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가치 변화 양상

        조수윤 ( Cho Sooyu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初等 數學敎育 Vol.21 No.3

        본 연구는 교사와 학생의 가치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수학학습 가치 설문지를 활용하여 15차시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 교사의 가치를 4차에 걸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치는 개인이 수많은 경험을 거쳐 내면화된 깊이 있는 판단 양식임에도 불구하고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교사는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무조건 강요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반영하여 자신의 목표를 수정해 나갔다. 수학적 가치의 경우, 합리주의, 객관주의, 미스터리는 교사와 학생이 서로 수렴하였고, 통제는 일관되게 유지되었으며, 개방의 경우 교사와 학생모두 상향 하였다. 수학 교육적 가치의 경우에는 이해, 즐거움, 용어, 적용의 경우 서로 수렴하였고, 성취는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또한 교사는 효과적인 수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학생과의 가치에 대해 협상해 가면서 몇 가지 전략을 사용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정한 의미에서 학습자 중심수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가치가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ing aspect of teacher and student's value in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eacher and student's value are analyzed through value questionnaire by four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lthough value are individual's deep decision mechanism, it could change considerably by the time. Teacher wasn't compel students to follow her value. Rather, teacher was modified instruction goal to reflect students thinking what is important in mathematics lesson. First, in case of mathematical value, rationalism, objectism, mystery were convergent each other. And control was almost unchanged and openness has been onwards and upwards. Second, in case of mathematics educational value, understanding, pleasure, terminology and application were convergent each other. However achievement was almost unchanged. Also, to teach effectively, teacher using several kinds strategy while negotiate with student's value continuousl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include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y about values in mathematics which could be the critical factor in student centered instructio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조수윤 ( Cho Sooyu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初等 數學敎育 Vol.21 No.1

        본 연구는 1, 2학년 수학교과서에 반영된 다문화 교육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다문화 수학교육 요소 분석 틀을 개발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이나 ‘지식의 다양성’, ‘사회적 문제해결’에 대한 다문화 교육 요소가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나 있었지만,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학교과서에는 ‘사회적 문제해결’을 제외한 다문화 교육요소가 고루 나타나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에 적용된 다문화 교육 요소의 적용수준은 대부분 낮게 나타났으며 교과서에 제시된 다른 나라의 수학사나 문화가 지나치게 유럽 중심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는 다문화 학생이나 장애인, 타인종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에서 다문화 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다음 교과서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factor shown in mathematics textbook. For this purpose, 2015 revised curriculum, mathematics textbook and teacher’s guide book of first and second grade were analyzed using framework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cluded ‘culture identity’, ‘diversity of knowledge’ and ‘social problem solving’ but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excluded ‘culture identity’. Nevertheless, mathematics textbook showed various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factor except ‘social problem solving’. But there are several kinds of problem. Fist, application level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factor was mostly low. Second, history of mathematics and culture aspects were Europocentric. Thirds, characters in mathematics text book were excessively standard. there weren't other ethnicity, the disabled , multicultural student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include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한국 학생들의 수학과 수학 학습에 대한 가치 인식: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방정숙 ( Pang Jeongsuk ),조수윤 ( Cho Sooyun ),( Seah Wee Tio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6 수학교육 Vol.55 No.4

        What an individual values and regards as importa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is or her learning. Classroom instruction would be even more effective if what the teacher regards as important in his or her pedagogical practice are aligned with what students regard as important too. Given this background,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what Korean students valued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s learning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Seah (2005). The participants were 409 students from Grade 6 and 407 students from Grade 9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put the biggest emphasis on ideological aspects of mathematics, specifically rationalism, among mathematical values. The students also valued product, computation, process, exposition, and recalling among values related to the learning of mathematic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of students showed that sixth graders tended to think more positively with regards to each value than ninth grader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raises some issues about students` values in mathematics learning. It also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consider what students value and regard as important in their mathematics learning to bring about even more effective instruction.

      • KCI등재

        수학교육적 가치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임민재 ( Yim Minjae ),조수윤 ( Cho Sooyun ),방정숙 ( Pang Jeongsu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논문집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육적 가치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고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주성분 분석(PCA)을 실시하여 요인 6개를 도출하였다. 이 요인은 체계 적인 라벨링 과정을 거쳐 6가지 수학교육적 가치 즉 ‘재미’, ‘문제 해결’, ‘표현’, ‘계산’, ‘능력’, ‘설명’으로 명명되었다.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 모두 ‘문제 해결’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이 요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설명’을 제외한 모든 수학교육적 가치에 대해 1학년 예비 초등교사, 4학년 예비 초등교사, 현직 초등교사 순으로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 사이에 각 가치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 수학교육 적 가치의 구현과 관련하여 더 중요하고 의미 있게 다뤄야 할 것이 무엇인지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mathematics educational value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we implemented a questionnaire investigating mathematics educational values and us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hich resulted in six components. These components were named as fun, problem-solving, representation, computation, ability, and explanation through systematic labeling processes.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dered problem-solving the most important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 groups. They also considered fun the least important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ed it more important than pre-service counterparts did. All value components except explanation were regarded as important by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urth-year pre-service teachers, and first-year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he result of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ies that actual teaching experience may affect teachers’ mathematics educational values more tha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Based on these findings, we need to discuss what should be regarded as important and worthwhile i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o establish mathematics educational values for pre-service teachers. We also need to confirm whether the mathematics educational values by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y be in line with what has been pursued in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 KCI등재

        수학 수업을 위한 초등 교사의 지도안 작성 실태 조사

        방정숙(Pang, JeongSuk),조수윤(Cho, Soo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Despite the significance of lesson plan as a foundation of implementing effective instruction, there have been lack of studies in this area. Given that a teacher is the planner of her i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in what ways a teacher constructs and employs her lesson pla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lesson plan for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regard to teachers conception of purpose, content, method, frequency, use, and alternative of their lesson pl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ny teachers focused on the achievement of lesson objectives and the maintenance of a planned lesson flow, considering more what they should do than what students need to do. Teachers also tended to construct a lesson plan mainly when they were expected to do on the basis of teachers manuals or their colleagues plans. They used their lesson plans mainly for the given less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raised issues and suggested implications of constructing a lesson plan. 좋은 수업 구현을 위한 기초로써 수업 계획이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수업의 설계자가 교사임을 감안하면, 실제 교사가 어떻게 지도안을 작성하고 활용하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 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학 수업을 위한 지도안의 필요성 및 목적, 내용, 작성 방법, 작성 빈도 및 시간, 활용, 대안적 지도안의 방향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교사들이 주로 학습 목표 도달 및 수업 흐름 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 아래, 학생들의 활동보다는 교사 활동에 초점을 두고, 교사용 지도서나 다른 교사의 지도안을 참고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지도안을 작성하고 대개 해당 수업만을 위해 지도안을 활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지도안 작성과 관련된 제반 쟁점들을 논의하고 수업 설계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