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OLETF 쥐에서 칠면초와 세발나물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조정용(Jeong-Yong Cho),Zhangjun Huang,박선영(Sun-Young Park),박경희(Kyung-Hee Park),배동근(Tong-Kun Pai),김소영(So-Young Kim),김행란(Haeng-Ran Kim),함경식(Kyung-Sik Ham)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인 칠면초와 세발나물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OLETF쥐는 CCK-1 수용체의 결함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을 걸쳐 제 2형 당뇨병이 유발되는데, 인슐린 저항성이 진행되는 10주령부터 28주령이 될 때까지 칠면초와 세발나물을 18주 동안 섭취시켰다. 염생식물식이군들의 체중이나 공복혈당 변화는 식이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Oral glucose tolerance test에서 염생식물 섭취가 당 내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그 혈당 변화를 면적으로 환산하였을 때 각 식이군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insulin 및 HbA1c 수치는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adiponectin 수치는 높고 leptin과 ghrelin 수치는 낮았으나 현저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세발나물식이군의 혈중 중성지질과 총 cholesterol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혈중 지질산화물 함량은 각 식이군 간 유의차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염생식물식이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NF-κB p65는 지방조직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발현량을 보였다. 또한 두 염생식물식이군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의 negative regulator인 pIRS1Ser307의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해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칠면초와 세발나물은 생후 성장하면서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는 OLETF쥐의 인슐린 저항성을 현저하게 줄여주지는 못하였으나 그 개선 효과는 있는 것으로 시사되며, 두 염생식물의 급여 기간을 늘려 제 2형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에 대한 섬세한 검토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evaluated preventive effects of Suaeda japonica (SJ) and Spergularia marina Griseb (SMG) on the insulin resistance in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The 10-week old OLETF rats were fed diets containing 3% (w/w) SJ and SMG for 18 weeks.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in SJ and SMG groups, measured using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rats. The SMG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insulin, glycated hemoglobin,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se levels were relatively lower in the SJ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rats. The SJ and SMG groups had relatively lower protein levels of nuclear factor-kappa B (NF-κB) p65 in adipose tissue and serine phosphorylated insulin receptor substrate 1 (IRS-1) in skeletal muscl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J and SMG prevent insulin resistance and SMG in particular reduces bloo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 KCI등재후보

        홍차 첨가량 및 발효균주에 따른 화이트 와인의 발효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조정용(Jeong-Yong Cho),손경현(Gyeong-Hyun Son),마승진(Seung-Jin Ma),김선재(Sun-Jae Kim),문제학(Jae-Hak Moon),박근형(Keun-Hyung Park) 한국차학회 2013 한국차학회지 Vol.19 No.3

        발효차의 기능성이 부여된 홍차 화이트 와인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청포도과즙에 홍차 첨가량 및 발효균주를 달리하여 화이트 와인을 제조하고 그 제조과정 중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차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홍차 화이트 와인은 홍차 첨가량이 청포도과즙의 5% (w/v)이하에서 그 첨가량이 많을수록 알코올 생성능이 더 빨랐으며, 높은 pH와 총산 함량을 나타냈고, 황색도와 적색도도 높았다. 그러나 화이트 와인 제조 시 홍차 첨가가 와인 제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거의 주지 않았다. 또한 3종의 발효 균주를 각각 접종한 청포도과즙에 2.5% (w/v)의 홍차를 첨가하여 홍차 화이트 와인을 제조하였을 때, 3종의 발효균주들은 화이트 와인 제조에 적합하였으며, 이들 중 Sacchromyces속 Gw03과 Gw10의 발효균주들은 다른 균주에 비해 알코올 생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홍차 화이트 와인의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과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발효균주들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홍차를 첨가한 후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으며, 발효가 종료된 후에는 홍차 무첨가 화이트 와인보다 높은 활성과 함량을 나타냈다. 발효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홍차 화이트 와인에는 홍차 무첨가 화이트 와인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catechin류와 theaflavin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성분 함량은 발효균주을 달리하여 제조한 화이트 와 인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화이트 와인 제조 시 홍차 첨가가 와인 제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고, 홍차 유래 항산화 활성 물질을 포함한 유용성분이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홍차의 기능성을 부여한 홍차 화이트 와인이 제조될 경우 국내산 차의 소비 확대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hite wine prepared with black tea (BTWW)after the addition of different black tea contents and starters were investigated. BTWWs were prepared from green grape juice supplemented with the different contents of black tea. The content of alcohol in BTWWs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BTWWs showed a higher pH value and total acidity than white wine without black tea. During the manufacturing of BTWWs, the Hunter L value decreased, while Hunter a and b values increased. Using three Saccharomyces strains, BTWWs were also prepared with green grape juice supplemented with 2.5% (w/v) black tea. Gw03 and Gw10 strains showed higher abilities of alcohol production than the Gw02 strain.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regardless of strains. BTWWs showed higher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than black tea‐free white wine. Catechins and theaflavins were in high amount in BTWWs, but their cont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TWWs prepared with the three strai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including catechins and theaflavins of BTWW,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black tea.

      • KCI등재후보

        녹차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특성 및 항산화 활성

        조정용(Jeong-Yong Cho),조여린(Yeo Lin Jo),손경현(Gyeong Hyun Son),김선재(Seon-Jae Kim),마승진(Seung-Jin Ma),문제학(Jae-Hak Moon),박근형(Keun-Hyung Park) 한국차학회 2014 한국차학회지 Vol.20 No.2

        녹차를 첨가하여 녹차 막걸리를 제조하고, 그 제조과정 중 녹차 막걸리의 발효 특성 변화 및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막걸리의 제조에 있어 녹차 첨가는 알코올 발효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리고 녹차막걸리에는 catechin류 및 caffeine을 비롯한 녹차 유래의 다양한 화합물들이 용출되어 함유되어 있었으며, 녹차 첨가량이 많을수록 그들의 함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녹차 막걸리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은 녹차 무첨가 막걸리 및 시판쌀막걸리보다 더 높았다. 또한 녹차 막걸리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은 녹차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녹차의 기능성을 강화한 녹차 막걸리의 제조가 가능함을 제시하였으며, 차 소비 확대 및 차농가의 소득 증대를 위한 실용화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akgeolli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green tea (GTM). Alcohol content in GTM increased gradually during fermentation. GTM showed a slightly higher pH and lower total acidity than green tea-free makgeolli. THe HPLC chromatograms of GTM revealed an increase in various compounds including catechins depending on increase in green tea content. GTM showed higher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than green tea-free makgeolli and commercial makgeoll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GTM can be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green tea.

      • KCI등재후보

        동백꽃차와 동백꽃발효차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조정용(Jeong-Yong Cho),이향희(Hyang-Hee Lee),문제학(Jae-Hak Moon),박근형(Keun-Hyung Park) 한국차학회 2011 한국차학회지 Vol.17 No.1

        Non-fermented flower tea and enzymatic fermented flower tea samples were manufactured from the flower of Camellia japonica.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color, visible spectra, total phenolic content, and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non-fermented flower tea showed higher Hunter a value and lower Hunter b value than those of the fermented flower tea. The maximum absorbance of both tea samples was in the region of 500-600 nm in the visible spectra. The non-fermented flower tea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an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those of fermented flower tea. Among the various 4-hydroxybenzoic acid derivatives isolated as the main antioxidative substance from the flower, 3,4,5-trihydroxybenzo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flower tea samples. Hydroxybenzoic acid derivatives such as 3,4,5-tri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and 4-hydroxybenzoic acid were decreased during the manufacturing of enzymatic fermented tea. This study indicates that flower of C. japonica can be utilized as a good source for the production of non-fermented flower and fermented flower tea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 와인의 ethyl acetate 획분으로부터 저분자 휘발성 화합물들의 분리 및 구조해석

        조정용(Jeong-Yong Cho),김성자(Seong Ja Kim),이형재(Hyoung Jae Lee),김진영(Jin Young Kim),임익재(Ik Jae Lym),강성구(Seong-Koo Kang),박근형(Keun-Hyung Park),문제학(Jae-Hak Moon)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5

        복분자 와인은 복분자 열매를 발효ㆍ숙성시켜 제조한 것으로, 소비자에게 널리 음용되고 있으나 그 원재료인 복분자 열매에 대한 연구에 비해 복분자 와인에 존재하는 성분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 우리는 복분자주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들의 분자 수준에서의 연구를 통하여 4-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4-(2-hydroxyethyl)-phenol, pyrocatechol, ethyl gallate 등의 5종의 저분자 페놀성 화합물을 단리ㆍ구조해석하여 보고한 바 있다. 그 연속된 연구로써 본 논문에서는 복분자주에 존재하는 성분들에 대한 추가적인 분리 및 구조해석을 행하였다. 제조된 복분자 와인(11 L, 복분자 열매 15.7kg)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EtOAc층(56.2g)의 일부(20g)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ODS-HPLC로 정제하여 5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이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MS 및 NMR 등의 기기분석을 행한 결과, ethyl succinate(1, 13.1 mg), vanillic acid(2, 2.6 mg), ethyl 3,4-dihydroxybenzoate(3, 13. 1 mg), furan-2-ol(4, 1.3 mg), 그리고 4-(4-hydroxyphenyl) butan-2(S)-ol(5, 1.1 mg)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 대부분은 발효식품에서 향기 성분으로 동정된 바 있으며, 화합물 2는 복분자 열매에 존재함이 이미 보고되어 있으나, 화합물 1과 3-5는 복분자 열매 및 복분자 와인으로부터 처음으로 동정되었다. In the course of our investigation for chemical constituents in the ethyl acetate layer of Korean black raspberry wine, five compounds were isolated and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ethyl succinate (1), vanillic acid (2), ethyl 3,4-dihydroxybenzoate (3), furan-2-ol (4), and 4-(4-hydroxyphenyl)butan-2(S)-ol (5) based on the spectroscopic data of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The presence of 2 in Korean black raspberry has previously reported. However, 1 and 3-5 in Korean black raspberry and its wine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함초발효액으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조정용(Jeong-Yong Cho),박선영(Sun-Young Park),신미정(Mi-Jeong Shin),고천성(Tian-Cheng Gao),문제학(Jae-Hak Moon),함경식(Kyung-Sik H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8

        함초발효액의 기능성 해명과 유용 기능성 성분 탐색연구의 일환으로 함초발효액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구조해석 하였다. 함초발효액을 용매분획 하여 얻어진 용매분획물들 중 CHCl₃층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그래서 CHCl₃층을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의 분자체 효과 및 흡착능의 특성을 각각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2종의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단리한 이들 화합물을 대상으로 MS 및 NMR 분석을 통하여 cirsiumaldehyde(1)와 chrysoeriol(2)로 각각 동정하였다. 이화합물들은 ABTS<SUP>+</SUP> 및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나타냈으며, 화합물 2는 화합물 1에 비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The chloroform layer of fermented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juice was found to have higher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an the other layers by the assays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SUP>+</SUP>) radicals. Two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isolated and purified from the chloroform layer b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using the guided assay of DPPH radical scavenging. Based on mass spectrometer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cirsiumaldehyde (1) and chrysoeriol (2).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the presence of those compounds in fermented glasswort juice. Compound 2 showed higher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an 1.

      • KCI등재

        녹차 추출물 첨가 김 스낵의 항산화 활성

        박정희(Jeong Hee Park),정항연(Hang Yeon Jeong),조정용(Jeong Yong Cho),문제학(Jae Hak Moon) 한국차학회 2017 한국차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녹차의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김 스낵을 제조하고자, 데리야끼소스와 칠리소스를 기반으로 8% 녹차 추출물을 첨가하여 김 스낵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조사하고, DPPH 및 ABTS+ radical-scavenging 활성과 환원력을 평가하였다. 칠리소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 스낵은 총 페놀성 화합물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데리야끼소스를 이용한 김 스낵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특히 칠리소스에 녹차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그 함량 및 활성이 더욱 높아졌다. 그러나 데리야끼소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김 스낵의 경우 녹차 추출물을 첨가하더라도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항산화 활성의 증가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었다. 녹차 추출물이 첨가된 김 스낵의 항산화 활성 및 환원력 향상 정도는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향상 정도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녹차 추출물 첨가 데리야끼소스와 칠리소스를 기반으로 한 김 스낵의 항산화 활성 향상은 catechin류를 포함한 녹차에 함유된 항산화 화합물에 의한 효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laver snacks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8% green tea hot water extract, based on teriyaki and chili sauces. The chili sauce-based laver snacks exhibited a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than the teriyaki sauce-based ones. In addition, compared to the teriyaki sauce-based laver snacks, the chili sauce-based ones showed higher antioxidative activities in assays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2,2 -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s as well as reducing power. Especially, when green tea extract was added to the chili sauce-based laver snack, its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ddition of green tea extract to the teriyaki sauce-based laver snack resulted in a slight increase in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laver snacks were cor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