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생명과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지식수준

        조성겸(Cho Sung Kyum),조은희(Cho Eun Hee) 한국생명윤리학회 2009 생명윤리 Vol.10 No.1

        결핍모델에 따르면 시민이 갖고 있는 과학지식의 수준이 과학에 대한 태도와 지지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이와 반대로 과학지식 수준이 시민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데이터를 이용해 한국인의 과학지식과 태도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2006년, 2008년에 KAIST ELSI 프로젝트(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윤리ㆍ법률ㆍ사회 함의 연구) 팀이 실시한 여론조사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생명과학에 대한 매스미디어 보도가 큰 폭으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생명과학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수준은 높아지지 않았다. 둘째 생명과학에 대한 지식수준이 생명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재 시민들은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문가 의견의 영향을 받아 태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판단은 위험부분을 지나치게 경시하고 실현가능성을 낙관적으로 보게 할 수 있다. 과학기술에 대한 합리적인 사회적 수용을 위해서는 일반시민들의 지식수준을 근본적이고 균형적으로 높여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public's level of knowledge affects public opinion on scientific issues. Analysis of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KAIST ELSI(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project team reveals several trends in public opinion. The public's level of knowledge has not been enhanced in spite of the recent increase in media coverage of scientific issues. The surveys also show that the public's level of knowledge does not affect the public's attitude. They tend to form an attitude with little knowledge and accordingly be influenced by experts' opinion. It has been also found that the public seems to underestimate the risks and has and overly positive attitude toward biotechnology. Therefore more effort is needed in order to provide the public with accurate information.

      • KCI등재

        연령집단에 따른 노인의 허약(Frailty) 예측요인 분석

        조성은 ( Cho Sung Eun ),최은영 ( Choi Eun Young ),오영삼 ( Oh Young Sam ),김영선 ( Kim Young Sun ),김성복 ( Kim Seong B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집단에 따른 허약의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총 4,123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허약을 예측하는데 있어 연령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대상자를 75세 이상 85세 미만의 중 고령노인집단(n=3,373명)과 85세 이상의 초 고령노인집단(n=750명)으로 분류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중 고령노인집단에서 전 허약노인과 허약노인은 각각 1453명(약 43%), 1,268명(약 37%)으로 나타났으며, 초 고령노인 집단에서 전 허약과 허약노인은 304명(약 40%), 396명(약 52%)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의 결과 건강단계에서 허약전 단계로 진입하는 예측요인은 중 고령노인집단에서는 여성, 낮은 교육수준, 많은 만성질환, 낙상 유경험자,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허약 전 단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초 고령노인집단은 여성, 높은 우울, 낮은 사회활동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허약 전 단계에서 허약 단계로의 진입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중 고령노인집단은 여성, 높은 연령, 미취업, 많은 만성질환, 낙상 유경험자,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유의한 변인이었으며, 초 고령노인 집단은 높은 연령, 많은 만성질환,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연령의 세분화와 다각적인 요인의 접근으로 허약의 예측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예측요인은 추후 허약에 대한 다각적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frailty in different age groups. To address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4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SLCE). In the research model, 4,123 older adults aged 75 and older were included from the SLCE. All participants were subdivided into two age groups based on their age; the young old group (75-85) and the old-old group (85+). The young old group consisted of 1,453 (43%) pre-frail older adults and 1,268 (37%) frail older adults; the old-old group consisted of 304 (40%) pre-frail older adults and 396 (52%) frail older adults. Ou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 the young-old, being female, lower levels of education, having more chronic diseases, having fall experience,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functioning significantly predicted transition to pre-frailty from non-frail status. In the old-old, being female, higher depression, lower level of social ac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other hand, predictors of transition to frailty from pre-frail status in the young-old were being female, higher age, being unemployed, having more chronic diseases, having fall experience,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old-old, predictors of transition to frailty from pre-frail status were only higher age, having more chronic disease, higher depression, and lower cognitive functioning.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in the making of strategies for preventing frailty.

      • KCI등재

        장애인 정책의 사회적 구성: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

        조성은 ( Sung Eun Cho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1 行政論叢 Vol.49 No.4

        본 연구는 사회적 구성주의 시각에서 한국사회의 대표적 소수자인 장애인의 정체성 변화를 고찰하고, 정체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제정될 수 있었던 배경을 탐색하였다. 정체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정부 관련성(정부 관련성 높음/정부 관련성 낮음), 영향력을 미치는 부분(인식/인식·권력/권력)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의 정체성은 1980년대까지 일탈집단에 머물렀으나 1990년대 후반, 2000년대 초 의존집단으로 변화되었고 2000년대 후반인 현재 수혜집단으로 변화되는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차별금지법은 장애인의 정체성이 수혜집단으로 변화되는 과정에 나타난 결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정체성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살펴보면, 인식의 전환에는 정부와 관련된 요인으로 정책설계가, 정부와의 관련성이 낮은 요인으로 사회운동, 사회적 사건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권력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정부와 관련이 높은 요인으로 정치적 사건과 정책설계, 외부적 사건을 정부 관련성이 낮은 변수로는 사회운동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권익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지만 아직 한계가 없는 것은 아니며, 정책설계의 영향력을 고려할 때 장애인의 자립생활 및 권익 확보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flects on changes in the identity of the disabled, a representative minority in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structivism, and analyzes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is change in order to examine the background to the passage of the Anti-Discrimination against and Remed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change in identity were analyzed based on the categorization of the strength of their relation to the government (highly related to the government/less related to the government) and the aspects that exert influence (perception/perception·power/power).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dentity of the disabled remained as "deviant" until the 1980s but changed into that of "dependent" in the late 1990s and early 2000s, and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turning into that of "advantaged group" in the late 2000s. The Anti-Discrimination against and Remed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was also determined to have resulted from the process of changing the identity of the disabled to advantaged group. Meanwhile, when looking a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identity change, it was found that the paradigm shift was influenced by policy design, as a government-related factor, and social movements and social incidents as factors with less relation to the government. Furthermore,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power were identified as, on the one hand as highly related to government, political incidents, policy design, and external incidents and on the other as social movements that were less related to government. Although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disabled keep being enhanced, there still remain limitations when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policy design. In this regard, various attempts should be taken consistently to secure self-reliance as well as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disabled.

      • KCI등재

        정책유지 영향요인으로서의 정책진화 -이동통신 번호통합정책을 중심으로-

        조성은 ( Sung Eun Cho ),안상훈 ( Sanghoon Ahn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4

        이 글에서는 정책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통신 분야에서 10년 정도 유지되면서 성공적인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는 이동통신 번호통합정책을 정책 진화의 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진화적 관점에서 본 정책은 정책의 발현, 변이, 선택의 과정을 통해 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진화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경로의존성, 창발성, 공진화, 학습과 적응의 개념은 정책이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정부의 정책적 경로의존성 및 정부·기업의 관계구조, 기업과 정부의 전략적 상호작용, 학습에 의한 정부 역할 변화는 정책의 일관성 유지에 영향을 주었고, 사용자 집단의 결집 및 시장 구조 변화는 정책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책 유지를 위해서는 복잡한 정책 영역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변화가 요구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Korea’s policy to integrate cell phone numbers has been maintained for around 10 years with succes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ctor amid rapid changes in the policy environment. This thesis looks into the policy using policy evolution concepts. From the evolution perspective, it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on, modification and selection. Path dependence, emergence, co-evolution and learning, which are main components of evolution, were found to have affected the policy so that it could adapt to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while maintaining its consistency. In detail, the government’s policy path dependence, relationship structure and strategic interaction between government and corporations, and learning derived change in the government’s role influenced consistency of policy while user group concentration and market structure change affected policy change. In order to maintain a poli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government’s role in response to the complexity in the policy aren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