: Colon polyps showed a prevalence rate of 65.8% and 75.2% were multiple. Polyps in the descending colon were more common (42.9%) and 79.2% were neoplastic. The polyp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s but the prevalence increased as more diagnotic criteria for metabolic syndrome was fulfilled. Colon polypectomy was done in 54.1% and the average interval was 244 days, with over 6 months being the most common (36.1%). Conclusion: In the elderly, colon polypectomy in 54.1% of the cases is not high enough compared to the prevalence and mortality rate of colon cancer. Also, interval to polypectomy was over 6 months in 36.1% of the cases, bidding for more aggressive treatment.

      • KCI등재

        병원에 입원한 노인의 인지기능 장애와 관련된 요인

        오정은(Oh Jung-Eun),이남규(Lee Nam-Kyu),조주연(Cho Choo-Yo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2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3 No.4

        연구배경 : 인간의 평균수명 증가에 따라 치매는 중요한 노인 정신질환 중 하나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지기능 장애와 관련된 요인을 평가하여 노인성 치매에 대한 이해를 돕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1998년 12월부터 1999년 3월까지 1개 대학병원에 입원 중인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판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MMSE-K)를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요인, 생활 습관, 노인의학적 요인이 인지기능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 조사 대상자 200명 중 남자는 105명(52.5%), 여자는 95명(47.5%)이었고 정상군은 119명(59.5%), 경도인지기능 장애군은 60명(30.0%), 중증 인지기능 장애군은 21명(10.5%)이었다. 카이제곱 검사 결과 인지기능장애 정도는 연령(P<0.05), 교육수준(P<0.001), 배우자유무(P<0.05), 운동유무(P<0.05), 기본적인 일상 생활 수행 능력 (P<0.001), 간이 영양 평가(P<0.001), 노인 우울 척도(P<0.05)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변수는 교육 수준(P<0.001)과 기본적인 일상 생활 수행 능력(P<0.001)이었다. 결론 : 인지기능 장애는 교육 수준이 낮고 기본적인 일상 생활 능력에 의존이 있는 노인에서 더 많았다. 노인의 인지기능 장애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 Elderly dementia has been major neuropsychiatric disorder in recent years with the growing of the aged population. This study designed to evaluate associated factor with the cognitive impairment and help understanding recent trends of eldery dementia and its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 This study was done via direct interview and chart review with 200 aged patients over 65 who are in an university hospital from December 1997 to March 1999. We analyzed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life styles and geriatric factors by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Results : The subjects consisted of 105 men(52.5%) and 95 women (47.5%). The rate of normal cognitive function was 59.5%, the rate of mild impairment was 30.0% and the rate of severe impairment was 10.5%. Chi-square analysis showed that the variables such as age(P<0.05), education(P<0.001), marital status(P<0.05), exercise(P<0.05),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P<0.001), Mini-Nutrition Assessment(MNA, P<0.001) and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P<0.05) ha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gnitive impairment level. Among these variables education(P<0.001) and ADL(P<0.001)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 In the elderly, lower educational level and ADL dependence were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airment.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know other factors influencing on cognitive impairment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