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적 유기용제 폭로로 인한 조선업 도장공들의 신경행동학적 영향에 관한 연구

        조영숙,Cho, Young Sook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1997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Vol.6 No.1

        Across 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ronic effects on central nerve system(CNS) of cumulative exposure of complex organic solvents, using neurobehavioral test. Subjects were 66 (male) dock yard painters of some large ship industry which is located in Ulsan. The neurobehavioral test battery used in this study was NCTB (Neurabehavioral Core Test Battery recommended by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which consisted of 7 items-Profile of mood states (POMS), Simple reaction time, Santa Ana dexterity test. Digit span, Digit symbol,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and Pursuit aiming.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by 3 groups according to duration of employment(group 1 ; less than 9 years, group 2 ; 10-14 years, group 3 ; more than 15 years). The results of performance were analyzed considering of work duration, age, educational level, alcohol drinking, smoking and testing time as confounding factors.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pursuit aiming correct dot and sum of d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work duration. It indicated that the mean scores of performance ability were lowering according to work duration. Besides, the tests that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s but showed linear trends were depression-dejection, vigor, fatigue of POMS, slowest time of simple reaction time and digit span forward. Most of the neurobehavioral test items were correlated with age and educational level. After controlling of confounding factors-age and educational level, the results followed ; digit span backward was different significantly. Tension-anxiety, depression-dejection, anger-hostility of POMS, SD and slowest time of simple reaction time, Santa Ana dexterity test non-preferred hand, digit span forward,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and pursuit aiming correct dot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work dura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ymptom and the scores of 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ere were no items that had statistical significant relationship(p<0.05).

      • KCI등재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C57BL/6 마우스에서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의 지질저하 작용

        조영숙,손미예,이미경,Cho, Young-Sook,Shon, Mi-Yae,Lee, Mi-Ky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려 품종인 청일뽕잎을 이용하여 고지방식이(열량의 37%를 지방으로 대체)를 급여한 C57BL/6 마우스의 지질 함량과 지질대사를 측정함으로써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의 지질 개선작용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C57BL/6마우스(n=32)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HF), 고지방-뽕잎분말군(HF-PML)과 고지방-뽕잎열수 추출물군(HF-WML)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뽕잎은 사람의 섭취량을 고려하여 뽕잎 1%수준이 섭취되도록 분말(1g/100g diet)과 열수추출물(0.22g/100g diet)을 식이에 첨가 조제하여 급여하였다.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은 고지 방을 급여 한 마우스의 체중과 장기 무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뽕잎분말만 일일 식이섭취량과 에너지 섭취를 고지방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시켰다 실험 6주 후 고지방 대조군의 혈장과 간조직 중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함량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혈장과 간조직 중의 지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고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는 정상 수준이었다(p<0.05).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은 변으로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배설을 증가시켰다. 간조직 중의 fatty acid synthase, fatty acid ${\beta}-oxidation$과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활성은 고지방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은 이들 효소들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에서 뽕잎분말과 열수추출물은 변으로의 지질 배설을 증가시키고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혈장과 간조직의 지질 함량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lipidemic effect of powdered mulberry leaves (PML) and water extract of powdered mulberry leaves (WML) on high-fat fed mice. Mal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normal group (N), a high-fat (HF) group, a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PML (HF-PML) and a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WML (HF-WML). The PML or WML was added to a standard diet based on 1% dried mulberry loaves (1g PML/100g diet and 0.22g WML/100g diet) for 6 weeks. Body weight and organ weights were not different among thle groups in high-fat fed mice, whereas food intake and daily energy intake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ed in the HF-PML group. In plasma and liver, the supplementation of PML and WML significantly (p<0.05) lowere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ratio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HF-PML and HF-WML groups than in the B:.w group. The fecal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the HF-PML and HF-WML groups compared to the HF group. Hepatic lipid regulating enzyme activities, fatty acid synthase, fatty acid ${\beta}-oxidation$ and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N group. However, the activities of these hepatic lipid regulating enzymes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p<0.05) elevated in the HF-PML and HF-WML groups compared to the HF group.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ML and WML improve plasma and hepatic lipid levels partly by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 and enhancing hepatic lipid regulating enzymes activities.

      • KCI등재

        농촌생활지표조사에서 무응답 대체 : 사례

        조영숙,천영민,황대용,Cho, Young-Sook,Chun, Young-Min,Hwang, Dae-Yong 한국통계학회 2008 응용통계연구 Vol.21 No.1

        농촌생활지표조사는 2000년부터 농촌자원개발연구소에서 매년 실시하는 조사로서 통계청 승인통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농촌생활지표조사에 사용된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원자료에 대한 에디팅 과정을 거친 후 무응답이 포함된 개체를 제거하여 얻어진 1,582 가구를 대 상으로 하였으며 총 146문항 중에서 최종 선택되어진 15문항을 증심으로 무응답 대체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대체법과 각 대체법의 효율성은 자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었다. 먼저 연속형 자료에 대해서는 평균대체, 회귀대체, 수정된 그레이 기반 k-NN 대체(DU, DW, WU, WW) 방법을 사용하여 무응답을 대체하고 RMSB를 이용하여 실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범주형 자료에 대해서는 최빈값 이용, 확률 대체, 조건부 최빈간 이용, 조건부 학률 대체, 단순 임의 핫덱 대체 방법을 사용하여 무응답을 대체하고 정확도(Accuracy)를 이용하여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연속형 자료에 대해서는 회귀대체 또는 그레이 기반 k-NN 대체가 적절하고, 범주형 자료에 대해서는 핫덱 대체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Survey on the rural living indicators was the statistic approved from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survey executed by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This study was used the raw data of survey on the rural living indicators in 2005. After editing procedure for raw data, we were studied 1,582 households which is acquired through elimination of case included nonresponses, and imputed a nonresponses of 15 item selected from 146 item. The imputation methods and efficiency of imputation for simulation was adapted differently from type of data. For continuous data, we imputed the nonresponses with mean imputation, regression imputation, adjusted grey-based k-NN imputation(DU, DW, WU, WW)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RMSE. For categorical data, we imputed the nonresponses with mode method, probability imputation, conditional mode method, conditional probability method, hot-deck imputation,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Accuracy. By the results, regression imputation and adjusted grey-based k-NN imputation appropriated for continuous data and hot-deck imputation appropriated for categorical data.

      • KCI등재

        보리순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 함량과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양은주(Yang Eun-Ju),조영숙(Cho Young-Sook),최명숙(Choi Myung-Sook),우명남(Woo Myoung-Nam),김명주(Kim Myung-Joo),손미예(Shon Mi-Yae),이미경(Lee Mi-Kyung)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1

        본 연구는 고지방 (열량의 37%를 지방으로 대체)을 급여한 마우스의 체중과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보리순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ICR 마우스 (n = 32)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 고지방-보리순분말군과 고지방-보리순열수추출물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보리순은 사람이 하루에 3잔의 차를 마시는 양을 고려하여 보리순 1%수준이 섭취되도록 분말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식이에 첨가 · 조제하여 8주간 급여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보리순분말군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보리순열수추출물은 식이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마우스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특히, 내장지방무게의 대표적 지표인 부고환지방조직 무게를 유적으로 낮추었다. 이는 보리순이 식이섭취 억제에 의존적으로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제시한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각각 25%와 20%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중성지질 함량은 보리순분말군과 열수추출물군 모두 28%와 43%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혈장 중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HTR)를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였다.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각각 1.3배, 1.2배의 증가를 보였으나 보리순 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모두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신장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고지방식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심장에서는 1.4배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보리순열수추출군에서만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볼 수 있었다. 간조직과 신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심장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리순열수추출물의 경우 심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변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낮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약 6배 높았다. 한편, 보리순말과 열수추출물 급여는 고지방 대조군에 비하여 변으로의 트리글리세리드 배설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조직 중 FAS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에서 1.7배 높아진 반면, β-oxidation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지방산 합성효소의 활성을 정상군 수준으로 개선하였으나 지방산 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련하는 HMG-CoA reductase와 ACAT 활성은 각각 정상군보다 고지방대조군에서 각각 2.1배, 1.5배씩 높았으나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와 같이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의 간조직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지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wdered young barley leaf and its water extract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high-fat fed mice. Male mice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high-fat (HF) group,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powdered young barley leaf (HF-YBL) and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water extract of the powdered young barley leaf (HF-WYBL). The powdered young barley leaf or its water extract was added to a standard diet based on 1% dried young barley leaf (1 g YBL/100 diet and 0.28 g WYBL/100 g diet) for 8 weeks. Supplementation of YBL and WYBL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weight in highfat fed mice. Food intake and daily energy intak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group than in the HF group. After 8 weeks, plasma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however, both YBL and WYBL significantly lowered those of the high-fat fed mice. The ratio of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of the YBL and WYBL group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to that of HF group. Both YBL and WYBL significantly increased fecal excretion of triglyceride in high-fat fed mice, whereas they did not affect fecal cholesterol concentration. The triglyceride levels of liver, adipose tissue and hear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and WYBL groups than in the HF group. Supplementation of WYBL also lowered the kidney triglyceride and heart cholesterol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ose of HF group. Hepatic lipid regulating enzyme activities, fatty acid synthase, HMG-CoA reductase and acyl-coenzyme 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and WYBL groups than in the HF group.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YBL and WYBL improve plasma and organ lipid levels partly by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 and inhibiting fatty acid and cholesterol biosynthesis in the liver. (Korean J Nutr 2009; 42(1): 14 ~ 22)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보문 : 식물환경 ; 곡류 도정에 따른 지방산 조성 변화 연구

        조영숙 ( Young Sook Cho ),김유나 ( Yu Na Kim ),김수연 ( Su Yeon Kim ),김정봉 ( Jung Bong Kim ),김헌웅 ( Heon Woong Kim ),김세나 ( Se Na Kim ),김소영 ( So Young Kim ),박홍주 ( Hong Ju Park ),김재현 ( Jae Hyu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1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0 No.4

        BACKGROUND: Cereals, especially rice is the staple food of oriental nations and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for Korean food, to determine the extent of nutrient losses due to milling, we analyzed the fatty acid using by GC-FID(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Experimented rice cereals were rice, glutinous rice, Heuinchalssalbori, Seodunchalbori, Saessalbori, Keunalbori No.1, barnyard millet produced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After milling, the contents of fatty acids in the rice, glutinous rice, Heuinchalssalbori, and Seodunchalbori, Keunalbori No.1 rather decreased, but in the Saessalbori, and barnyard mille increased. Particularly, fatty acid content of the rice decreased from 24.8㎎/g to 6.4㎎/g, glutinous rice decreased from 29.4 mg/g to 11.7㎎/g after milling.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hanges in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 among samples. Stearic acid (C18:0) increased from 5% to 15%, but oleic acid (C18:1) and linoleic acid (C18:2) decreased in the rice after milling. CONCLUSION(s): In the brown rice, 11 different types of fatty acids were detected, and its highest content was found in grains. However, milled grain was observed only seven fatty acids in the case of rice. This result insisted that a portion of the lipid layer was significantly lost during the milling operation in r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